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8세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 연구 = A Study of Noron-line Seowon in the Youngnam Region during the 18th Century

채광수 2019년
논문상세정보
' 18세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 연구 = A Study of Noron-line Seowon in the Youngnam Region during the 18th Centu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연속간행물
  • 18세기
  • 가문
  • 노론
  • 서원
  • 영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71 0

0.0%

' 18세기 영남지역 노론계 서원 연구 = A Study of Noron-line Seowon in the Youngnam Region during the 18th Century' 의 참고문헌

  • 「조선시대 고성이씨 가문의 문과급제자」, 『고성이씨 가문의 인물 과 활동』
    김창현 일지사 [2010]
  • 「석전 광주이씨 가문과 근기 남인의 제휴」, 『조선후기 ‘낙중학’ 의 전개와 ‘한려학파’』
    이근호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8]
  • 「관서문답록의 간행과정과 훼판시비」, 『장서각』 14집
    김건우 한국학중 앙연구원 [2005]
  • 「朝鮮後期 延安李氏 三陟公派의 근거지 확산과 坡州정착」
    정만조 『한국 학 논총』 제35집 [2011]
  • 李廷龜, 『月沙集』.
  • 한국학자료센터 영남권역센터
    (http://yn.ugyo.net)
  • 韓汝愈, 『遁翁集』.
  • 韓元震, 『南塘先生文集』.
  • 閔承敬, 『丹巖先生年譜』.
  • 金履安, 『三山齋集』.
  • 金長生, 『沙溪全書』.
  • 金鎭圭, 『竹泉集』.
  • 金民澤, 『竹軒集』.
  • 都永夏, 『藥塢文集』.
  • 趙榮祏, 『觀我齋稿』.
  • 趙根, 『損庵集』.
  • 裵正徽, 『孤村先生文集』.
  • 興忠保存會, 『忠義壇誌』, 2004, 興忠保存會, 『興巖書院誌』, 2006.
  • 羅學淳, 『松塢遺稿』.
  • 申碩蕃, 『百源集』.
  • 潛溪公紀蹟事業會, 『注解潛溪集』, 1987.
  • 洪翰周, 『辛酉日史』.
  • 權琡, 『錦厓文集』.
  • 權泰斗 『花山世稿』.
  • 權尙夏, 『寒水齋先生文集』.
  • 林⾕ 林眞怤의 현실인식과 17세기 영남학계에서의 위상」
    김학수 『南冥 學硏究』 제54집 [2017]
  • 李海鎭, 『寒川集』.
  • 李志尹 著・李愚鐸 譯, 『松陰先生逸稿』.
  • 朴啓佑, 『義隱遺集』.
  • 成晩徵, 『秋潭集』.
  • 愼壽彛 著 愼蒔範 譯,『(譯註) 黃皐先生集』.
  • 崔秉軾, 『玉澗集』.
  • 崔南斗, 『茅廬集』.
  • 尹鳳五, 『石門集』.
  • 尹鳳九, 『屛溪先生集』.
  • 宋達洙, 『守宗齋集』.
  • 宋秉善, 『淵齋先生文集』.
  • 宋煥箕, 『性潭集』.
  • 宋煥箕, 『性潭先生集』.
  • 宋時烈, 『宋子大全』.
  • 宋明欽, 『櫟泉先生文集』.
  • 姜必孝, 『海隱先生遺稿』.
  • 全有章, 『正峯遺集』.
  • 全克泰 外, 『聯芳集』.
  • 全克和, 『洛浦遺稿』.
