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사업장 일 적응 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 = Work Adjustment of Vietnameses Migrant Workers in Kore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전혜정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사업장 일 적응 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 = Work Adjustment of Vietnameses Migrant Workers in Kore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임상의학
  • 구성주의 근거이론
  • 외국인근로자
  • 적응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57 0

0.0%

'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사업장 일 적응 경험 : 구성주의 근거이론 = Work Adjustment of Vietnameses Migrant Workers in Kore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의 참고문헌

  • 「2013년 체 류 외국인 실태조사: 고용허가제와 방문취업제 외국인의 취업 및 사회생 활」
    고지영 김석호 이규용 이창원 이혜경 정기선 최서리 IOM이민정책연구원(법무부 용역보고서) [2013]
  • 한국사회의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 외국인노동자 의 유입과 적응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설동훈 서울 [1996]
  • 한국거주 외국인 근로자 적응 분석: Black의 해외파견자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권종욱 김정원 김학조 손건 국제통상연구, 17(2), 161-183 [2012]
  • 중국동포 이주 고령노동자 경험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기독대 학교 대학원
    한일숙 서울 [2010]
  • 조선족여성의 취업이주 적응경험 연구.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 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두석 천안 [2017]
  • 조선족 근로자의 직업 관련성 사회 심리적 요인, 문화적응 요인과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관계
    김선정 안현미 이현경 한국직업건강 학회지. 19(1), 28-40 [2010]
  • 조선족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양 이금희 정동섭 인적자원관리연구, 23(1), 1-18 [2016]
  • 제조업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과 사업장 변경 의 딜레마
    김혜선 정진주 산업노동연구. 21(2), 261-301 [2015]
  • 제조업 남성 이주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종은 김지경 문덕환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2(3), 244-256 [2012]
  • 전문상담교사의 직업 적응과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지연 서울 [2014]
  • 일반 고용허가제 저숙련 외국인 근로자의 직장 만족과 이직의도
    장은미 정기선 진현 중소기업연구, 38(3), 1-23 [2016]
  • 인도네시아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류혜옥 이현철 다문화와 평화. 6(1), 146-167 [2012]
  • 이주노동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연구
    박향경 손가현 양옥경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5, 141-175 [2010]
  • 이주노동자의 의료인권
    부종식 생명윤리정책연구, 6(1), 69-81 [2012]
  • 이주노동자의 고용허가제 개선 방안
    손윤석 법학연구, 49, 1-23 [2013]
  • 이주남성노동자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 선대학교 대학원
    이덕남 광주 [2012]
  • 이주 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영란 아시 아여성연구. 46(1), 43-95 [2007]
  • 이주 남성 노동자의 삶에 관한 생애사적인 연구
    박진우 21세기사회복 지연구,. 10(1), 123-143 [2013]
  • 외적동기로 직장을 선택한 사회초년생의 직업적응 과정, 석사학 위논문, 한국상담대학원 대학교
    임태선 서울 [2016]
  • 외래인에 대한 배제적 측면의 고찰: 외국인과 북한이탈주민 및 귀 국교포를 중심으로
    김태수 한국정책연구. 9(2), 305-326 [2009]
  • 외국인근로자의 직업 근로의식 연구: 외국인력 유형 (E-9, H2)을 중심으로
    김연홍 임세영 직업교육연구. 33(5), 63-83 [2014]
  • 외국인근로자의 근로환경 및 안전보건실태 조사 연 구
    이관형 조흠학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14(1), 53-63 [2012]
  •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14839호 (2017.7.26.) 시행(2017.7.26.)
