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의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문법 기술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서를 중심으로

진가가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의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문법 기술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서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법 기술
  • 시간 관계 연결어미
  • 의미 차이
  • 의미기능
  • 통사적 특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7 0

0.0%

' 한국어의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문법 기술 연구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서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국어 접속어미의 분류」,『언어연구』6
    김진수 한국현대언어학회 [1989]
  • 連結語尾{고}에 대하여, 『學術誌』21
    김승곤 건국대학교 [1977]
  • 현태국어 연결어미 ‘-면서’에 관한 고찰, 『현대문법연구』45
    안주호 현대문 법학회 [2006]
  • 현대국어의 어말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응용언언학 7
    고영근 서울대학교 어학 연구소 [1975]
  • 한국어의 접속화, 『어학연구』8-2
    양인석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2]
  •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간 요소 연구에 대하여, 『중국학연구』52
    왕례랑 중 국학연구회 [2010]
  • 한국어와 중국어의 동시 상황 표현에 대한 대조 연구: ‘-면서’,‘-고’와 ‘일변(一邊)VP1일변(一邊)VP2’, ‘VP1착(着)VP2’의 대조를 중심으로, 『배달말 (Korean Language)』58
    이선웅 배달말학회 [2016]
  • 한국어교육용 문법 요소의 위계화에 대하여, 『국어교육연구』23권
    민현식 서 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 한국어교육에서의 유사 문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3
    양명희 국제한국어 교육문화재단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에 대한 연구 -시제 및 접속어미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32
    김정남 이준언어학회 [2006]
  •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기술방안, 『한국어교육』15-1
    민현식 국제한국어교 육학회 [2004]
  •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 연구, 『인문사회』21
    이지용 (사)아시아문 화학 술원 [2017]
  • 한국어 연결형 어미의 의미 분석 연구 1, 『한글』186
    김승곤 한글학회 [1981]
  • 한국어 연결어미의 의미 체계 -윤평현(2005)를 중심으로-, 『형태 론』20
    이은경 형태론 [2018]
  • 한국어 연결어미의 의미 기술에 대하여, 『한국학연구』38
    이은경 인하대학 교 한국학연구소 [2015]
  • 한국어 연결어미의 의미 기술에 대하여
    이은경 인하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38 [2015]
  • 한국어 사용 빈도
    강범모 김흥규 한국문화사 [2009]
  •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교육내용 구축 방안, 『이중언어학』34권
    박동호 이 중언어학회 [2007]
  •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3쌍의 동사 유의 어를 대상으로, 『새국어교육』92
    박종호 황경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국어교육연구』7
    민현식 서울대학교국어교 육연구소 [2000]
  •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식, 『이중언어학』25
    이은희 이중언어학회 [2004]
  • 한국어 교재의 개발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어 교육』14
    박영순 국제한 국어교육학회 [2003]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체계에 대하여, 『한국어학』41
    고경태 한국어학회 [2008]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계기의 연결어미 ‘-고’와 ‘-어서’의 교육방법 연 구, 『언어과학연구』
    박지영 언어과학학회 [2016]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었다가’의 문법 기술
    오경숙 『한국언어문화교육학 회』4 [2011]
  •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 문법 항목의 선정과 배열 연구, 『한국어교 육』12-1
    김제열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 한국어 교육 중급 문법 표현 항목 선정에 대한 일고찰, 『반교 어문연구』36
    양명희 이선웅 반교어문학회 [2014]
  •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개념 연구, 『어문론집』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18]
  •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 ‘-고’와 ‘-아/어서’의 교육 내용 연구, 『어문 론집』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16]
  •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 교육』12
    이해영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001]
  •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
    권낙원 학습 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1]
  • 학습자 인식을 통한 ‘이다’의 성격 분석, 『국어교육』
    양세희 한국어교육학 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 학교문법의 보조적 연결어미에 대하여, 『청람어문교육』30
    유혜령 청람어 문교육학회 [2005]
  • 학교 문법에서의 ‘이다’ 처리 문제 재고
    박정규 우리말학회 [2017]
  •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문법 교육』13
    이관규 한 국문법교육학회 [2010]
  •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85]
  • 최신 개정판『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임홍빈 장숙인 홍경표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4]
  • 초급한국어 정독교재의 어휘에 대하여, 『한국(조선)어교육연구』
    유춘희 중 국한국(조선) 어교육연구학회 [2013]
  •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용문법술어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유춘희 길 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2]
