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홍콩 : 也斯의 《後殖民食物與愛情》과 陶然의 《陶然中短篇小說選》 연구 = 異托邦式的香港 : 也斯的《後殖民食物與愛情》和 陶然的《陶然中短篇小說選》研究

송주란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홍콩 : 也斯의 《後殖民食物與愛情》과 陶然의 《陶然中短篇小說選》 연구 = 異托邦式的香港 : 也斯的《後殖民食物與愛情》和 陶然的《陶然中短篇小說選》研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예쓰
  • 타오란
  • 헤테로토피아
  • 홍콩
  • 홍콩 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5 0

0.0%

'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홍콩 : 也斯의 《後殖民食物與愛情》과 陶然의 《陶然中短篇小說選》 연구 = 異托邦式的香港 : 也斯的《後殖民食物與愛情》和 陶然的《陶然中短篇小說選》研究' 의 참고문헌

  • 조만성 옮김, 《호미바바의 탈식민적 정체성》
    데이비드 허다트 (서울: 앨피출판사 [2011]
  • 정인모, 배정희 옮김, 《공간, 장소, 경계》
    마르쿠스 슈뢰르 (서울: 에코리브르 [2010]
  • 정영주 옮김,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 장수현 김우영 옮김, 《디아스포라의 지식인》
    레이초우 (서울: 이산 [2005]
  • 장동천 외 옮김, 《상하이모던》
    리어우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11]
  • 장국영의 언어-우리가 모르는 광동어 이야기
    조은정 (서울: 문 [2012]
  • 이진경 옮김,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질들뢰즈 펠릭스 가타리 (서울: 동문선 [2001]
  • 이옥진 옮김, 《토포필리아》
    이-푸 투안 (서울: 에코리브로 [2011]
  • 이영욱 옮김,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릴리 간다 (서울: 현실문화연구 [2000]
  • 이석호 옮김, 《탈식민중의와 아프리카문학》
    씨옹오 응구기 (고양: 인간사랑 [1999]
  • 이상길 옮김, 《헤테로토피아》
    미셀푸코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5]
  • 이난아 옮김, 《이스탄불-도시 그리고 추억》
    오르한 파묵 (서울: 민음사 [2013]
  • 이경란, 성정혜 옮김, 《식민욕망 이론, 문화, 인종의 혼종성》
    로버트 J.C.영 (성남: 북코리아 [2013]
  • 은은기 옮김, 《홍콩의 역사》
    G.B 엔다콧 (서울: 한국학술정보 [2006]
  • 윤형숙 옮김, 《상상의 공동체》
    베네딕트 앤더슨 (파주: 나남출판 [2006]
  • 윤필준 옮김, 《화교》
    왕겅우 (서울: 다락원 [2003]
  • 예쓰(也斯) 소설 《포스트식민 음식과 사랑(後植民食物與愛情)의 홍콩 상상과 방식
    김혜준 중국어문연구회, 《중국어문논총》 75 , pp. 389-420 [2016]
  • 시노폰(Sinophone literature), 경계의 해체 또는 재획정
    김혜준 중국 현대문학학회, 《중국현대문학》 80, pp. 73-105 [2017]
  • 송주란 옮김, 《양팔저울》
    타오란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4]
  • 서경석, 김혜신 옮김, 《디아스포라 기행-추방당한 자의 시선》
    (서울: 돌베개 [2012]
  • 상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중국 근대도시사의 공간적 맥락
    김승욱 도시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3-1, pp. 251-286 [2011]
  • 백영길 옮김, 《현대 중국 문화 탐험-네 도시 이야기》
    후지이 쇼조 (서울: 소화 [2002]
  •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도시산책 모티브의 양상
    변찬복 한국 근대일본학회, 《일본근대학연구》 44, pp. 191-217 [2014]
  • 박창호 옮김, 《사람잡는 정체성》
    아민 말루프 (서울: 이론과실천사 [2006]
  • 박종성, 《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푸코 (파주: 살림 [2006]
  • 박은영, 이유재 옮김, 《식민주의》
    위르겐 오스터함멜 (서울: 역사비평사 [2006]
  • 문화적 기억과 도시 공간 그리고 미적 체험
    심혜련 한국문화교육학 회, 《한국예술교육연구》, PP. 69-86 [2008]
  • 문학이론연구회 옮김, 《경계선 넘기-새로운 문학연구의 모색》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경기: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8]
  • 김혜준·송주란 옮김, 《포스트식민 음식과 사랑》
    예쓰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 김혜준, 옮김, 《쿤룬산에 달이 높거든》
    스티에성 (서울: 좋은책만들기 [2002]
  • 김혜준 옮김, 《현대 중문소설 작가 22인: 세기를 넘나드는 작가들》