    고용노동부 [2017]
  • 외국인근로자 고용기업의 성과제고 방안
    박종돈 e-비즈니스연구, 12(1), 3-23 [2011]
  • 외국인고용허가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취업교육과 사전교육 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송시열 천안 [2005]
  • 외국인고용허가제 시행 3 년에 대한 평가
    유길상 한국사회정책, 14(2), 244-281 [2007]
  • 외국인 노동자-유학생의 이주경험과 정체성: 네팔 노동자-유학 생의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신현란 다문화교육연구, 9(2), 115-145 [2016]
  • 외국인 노동자 보건의료실태 조사연 구. 92
    고현웅 김인태 설동훈 홍승권 서울: 국제보건의료발전재단 [2005]
  •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 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한국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충기 교육종합연구, 11(4), 341-362 [2013]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갈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문 화적응 매개효과 연구
    장인모 전순영 대한경영학회지, 28(1), 159-177 [2015]
  •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 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희걸 이꽃메 이윤정 정혜선 현혜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8(2), 165-173 [2009]
  •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도,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 진행위
    박연환 정자경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2, 29-52 [2012]
  •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실태 및 정책과제-전북지역 사례 중심으 로
    박신규 다문화와 디아스포라 연구, 11, 99-118 [2017]
  • 외국인 근로자와 내국인 근로자의 건강수준 및 결정요인 비교
    이복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3(3), 180-188 [2014]
  • 외국인 근로자 도입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고용허가제를 중심으로
    임안나 사회복지지원학회지, 4, 1-25 [2009]
  • 여성결혼이민자의 직업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이수분 이정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 141-159 [2013]
  •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민무숙 양인숙 한국여 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3. 1-210 [2010]
  • 산재발생요인과 근로손실 분석
    이광석 전용일 정원일 한국경제연 구, 29(2), 139-174 [2011]
  • 산업재해를 겪은 후 여성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구
    노지현 한국 사회복지질적연구. 9(1), 315-347 [2015]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적응과정.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오은경 서울 [2018]
  • 부산지역의 외국인 노동자 인권실태 및 적응에 관한 연구 : 방 글라데시 베트남 노동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천정훈 부산 [2005]
  •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 영향 요인 경로분석
    유정옥 이가언 전혜정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9(4), 404-413 [2018]
  •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이가언 전혜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4), 380-389 [2015]
  • 박은숙 등. 질적연구 방법론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어학원 [2018]
  • 경험의 의미와 질적 연구의 연구 과정
    윤견수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7(2), 163-200 [2013]
  • 경기지역 일 부 이주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
    김규상 김태균 류향우 송윤희 원용림 이미영 이선웅 대한직업환경의 학회지, 21(1), 76-86 [2009]
  • 「체류 외국인 및 이민 자 노동시장 정책과제」
  • “외국인 근로자 적응의 사회문화적 요인에 대한 연 구,”
    이광희 정철균 황규대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1, 1-28 [2007]
  • Weishaar, H. B. (2008). Consequenc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A qualitative study on stress among Polish migrant workers in Scotland. Public health, 122(11), 1250-1256.
  • Wang, X., & Sangalang, P. J. (2005). Work adjus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Filipino immigrant employees in Canada.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s/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e l'Administration, 22(3), 243-254.
  • Vega, W. A., Kolody, B., & Valle, J. R. (1987). Migration and mental health: An empirical test of depression risk factors among immigrant Mexican wome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3), 512-530.
  • Tsutsumi, A., Izutsu, T., Sakami, S., Miyazaki, T., & Wakai, S. (2005). Long-term influence of working abroad on returnees mental health. Th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125(6), 281-286.
  •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사회과학의 상징적 교섭론(박영신, 역)
    Blumer, H. 서울: 학지사 [1969]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Sage.
  • Rosenbusch, K., Cerny II, L. J., & Earnest, D. R. (2015). The impact of stressors during international assignments. Cross Cultural Management, 22(3), 405-430.
  • Ronda, Benavides, Levecque, Love, FeltE, & Rossem. (2012). Differences in working conditions and employment arrangements among migrant and non-migrant workers in Europe. Ethn Health. 17(6), 563-77.
  • Porth , V., Ahonen, E., V zquez, M. L., Pope, C., Agudelo, A. A., Garc a, A. M., ... & Benach, J. (2010). Extending a model of precarious employment: A qualitative study of immigrant workers in Spain.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3(4), 417-424.
  • Okamoto, K., & Teo, S. T. (2011).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role stress experience of locally hired Japanese and non-Japanese host country staff: a qualitative stud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2(01), 218-231.
  • Moyce, S. C., & Schenker, M. (2018). Migrant workers and thei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39, 351-365.
  • Michael. Flynn, Donald. Eggerth, Jeffrey Jacobson, (2015). Undocumented Status as a Social Determinan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Workers’ Perspective.
  • McCauley, L. A. (2005). Immigrant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recent trends, vulnerable populations, and challenges for occupational health. Aaohn Journal, 53(7), 313-319.
  • Lauridsen, E. I., & Higginbottom, G. (2014). The roots and development of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Nurse Researcher, 21(5).
  • Kraimer, M. L., Wayne, S. J., & Jaworski, R. A. A. (2001). Sources of support and expatriate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xpatriate adjustment. Personnel Psychology, 54(1), 71-99.
