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술치료사의 그림일기 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rt diary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이계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미술치료사의 그림일기 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rt diary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연속간행물
  • 그림일기
  • 미술의 치유성
  • 미술치료사
  • 자기성찰
  •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67 0

0.0%

' 미술치료사의 그림일기 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rt diary experience of art therapists' 의 참고문헌

  • 화가 헤르만 헤세: 치유로서의 그림그리기
    노태환 독일언어문학, 77, 273-296 [2017]
  • 현상학적 방법 적용 논문분석 및 바람직한 글쓰기
    신경림 양진향 질적연구, 4(2), 87-99 [2003]
  •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이남인 철학과 현상학연구, 24, 91-121 [2010]
  • 현상학과 질적연구: 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이남인 파주: 한길사 [2005]
  •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강봉규 김충기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한국 미술치료학
    문리학 장연집 한경아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7]
  • 테신에서의 헤세의 삶과 미술
    홍순길 헤세연구, 4, 5-26 [2000]
  • 치유로서의 미술: 순수미술의 치유적 속성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옥경 기초조형 학연구, 4(1), 39-49 [2003]
  • 초보자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
    고미영 서울: 청목 출판사 [2012]
  • 초보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석사학위논문
    이계희 영남대학 교 [2016]
  • 창조성의 본질에 대한 교육적 이해
    이용길 창조교육논총, 4(1), 28-40 [2000]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 질적 연구방법론
    신경림 양진향 조명옥 서울: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2004]
  • 질적 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김영천 이현철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7]
  • 질적 연구 입문
    한유리 서울: 박영스토리 [2015]
  • 조장은의 그림일기.
    조장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잭슨 폴록과 요셉 보이스: 상징적 드로잉으로부터 주술적 행위에 이르기까 지
    최인선 기초조형학연구, 10(6), 447-454 [2009]
  • 이미지의 인지적 차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모영 미술교육연구논총, 36, 67-90 [2013]
  •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잭슨 폴록 작품의 미술치료 요인 고찰: 액션 페인팅을 중심으로
    정영인 한국디자인포럼, 19, 191-202 [2008]
  • 오늘 내가 마음에 든다: 펜으로 일상을 붙드는 봉현의 그림일기
    봉현 서울: 예담 [2016]
  • 예술적 창조성과 시각적 사고: 예술창조 과정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이모영 한국 미학예술학회, 23, 247-274 [2006]
  • 예술, 세계와의 주술적 소통
    김융희 서울: 책세상 [2012]
  • 역전이와 상담자의 자기문제
    최명식 동서정신과학, 6(2), 197-214 [2003]
  • 여성 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이혜경 이화여자대학교 [2007]
  • 아동의 그림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 간의 의미 구성 방식
    서수현 옥현진 아동학 회지, 34(4), 163-177 [2013]
  • 실천가로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과 교육적 접근
    최명선 예술심리치료연구, 10(4), 169-192 [2014]
  • 성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 로
    고윤희 박성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4), 805-839 [2014]
  • 상담자 자기성찰에 대한 고찰
    정남운 황주연 한국상담학회지:일반, 29(2), 241-263 [2010]
  • 상담자 발달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심홍섭 숙명여자대학교 [1998]
  • 병원의 사생활: 수술대위에서 기록한 신경외과 의사의 그림일기
    김정욱 서울: 글항 아리 [2017]
  • 변화를 위한 그림일기
    정은혜 서울: 샨티 [2017]
  • 박사과정생 수퍼바이지의 미술작업 체험연구
    김현미 장연집 한국심리치료학회지, 5(2), 51-67 [2013]
  • 미술치료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임상실습 후 자발적으로 실시한 반응작업 체험연구. 석사학위논문
    박가람 서울여자대학교 [2014]
  • 미술치료에서의 그림(Bild)과 그림 시각화 과정에 대한 고찰
    최규진 교육의이론과 실천, 18(3), 95-123 [2013]
  • 미술치료에서 미술을 기반으로 한 수퍼비전의 중요성과 실제 적용에 대한 고찰
    원희랑 미술치료연구, 23(6), 1625-1642 [2016]
  • 미술치료사의 자기 탐색을 중심으로 한 비주얼 저널 경험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정은주 미술치료연구, 25(1), 123-144 [2018]
  •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 돌봄 체험연구. 박사학위논문