  • 『栗谷先生門人錄』
  • 『龍湖閒錄』
  • 『列邑院宇事蹟』
  • 『老江書院 소장 고문서』
  • 『蘭谷書院記』
  • 『龜淵書院誌』
  • 『조선후기 향약 운영과 성격 : 정부・지방관・재지사족 등 운영 주체를 중심으로』
    이광우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조선후기 서원연구』
    이수환 일조각 [2001]
  • 『조선후기 문중서원 연구』
    이해준 경인문화사 [2007]
  • 『조선후기 경주 옥산서원의 운영과 역할』
    이병훈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8]
  •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존재양상』
    박진철 경인문화사 [2017]
  • 『조선시대 유생상소와 공론정치』
    설석규 선인출판사 [2002]
  • 『조선시대 서원연구』
    정만조 집문당 [1997]
  • 『조선시대 서원과 양반』
    윤희면 집문당 [2004]
  •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법』
    김인걸 이해준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일성록』
  • 『영조 시대를 만든 사람들 - 영조 시대의 조선 14』
    박광용 한국학중앙연 구원출판부 [2014]
  •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수건 일조각 [1995]
  • 『영남지방 양반가문의 혼인관계』
    조강희 경인문화사 [2006]
  • 『역주 石淵文集』, 이상필 譯
  • 『승정원일기』
  • 『서원향사』
    국립무형유산원 [2014]
  • 『바위틈에 핀 들꽃 –여주이씨 독락당편』, 한국학중앙연구원편
    [2007]
  • 『김천의 종가문화의 전승과 현장』
    권삼문 김미영 민속원 [2015]
  •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김학수 예문서원 [2014]
  • 『국역-노상추 일기』 ・정해은 외 역
    노상추 국사편찬위원회 [2017]
  • 『국역-渼湖集』, 강여진・최병준・김광태 譯
  • 『국역-仁村文集』, 安琮植 譯
  • 『국역 청대일기』
    한국국학진흥원 청솔 [2015]
  • 『국역 조선후기 영남사림일기 – 법성일기』
    한국국학진흥원 [2008]
  • 『국역 서원등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5]
  • 『국역 盈寧勝覽』
    영덕문화원 경문사 [2011]
  • 『국역 戊午日記』
    청량산박물관 민속원 [2015]
  • 『고문서집성 66 –慶州 玉山 驪州李氏 章山書院 痴 菴宗澤 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 『고문서집성 65 –慶州 玉山 驪州李氏 獨樂堂 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2003]
  • 『고문서 집성 24-灆溪書院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경상도 書院 祠宇의 건립추이와 제향인물의 성격』
    이병훈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雲谷影堂掌故』
  • 『雲溪祠創建事實』
  • 『雲溪書院重建事實』
  • 『西磵建院事實略』
  • 『西山書院事實』
  • 『西厓全書篇』
    서애선생기념사업회 [1991]
  • 『褒忠祠 소장 고문서』
  • 『表忠祠志』, 청주고인쇄관리사무소 編
    [1993]
  • 『華陽淵源錄』
  • 『義城縣誌』
  • 『玉溪書院 소장 고문서』
  • 『沃川全氏杏亭世蹟』
  • 『檜淵及門諸賢錄』.
