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다시 읽고 다시 쓰기를 통한 서사 의학의 확장 : 의사-해석자 되기 = Expansion of Narrative Medicine through re-reading and re-writing : Becoming physician-interpreter

김준혁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다시 읽고 다시 쓰기를 통한 서사 의학의 확장 : 의사-해석자 되기 = Expansion of Narrative Medicine through re-reading and re-writing : Becoming physician-interprete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외과의 다방면
  • Rancière
  • derrida
  • 다시 읽고 다시 쓰기
  • 비판적 의료인문학
  • 서사 중심 의학
  • 의사-해석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84 0

0.0%

' 다시 읽고 다시 쓰기를 통한 서사 의학의 확장 : 의사-해석자 되기 = Expansion of Narrative Medicine through re-reading and re-writing : Becoming physician-interpreter' 의 참고문헌

  • 현재 한국 기본의학교육은 어떤 졸업생을 양성하고자 하는가?
    김도환 김은정 신좌섭 이승희 황진영 한국의학교육 ;27(2):87-98 [2015]
  •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과 라깡: 강박증 임상
    홍준기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 9(2):109-145 [2007]
  • 허예라.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경희 강재구 고유경 이금호 이혜경 한국의학교육 ;24(1):55-63 [2012]
  • 한계의식의 미학과 정치적 귀결—페터 바이스의 『저항의 미학』을 중심으로
    남덕현 독일문학 ;89:126-145 [2004]
  • 학업소진척도(MBI-SS) 타당화 연구—의대생 대상으로
    이동엽 이수현 아시아교육연구. ;14(2):165-187 [2013]
  • 포스트미메시스 문학 이론: 루카치에서 들뢰즈까지
    오길영 홍성: 느티나무책방; 2 018
  • 탈구축을 통한 새로운 서사 윤리 전략—비판적 서사 윤리
    김준혁 의철학연구 201 8;26:99-142
  • 처음 읽는 윤리학
  • 참여의 미학—참여 담론과 현대미술 교육의 과제
    진휘연 미술교육논총 ;32 (3):1-22 [2018]
  • 질병서사와 치유에 관한 생명-사회-인문학 가설
    강신익 의철학연구 ;20:35-63 [2015]
  • 질병·건강·치유의 역사와 철학
    강신익 의철학연구 ;1:17-39 [2006]
  • 지젝 철학의 시작: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읽기
    이정우 http://www.artnstudy.com/n_Lecture/?Lesso nIdx=jwLee29 [2010]
  • 죽음이 선물일 수 있다면. 한겨례 [Internet]. 년 4월 5일 [cited 2019 May 17]
    김준혁 Available from: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88859.html [2019]
  • 주 130시간 일하는 레지던트들, “주 80시간이라도 지켜달라”, 조선일보 [Internet]. 년 2월 14일 [cited 2019 May 17]
    고성민 최상현 Available from: http://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4/2019021402032.html [2019]
  • 정신분석과 언어
    이동성 동서언론 ;15:67-89 [2012]
  • 전문의제도 의사인력 구성의 적정성
    김창엽 Korean J Fam Med ;16(1):8-15 [1995]
  • 전공의 폭행사건 이후?.. “피해자면 더 피해본다”.
    조운. 메디파나뉴스 [Internet].: https://www.medipana.co m/news/news_viewer.asp?NewsNum=213341&MainKind=C&NewsKind=5&vCount= 12&vKind=1 [2017]
  • 전공의 폭행 뿌리 뽑는다... 눈감은 병원도 패널티. 메디칼업저버 [Interne t]. 년 12월 4일 [cited 2019 May 17]
    고신정 Available from: http://www.monews.co. kr/news/articleView.html?idxno=122665 [2018]
  • 쟈크 라캉의 ‘오브제 a’ 개념
    문장수 哲學硏究;109:29-56 [2009]
  • 재난과 회복을 변주하는 정신분석의 해석학—21세기 파국적 상상력을 오용하는 편집증적 구조를 넘어서
    김서영 문학과사회 ;23(4):318-332 [2010]
  • 작가를 위하여: 소설 잘 쓰기의 모든 것
    김원우 파주: 글항아리; [2015]
  • 일부 개업의의 우울 및 Burnout 정도의 관련요인
    김군수 김병우 나백주 박요섭 손석준 신준호 예방의학회지 ;28(3):563-575 [1995]
  • 일개 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고찰
  •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근거
    이민용 어문논집 ; 69:157-180 [2013]
  • 의학분야 독자들을 위한 문학적 개념.