  •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문법교육을 중심으로-, 『퇴계학과 유교문화』35
    장광군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 교육,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 대회논문집』
    박숙자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오류 분석 -연결어미 오류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위반반 전영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미오류 분석 -연결어미와 종결어미를 중심 으로
    윤영숙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재의 구성과 기술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왕단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재 분석 -중국 내 출판 교재를 중심으로
    이주화 전나영 한국문법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재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 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문화교육
    왕준룡 석사하위논문 [2015]
  •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본과교육을중심으 로-
    런샤오리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아시아문화연구』 [2013]
  • 중국의 한국어 교재 사용 현황과 개발 방향 연구
    유쌍옥 한국인문학회 [2016]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재 편찬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순천향인문과학 논총』24
    김순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어제와 오늘 및 미래, 『한중인문학연구』24 권
    김철 한중인문학회 [2008]
  •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평가, 『국어교육연구』10
    묘춘매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02]
  •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교육에 관한 고찰, 『청람어문교육』26
    김영옥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03]
  •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특성과 과업, 『국어교육연구』30
    강은국 서 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국어교육연구』7
    장광군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00]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재 개발 현황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 술대회논문집』
    손정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4]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Journal of Korean Cultur e』
    왕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09]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실태와 과제, 『한국학연구』15
    김병운 인하대 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모색, 『한국(조선)어교육 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上)
    허련화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0]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급속한 부상과 한국어의 위치, 『교육한 글』10
    이득춘 한글학회 [1997]
  •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 및 지도, 『국어교육연구』6
    김병운 서울대 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 중국에서의 대학교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과 개선연구, 『한국(조선)어 교육 國際學術硏討會論文集』(下)
    김영수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0]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교재 용어 분석(Ⅲ) -‘문장 성분’과 ‘문장 구 조’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최윤곤 한중인문학회 [2015]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교재 용어 분석(Ⅱ)-어미를 중심으로, 『외국 어로서의 한국어교육』40
    최윤곤 연세대 한국어학당 [2014]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교재 용어 분석(Ⅰ)-품사를 중심으로, 『새국어 교육』89
    최윤곤 한국국어교육학회 [2011]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국어 교육연구』16
    왕단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중국 내 한국어교재 편찬 현황 과 향후 개발 방향-2000년부터 2015년까지의 한국어교재를 중심으 로-
    김철 민영란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어문론 총』76권 [2018]
  •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 으로, 『새국어교육』97
    이인순 허세립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 중국 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방안의 초보적 구성, 『외국어로서 의 한국어교육』26권
    장광군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1]
  • 중국 지역의 한국학 현황, 『한중인문학연구』35
    송현호 한중인문학회 [2012]
  • 중국 대학기관용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고찰
    진정란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 구』 [2011]
  • 중국 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 국어교육』27
    왕단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02]
  •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흐름,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한국학연구』65
    이인순 허세립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말』10
    남기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985]
  • 접속어미 ‘-자, -자마자, -았자’의 의미와 문법, 애산학보 17
    이정택 애산학회 [1995]
