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해방 5년(1945.8~1950.6) 남한 전통음악계의 활동과 국악 정체성 경쟁 = The World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Post-Liberation Five Years(1945.8-1950.6): Its Music and Other Activities, and Competitions on GugakIdentity

최혜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해방 5년(1945.8~1950.6) 남한 전통음악계의 활동과 국악 정체성 경쟁 = The World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Post-Liberation Five Years(1945.8-1950.6): Its Music and Other Activities, and Competitions on GugakIdent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리와 역사 와 보조 분야
  • 국악
  • 민족음악
  • 아악
  • 전통음악
  • 정체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37 0

0.0%

' 해방 5년(1945.8~1950.6) 남한 전통음악계의 활동과 국악 정체성 경쟁 = The World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Post-Liberation Five Years(1945.8-1950.6): Its Music and Other Activities, and Competitions on GugakIdentity' 의 참고문헌

  • 「해방과 분리공간의 음악사 연구」
    노동은 낭만음악 1・2・3・4 [1989]
  • 「해방공간에 출판된 음악관련 논저해제」
    정재은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1993]
  • 「해방 직후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최혜진 「해방 직후 남한 전통음악계의 음악사회사」 한국음악연구 51 [2012]
  • 「일제강점기 신민요의 음악학적 고찰: 1930년대 악곡분석을 중심으로」
    정서은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위논문, 2003 [2003]
  •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기 음악 비평연구」
    강 헌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8]
  • 「일제 강점기 예인들의 사회적 역할과 연주활동」
    한영숙 국악교육연구 1 [2007]
  • 「심영섭 아세아주의 미술론」
    편집부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 [1994]
  •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한지은 한국학연구 34 [2010]
  •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3・1절과 국민 생산」
    임종명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3・1절과 국민 생산」 역사학연구 38 [2010]
  • 「민족음악에서 “전통론”연구」
    조미란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1991]
  • 「미군정의 문화정책과 시각문화 1945~1948」
    안진이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6 [2006]
  •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주한 미공보원 영화」
    허 은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주한 미공보원 영화」 한국사연구 155 [2011]
  • 「냉전시대 남북 분단국가의 문화정체성 모색과 ‘냉전 민족주의’」
    허 은 한국 사학보 43 [2011]
  • 「音樂, 韓半島에서 그 葛藤의 言語性」
    노동은 한국음악사학보 5~10, ~1993 [1990]
  • 「解放以前과 美軍政期 國樂放送硏究」
    유은선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3]
  • 「‘국악’이란 용어, 일본용어인가? 한국용어인가?」
    노동은 음악과 민족 6 [1993]
  • 「20세기 총력전하 한국인의 정체성과 식민지주의」
    허 은 한국사연구 150 [2010]
  • 「1950년대 엘리트 지식인들의 국가주의적 민족주의 담론」
    윤상현 한국근현대 사연구 66, 2013 [2013]
  •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이하나 역사비평 94, 2011 [2011]
  • 「1950~60년대 반공주의 담론과 감성정치」
    이하나 사회와 역사 95, 2012 [2012]
  • 「1950~1960년대 국악 대중화・현대화 담론 고찰」
    전지영 한국음악사학보 53, 2014 [2014]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주한미군의 정권 이양 과정 및 의미」
    한모니까 동방학지 164, 2013 [2013]
  • 「1948~1950년 주한 미 대사관의 설치와 정무활동」
    김도민 한국사론 59, 2013 [2013]
  • 「1946년 9월 총파업과 10월 항쟁의 상호 융합, 운동의 급진화」
    김무용 대구 사학 85, 2006 [2006]
  • 「1945~1946년 대구지역 좌익세력의 국가건설운동과 “10월 인민항쟁”」
    허 종 대구사학 75, 2004 [2004]
  • 「1940~1950년대 판소리 음악문화 연구」
    성기련 판소리연구 22, 2006 [2006]
  • 「1930년대 한국 도시 음악 문화의 식민적 근대성과 월드뮤직 퍼스펙티 브」
    최유준 음악학 16, 2008 [2008]
  • 「1930년대 이후 정악의 변화양상 고찰
    정재국 한국음악사학보 33, 2010 [2010]
  • 「-1932년간 미술논쟁 연구」
    최 열 한국근현대미술사학 1, 1994 [1928]
  •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증언
    박성서 박성서 한국전쟁과 대중가요 기록&증언 부산광역시 중구 [2007]
  • 한국양악백년사
    이유선 음악춘추사 [1985]
  • 한국민족음악현단계
    노동은 세광음악출판사 [1989]
  • 역정 나의 청년시대
    리영희 리영희 창비 [2012]
  • 에드워드 사이드의 음악은 사회적이다
    박홍규 최유준 이다미디어 [2008]
  • 세계화 시대의 서양 현대사
    송중기 아카넷 [2009]
  •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허 은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8]
  • 동아시아의 근대와 민속학의 창출
    남근우 민속원 [2008]
  • 냉전 아시아의 문화풍경 1
  • 개념사란 무엇인가, 역사와 언어의 새로운 만남
    나인호 역사비평사 [2011]
  • 音樂과 現實
    박용구 예솔 [1949]
  • 朝鮮의 雅樂
    성경린 박문출판사 [1947]
  • 新語辭典
    한용선 숭문사 [1949]
  • 唱劇史硏究
    박 황 백록출판사 [1976]
  • 1930년대 후반 근대 인식의 틀과 미의식
    김예림 소명출판, 2004 [2004]
  • 여순사건의 재현과 공간
    임종명 「여순사건의 재현과 공간」 한국사학보 19 [2005]
  • 雅樂-成慶麟 隨想集
    성경린 경원각 [1975]
  • 解放前後史의 認識
    송건호 한길사 [1979]
  • 解放前後史의 認識
    최장집 한길사 [1997]
  • 國樂槪要
    장사훈 정연사 [1961]
  • 中等 文化史
    오장환 정음사 [1949]
  • 1950「년대 지식인들의 민족 담론 연구」
    윤상현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