    Charon R. 서울: 도서출판 동인; 문학과 의학교육 p. 45-63 [2005]
  • 의학과 서사 [박사학위 논문]
    황임경 서울: 서울대학교; [2011]
  • 의예과 인문학 교육에서 ‘치유하는 글쓰기’의 적용 예
    반재유 예병일 한국의학교육 ;24(3):189-196 [2012]
  • 의료인문학교육에서 질병체험서사의 활용 방안
    황임경 한국의학교육 ;25(2):8 1-88 [2013]
  •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형식과 내용 분석 연구—국내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김찬석 이완수 이일우 이현선 커뮤니케이션 이론 ;11(2):104-141 [2015]
  • 의과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신선경 작문연구 ;2:61-84 [2006]
  • 의과대학 인문학 교육: 환원과 통합 사이에서
    한태희 한국의학교육 ;27(3):16 3-165 [2015]
  •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 교과목 통합교육과정 비교
    구민성 통합교육과정연구 201 0;4(1):115-148
  • 의과대학 교수들의 탈진: 부산·경남지역 3개 의과대학 교수 탈진 빈도와 양상
    김경한 김부경 배화옥 서지현 임선주 의학교육논단 ;16(2):67-76 [2014]
  • 은유. 글쓰기의 최전선
    서울: 메멘토; [전자매체본] [2016]
  • 유사초월론—데리다와 이성의 탈구축
    진태원 철학논집 ;53:103-126 [2018]
  • 우리나라 어린이 청소년 환자에서 일차의료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최용준 서울: 서울대학교; [2006]
  • 연세대 의대 절대평가 4년... 학점 없애니 ‘협공’ 살아났다,
    강홍준 중앙SUNDAY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news.joi ns.com/article/22740261 [2018]
  •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김석 파주: 살림출판사; [2007]
  • 어떻게 ‘좋은 의사’를 만들 수 있는가?
    이영미 한국의학교육 ;22(4):247-248 [2010]
  • 시와 의학교육의 만남에 대한 인문의학적 고찰
    김성리 코기토 ;79:48-374 [2016]
  • 시간과 정의: 벤야민, 하이데거, 데리다
    진태원 철학논집 ;34:155-194 [2013]
  • 숭고의 윤리에서 미학의 정치로—자크 랑시에르의 미학의 정치
    진은영 시대와 철학 ;20(3):403-437 [2009]
  • 숨진 길병원 전공의 실제 근무표 보니... ‘허위 근무표 작성’ 논란. 조선일보 [Internet]. 년 2월 14일 [cited 2019 May 17]
    고성민 Available from: http://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4/2019021402236.html [2019]
  • 서사에 대한 의철학적 비판
    황임경 의철학연구 ;19:119-145 [2015]
  • 서사 의학의 철학적 기초로서 의학적 해석학의 가능성과 한계
    황임경 의철학연구 ;26:67-98 [2018]
  • 생명의료윤리에서 서사(narrative)의 역할과 의의
    황임경 생명윤리 ;12(1):1-18 [2011]
  • 상처의 인문학: 혼돈과 방황의 깨어있는 삶을 위한
    이왕주 파주: 다음생각; [2014]
  • 사람과 사회 중심 학습성과
    서울: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장협의회; [2017]
  •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87-119 [2018]
  •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다섯 가지 제언
    맹광호 양은배 한국의학교육 ;26(3):167 -178 [2014]
  • 문학작품에 나타난 한국 현대 의료의 현실—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이영아 인문과학연구 ;36:55-92 [2013]
  • 문제제기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위한 이론적 검토
    민재원 국어문학 ;67:325-360 [2018]
  • 무비판적 담론이 ‘지젝’ 환상 키워.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Internet]. 년 6월 3일 [cited 2019 May 17]
    홍준기 Available from: http://www.ilemonde.com/news/arti cleView.html?idxno=2685 [2014]
  • 몸중심적 사유로서의 서사와 서사중심 의학(narrative-based medicine)
    최혜실 現代文學理論硏究;44:21-46 [2011]
  • 몸의 철학적 담론 -몸과 마음의 이원론을 넘어서-
    노양진 철학연구 ;27:31-58 [2004]
  • 랑시에르의 교육학 비판
    강성훈 교육철학연구 ;35(1):1-25 [2013]
  • 랑시에르는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랑시에르 미적 공동체의 함의를 중심으로