  •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語文學』65
    송창선 韓國語文學會 [1998]
  • 접속어미 ‘-며’, ‘-면서’, ‘-면’의 의미와 상관관계, 『시학과언어학』6
    이영민 시학과언어학회 [2003]
  • 접속문 어미 ‘-고’의 의미 기능 연구(3), 韓民族語文學
    박종갑 韓民族語文學會 [1997]
  • 이음씨끝 -게와 -도록의 의미와 통어적 기능
    김승곤 국어학신연구Ⅰ(약 천김민수박사 화갑기념 논문집), 탑출판사 [1986]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내용 설정 연구 -교육 문법 내용의 영 역, 등급과 순서 제시, 『문법교육』10권
    김재욱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에 대한 시고, 『우산어문논 집』15
    서종학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001]
  • 외국어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국어교육』107
    성기철 한국어교육학회 [2002]
  • 외국어서 한국어 교육문법, 『한국어교육』12
    백봉자 한국어교육학회 [2001]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과 교수법,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 육』Ⅳ
    김충실 태학사 [200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와 문법 교육의 문제점, 『국어교육연구』 6
    이효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5]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형식문법 에서 기능 문법으로, 『한국어 교육』17
    한송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 연결어미의 의미 관계와 한국어교육에서의 연결어미의 배열 양상연구 -유표성에 기반한 연결어미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홍윤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 연결어미의 문법적 제약에 대한 기술 방법
    요시모토하지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 구』20 [2007]
  • 연결어미[-고]와 [-어(서)], 『언어와 언어학』8
    서정수 한국외국어대학교언 어연구소 [1982]
  • 연결어미 ‘-어서, -니까, 느라고, -므로’에 대하여, 『배달말』5
    이상복 배달 말 학회 [1981]
  • 연결어미 ‘-아서’의 의미 고찰, 『語文學』112
    김준기 한국어문학회 [2011]
  • 연결어미 ‘-느라고’를 중심으로 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
    노금송 마려 『국 제한국(조선) 언어문학 교육과 연구 학술 대회 논문집』, 중국한국(조선)어 교육연구학회 [2005]
  • 연결어미 ‘-고도’, ‘-고는’의 문법 의미 기술에 대하여-한국어교육용 문법서 분석을 중심으로-
    오로지 한국문법 교육학회,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
  • 연결어미 ‘-고’와 ‘-아서’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 연구
    이경선 동남어문학회, 『동남어문논 집』24 [2007]
  • 연결어미 ‘-고’,‘-아서’에 대하여, 『연세어문학』
    정희정 연세대학교 국어국 문학과 [1990]
  • 연결어미 ‘-(으)면서’의 형태와 의미 분석, 『어문연구』79
    박호관 어문연 구학회 [2014]
  • 언어교육과정의 구성요소와 교수요목(syllabus)의 유형, 『21세기 한 국 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민현식 한국문화사 [2002]
  • 어미 체계와 통사 기술, 『언어학』5
    권재일 한국어언어학회 [1982]
  • 어미 ‘-고’와 ‘-어’에 대하여, 『국어교육』18
    성기철 한국어교육학회(구 한 국어국어교연구학회) [1972]
  • 시간의 연결어미와 시제어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17
    김인선 연세 학교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992]
  • 시간의 연결어미 ‘-아/어서’의 통사론적 특성을 이용한 지도 방안, 『한국어 교육』17
    김은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6]
  • 보조조사 ‘-서’의 의미, 『국어학』14
    안명철 국어학회 [1985]
  • 문법 학습자의 태도 변화를 위한 학습자 중심 문법 교수 학습방안 연 구 -‘거꾸로 교실’을 중심으로, 『문법 교육』30
    김수정 한국문법교육학회 [2017]
  • 문법 교육의 표준화와 다양화의 과제, 『국어교육연구』16
    민현식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2003]
  • 메타언어(Meta-language)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론 연구, 『이중언어학』32
    홍윤기 이주언어학회 [2006]
  • 등위 접속문의 통사 특성, 『한글』201 202
    김영희 한글학회 [1988]
  • 동시성 나타내는 연결어미 ‘-면서’의 비대칭적 용법, 『한국언어문 화』38
    박진호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09]
  • 대립관계의 ‘-면서’ 구문에 대하여, 『국어문학』27
    구종남 국어문학회 [1989]
  • 대등 접속문의 시제 표현
    이은경 국어학회, 『국어학』73 [2015]
  • 국어의 연결어미에 대하여 -‘아서’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교육학』3
    이상복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978]
  • 국어의 시간관계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언어』
    윤평현 한국언어학회 [1992]
  • 국어 접속 구성의 의미론
    서형국 한국중원언어학회 [2009]
  • 국어 이음월의 통사 의미론적 연구
    이상태 형설출판사 [1995]
  •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체계 분석, 『한민족어문학』51
    김재욱 한민족 어문학회 [2007]
  •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상관성, 『한국어교육』14-2
    민혁식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2003]
  • 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항목 기술에 대하여, 『시학과 언어학』13
    오경숙 시 학과 언어학회 [2007]
  • 계기의 접속어미 ‘-고’와 ‘-아서’의 의미 통사상 차이-부정 표현과 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어문학』
    목지선 한국어문학회 [2012]
  • 계기의 ‘-고’에 대하여, 『국어학』5
    김흥수 국어학회 [1977]
  • 계기관계 연결어미 ‘-자’와 ‘-자마자’의 문법 기술
    진가가 국어연구학회, 『국어연구』97 [2018]
  • 黄伯荣 廖序东(2017),『现代汉语(上下册)』, 高等教育出版社.
  • 韦旭升 许东振(2006),『新编韩国语实用语法』, 外语教学与研究出版社.
  • 韓國語學習者의 連結語尾‘-고’ 使用樣相分析, 『어문연구』41
    이영준 한 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 金仁龙 宋昌洙(2010),『韩国语语法句型大全』, 延边大学出版社.
  • 金东国 卢正爱(2013),『韩国语语法教程』,民族大学出版社.
  • 鄭义香(2012),『实用韩语基础语法与练习』, 东南大学出版社.
