박사

인물화를 통해 투영된 시대정신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iod spirituality projected

송인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인물화를 통해 투영된 시대정신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iod spirituality projected'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 구조
  • 시대정신
  • 인물화
  • 현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7 0

0.0%

' 인물화를 통해 투영된 시대정신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iod spirituality projected' 의 참고문헌

  • 한정희, 최성은 譯, 『중국미술사』
    마이클 설리번 예경 [1999]
  • 중국회화의 기운론
    황지원 계명대학교 출판사 [2006]
  • 조선미 譯,『중국 회화사』
    J.캐힐 설화당 미술선서 [1995]
  • 이진우 · 태정호 譯, 『인간의 조건』
    한나 아랜트 도서출판 한길사 [2005]
  • 반성완 譯, 『군중과 권력』
    엘리아스 카네티 한길사 [1982]
  • 박생광의 「청담대종사」 연작,『박생광, 그 민족 예술의 재조명:내고 박생광 탄생 100주년기념 자료집』
    김현숙 이영미술관
  • 민병산 譯,『동양의 마음과 그림』
    킴바라세이고 새문사 [1994]
  • 동양미의 탐구
    허영환 학고재 [1999]
  • 노승현 譯,『중국미술사 101장면』
    장훈 가람기획 [2003]
  • 김상철 譯, 『중국 근현대 미술』
    낭소군 시공사 [2005]
  • 김기주 譯, 『중국화론선집』
    장언원 미술문화 [2002]
  • 강관식 譯,『중국 회화 이론사』
    갈로 미진사 [1993]
  • 강관식 譯, 『동양화 구도론』
    왕백민 미진사 [1993]
  • 『후기식민주의 시각으로 살펴보는 한국 현대미술의 정체성』
  • 『화인열전2』
    유홍준 역사비평사 [2001]
  • 『화가의자화상』
    조선미 예경 [1996]
  • 『현대미술의 동향』
    정병관 미진사 [1989]
  • 『현대 미술의 또 다른 지평』
    오광수 일지사 [1985]
  • 『한국회화의 전통』
    안휘준 문예출판사 [1989]
  • 『한국회화소사』
    이동주 서문당 [1972]
  • 『한국회화사론』
    이동주 열화당 [1994]
  • 『한국화의 힘-한국화 비전 2006전에』
  • 『한국현대회화의 발자취』
    서성록 (주)문예출판사 [2006]
  • 『한국현대미술의 미의식』
    오광수 도서출판 재원 [1997]
  • 『한국현대미술운동사』
    최 열 돌베개 [1994]
  • 『한국현대미술사』
    오광수 설화당 미술선서 [1991]
  • 『한국현대미술사』
    오광수 열화당 [2013]
  • 『한국의 미술문화사 논고』학연문화사
    맹인재 학연문화사 [2005]
  • 『한국미술사』나남출판사
    김영주 나남출판사 [1997]
  • 『한국미술사』
    김원용 한휘준 시공사 [2013]
  • 『한국미술사』
  • 『한국미술 2000』
    김형수 월간미술 [2000]
  • 『한국미 한국의 마음』
    최순우 지식산업사 [1980]
  •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최 열 최태만 열화당 [1998]
  • 『한국근대미술비평사』
    최 열 열화당 [2001]
  • 『한국근대미술과 시각문화』
    김영나 조형교육(주) [2002]
  • 『한국과 중국의 회화-관계성과 비교론』
    한정희 학고재 [1999]
  • 『한국 회화의 이해』
    민길홍 안휘준 시공사 [2000]
  • 『한국 현대 수묵채색화의 형성사』
    홍선표 미진사 [2007]
  • 『폭력의 세기』
    한나 아랜트 도서출판 이후 [1999]
  • 『포스트모더니즘 회회연구』
    최은영 효성여대 석사학위논문 [1994]
  • 『텔레비전 뉴스의 비판적 읽기 지도방안 연구』
    이다연 경북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2010]
  •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문학과 지성사
    강영안 지성사 [2006]
  • 『초상화란 무엇인가』
    안상성 학문사 [1998]
  • 『채색서 살펴본 채용신과 김은호의 예술세계』
    박서운숙 무악실학회 실학 사상연구 [1999]
  • 『차이와 타자-현대 철학과 비표상적 사유의 모험』
    서동욱 문학과 지성사 [2017]
  • 『중국회화사론』
    장준석 학연문화사 [2002]
  • 『중국예술정신』
    권덕주 여복관 동문선 [1993]
  •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이태호 학고재
  • 『조선조 인물화에 관한 연구』
    남운섭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2]
  • 『조선의 미인을 사랑한 신윤복』
    조정육 아이세움 [2009]
  • 『조선시대 화론연구』
    유홍준 학고재 [1998]
  • 『전환기의 현대미술』
    홍명섭 [1991]