    김종기 시대와 철학 ;27(3):83-123 [2016]
  • 데리다 입문
    김보현 서울: 문예출판사; [2011]
  • 김성희, 옮김. 마취의 시대: 마취의 역사를 통해 본 자본주의의 두 얼굴
    De Sutter L. Narcocapitalism 김포: 루아크; [2019]
  • 구조주의 이후 서사이론의 전개에서 구술성이 지닌 의미—텍스트이론과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박진 口碑文學硏究;45:33-62 [2017]
  • 고대 출교조치 ‘성범죄 의대생’ 성대서 의사 면허 눈앞. 중앙일보 [Interne t]. 년 3월 18일 [cited 2019 May 17]
    정은혜 Available from: https://news.joins.com/a rticle/23413657 [2019]
  • 『부서진 이름들 _발터벤야민의 글상자』
    조효원 파주: 문학동네; [2013]
  • 『광기, 예술, 글쓰기』
    김남시 서울: 자음과모임; [2016]
  • 「평등과 해방의 원리에 기반한 랑시에르 사상 의 교육적 함의-무지한 스승의 보편적 가르침 개념을 중심으로」
    김회용 주연제 교육종합연구 ;12(4):123-141 [2014]
  • 「인지 스키마 이론에 비춰 본 서사의 본질과 위상」
    나지영 구비문학연구 ;45:63-104 [2017]
  • “의료전달체계 개편의 방향성”
    이진석 대한의사협회지 ;59(4):248-250 [2016]
  • “레지던트 1년차 지겹게 맞던 야구방망이... 몇년 후 나도 손찌검하는 의사로 변했다”.
    익명 매일경제 [Internet].: https://www.mk.co.kr/news/it/view/2017/10/715311/ [2017]
  • ‘소문자 대상 a’ 관점으로 본 편집증 연구: 에메(Aimee)의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채경미 천안: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6]
  • de Man P. Allegories of Reading: Figural Language in Rousseau, Nietzsche, Ril ke, and Proust.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79.
  • crits. 홍준기, 이종영, 조형준, 김대진, 옮김. 에크리
    Lacan J. 서울: 새물결; [2019]
  • ber Sprache berhaupt und ber die Sprache des Menschen. 최성만, 옮김.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In: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번역자의 과제 외
    Benjamin W. 서울: 길; p. 69-95 [2008]
  • Zunshine L. Introduction to Cognitive Literary Studies. In: Zunshine L, editor. T 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terary Studies. New York (NY): Oxford Uni versity Press; 2015. p. 1-9.
  • XI,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맹정현, 이수련, 옮김. 자크 라캉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Lacan J. S. 서울: 새물결; 2 008
  • Wright MM, Medved M, Woodgate RL, Roger K, Sulivan D. Narratives of Ac quired Brain Injury Patients: Their Experience of Healthcare Relationships and Medical Decision-Making. J Commun Healthc 2016;9(3):190-199.
  • Woods A. The Limits of Narrative: Provocations for the Medical Humanities, M ed Humanit 2011;37:73-78.
  •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곽강제, 옮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론』이렇게 읽어야 한다
    White RM. 파주: 서광사; [2011]
  • Williams WC. The Doctor Stories. New York (NY): New Directions; 1984.
  • Wikimedia Commons contributors. File:KleinBottle-01.png [Internet]. Wikimedia Commons, the free media repository; 2016 Dec 28 [cited 2019 May 16]. Available from: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title=File:KleinBottle-01.png&ol did=227837830.
  • White BD, Shelton WN, Rivais CJ. Were the ‘Pioneer’ Clinical Ethics Consultan ts ‘Outsiders’? For Them, Was ‘Critical Distance’ That Critical? Am J Bioethics 2018;18(6):34-44.