  • 『東儒書院叢錄(乾・坤)』
  • 『朝鮮時代嶺南書院資料』
    국사편찬위원회 [1999]
  • 『朝鮮時代 庶孼身分變動史 硏究』
    이종일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朝鮮後期의 庶孼 許通과 身分地位의 變動』
    배재홍 경북대학교 박사학 위 논문 [1995]
  • 『朝鮮後期 家族 및 親族秩序 硏究 -17~19세기 大邱 月村지역을 중심으로-』
    주 매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朝鮮後期 丹城 사족층연구』
    김준형 아세아문화사 [2000]
  • 『月巖書院誌』
    월암서원복원추진위원회 [2011]
  • 『書院謄錄』
  • 『書院可攷』
  • 『昌寧成氏文孝公派譜』
  • 『新安影堂 소장 고문서』
  • 『慶尙道邑誌』
  • 『慶北鄕校資料集成』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 『慶北鄕校資料集成』
  •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1991]
  • 『德川士友淵源錄』
  • 『居昌郡史』, 거창군사편찬위원회 편
    [1997]
  • 『尙州 鄕案에 대한 一考察』
    임운섭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咸陽朴氏軍威君派譜』
  • 『俎豆錄』
  • 『68년의 나날들 –조선의 일상사』
    문숙자 너머북스 [2009]
  • 『18세기 말~19세기 초 의리문제를 둘러싼 안동지역 남인과 노론 의 대립』
    정재용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8]
  • 『17~18세기 상주향교의 靑衿儒生』
    유기선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7-18세기 대구지역 서인계 사족의 활동 -沃川全氏를 중심으로 -』
    신주엽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국역)蓬谷先生文集』, 朴英鎬 譯
    朴守弘 [2013]
  • 『(국역)聽竹先生遺稿』
    청죽선생유고간행위원회 [1999]
  • 「老江書院의 연혁과 인적구성」
    채광수 『민족문화논총』 제60집 [2015]
  • 「흥암서원」
    국립무형유산원 [2014]
  • 「흥암서원」
    이수환 『서원향사』, 국립무형유산원 [2014]
  • 「한국서원의 연구현황과 전망」
    정만조 『한국의 서원과 학맥 연구』, 국학 자료원 [2002]
  • 「충현서원 ‘尋院錄’ 분석」
    서홍석 『고고와 민속』 13 [2010]
  • 「청대일기를 통해 본 권상일의 서원활동」
    이수환 『민족문화논총』, 제62집 [2016]
  • 「지방양반의 청원 활동」
    박진철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존재양상』 [2017]
  • 「조선후기 향촌사회에서 庶孽의 존재양태와 鄕戰」
    배재홍 『경북사학』 제15집 [1990]
  • 「조선후기 영남지역 원사의 건립과 변화 검토」
    이병훈 『서원학보 제6 집』 [2018]
  • 「조선후기 영남지역 사족가문의 學派 政派的 분화와 그 존재양 상 -松堂門人 久庵 金就文(1509~1570) 가문을 중심으로-」
    김학수 『한 국사학보』 38 [2010]
  • 「조선후기 산송(山訟)과 상언(上言),격쟁(擊錚) -노상추가(盧尙樞 家)와 박춘노가(朴春魯家)의 소송을 중심으로-」
    김경숙 『고문서연구 33권』 [2008]
  • 「조선후기 구미 사회의 변화와 갈등」
    박인호 『구미의 역사와 인물』 [2006]
  • 「조선후기 경상우도의 노론계 서원 연구」
    이수환 채광수 『민족문화논총』 제68 집 [2018]
  • 「조선후기 경남지역의 서원 연구」
    강상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조선중기 朱子祭享 書院의 사회사적 성격」
    정현정 『한국서원학보』 1 [2011]
