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철도사고 유형별 인적오류 분석 = Analysis on Human Error of Railway Workers Using System Dynamics

이상오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철도사고 유형별 인적오류 분석 = Analysis on Human Error of Railway Workers Using System Dynamic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시스템 다이내믹스
  • 철도사고조사
  • 휴먼에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9 0

0.0%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철도사고 유형별 인적오류 분석 = Analysis on Human Error of Railway Workers Using System Dynamics' 의 참고문헌

  • 「창의적 과정의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구성 및 적합성 분 석」
    황진숙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120~122(3pages) [2017]
  • 「시스템다이내믹스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곽상만 유재국 북코리아, pp. 45∼152 [2016]
  • “휴먼에러를 줄이는 지혜에서”
    나카타 도오루 인재출판사, pp.20~30 [2015]
  • “휴먼에러: 사람은 왜 에러를 범할 수밖에 없는가?”
    Reason J 도서출판영, pp.88 [2016]
  • “해양 HNS 유출사고 초동대응의 시스템다이내믹스 모형 개발 연구”,
    류제완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pp.307~315(9pages) [2017]
  • “철도통계현황”
    국토교통부, http://www.kric.go.kr [2017]
  • “철도차량 검수원의 안전풍토 지각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지유선 한국도시철도 학회논문집, 제6권, 제2호. pp.125~137(13pages) [2018]
  • “철도종사자의 휴먼에러 방지대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검수원 중심으로”
    박준섭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69~70(2pages) [2017]
  • “철도안전관리시스템(SMS) 프로그램”
    서울메트로 9호선 결재본 자료, pp.67~71 [2015]
  • “철도안전 3.0시대 실현을 위한 철도안전 혁신대책”
    국토교통부 정책보고자료. pp.12~50 [2015]
  • “철도사고조사 보고서”
    국토교통부, araib.molit.go.kr [2018]
  • “철도사고유발 인적요인 유형분석 및 관리요건 분석”
    곽상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EARI/CM-1082/2007 [2008]
  • “철도사고를 유발하는 휴먼에러 분석”
    김예진 한국도시철도 학 회논문집, 제5권, 제4호. pp.1077~1082(6pages) [2017]
  • “철도사고 왜 일어나는가? ”
    야마노우치 슈우이치로 논형출판 사, pp.74~80 [2004]
  • “철도기사의 심리 요인이 사고에 미치는 향에 한 연구”
    윤준영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50~51(2pages) [2013]
  • “철도기관사의 인적오류 원인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 구”: 서울교통공사를 중심으로
    이용만 박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90∼ 100(11pages) [2014]
  • “철도기관사의 심리측면의 휴면에러 유발요인에 관한 연 구”
    박정우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71~73(3pa/ges) [2014]
  • “철도교통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김중곤 박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85~86(2pages) [2016]
  • “철도 중대사고 위험분석에 의한 안전운전 프로세스 개 발”
    전영석 박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51~56 [2015]
  • “인과순환지도(CLD) 작성을 통한 철도사고 인적 오류 분석”
    이상오 정성봉 한국철도 학회 논문집, 제21권, 제9호, pp. 942 ~ 955 (14 pages) [2018]
  • “인과순환지도(CLD) 작성을 통한 철도관제업무 에 관한 연구: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 11.7 철도관제를 중심으로”
    박정수 이상오 한국 도시철도 학회논문집, 제6권, 제4호, pp. 287 ~ 298(12 pages) [2018]
  • “안전심리”
    정진우 청문각, pp. 17∼24 [2018]
  • “시스템주의자”
    성민기 북랩출판사, pp. 25~47 [2017]
  • “시스템다이내믹스에 의한 선박총돌사고의 인적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금종수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7권, 제5호, pp.493~498 [2003]
  • “시스템다이내믹스”
    김도훈 대영문화사, pp.26~115
  • “시스템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고위험 조직 사 고 사례 분석”
    류진 오영민 한국 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16권 제3호, pp.5~29(25pages) [2015]
  • “산업 사고에서 인적오류의 재분석: 인적오류는 사고의 원인인가 결과인가? ”
    이용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6(6pages) [2010]
  • “도시철도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 개선 연구: 휴먼 에러 감소기법 및 비상대응 매뉴얼을 중심으로 ”
    유해선 이준 연구총서 2014-03, pp.101~103(3pages) [2014]
  • “도시철도 사고 분석 및 인적오류 저감 대책에 관한 연 구: 서울교통공사를 중심으로”
    이경승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 30∼ 39(10pages) [2018]
  • “도시철도 사고 발생 시 관제사의 휴먼에러 유발요인 탐 색에 관한 연구”
    김경남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p.60~61(2pages) [2017]
  • “대형기술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방안”
    강윤재 김종영 정책자료, 2008-15호, p. 10~15 [2008]
  • “기관사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따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교통공사를 중심으로 ”
    안창규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학 기술대학교, pp. 47~48(2pages) [2017]
  • “고신뢰도 시대를 위한 인적오류 3.0 개념과 적용”
    이용희 대 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p. 1,551 ~ 1,566(16 pages) [2015]
  • “IT 투자 평가를 한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밸 런스스코어카드”
    백승원 한국지능정보시스템 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19~34 [2008]
  • Thomas Nagel, (1998).“Conceiving the impossible and the mind-body problem”, Philosophy 73 (285):337-52.
  • Sidney Dekker, (2015). “Safety Differently: Human Factors for a New Era”, CRC Press, pp.33~42.
  • Reason, J. (2000). “Human Errors: Models and Management”, BMJ, 320(7237).
  • Reason J, (2008). “The human contribution: Unsafe Acts, accidents and heroic recoveries, CRC Press”, pp.29~30.
  • Reason J, (1990). “Human Error”, New York, USA: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3.
  • Rasmussen, J. (1983). “Skills, rules, and knowledge (signals, signs, and symbols, and other distinctions in human performance models) ”,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 Cybernetics, SMC-13(3), pp.257-266.
  • Perrow, Charles. (1999). “Normal Accidents: Living with High-Risk Technolog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304∼352.
  • L.W.Rook, (1962). “Reduction of Human Error in Industrial Production”, offices of technical services.
  • L. Nadler, (1979).“Developing Human Resources”, Austion, Tx Learning Concepts Press, pp. 298.
  • Http://www.root-cause-analysis.co.uk
  • Embrey, D.E. SHERPA, (1986). “A systematic human error reduction and prediction approach. International Topical Meeting on Advances in Human Factors in Nuclear Power Systems”, Knoxville, TN.
  • Edward John, (1985).“society and identity”.B. Blackwell, pp.102~152.
  • Cohen, J.(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Barbara Hudson, (1998). “Punishment and Governance”, First Published December 1, 1998 Research Article.
  • A.F. Sikula, J.P. Sikula, (1979). “Rethinking present appraisal system”, Super Manage Publication, pp. 73-80.
  • A. D. Swain, H. E. Guttmann, (1983). “Handbook of Human Reliability Analysis with Emphasis on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Final Report” NUREG/CR- 1278,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pp.2~16.
  • ( “교육훈련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성명희 경희대학교. pp.95~9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