  • Whitaker P. GPs are Much More Than Gatekeepers. BMJ 2016;353:i2751.
  • Welch HG, Schwartz L, Woloshin S. Overdiagnosed: Making People Sick in th e Pursuit of Health. Boston (MA): Beacon Press; 2011.
  • Valles SA. Philosophy of Population Health: Philosophy for a New Public Heal th Era. New York (NY): Routledge; 2018.
  • Turner M. The Literary Min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 Totem und Tabu: Einige bereinstimmungen im Seelenleben der Wil den und der Neurotiker. 이윤기, 옮김. 토템과 터부. In: 종교의 기원 [전자매체본]
    Freud S. 파주: 열린책들 [2013]
  • The Wounded Storyteller. 최은경, 옮김. 몸의 증언: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를 통해 생각하는 질병의 윤리
    Frank AW. 서울: 갈무리; [2013]
  • The Unpleasant Profession of Jonathan Hoag. 조호근, 옮김. 조너선 호그의 기분 나쁜 직업 [전자매체본]. In: 하인라인 판타지
    Heinlein RA. 서울: 시공사; [2017]
  •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이수련, 옮김.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Žižek S. 서울: 새물결; [2013]
  •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조효제, 옮김.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Nettleton S. 파주: 한울; [1997]
  • The Role of Medicine: Dream, Mirage or Nemesis? 손명세, 정상혁, 옮김. 의학의 한계와 새로운 가능성
    McKeown T. 파주: 한울; [1994]
  • The Contracts of Fiction: Cognition, Culture, Community
    Spolsky E. New Yo가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 The Cinematographic Principle and the Ideogram. 이윤영, 옮김. 영화의 원리와 표의문자 In: 이윤영, 편집. 사유 속의 영화
    Eisenstein S.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1. p. 23-45 [1929]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옮김. 서사학 강의: 이야기에 대한 모든 것
    Abbott, HP.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0]
  • Teihon Yasen To Eien. 안천, 옮김. 야전과 영원: 푸코·라캉·르장드르
    Sasaki A. 서울: 자음과모음; [2015]
  • Surveiller et punir: Naissance de la prison. 오생근, 옮김.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Foucault M. 파주: 나남; [2003]
  • Strawson G. Against Narrativity. Ratio 2004;17:428-452.
  •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談論
    Chatman SB. 서울: 고려원; [1991]
  • Spectres de Marx. 진태원, 옮김. 마르크스의 유령들
    Derrida J. 서울: 그린비; [2014]
  • Sonzaironteki, Yubinteki—Jacques Derrida Ni Tsuite. 조영일, 옮김. 존재론적, 우편적: 자크 데리다에 대하여
    Azuma H. 서울: 도서출판 b; [2015]
  • Schwaber P. Foreword. In: Williams P, Gabbard GO, editors. Key Papers in Lit erature and Psychoanalysis. London (UK): Karnac; 2007. p. xi-xv.
  • Schleifer R, Vannatta J. The Chief Concern of Medicine: The Integration of the Medical Humanities and Narrative Knowledge into Medical Practices.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3.
  • S curit , territoire, population: Cours au Coll ge de France, -1 978 par Michel Foucault. 오르트망, 옮김. 안전, 영토, 인구: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 977~78년
    Foucault M. 서울: 도서출판 난장; 2011 [1977]
  • Ryan M. Narratology and Cognitive Science: A Problematic Relation. Style 201 0;44(4):469-495.
  • Rudnytsky PL. Introduction. In: Rudnytsky PL, Charon R, editors. Psychoanalysi s and Narrative Medicin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008. p. 1-19.
  • Rimmer A. Sixty Seconds on ... Moral Injury. BMJ 2019;365:I1933.
  • Ranci re J. Le Partage du sensible: Esth tique et politique. Rockhill G, translat or. The Politics of Aesthetic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New York (NY): Continuum; 2004.