  • 潘晓燕외 역,『面向外国人的韩国语语法』
    任湖彬 世界图书出版社 [2008]
  • 杨磊(2010),『精解韩国语基础语法』, 北京语言大学出版社.
  • 李敏成(2009),『新时代韩语系统语法』,北京出版社.
  • 李得春(2009),『韩国语法教程』,上海外语教育出版社.
  • 朴淑子(2009),『韩国语语法教程』, 北京语言大学出版社.
  • 朴淑子 禹佳京(2006),『简明韩国语语法』, 中国宇航出版社.
  • 朴善姬(2005),『韩国语基础语法与练习』,北京大学出版社.
  • 朱锡峰 金春莲(2014),『韩国语语法』,黑龙江朝鲜民族出版社.
  • 崔炳善 潘燕梅(2009),『实用韩国语语法』, 大连理工大学出版
  • 宣德五(2008),『韩国语基础语法』, 社会科学文献出版社.
  • 姚德才(2007),『新编韩国语基础语法』, 东南大学出版社.
  • 北京大学中文系现代汉语教研室(2015),『现代汉语』, 商务印书馆.
  • 刘沛霖(2009),『韩国语语法』,商务印书馆.
  • 『형태 중심 한국어 통사론』
    유현경 역락 [2017]
  •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윤평현 박원정 [2005]
  •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
    국립국어원 [2003]
  • 『한국어통사론』
    권재일 민음사 [2000]
  • 『한국어의 언어』
    이익섭 신구문화사 [1997]
  • 『한국어문법론』
    권재일 태학사 [2013]
  • 『한국어교육론 : 한국어교육의 역사와 전망』
    민현식 2, 한국문화사 [2005]
  • 『한국어교육 문법』
    강현화 한글파크 [2016]
  • 『한국어교육 문법 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양명희 국립국어원 [2013]
  • 『한국어 표준 문법』
    유현경 집문당 [2019]
  •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강현화 한글파크 [2017]
  • 『한국어 연결어미의 표현론』
    장광군 월인 [1999]
  • 『한국어 어휘와 문법의 상관구조』
    노마 히테키 태학사 [2002]
  • 『한국어 어미의 문법』
    서정목 역락 [2014]
  • 『한국어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의미 확장에 대한 연구』
    허춘화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시간관계 연결어미의 교수방안 연구: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 으로』
    김경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문형 표현 100』
    이윤진 건국학교출판부 [2008]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문법론』
    최재희 태학사 [2004]
  • 『한국어 문법론』
    이주행 역락 [2011]
  • 『한국어 문법 총론1』
    구본관 집문당 [2017]
  •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연구』
    김수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 어교육학, 박사하위논문 [2003]
  • 『한국어 교재론』
    서종학 한국문화사 [2017]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허용 한국문화사 [2003]
  • 『한국어 교육문법』
    허용 미발간 원고 [2005]
  • 『한국(조선)어 교육 연구』
    김경선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5]
  • 『학교 문법론의 이해』
    박덕유 역락 [2006]
  • 『표준 국어문법론』
    남기심 한국문화사 [2019]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간관계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 구』
    진평자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석사학위논문 [2014]
  • 『중국어권 한국어 문법 교재의 격조사 용어 표준화 방안 연구』
    동소령 동 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 『접속어미 ‘-며’에 대한 연구』
    강수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인문계 고등학교 문법』
    이숭녕 을유문화사 [1968]
  • 『우리말 형태론: 말본론』
    김석득 탑출판사 [1992]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임홍빈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1997]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중국어 버전』
    김진호 정영벽 역락 [2010]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중급 어미』
    양명희 집문당 [2016]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
    최길시 태학사 [1998]
  • 『외국인을 위한 표준 한국어 문법』
    김종록 박이정 [2008]
  • 『외국인 위한 한국어문법2』
    국립국어원 커뮤케이션북스 [2005]
  • 『외국인 위한 한국어문법1』
    국립국어원 커뮤케이션북스 [200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허용 박이정 [200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허용 박이정 [201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이주행 보고사 [201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박영순 월인 [2002]
  • 『연결어미와 연결어미 교육』
    손경애 신구문화사 [2015]
  • 『연결서술어미 연구』
    류목상 집문당 [1985]
  •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태학사 [2014]
  • 『문법 교육의 이론과 응용 2 -한국어 문법 교육론-』
    민현식 태학사 [2016]
  •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1]
  • 『국어학논고』
    강기진 역락 [1987]
  •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1986]
  • 『국어접속문에 대한 연구 -접속어미의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서태룡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78]
  • 『국어의 접속문 구성 연구』
    최재희 탐출판사 [1991]
  • 『국어음성학』
    이호영 태학사 [1996]