    홍혜정 서울여 자대학교 [2015]
  •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 돌봄 체험연구
    홍혜정 미술치료연구, 22(3), 777-798 [2015]
  • 미술치료사의 미술을 활용한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선남 미술치 료연구, 26(1), 187-210 [2019]
  • 미술치료를 위한 창조성과 치유에 관한 고찰
    최재영 아동미술교육, 3, 127-145 [2004]
  •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중요성과 임상 현장 수퍼비전에 대한 고찰
    김선희 한국심리치 료학회지, 6(1), 17-26 [2014]
  •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인식 분석
    최선남 미술치료연구, 16(3), 297-318 [2009]
  • 미술창작에서 야기된 퇴행의 자기치유적 특성
    최선남 최은우 상담학연구, 15(5), 2085-2105 [2014]
  • 미술의 치료적 기능에 관한 탐색적 고찰: 지각적 경험에 관한 논의를 중심 으로
    이모영 미술치료연구, 16(5), 829-848 [2009]
  • 미술에서 창의적 사고력과 사고과정의 특징 고찰
    박미진 미술교육연구논총, 32, 49-74 [2012]
  • 문화연구와 나
    주형일 경산: 영남대학교출판부 [2014]
  • 르네 마그리트의 유년기 외상 경험과 예술을 통한 치유과정 연구: 미술치료사의 관점으로
    김선주 김선희 질적탐구, 2(2), 81-112 [2016]
  • 르네 마그리트 회화의 더페이즈망 기법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옥민 홍익대학교 [2007]
  • 다산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적용한 자기 성찰적 상담. 석사학위논문
    이재용 청주교 육대학교 [1998]
  • 뇌전증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돌봄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박사학 위논문
    정우정 서울대학교 [2015]
  • 글쓰기와 그리기가 미술주체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박소현 국민 대학교 [2011]
  • 그림일기로 표현된 작품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윤옥경 영남대학교 [2008]
  •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가 초임부의 분만심리에 미치는 영향
    김동연 반주영 미 술치료연구, 10(2), 173-190 [2003]
  • 개인 일기의 연구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임진희 최효진 기록학연구, 46, 95-152 [2015]
  • 『질적연구방법론Ⅰ』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 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서수현 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 43, 218-243 [2011]
  • 「요셉 보이스의 작품에 나타나는 치유적 예술개념에 관한 연구」
    서희수 임상미술치 료학연구, 3(1), 28-36 [2008]
  • 「세계시민 온 카와라의 자서전적 예술 만들기」
    양은희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4, 51-70 [2005]
  • “전반적인 미술치료 수퍼비전과 미술을 기반으로 한 수퍼비전 현황,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박은선 홍윤선 예술심리치료연구, 9(2), 91-115 [2013]
  • “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
    손은정 심혜원 유성경 상담학연구, 4, 367-380 [2003]
  • Wolcott, H. F. (1994).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ousand oaks, Calif: Sage.
  • Wilson, L., Riley, S., & Wadeson, H. (1984). Art therapy supervision. Art Therapy, 1(3), 100-105.
  • Wampold, B. E., & Brown, G. S.(2006). Estimating variability in outcomes atteibute to therapists: a naturalistic study of outcomes in managed car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5), 914-923.
  • Visual thinking. 김정오 역(2004). 시각적 사고
    Arnheim, R.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69]
  • Visual journaling. 최재영, 윤혜원 역(2007). 비주얼 저널을 통 한 미술치료
    Fox, S. Ganin, B.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9]
  • Tracy, S. J. (2010). Qualitative Quality: Eight “big-tent” Criteria for Excellent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16(10), 837-851.
  • 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d healing. 이정명, 전미향, 전태욱 역(2010).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 창조적 연결
    Rogers, N.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3]
  • The art therapy sourcebook. 최재영 역(2008). 미술치료
    Malchiodi, C. 서울: 서울하 우스 [2000]
  • The Story of Art. 백승길, 이종숭 역 (2003). 서양미술사
    Gombrich, E. H. 서울: 예경 [1950]
  • Takano, K., & Tano, Y. (2009). Self-rumination, self- reflection and depression: self-rumination counteracts the adaptive effect of self- reflection.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7, 260-264.