  • Psychoanalysis and Storytelling. 박인성, 옮김.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 위
    Brooks P.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7]
  • Power, Pain and Dentistry. 대한치과의사학회, 옮김. 푸코와 치아
    Nettleton S. 파주: 한울; [2000]
  • Pouvoir et r sistance: Foucault, Deleuze, Derrida, Althusser. 김상운, 옮김. 권력과 저항: 푸코, 들뢰즈, 데리다, 알튀세르
    Sato Y. 서울: 도서출판 난장; [2012]
  • Poses RM. Narrative Medicine, Ann Intern Med 2001;135(10):929-930.
  • Politique de la litt rature. 유재홍, 옮김. 문학의 정치
    Ranci re J. 고양: 인간사 랑; [2011]
  • Poetic Justice. 박용준, 옮김. 시적 정의
    Nussbaum M. 서울: 궁리; [2013]
  • Phelan J. Narrative Ethics [Internet]. The Living Handbook of Narratology: 201 4 Dec 9 [cited 2019 Jun 3]. Available from: http://www.lhn.uni-hamburg.de/node/ 108.html.
  • Ph nomenologie des Geistes. 임석진, 옮김. 정신현상학 1
    Hegel GWF. 서울: 한길사; [2005]
  • Paparella S. How Did I Miss That? The Safety Challenges of Inattentional Bli ndness. J Emerg Nurs 2013;39(4):358-359.
  • O’Mahony S. Medical Nemesis 40 Years On: The Enduring Legacy of Ivan Illi ch. J R Coll Physicians Edinb. 2016;46:134-139.
  • O’Mahony S. Against Narrative Medicine. Perspect Biol Med 2013;56(4):611-619.
  • Nussbaum M. The Fragility of Goodness: Luck and Ethics in Greek Tragedy and Philosophy. Co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 Nippon No Shisou. 송태욱, 옮김. 현대 일본 사상: 아사다 아키라에서 아즈마 히로키까지
    Sasaki A. 서울: 을유문화사; [2010]
  • Naissance de la clinique: une arch ologie du regard m dical. 홍성민, 옮김. 임상의학의 탄생
    Foucault M.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1993]
  • Murphy JE. The New Journalism: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ism Mono 197 4;34:1-38.
  • Montello M. Narrative Ethics. Hastings Center Report 2014;44(1):S2-S6.
  • Monogusa Seishin Funseki. 우주형, 옮김. 게으름뱅이 정신분석 1
    Kishida S. 서울: 깊은샘; [1995]
  • Moli re. Le M decin volant. 임재일, 옮김. 날아다니는 의사. In: 몰리에르 단막극선
    서울: 지만지; [2012]
  • Medical Education: How the Medical Hu manities Can Shape Better Doctors. 김준혁, 옮김. 의료인문학과 의학 교육: 의료인문학이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 방법
    Bleakley A. Medical Humanities 서울: 학이시습; [2018]
  • Medic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김선, 옮김. 플렉스너 보고서: 미국과 캐나다의 의학교육
    Flexner A. 서울: 한길사; [2005]
  • Marcum JA. An Introductory Philosophy of Medicine: Humanizing Modern Medi cine. New York (NY): Springer; 2008.
  • L’anti-oedipe: capitalisme et Schizophr nie. 김재인, 옮김. 안티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Deleuze G Guattari F. 서울: 민음사; [2014]
  • Looking Awry: An Introduction to Jacques Lacan through Popular Cult ure. 김소연, 유재희, 옮김. 삐딱하게 보기
    Žižek S. 서울: 도서출판 시각과 언어; [1995]
  • Logique Du Sens. 이정우, 옮김. 의미의 논리
    Deleuze G. 파주: 한길사; [1999]
  • Levi P. Se questo un uomo. Einaudi G, translator. If This is a Man. New Y ork (NY): The Orion Press; 1959.
  • Leontini R. Genetic Risk and Reproductive Decisions: Meta and Counter Narrat ives. Health Risk Soc 2010;12(1):7-20.
  • Leibovici L, Li vre M. Medicalisation: Peering from Inside Medicine. BMJ. 200 2;324:866.
  • Legendre P. Le ons VII. Le D sir Politique de Dieu. tude sur les montages d e l’ tat et du Droit. Paris (FR): Fayard; 1988.
  • Legendre P. Le ons VI. Les enfants du texte. tude sur la fonction parentale de tats. Paris (FR): Fayard; 1992.
