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태준의 사상자원과 학술실천

이용범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김태준의 사상자원과 학술실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성제국대학
  • 김태준
  • 식민지 국학
  • 전통학술
  • 중국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21 0

0.0%

' 김태준의 사상자원과 학술실천' 의 참고문헌

  • 「1930년대 초중반 朝鮮學學術場의 재구성과 관련한 시론적 탐색」
    신주백 역사문제연구소, 『역사문제 연구』 26, [2011]
  • 「1910~1920년대 경학원의 인적 구성과 역할 – 사성과 강사를 중심으로」
    정욱재 한국학중앙연구원,  정신문화연구 30 [2007]
  • 경성야화
    조용만 [1992]
  • 간송 전형필
    이충렬 김영사 [2010]
  • 韓國文學及語學史
    金允經 東國文化史, , 179~181쪽 [1954]
  • 황호덕·임상석·류충희 역, 근대어의 탄생과 한문
    사이토 마레시 현실문화 [2010]
  • 최영성 교주, 『定本 朝鮮漢文學史』
    김태준 심산문화 [2003]
  • 최삼룡 편, 『20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사료전집 제4집』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 [2003]
  • 정해렴 편, 『김태준 문학사론선집』
    현대실학사 [1997]
  • 임성모 역, 『만철 - 일본제국의 싱크탱크』
    고바야시 히데오 산처럼 [2004]
  • 이한수 역, 『문일평 1934』
    문일평 살림, [2008]
  • 신종원 편, 조경철·윤수희·김희선·김진광·송지연·서영대 역, 『일본인들의 단군연구』
    민 속원 [2009]
  • 서정완 옮김, 『근대 일본의 학문 – 관학과 민간학』
    가노 마사나오 소화 [2008]
  • 박희영 역, 『추사 김정희 또 다른 얼굴』
    후지츠카 아카데미 하우스 [1994]
  • 박희병 교주, 『교주 증보 조선소설사』
    김태준 한길사 [1990]
  • 박영순 역, 『현대 중국의 학술운동사』
    천이아이 도서출판 길 [2013]
  • 박병엽 구술, 유영구 정창현 엮음, 『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 간부가 본 비밀회동』
    선인 [2010]
  • 박광현·정종현 역, 제국대학
    아마노 이쿠오 산처럼 [2017]
  • 민족주의민주전선, 『조선해방 1년사 1946년판』
    문우인서관, [1946]
  • 민세안재홍선생기념사업회 편, 『1930년대 조선학운동 심층연구』
    선인, [2015]
  • 김채식 역, 「후지츠카는 누구인가」
    과천문화원, 후지츠카의 추사연구자료 , 263쪽 [2008]
  • 김채식 역, 「후지츠카는 누구인가」
    사카모토 타로 과천문화원, 『후지츠카의 추사연구자료』 [2008]
  • 김성언 교주, 『校註 朝鮮漢文學史』
    김태준 태학사 [1993]
  • 김명준 교주, 『교주 조선가요집성』
    김태준 다운샘 [2007]
  • 김동길 김민철 김규범 옮김, 『최후의 천조 – 모택동 김일성 시대의 중국 과 북한』
    션즈화 도서출판 선인, , 94면 [2017]
  • 구인모 역,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다카하시 도오루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0]
  •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2 – 1948~1950 민주주의 민족주의 그리고 반공주 의』
    서중석 역사비평사, , 233면 [1996]
  • 『친일인명사전』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제연구소 [2010]
  • 『秘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下』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중앙일보사 [1993]
  •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문화대중화 담론과 조직적 실천」
    박정선 한 국어문학회,, 『어문학』 93, 444면 [2006]
  • 「피고인신문조서(김태준, 1942년 9월 15일자)」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마이크로필름 (MF8096)
  • 「최능진의 국방경비법 위반사건」
    『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08』,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2010]
  • 「중국에는 역사가 없는가? - 지나사, 동양사에서 중국사에 이르기까지」
    황동란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개 념과 소통』 8 [2011]
  • 「조선학 학술장의 재구성」
    신주백 『한국 근현대 인문학의 제도화: 1910~1959』, 혜 안, [2014]
  • 「일제강점기 재조일본인의 국문시가연구에 대한 고찰」
    유정란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16]
  • 「일본의 국학과 한국의 ‘조선학’ - 비교를 위한 서론적 고찰」
    미야지마 히로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동 방학지』 143 [2008]
  • 「원본 훈민정음의 보존 경위에 대하여」
    정철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9 [1954]
  • 「식민지의 목소리 - 조선사상통신사 간행 『조선급조선민족』(1927)을 통해 본 식민지/제국의 문화교섭」
    정종현 『한국학연구』 48,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 의 식민지 공공성」
    장문석 『민족문학사연구』 55,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 「식민지 조선의 지나문학과의 운명」
    천진 소명출판, 『동아시아 한국학의 형성』 [2013]
  • 「식민지 조선에 대한 ‘국문학’의 이식과 다카기 이치노스케(高木市之助
  • 「다카하시 도루, 『조선인』(1921) 민족(국민)성 담론 혹은 한국학의 한 원점」
    구인모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편, 『동아시아, 근대를 번역하다 – 문명의 전환과 고전의 발견』, 점필재, [2013]
  • 「겸산 홍희의 생애와 활동 - 일제하 대일협력자의 한 사례」
    다나카 류지 한일관계사학회, 『한일관계 사연구』 5 [1996]
  • 「解放前韓國現代文學在中國的傳播與接受研究」
    자오잉치우(趙潁秋) 南京大學 碩士論 文 [2014]
  • 「朝鮮文學原流草本」
    鄭寅普 연희전문학교, 『朝鮮語文硏究』 1 [1930]
  • 「多田正知 가집연구의 방향 고찰」
    유정란 열상고전연구회, 『열상고전연구』 57 [2017]
  • 「兼山 洪憙 유학사상과 일본유학관 역사관」
    다나카 류지 부경역 사연구소, 『지역과 역사』 4 [1997]
  • 「1930년대 한국의 맑스주의 역사학과 아시아적 생산양식 논쟁」
    洪淳權 동아대학교, 『東亞論叢』, 31호, , 35-64 [1994]
  • 「1930년대 조선의 ‘역사과학’에 대한 학술문화운동론적 분석」
    조형열 고려대 박사논 문, [2015]
  • 「1910~20년대 초 한국에서 자국학 이념의 형성과정 - 최남선과 안확을 중심 으로」
    류준필 『대동문화연구』 5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