  • Tafoya, T., & Kouris, N. (2003). Dancing the circle: native American concept of healing. In S. C. Mijares(Ed.). Modern psychology and ancient wisdom: Psychological healing practices from the world’ religious traditions (pp. 125-146). New York: Haworth Integrative Healing Press.
  • Styles, J.(1979). Outsider/ Insider: researching gay baths. Urban Life, 8, 135-152.
  • Studio Art Therapy. 정은혜 역(2010). 스튜디오 미술치료
    Moon, C. H. 서울: 시그마 프레스 [2002]
  • Stickel, S. A., & Trimmer, K. J. (1994). Knowing in action: a first-year counselor’s process of reflection. Elementary School Guidance & Counseling, 29, 102-109.
  • Smith, J. A., & Osborn, M.(2003).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n J. A. smith(Ed), Qualitative Psychology: A Practical Guide to Methods. London: Sage.
  • Skovholtd, T. M., & R nnestad, M. H. (1992). Theme in the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4), 505-515.
  • Seifert, T. (1979). Unentwickelte sinne als Quelle unef llter menschlicher Beziehungen, In Werkbund Bayern(Eds.). Der Mensch ohne hand oder die Zerst rung der menschlichen Ganzheit. Ein Symposion des Werkbundes Bayern(pp. 61-86). M nchen: Deuthscher Taschenbuch Verlag.
  • Schuman, D. (1982). Policy analysis, education, and everyday life. Lexington, MA: Health.
  • Sch nhammer, R. (2009). Einf hrung in die wahrnehmungspychologie. Sinne, K rper, Bewegung. Wien: WUV Facultas.
  •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 Rogers, N. (1993 a). Perso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Creation Spirituality, March/ April, 28-30.
  •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신경림 안규남 공역 (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 과학 연구방법론
    van Manen, M 서울: 동녘 [1990]
  • Reid, k., Flowers, P., & Larkin, M.(2005) Exploring lived experience: an introduction to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psychologist, 18, 20-23.
  • Rankin, A. B., & Taucher, L. C. (2003). A Task-oriented approach to art therapy in trauma treatment. Art Therapy, 20(3), 138-147.
  •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health propessinal. 신경림 역(1997). 질적간호연구법
    Field, P. A. Morese, J. M.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 Perkins, D. A.(1994). The intelligent eye. learning to think by looking at art. Los Angeles: The J. Paul Getty Trust.
  • Patton, M. Q.(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2nd ed.). Thousand Oaks: Sage.
  • Nerlish. M, (1990). Qu’est-ce qu’un iconotexte? in iconotexte. Paris: Ophrys.
  • Moon, B. (1997). The gate in not burning. Proceedings of the 28th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Milwaukee: The American Art Therapy Asscociation, Inc.
  • Mollon, P.(1989). Anxiety, supervision and a space for thinking: some narcissistic perils for clinical psychologist in learning psychotherapy.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62, 112-122.
  • Michels, V. (2005). Hermann Hesse. spiel mit farben. der dichter als maler. Frankfurt: M.
  • Meuris, J.(1990). Rene Magritte. New York: Tachen America LLC.
  • McNiff, S. (1998). Trust the process. Boston: Shambhala.
  • Malchiodi, C. A., & Riley, S. (1996). Supervision and related issue. a hand book for professional. Chicago: Magnolia Street Publishers.
  • LeVasseur, J. J.(2003). The problem of bracketing in phenomenolog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3(3), 408-420.
  • Kress, G.(2000). Multimodality. In B. Cope & M. Kalantzis (Eds.). Multiliteracies: Literacy learning and the design of social futures. pp. 182-202. London: Routledge.
  • Knafo, D. (2002). Revisiting Ernst Kris’s concept of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he ego in art. Psychoanalytic Psychology, 19(1), 24-49.
  • Kapitan, L. (2003). Re-enchanting art therapy. Illinois: Charles C. Thomas.
  • Kantrowitz, J. L. (1997). A different perspective on the therapeutic process: the impact of the patient on the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45(1), 127-153.
  • Kaiser, T. (1992). Supervisory relationships: exploring the human element. Pacific Grove, CA: Brooks/ Cole.
  • Kagan, N. I., & Kagan, H. (1991). Interpersonal process recall. In P. W. Dowrick (Ed.). Practical guide to using video in the behavioral sciences(pp. 221-230). New York: Wiley.
  • Joinson, C. (1992). Coping and compassion fatigue. Nursing, 22(4), 116-122.