  • 「조선시대 청주 莘巷書院」
    이재학 『역사와 실학』, 제21집 [2001]
  • 「조선시대 영남서원 자료 현황 및 해제」
    이수환 『조선시대 영남서원자 료』 [1999]
  • 「조선시대 양주지방의 書院과 祠宇」
    최홍규 『조선후기 향촌사회연구 –正 祖時代의 華城을 중심으로』, 일조각 [2001]
  • 「조선시대 碧珍李氏 金泉派의 성장과 金泉 士族社會에서의 위 상」
    김성우 『청백리 노촌 이약동 선생 학술대회』 [2016]
  • 「조선 후기 영남지역 鄕戰의 분석」
    김준형 『남명학연구』 43 [2014]
  • 「임란시 상주 북천전투의 실상과 현창사업」
    우인수 『역사교육논집』 제62집 [2017]
  • 「임란공신 金太虛의 행적과 후손들의 顯彰 노력」
    우인수 『한국민족문 화』 67 [2018]
  • 「영조조 東村派의 교유양상과 交遊詩 -吳瑗, 南有容, 李天輔, 黃景源을 중심으로」
    안순태 『한국한시학회』, 21 [2013]
  • 「영남지역 서원의 특징과 교육활동」
    이수환 『한국의 서원과 학맥 연구』, 국학자료원 [2002]
  • 「영남지역 서원의 지역적 특성과 정치사회적 성격」
    김학수 『조선시대 서원의 지역성과 정치적 성격』 [2007]
  • 「안동 남인의 정치적 일상과 지역정치의 동향-철종대 金洙根서 원 건립과 고종 대 屛虎保合을 중심으로」
    김성윤 『영남학』 제15호 [2009]
  • 「안덕문의 삼산서원 위상정립과 그 의미」
    최석기 『남명학연구』 제40 호 [2013]
  • 「법전 진주강씨와 해은 강필효」
    임규완 『18세기 영남의 한문학 ; 봉화 지역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5]
  • 「동춘당 송준길의 영남인과의 접촉과 그 추이」
    우인수 『흥암서원지』 [2006]
  • 「덕수이씨세계열전 – 이동명」 『향토고전번역총서Ⅳ』
    社)율곡연구원 원영출판사 [2013]
  • 「노론의 대 남인 분열・통합책에 관한 연구」
    김학수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2003]
  • 「귀양과 賜死」
    김태준 『우리 한문학과 일상문화』, , 소명출판사 [2007]
  • 「고문서를 통해서 본 경남지역 서원과 향교의 특성」
    정순우 『경남문화 연구』 22 [2000]
  • 「고문서를 통해본 이우 가문의 역사와 향촌생활사」
    전경목 『이창용교수 기증유물도록』, 오죽헌시립박물관 [2008]
  • 「경주 여주이씨 玉山派의 章山書院 건립과 운영 –조선후기 영 남지역 노론계 서원 건립 사례 연구」
    이수환 채광수 『한국서원학보』 제4호 [2017]
  • 「경상도 함양의 灆溪書院 연구」
    윤희면 『남명학연구』 제26집 [2008]
  • 「경기지역 서원의 정치적 성격」
    조준호 『조선시대 서원의 지역성과 정 치적 성격』 [2007]
  • 「경기지역 서원의 정치・사회사적 특징」
    정만조 『한국의 경기지역 서원 』, 국학자료원 [2004]
  • 「강릉 五峯書院의 설립과 院任 조직의 운영」
    이규대 『율곡사상연구』 제20집 [2010]
  •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구진성 『남명 학 연구』 제39집 [2013]
  • 「英祖代 戊申亂 이후 慶尙監司의 收拾策」
    이근호 『영남학』 제17호 [2010]
  •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 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 으로의 轉換」
    정만조 『역사학보』 111 [1986]
  • 「英祖 戊申亂에 對하여-嶺南의 鄭希亮亂을 中心으로-」
    이원균 『釜大史 學』 제2집 [1971]
  • 「肅宗朝 萬東廟 건립논쟁에 관한 一硏究 : 老論 成晩徵과 남인 李萬敷 사이의 論爭을 중심으로」
    배 성 『청계사학』 제15집 [2001]
  • 「禁銀店疏行日記 硏究」
    권태을 『尙州文化硏究』 12 [2002]