    왕더웨이 (서울: 학고방 [2014]
  • 김혜준 옮김, 《술꾼》
    류이창 (파주: 창비 [2014]
  • 김혜준 옮김, 《나의 도시》
    시시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 김주경 옮김, 《홍콩-중국과의 해후》
    드니 이요 (서울: 시공사 [2008]
  • 김용규 옮김, 《백색신화》
    로버트 J.C.영 (부산: 경성대학교출판부 [2008]
  • 김양수 옮김, 《중국어권 문학사》
    후지이 쇼조 (서울: 소명출판 [2013]
  • 김덕현 외 옮김, 《장소와 장소상실》
    에드워드 랠프 ((서울: 논형 [2005]
  • 구동회 심승희 옮김, 《공간과 장소》
    이-푸 투안 (서울: 대운 [2007]
  • 강상우 옮김, 《문화 혼종성》
    피터 버크 (서울: 이음 [2012]
  • 〈홍콩 현지 작가를 양성하는 옥토-1960년대의 『中国学生周报』에 대한 일고찰-〉
    왕염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 국학연구》 36 , pp. 437-455 [2015]
  • 〈혼종적 정체성의 해항도시: 식민과 탈식민, 내셔널리즘과 코스모폴리타니즘 사이의 홍콩〉
    이송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해항도시문화교섭학》 4 , pp. 165-198 [2011]
  • 〈탈식민주의 도시 상하이에서 장소기억의 경합〉
    한지은 한국문 화역사지리학회, 《문화역사지리》 20-2 , pp. 43-61 [2008]
  • 〈타자로서의 이주민: 홍콩의 중국본토 이주민〉
    장정아 서울대학교 비교 문화연구소, 《비교문화연구》 8-2 , pp. 37-78 [2002]
  • 〈타오란(陶然) 작품에 나타난 홍콩의 장소성-소설 『양팔 저울』을 중심으로〉
    송주란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기토》 77 , pp. 287-316 [2015]
  • 〈이청준의 「이어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양상 연구〉
    나소정 《한국문예창작》 13-3, 한국문예창작학회, , PP. 83-105 [2014]
  • 〈이문구 소설의 토포필리아〉
    김정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한국문화이론과 비평》 20 , PP. 71-91 [2003]
  • 〈우리의 기억, 우리의 도시: 집단기억과 홍콩 정체성〉
    장정아 동 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문화연구》 17 , pp. 87-115 [2008]
  • 〈예쓰(也斯) 작품에 나타난 홍콩 도시화에 대한 기억과 흔적-소설 『포스트식민 음식 과 사랑』을 중심으로〉
    송주란 대한중국학회, 《중국학》 54 , pp. 241-256 [2016]
  • 〈서평: 식민지 도시계획, 제국 영국의 전 지구적 유산〉
    이향아 도시사학회, 《도시연구》 2, pp. 163-173 [2009]
  • 〈서평: 『홍콩과 홍콩인의 정체성』〉
    장정아 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문화인류학》 41-1 , pp. 306-313 [2008]
  • 〈발터 벤야민의 산보객Flaneur 개념 분석: 『아케이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다혜 도시사회학, 《도시 연구》 , pp. 105-128 [2009]
  •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으로 본 현대 건축의 공간 구축〉
    김성환 이길임 조승구 대학건축학회, 《대 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6-6 , PP. 55-64 [2014]
  •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초기 공간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허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3-2 , PP. 233-267 [2011]
  • 〈문화적 기억과 도시 공간, 그리고 미적 체험-발터 벤야민 이론을 중심으로〉
    심혜련 한국문화교육학회, 《문화 예술교육연구》 , pp. 69-86 [2008]
  • 〈도시산책자: 자기 유폐와 함께하기의 경계에서 방랑/황하는 존재〉
    신지은 한국문화사회학회, 《문화와사회》 제6권, pp. 53-105 [2009]
  • 〈경계인의 역사 반추하기〉
    고운선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기토》 79, pp. 117-155 [2016]
  • 〈也斯 산문의 홍콩성 연구〉
    송주란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950년대 홍콩 영화를 통해 본 5 4 전통의 계승과 변화의 홍콩문화 읽기〉
    룡핑콴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키토》 63, , pp. 133-149 [2008]
  • “홍콩의 법치와 식민주의: 식민과 토착의 뒤틀림
    장정아 한국문화 인류학회, 《한국문화인류학》 38-1 , pp. 3-4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