  • 『국어문법』,고영근 이현희 교주(1986)
    주시경 박문서관(, 탑출판사) [1910]
  •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학교출판원 [1996]
  • 『국어 접속어미의 의미 통사론적 연구 -종속 접속어미를 중심으 로』
    정정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 『국어 연결어미의 활용론적 기능: 나열형 ‘-고’ 중심으로』
    남기심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978]
  • 『국어 연결어미의 쓰임』
    남기심 서광학습자료사 [1993]
  • 『국어 연결어미 연구』
    이은경 태학사 [2000]
  • 『국어 대등구성 연구』
    이관규 서광학술자료사 [1992]
  • 『관광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중국 내 관광학과 한국어 학습자 를 중심으로』
    단결 박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교 [2017]
  •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이관규 비상교육 [2017]
  • 『개정 증보판 중세국어 문법』
    이숭녕 을유문화사 [1981]
  • 『韩国语语法解惑语词义辨析』
    林从纲 北京大学出版社 [2013]
  • 『韩国语实用语法-助词词尾辨析』, 顾梦祖역
    车光一 上海译文出版社 [2011]
  • 『标准韩语语法』
    任小丽 大连理工大学出版社 [2010]
  • 『一辈子够用的韩国语语法大全』, 黄种德역
    李昌圭 南海出版社 [2016]
  • 『20세기 우리말 형태론』
    허웅 샘 문화사 [1995]
  • 『20세기 우리말 통어론』
    허웅 샘 문화사 [1999]
  • 「현대한국어 연결어미에 대한 연구-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채연강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85]
  •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전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89]
  • 「중세국어문법」
    이숭녕 을유문화사 [1961]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2018]
  • 「배경 이유 조건 양보 접속문의 시제 표현」
    이은경 진단학회, 『진단학보』123 [2015]
  • 「국어의 접속어미 연구」
    이은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 「국어의 접속 어미에 대한 연구: 의미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윤평현 전남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 「국어문법론강의」
    이익섭 채완 학연사 [1999]
  • 「국어 접속문 연구」
    김진수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987]
  • 「국어 절 접속의 의미관계 유형에 대한 연구」
    박진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국어문법론 Ⅰ》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5]
  • “-자”
    백낙천 를 포함한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해석,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학회 [2003]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 의미학>26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2008]
  • ‘통사론과 통사 단위’, <어학연구>31-1
    임동훈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95]
  • ‘중국대학 한국어교육 실태조사 보고서’
    김병운 한국문화사 [2012]
  • ‘-자’와 ‘-자마자’의 상관성 고찰, 『한국언어문학』74
    윤정기 한국언어문학 회 [2010]
  • ‘-어서’의 화용론, 『말』제 3집
    남기심 연세대 한국어학당 [1978]
  • ‘-고’ 접속문과 ‘-어서’ 접속문의 비교 -동사 유형 및 문형을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18
    이은경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7]
  • ‘-고’ 接續文의 樣相, 『국어국문학』94
    최재희 국어국문학회 [1985]
  • ‘-고, -(으)며, -(으)면서’의 통사 의미의 상관성, 『국어학』16
    김진수 국어 학회 [1987]
  • The Pragmatics of Nuntey-Conjunctions, 『언어와 언어학』42
    이기동 한 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 Performance-based Principles and Proficiency Criteria for KFL Textbook Development
    Ho Min Sohn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6 [1995]
  • Nassaji H. and S. Fotos(2004), Research on the teaching of grammar, in M. McGroarty ed.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Cambridge: CUP.
  • Krashen, S.(1981), Second Language A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Oxford: OUP.
  •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Vol.1 Theoretical Prerequisites)
    Langacker R. Stanford University Press. [김종도 역(1999), 『인지 문법 의 토대 Ⅰ』, 박이정.] [1978]
  • <현대국어 통사론>
    남기심 태학사 [2001]
  • 15세기 국어의 雙形語‘잇다’, ‘ㅅ다’의 발달에 대하여, 국어학 14
    이숭녕 국어 학회 [1976]
  • /2009), 『우리 옛말본』
    허웅 샘 문화사 [1975]
  • /1971),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사 [1937]
  • (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문법 연구와 자료』
    서태룡 태학사 [1998]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문법 설명서) 『대학 한국어 문법』
    김민영 박이정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