  • Legendre P. Le ons IV. L’Inestimable objet de la transmission. tude sur le pr incipe g n alogique en Occident. Paris (FR): Fayard; 1985.
  • Legendre P. Le ons II. L’ mpire de la v rit introduction aux espaces dogmati ques industriels. Paris (FR): Fayard; 1983.
  • Legendre P. La passion d’ tre un autre, tude pour la danse. Paris (FR): Faya rd; 1978.
  • Legendre P. Dieu au mirror. Young PG, translator. God in the Mirror: A Stud y of the Institution of Images. Lessons III [Electronic version]. New York (NY): Routledge; 2019.
  • Le spectateur mancip . 양창렬, 옮김. 해방된 관객
    Ranci re J. 서울: 현실문화; [2016]
  • Le ma tre ignorant. 양창렬, 옮김. 무지한 스승
    Ranci re J. 파주: 궁리; [2008]
  • Lawlor L. Jacques Derrida. In: Zalta EN, edit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ummer 2018 Edition) [Internet].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 d University; 2018 [cited 2019 May 17]. Available from: https://plato.stanford.edu /archives/sum2018/entries/derrida/.
  • Lacan J. S. XX, Encore. Fink B, translator. Book XX: Encore 1972-1973, New York (NY): W. W. Norton & Company; 1999.
  • Lacan J. S. VII, L’ethique de la psychanalyse. Porter D, translator. Book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1959-1960. New York (NY): W. W. Norton & Co mpany; 1997.
  • Lacan J. S. V, Les formations de l’inconscient. Grigg R, translator. Formations of the Unconscious: The Seminar of Jacques Lacan, Book V. Malden (MA): Poli ty Press; 2017.
  • Lacan J. S. II, Le moi dans la th orie de Freud et dans la technique de la psyc hanalyse. Tomaselli S, translator. Book II: The Ego in Freud’s Theory and in th e Technique of Psychoanalysis 1954-1955, New York (NY): W. W. Norton & Co mpany; 1991.
  • Lacan J. Probl mes cruciaux de la psychanalyse: s minaire 1964-1965. Associat ion freudienne internationale; 2000.
  • Lacan J. L’objet de la psychanalyse: s minaire 1965-1966, Association freudien ne internationale; 1999.
  • Lacan J. Le s minaire XVI: d’un autre l’Autre, Paris (FR): Seuil; 2006.
  • Kleinmann A. The Illness Narrative: Suffering, Healing & The Human Conditio n. New York (NY): Basic Books; 1988.
  • Ke W. Healthcare Reform: Using Medical Humanities as an Alternative Solutio n. Triple Helix Online [Internet]. 2012 Mar [cited 2019 May 17]. Available from: http://triplehelixblog.com/2012/03/healthcare-reform-using-medical-humanities-asan- alternative-solution/.
  • Kassier JP, Wong JB, Kopelman RI. Learning Clinical Reasoning.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 Kafka: pour une litt rature mineure. 이진경, 옮김. 카프카: 소수적인 문학을 위하여
    Deleuze G Guattari F. 서울: 동문선; [2001]
  • Justice for Hedgehogs. 박경신, 옮김. 정의론: 법과 사회 정의의 토대를 찾아서 [전자매체본]
    Dworkin RM 서울: 민음사; [2015]
  • Jewson ND. The Disappearance of the Sick-Man from Medical Cosmology, 177 0-1870. Sociology 1976;10(2):225-244.
  • Jacques Derrida. 오문석, 옮김. 자크 데리다의 유령들
    Royle N. 서울: 앨피; [2007]
  • Irvine R, Kerridge I, McPhee J, Freeman S. Interprofessionalism and Ethics: C onsensus or Clash of Cultures? J Interprof Care 2002;16(3):199-210.
  • Illich I. Tools for Conviviality. New York (NY): Harper & Row; 1973.
  • Illich I. Medicalization and Primary Care. J R Coll Gen Pract. 1982;32:463-470.
  • Illich I. Medical Nemesis: The Expropriation of Health. New York (NY): Rand om House; 1976.
  • Illich I. Medical Neme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3;57:919-922.
  • Illich I. Energy and Equity. New York (NY): Harper & Row; 1974.
