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일 풍속화에 표현된 시각문화디자인 비교 연구 : 홉스테드(G. Hofstede) 문화 차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Design expressed in Korean and Japanese Genre Painting

차서윤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일 풍속화에 표현된 시각문화디자인 비교 연구 : 홉스테드(G. Hofstede) 문화 차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Design expressed in Korean and Japanese Genre Painti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비교 문화 연구
  • 서민문화
  • 시각문화디자인
  • 풍속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17 0

0.0%

' 한·일 풍속화에 표현된 시각문화디자인 비교 연구 : 홉스테드(G. Hofstede) 문화 차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Design expressed in Korean and Japanese Genre Painting' 의 참고문헌

  • *고해상도 디지털 파일 연구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및 관련 부서 담당
  • 한국복식문화조직위원회. ,“우리 옷 이천년”
    문화관광부 [2001]
  • 편저. ,“일본 복식과 문양”
    박욕련 이행화 황정윤 형설출판사 [2006]
  • 코이케미츠에 외 2인. ,“일본복식사와 생활문화사”
    어문학사 [2005]
  • 일본 가문의 상징의미와 변천 양상 연구
    차주연 전남대학교, 석사 [2012]
  • 옮김.,“화국지”
    박재금 원중거 소명출판 [2006]
  • 옮김, ,“五倫行實圖”
    고정일 동서문화사 [2015]
  • 역주. ,“(유득공의) 二十一都懷古詩”
    유득공 이민홍 국학자료원 [2008]
  • 역, ,“일본 여성의 어제와 오늘”
    임명수 최석완 어문학사 [2017]
  • 루즈 베니딕트. ,“그림으로 읽는 국화와 칼”
    봄풀 [2010]
  •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두산동아 [2006]
  • 국사편찬위원회. ,“고문서에게 물은 조선 시대 사람들의 삶”
    두산동아 [2009]
  • 국립중앙박물관,『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
    국립중앙박물관 [2016]
  • 공저. ,“한국의 복식문화
    백영자 최해율 ”경춘사 [1998]
  • 青木美智男. (2009),“日本文化の原型”, 小學館
  • 長崎巌.(2013),“Kimono beauty”, 東京美術
  • 長崎巌. (2008),“きもの”,東京美術
  • 長友千代治, (2001),“江戶時代の書物と讀書”, 東京堂出版,
  • 鈴木重三,木村八重子,大久保純一, (2007),“広重 東海道五拾三次”,岩波書店
  • 藤澤茜, (2013),“浮世絵が創った江戸文化”, 笠間書院
  • 熊谷博人. (2015),“江戸文様こよみ”,朝日新聞出版
  • 武光誠, (2007),“日本名字と家紋”, 角川学藝出版,
  • 村田孝子. (2017),“浮世絵にみる江戸美人のよそおい”,文化研究所
  • 木村孝. (2012),“きもの文様図鑑”,ハースト婦人画報社
  • 文化学園服飾博物館, (2006),“三井家のきもの”,文化出版局
  • 山岡古都. (2008),“京きものデザイン下絵集”,東方出版
  • 小池三枝;柴田美.,,“日本服飾史와 生活文化史”
    어문학사 [2005]
  • 小池三枝, 柴田美惠. (2002),“日本生活文化史”,光生館
  • 小林一夫 著. (2002),“日本の文樣”,日本ヴォーグ社
  • 婦人画報.(2012),“きもの文様図鑑”, 木村孝
  • 太田記念美術館学芸部, (1988),“太田記念美術館収蔵浮世絵名品図錄”,太田記念美術館,
  • 大道寺友山, 古川哲史. (1943),“武道初心集”,岩波書店
  • 大石學, 小澤弘, 山本博文.(2003),“江戶時代館”,小學館
  • 増田美子, (2013),“日本服飾史”, 東京堂出版
  • 坂口由之, (2010),“AD STUDIES”, アド ミュージアム東京,学芸員, Vol.31, 06呉服屋
  • 千鹿野茂. (1993),“日本家紋總鑑”,角川書店
  • 千鹿野茂, (2004),“姓氏家紋大事典”, 柏書房,
  • ピーチプレス, (2005),“日本の文樣”,每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トトアキヒコ. (2015),“日本の文様ものがたり”, 講談社
  • 『한국인의 심리학』
    최상진 학지사 [2011]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읽기』
    김해옥 에피스테메 [2010]
  • “홉스테드의 문화변수가 제품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배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2016]
  • “홉스테드 이론을 활용한 한류 수용국 문화 특성 분석”
    박중훈 [2014]
  • “한국중국 문화적 차이에 따른 디자인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임경화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2010]
  • “한국복식문화사전”
    김영숙 미술문화 [1998]
  • “한국과 일본어머니의 자녀교육관 차이에 대한 해석”
    손승영 한류비즈 니스연구, 6월 제2호, 현상과 인식, 통권 115호 [2011]
  • “한국과 일본 기본복식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윤혜성 성신여자대학교, 박사 [2009]
  • “한국 디자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그래픽디자인과 문화의 상호 연관성 연구”
    권준영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2014]
  • “한 중 일 회화에 나타난 민속화의 비교 분석”