  • Hurrell, J. J., & McLaney, M. A. (1988). Exposure to job stress: A new psychometric instrument.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 Hoppe, A., Toker, S., Schachler, V., & Ziegler, M. (2017). The effect of change in supervisor support and job control on change in vigor: Differential relationships for immigrant and native employees in Isra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8(3), 391-414.
  • Harris. S. A. (1995). Internal attributes of successful Americans employed in predominantly White American school in New England. In G. E. Thomas (Ed.), Race and ethnicity in America (pp.309-323). Washington, DC: Tayor and Francis.
  • Hallberg, L. R. M. (2010). Some thoughts about the literature review in grounded theory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on health and well-being, 5(3).
  • Glaser, B. G. (1998). Doing grounded theory: Issues and discussions. Mill Valley, CA: The Sociology Press.
  • Glaser, B. G.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Mill Valley, CA: The Sociology Press.
  • Glaser, B. G. & Strauss, A. L.(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ldin.
  • Gates, A. I. (1950). Educational Psychology.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 Garc a-Herrero, S., Mariscal, M. A., Guti rrez, J. M., & Ritzel, D. O. (2013). Using Bayesian networks to analyze occupational stress caused by work demands: Preventing stress through social suppor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57, 114-123.
  • Fritzsche, & Parrish. (2005). Theories and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180-202.
  • Font, A., Moncada, S., & Benavides, F. 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immigration and mental health: what is the role of workplace psychosocial factor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85(7), 801-806.
  • Eggerth, DeLaney, Flynn, & Jacobson. (2012) Work Experiences of Latina Immigrants: A Qualitative Study. J Career Dev. 39(1). 13-30.
  • Eggerth, D. E. (2008). From theory of work adjustment to person– environment correspondence counseling: Vocational psychology as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60-74.
  • Ea, E. E., Griffin, M. Q., L'eplattenier, N., & Fitzpatrick, J. J. (2008). Job satisfaction and acculturation among Filipino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1), 46-51.
  •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e second generation. California: Left Coast Press Inc. 신경림. 김미영. 신수진. 강 지숙 (역)(2011). 근거이론의 발견 제2세대
    Morse, J. M. 서울: 하누리: 디자인메카, 2011 [2009]
  • De Castro, A. B., Fujishiro, K., Sweitzer, E., & Oliva, J. (2006). How immigrant workers experience workplace problems: a qualitative study. Archives of Environmental & Occupational Health, 61(6), 249-258.
  • Dawis, R. V., & Lofquist, L. H. (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Dawis, R. V. and L. H. Lofquist (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 Corbin, J. M. & Strauss, A. L. (200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Chenitz, C. & Swanson, J.(1986). From practice to grounded theory, Menlo Park, Calif: Addison-Wesley.
  • Charmaz, K. (2014). Grounded theory in global perspective: Reviews by international researchers. Qualitative Inquiry, 20(9), 1074-1084.
  • Charmaz, K. (2006).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 Charmaz, K. (1990). ‘Discovering’chronic illness: using grounded theory. Social science & medicine, 30(11), 1161-1172.
  • Charmaz K.(1983) The grounded theory method: an explication and interpretation. In Contemporary Field Research (Edited by Emerson R. M.), pp. 109-127. Little Brown, Boston, MA.
  • Charmaz (2013). Grounded Theory methods in social justice research. In N.K.Denzin & Y.S. Lincoln(Eds). Strategies of qualitative inquiry(4th ed.) 291-336. Thousand Oaks, CA: Sage.
  • Bowman. S. L (1993). Career intervention strateries for ethnic Minoritie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2(1). pp. 14-25
  • Bowman, E. H. & Singh, H. (1993). ‘Corporate restructuring: reconfiguring the fir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4, 5–14.
  • Borrayo, E. A., & Guarnaccia, C. A. (2000). Differences in Mexican-born and US-born women of Mexican descent regarding factors related to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1(7), 599-613.
  • Birks, M. & Mills, J. (2011).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London: Sage Publications.
  • Alderete, E., Vega, W. A., Kolody, B., & Aguilar-Gaxiola, S. (2000). Lifetime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psychiatric disorders among Mexican migrant farmworkers in Californi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4), 608.
  • Aalto, A. M., Heponiemi, T., Keskim ki, I., Kuusio, H., Hietapakka, L., L ms , R., ... & Elovainio, M. (2014). Employment,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well-being among migrant and native physicians in Finnish health care.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4(3), 445-451.
  • 2017년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