  • Illich I. Deschooling Society. London (UK): Marion Boyars; 1971.
  • Hunter KM. Doctor’s Stori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Medical Knowledge. Pr 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 How to Read Lacan. 박정수, 옮김. How to Read 라캉
    Žižek S.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2007]
  • How to Read Derrida. 변성찬, 옮김. How to Read 데리다
    Deutscher P. 파주: 웅진지식하우스; [2007]
  • Holt TE. Narrative Medicine and Negative Capability. In: Rudnytsky PL, Charo n R, editors. Psychoanalysis and Narrative Medicine. Albany (NY): State Univer sity of New York Press; 2008. p. 83-96.
  • Hogan PC. Stories, Wars, and Emotions. In: Richardson B, editor. Narrative Be ginnings: Theories and Practices. Lincoln (N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 008. p. 44-62.
  • Hersch J, Barratt A, Jansen J, Irwig LM, McGeechan K, Jacklyn G, Hon HT, Dhillon H, Houssami N, McCaffery K. Use of a Decision Aid Including Informati on on Overdetection to Support Informed Choice About Breast Cancer Screening: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15;385(9978):1642-1652.
  • Hermann N. Chapter 10. Can Creativity Be Taught? In: Charon R, DasGupta S, Hermann N, Irvine C, Marcus ER, Col n ER, Spencer D, Spiegel M. The Princip les and Practice of Narrative Medicin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 s; 2017. p. 233-254.
  • Herman D. Storytelling and the Sciences of Mind: Cognitive Narratology, Discu rsive Psychology, and Narratives in Face-to-Face Interaction. Narrative 2007;15 (3):306-334.
  • Hawkins AH. Reconstructing Illness: Studies in Pathography. West Lafayette (I N): Purdue University Press; 1999.
  • Grandin T. Thinking in Pictures: My Life with Autism. New York (NY): Vinta ge Books; 2006.
  • Goodrich P, editor. Goodrich P, Pottage A, Sch tz, translators. Law and the U nconscious: A Legendre Reader.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1997.
  • Gonz lez-Moreno M, Saboride C, Teira D. Disease-mongering through Clinical Trials. Stud Hist Philos Biol Biomed Sci. 2015;51:11-18.
  • Goldacre B. Bad Pharma: How Medicine is Broken, and How We Can Fix It. New York (NY): Faber and Faber, Inc.; 2012.
  • Gies WJ. D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Report to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New York (NY): The C 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1926.
  • General Medical Council. Tomorrow’s Doctors. London (UK): General Medical Council; 2009.
  • G del’s Proof. 곽강제, 고중숙, 옮김. 괴델의 증명
    Nagel E Newman J. 서울: 도서출판 승산; [2010]
  • Frank A. The Wounded Storyteller: Body, Illness, and Ethics. Chicago (IL): The University Press of Chicago; 1995.
  • Force de Loi. 진태원, 옮김. 법의 힘
    Derrida J.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4]
  • Foi et Savoir suivi de Le Si cle et le Pardon. 신정아, 최용호, 옮김. 신앙과 지식/세기와 용서 [전자매체본]
    Derrida J. 파주: 아카넷; [2016]
  • Farrell C. The Ethics and Value of True Interprofessionalism. AMA J Ethics 2 016;18(9):887-890.
  • Emanuel EJ, Fuchs VR. The Perfect Storm of Overutilization. JAMA. 2008;299 (23):2789-2791.
  • Dworkin R. Law’s Empi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 Drew T, Evans K, V MLH, Jacobson FL, Wolfe JM. Informatics in Radiolog y: What Can You See in a Single Glance and How Might This Guide Visual Se arch in Medical Images? Radiographics 2013;33(1):263-274.
  • Doohan N, DeVoe J. The Chief Primary Care Medical Officer: Restoring Conti nuity. Ann Fam Med 2017;15:366-371.