    윤미영 중앙대학 교,석사학위 [2010]
  • “풍속화란 무엇인가”
    이중희 눈빛 [2013]
  • “조선후기 풍속화에서의 여성 표현에 대한 연구”
    김선미 강원대학교, 석사 [2012]
  • “조선의 풍속사2:조선사람들 풍속으로 남다”
    강명관 푸른역사 [2010]
  •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의 직물에 표현된 식물무늬 연구”
    노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2006]
  • “조선시대 후기 풍속화와 일본 에도시대 우키요에의 해학성 비교 연구”
    박설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2010]
  • “조선 가부장제의 성적 욕망과 기녀”
    강명관 부산대학교, 코기토 62 [2007]
  • “자포니즘 인 패션:바다를 건넌 기모노”
    아키코 후카이 제이앤씨 [2011]
  • “일본사회의 남성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최두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2002]
  • “일본 전통 가문과 기업 VI System의 관련성 연구”
    김복경 디자인학연구
  • “일본 우키요에 미인화에 나타난 고소데의 조형미 연구”
    최무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2017]
  • “유혹하는 그림 우키요에”
    이연식 아트북스 [2016]
  • “우키요에에 나타난 고소데의 조형적 특성 연구”
    이행화 경성대학교, 박사 [2009]
  • “우키요에 풍속화에 나타난 집단주의 문화 표현연구”
    노미선 차서윤 Vol.22, 1997 한국기초조형학회, vol.19 no.1 통권85호 [2018]
  • “우리 옷 이야기”
    안명숙 한국복식문화사, 예학사 [2007]
  • “신윤복 풍속화에 나타난 욕망 표현 연구”
    박순철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 [2015]
  • “시각문화교육을 활용한 포스터 디자인 지도에 관한 연구”
    김성숙 부산 교육대학교, 석사학위 [2009]
  • “새롭게 배워보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이은주 백산출판사 [2017]
  • “비교문화연구”
    이홍종 부경대학교 [2017]
  • “문화특성을 고려한 한국적디자인프로세스 및 방법에 관한 연구”
    박준홍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2016]
  • “문화적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캐릭터 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전략 에 관한 연구”
    김지원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2006]
  • “문화적 차이에 의한 모바일 폰 디자인선호도의 기호학적 분석”
    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2007]
  • “문화심리학”
    김기범 최상진 지식산업사 [2011]
  • “문화비교를 통한 한 일 전통화예의 비교 연구”
    이미향 숙명여자대 학교, 석사학위 [2011]
  • “동양의 회화가 현대 디자인 형성에 미친 영향”
    강민정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2012]
  • “다시 찾는 우리 역사:조선시대 제2권”
    한영우 경세원 [2004]
  • “닛폰리포트”
    오대영 중앙북스 [2007]
  • “그림으로 읽는 조선여성의 역사”
    강명관 휴머니스트 [2010]
  • “小學”
    박일봉 육문사3 [2015]
  • “2016년 한국인의 의식 가치관 조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6]
  • “19세기 조선시대 여자 일반복식에 관한 연구”
    주혜나 석사학위 [2005]
  • Otsuki, Shinobu ,“한일 여성교훈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국제대학원 [2014]
  • KCDF. ,“신(新) 전통문화 육성 진흥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KCDF [2015]
  • John Paris. (c1921),“Kimono”,London: W. Collins sons & co., ltd,
  • Hofstede, Minkov Michael,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2014]
  • Gian Carlo Calza. (c2005),“Ukiyo-e ”,London; New York: Phaidon
  • Geert Hofstede, Michael Minkov. (2013),“Cross-cultural analysis”, SAGE
  • Edwin McClellan. (1985),“Woman in the crested kimono”,Yale University Press
  • Cheevapitakpol, Arisara. ,"한국과 태국의 사회문화 비교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 [2014]
  • Adele Schlombs. (2016),“Hiroshige, 1797-1858”,Taschen
  • 7인,“조선시대사1:국가와 세계”
    홍순민 푸른역사 [2015]
  • 2인,,“조선시대 출토 복식 중 포류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조효숙 服 飾, Vol.53 No.4, p116 [2003]
  • . ,“일본사 다이제스트100”
    정혜선 가람기획 출판사 [2011]
  • ,“조선시대 후기와 에도시대 직물에 표현된 봉황문양”, 이화여자 대학교
    송안나. 석사학위 [2006]
  • ,“조선 후기 풍속화와 일본 에도 시대 우끼요에 비교 연구”, 세종대학
    임민선. 석사학위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