  • 『전통인물화의 표현기법 연구』
    유창훈 제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 『전국 조직 건설과 미술운동의 확산』
    최 열 「민중미술15년 1980-1994」, 국립현대미술관 [1994]
  • 『인물화 정신성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강유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이응노 회화 연구』
    김학량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이당 김은호』
    이구열 국제문화사 [1978]
  • 『윤두서 자화상』의 변질 파문
    이태호 서울,〈한국 고미술〉10호 [1998]
  • 『월전을 그리다』
    이열모 미술문화 [1989]
  • 『월전 장우성 시서화 연구』
  • 『우리그림백가지』현암사
    박영대 [2005]
  •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오주석 [1999]
  •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 『여백의 표현에 관한 소고』
    강희정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의 정책 평가』
    이원섭 『한국언론 정보학보』 [2006]
  • 『알고나면 한국미술 박사』
    가나아트편집부 서울도서출판 가나아트 [1999]
  • 『실내디자인 스타일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경숙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시대와한국미술』
    오광수 미진사 [2007]
  • 『세계화시대의 미술문화』『문화정책논총』
    양현미 한국문화 정책개발원 [1994]
  • 『선전과 국전의 인물화 연구』
    류희승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서화백년』
    김 은 중앙일보사
  • 『붓으로 평화를 그리다. 화가 이응노』
    김학량 나무숲 [2010]
  • 『불평등의 재검토』
    이덕재 이상호 도서출판 한울 [2000]
  • 『민중미술 15년 1980-1994』
    최 열 최태만 서울, 삶과 꿈 [1994]
  • 『민족미술의 이론과 실천』
    최 열 돌베개 [1991]
  • 『미술과 혁명』
    최태만 도서출판 재원 [1998]
  • 『미술과 진실?』
    이영욱 미진사 [1996]
  • 『무형문화재의 탄생』
    정수진 역사와 비평 [2008]
  • 『레비나스 타자 윤리학』도서출판 인간사랑
    김연숙 인간사랑 [2002]
  • 『동양회화사상』
    김종태 서울 [1984]
  • 『동양화에 있어서 여백의 정신과 조성성에 관한 연구』
    김봉성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 『동양화론』
    김종태 일지사 [1978]
  • 『동양화 일천년』
    허영환 설화당 미술선서 [1978]
  • 『동아시아 문화와 예술』
    김홍희 동아시아문화학회 [2010]
  • 『단원 김홍도』
    오주석 [2006]
  • 『단원 김홍도 연구』
    진준형 일지사 [1999]
  •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김선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 『근역서화징』
    오세창 시공사 [2007]
  • 『근대회화 소사』
    G.슈미트 일지사 [1972]
  • 『근대한국화의 흐름』
    이구열 미진신서 [1993]
  • 『근대한국미술연구』
    이구열 미진사 [1994]
  • 『근대한국미술사의 연구』
    이구열 미진사 [1992]
  • 『공재 윤두서』
    이내옥 시공사 [2003]
  • 『공재 윤두서 자화상 소고』
    이내옥 미술자료 [1991]
  • 『餘白의 표현 연구』
    이자영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 『尹斗緖自畵像의 변질 파문』
    이태호 서울,(한국 고미술) , 10호 [1998]
  • 『國畵色彩硏究』
    주자홍 臺北 [1985]
  • 『80년대 미술의 현장과 작가들』
    유홍준 열화당 [1994]
  • 『6월 민주항쟁과 그 후의 한국 미술』『역사비평』
    김정희 역사비평 [2007]
  • 『2000년 이후 사회 문화 현상에 따른 디자인 트렌드가 홈인테리어 패브릭에 미친 영향』
    우신애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 『1980년대 민중미술연구』
    채효영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1960∼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박혜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東洋畵 보다 韓國畵를」下
    김청홍 , 서울, 경향신문 [1959]
  • ,『한국 회화사』
    안휘준 일지사 [1980]
  • ,『고암 이응노 삶과 예술』얼과 알
    고암미술연구소 얼과 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