  • Die Dekonstruktion. 김혜진, 옮김. 데리다와 예일학파
    Zima PV 파주: 문학동네; [1994]
  • Die Aufgabe des bersetzers. 최성만, 옮김. 번역자의 과제. In: 언어 일반과 인간의 언어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외
    Benjamin W. 서울: 길; p. 119-142 [2008]
  • Die sthetik des Widerstands. 탁선미, 옮김. 저항의 미학 1
    Weiss P.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6]
  • De La Grammatologie. 김성도, 옮김. 그라마톨로지
    Derrida J. 서울: 민음사; [2010]
  • Critchley S. Deconstruction and Pragmatism―Is Derrida a Private Ironist or a Public Liberal? In: Mouffe C, editor. Deconstruction and Pragmatism. London (U K): Routledge; 1996. p. 19-41.
  • Confessions of a Medicine Man. 김숙진, 옮김. 어느 의사의 고백
    Tauber AI. 고양: 지호; [2003]
  • Charon R. Where Does Narrative Medicine Come From? In: Rudnytsky PL, Cha ron R, editors. Psychoanalysis and Narrative Medicine. Albany (NY): State Univ ersity of New York Press; 2008. p. 23-36.
  • Charon R. Narrative Medicine: Honoring the Stories of Illnes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Charon R, Hermann N, Devlin MJ. Close Reading and Creative Writing in Clin ical Education: Teaching Attention, Representation, and Affiliation. Acad Med 20 16;91(3):345-350.
  • Charon R, DasGupta S, Hermann N, Irvine C, Marcus ER, Col n ER, Spencer D, Spiegel M.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arrative Medicine.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 Chambers T. The Fiction of Bioethics: Cases as Literary texts, New York (N Y): Routledge; 1999
  • Blissett S, Cavalcanti RB, Sibbald M. Should We Teach Using Schemas? Evid ence From a Randomised Trial. Med Educ 2012;46(8):815-822.
  • Bishop C. Artificial Hells: Participatory Art and the Politics of Spectatorship. L ondon (UK): Verso; 2012.
  • Biesta G, Bingham C.(2012), Response to Caroline Pelletier’s Review of Jacque s Ranci re: Education, Truth, Emancipation. Stud Philos Educ 2012;31(6):621-623.
  • Biesta G, Bingham C. Jacques Ranci re: Education, Truth, Emancipation. Lond on (UK): Continuum; 2010.
  • Benjamin W. Ursprung des deutschen Trauerspiels. Osborne J, translator. The Origin of German Tragic Drama. New York (NY): Verso; 1998.
  • Battersby JL. Narrativity, Self, and Self-Representation. Narrative 2006;14(1):27- 44.
  • Barnes J. Nothing to Be Frightened Of. London (UK): Jonathan Cape; 2008.
  • Asken MJ. Physician Burnout: Moral Injury is a Questionable Term. BMJ 201 9;365:I2375.
  • Ashi Fumitomete—Anarekuta 1. 김소운, 옮김. 제자리걸음을 멈추고
    Sasaki A. 서울: 여문책; [2017]
  • Aschwanden C. Why I’m Opting Out of Mammography. JAMA Intern Med 20 15;175(2):164-165.
  • Arras JD. Nice Story, But So What? Narrative and Justification in Ethics. In: Nelson HL, editor. Stories and Their Limits: Narrative Approaches to Bioethics. New York (NY): Routledge; 1997. p. 65-88.
  • Aristotle’s Poetics for Screenwriters: Storytelling Secrets from the G reatest Mind in Western Civilization. 김윤철, 옮김. 스토리텔링의 비밀: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Tierno M. 고양: 아우라; [2008]
  • Ano Inoru Te O—<Hon> To <Kakumei> O Meguru Itsutsu No Yawa. 송태욱, 옮김. 잘라라, 기도하는 그 손을: 책과 혁명에 관한 닷새 밤의 기록
    Sasaki A. Kiritore 서울: 자음과모음; [2012]
  • Aldama FL, editor. Toward a Cognitive Theory of Narrative Acts.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2010.
  • Adieu Emmanuel L vinas. 문성원, 옮김. 아듀 레비나스
    Derrida J.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6]
  • Acts of Meaning. 강현석, 유제순, 이자현, 김무정, 최영수, 이순옥, 옮김. 인간 과학의 역명: 마음, 문화, 그리고 교육
    Bruner J.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1]
  • 20세기초 미국 의학교육의 개혁과 <플렉스너 보고서>
    황상익 醫史學:3(1);1-20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