  • Introduction to picture interpretation. 이유경 역(2008). 융 심리학적 그림 해석
    Abt, T. 서울: 분석심리학연구소 [2005]
  •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김 미영, 이광석 공역 (2015). 해석 현상학적 분석
    Flowers, P. Larkin, M. Smith, J. A. 서울: 누리 [2009]
  • Icon and idea. 김병익 역 (2002). 도상과 사상
    Read, H. 서울: 열화당 미술책방 [1955]
  • Guba, E. C.,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Jossey-Bass.
  • Griffith, B. A., & Freiden, G. (2000). Facilitating reflective thinking in counselor education, Cou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0(2), 82-93.
  • Giorgi, A.(2009).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 Foundation of mixed mothods research. 강현석, 김경 식, 박창언, 백상수, 조영남, 주동범, 황윤세 공역 (2015). 통합방법연구의 기초
    Tashakkori, A. Teddie, C. 파 주: 아카데미프레스 [2009]
  • Fish, B. J. (2012). Responsive art: the art of the art therapist. Art Therapy, 29(3), 138-143.
  • Fish, B. J. (2008). Formative evaluation research of art-based supervision in art therapy training. Art Therapy, 25(2), 70-77.
  • Fischer, E. P.(2004). Wissenschaft als k nstlerische sicht der wirklichkiet. In Allesch, C. & Neumaier, O.(Ed.). Rudolf Arnheim oder die Kunst der Wahrnehmung. pp. 197-213. Wien: WUV Universit tverlag.
  • Ethical Issue in art therapy (2nd ed.). 이윤희, 오종은, 임나영. 홍윤선. 권민경 역(2011). 미술치료 윤리와 실제
    Moon, B. 서울: 학지사 [2006]
  • Empathy Fatigue. 이달엽 역 (2010). 감정이입 피로증후군
    Stebnicki, M. A. 서울: 학지사 [2008]
  • Eisner, E. (2008). Art and knowledge. in J. G. Knowles & A. L. Cole. (Ed.). Handbook of the arts in Qualitative research. pp. 3-12. Los Angeles: Sage Publication.
  •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장연집 역(2012), 미술심리치료학
    Wadeson, H. 서 울: 시그마프레스 [1987]
  • Dowling, M.(2005). From Husserl to van Manen: a review of different phenomenological appreach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44(1), 131-142.
  • Csikszentmihalyi, M. & Getzels, J. W. (1976). The creative vision: a longitudinal study of problem finding in art. New York: Wiley.
  • Corey, G., Corey, M., & Callanan, P.(1998). Issues and ethics in the helping profession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 Cather, W. (1943). The song of the lark. Boston: Houghton Mifflin.
  • Brugger, B. (1992). Wahrnehmung. In J. Blattner, B. Gareis. & A. Plewa(Eds.). Handbuch der psychlogie f r die seelsorge(pp. 45-79). D sseldorf: Patmos-Verlag.
  • Brookfeild, S. (1987). Developing critical thinkers: challenging adults to explore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and acting. San Francisco: Jossey-Bass.
  • Bradley, L. (1989). Counselor supervision. Muncie, IN: Accelerated Development.
  • Boud, E. M. & Fales, A. W. (1983). Reflective learning Key to learning from experience. Journal on humanistics Psychology, 23(2), 99-117.
  • Becoming a helper. 이은경, 이지연 역 (2008). 좋은 상담 자되기(제 4판)
    Corey, G. Corey, M.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03]
  • Barthes, R. (1969). La Peinture est-elle un langage?. Quinzaine Litt raire, 3, 1.
  • Ball, H. (1977). Hermann Hesse. sein leben und sein Werk. Frankfurt: M.
  • Art therapy: an introduction. 김진숙 역 (2010). 미술치료학 개론
    Rubin, J. A. 서 울: 학지사 [2006]
  • Arnheim, R.(1979). Wir denken zu viel und sehen zu wenig. Im Gesp ch: Rudolf Arnheim. Psychologie heute. 6(4). 23-29.
  • Allen, P. B. (1995). Art is way of knowing. Colorado: Shambhala.
  • Allen, P. B. (1992). Artist-residence: an alternative to clinification for art therapists.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9(1), 22–29.
  •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3rd ed.). 박혜준, 이승연 공역(2009).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Seidman, I. 서울: 학지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