  • 「社會變動과 兩班家門의 對應 -山淸郡 丹城面 江樓里 安東權氏家門의 경우-」
    김준형 지승종 『慶南文化硏究』 제19호 [1997]
  • 「淵齋學派의 사상과 민족운동」
    김상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9 [2017]
  • 「洪判官韻 해제」
    권태을 『상주문화연구 6』 [1996]
  • 「永興 龍江書院 硏究 -朝鮮後期 書院 置廢의 한 事例」
    김명숙 『韓國史 硏究』 80 [1993]
  • 「朝鮮後期의 庶孽許通」
    배재홍 『경북사학』 제10집, 경북사학회 [1987]
  • 「朝鮮後期 慶州地域 在地士族의 鄕村支配」
    이수건 『민족문화논총』 제15집 [1994]
  • 「朝鮮後期 安東 鄕吏 權喜學 家門의 社會 經濟的 基盤과 鳳岡 影堂 建立」
    이수환 『대구사학』 제106집 [2012]
  • 「朝鮮後期 大邱地域 西人勢力의 動向」
    이재철 『대구사학』, 제76집 [2004]
  • 「朝鮮 前期의 庶孼身分」
    지승종 『한국사회사연구회논문집』 27집 [1991]
  • 「書院의 政治 社會史的 考察」
    이수환 『嶠南史學』 창간호 [1985]
  • 「晦齋李彦迪家門의 社會 經濟的 基盤」
    이수건 『민족문화논총』 제12집 [1991]
  • 「昌寧成氏 聽竹公派의 상주 정착과 노론계 院宇 건립 활 동」
    이수환 채광수 『조선시대사학보』 79 [2016]
  • 「慶州 安康 驪州李氏 玉山派와 獨樂堂 所藏 資料의 古文 書學的 考察」
    손계영 안승준 『고문서집성』 6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 「德川書院을 이끈 江右의 가문들 –건립주체와 운영자를 중심으 로」
    이상필 『남명학연구』 제55호 [2017]
  • 「彰忠祠의 건립과 居昌 愼氏 吏族」
    이훈상 『東亞硏究』 제4집 [1984]
  • 「尤庵 宋時烈의 書院 祠宇 享祀」
    최근묵 『民族文化의 諸問題 : 于江權 兌遠敎授定年紀念論叢』 [1994]
  • 「寧海 仁山書院의 設立과 毁撤」
    이수환 『대구사학』 제63집 [2001]
  • 「學規에 나타난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이념과 실제」
    박종배 『한국학논총』 제33집 [2010]
  • 「壬亂前後 尙州地方 士族의 動向」
    정진영 『민족문화논총』, 제8집 [1987]
  • 「壬亂 倡義人脈 小考」
    이상필 『경남문화연구』 16 [1995]
  • 「南冥學派의 書院建立 運動」
    송준식 『남명학연구』 제15호 [2003]
  • 「三嘉지역의 鄕案入錄을 둘러싼 당파적 갈등」
    김준형 『한국사연구』 147 [2009]
  • 「『계암일록』을 통해 본 17세기 예안사족 김령의 인맥기반 형성과 특 징」
    최은주 『퇴계학과 유교문화』 55 [2014]
  • 「‘戊申倡義錄’을 통해 본 18, 19세기 嶺南 南人의 정치동향」
    고수연 『역사와 담론』 65 [2013]
  • 「‘尋院錄’을 통해본 18세기 전반 도산서원의 방문과 의미」
    김명자 『퇴계 학과 유교문화』 제53집 [2013]
  • 「19세기 전반 鄕村社會勢力間 對立의 推移」
    고석규 『국사관논총』 8 [1997]
  • 「18세기 한 鄕班 출신 功臣의 정치 사회적 존재양상」
    김학수 『조선시 대사학보』, 77 [2016]
  • 「18세기 영남 노론의 존재형태 - 영조 14년(1738) 안동 김상헌 서원 건립과 훼파를 통해본 ‘새로운 세력’에 대한 검토」
    정진영 『한국 사연구』 171 [2015]
  • 「18세기 서원건립을 둘러싼 향촌사회의 갈등관계」
    정진영 『조선시대사 학보』, 72 [2015]
  • 「18세기 말 19세기 초 英陽縣 雲谷影堂의 置廢-조선후기 영남 復縣의 노론계 院宇 건립 사례」
    이수환 채광수 『영남학』 제64호 [2018]
  • 「18世紀 慶尙右道 士林과 鄭希亮亂」
    이재철 『대구사학』 제31집 [1986]
  • 「18世紀 初 湖西地域 書院의 黨派的 性格 -朱子 宋時烈 祭享 書 院을 中心으로」
    고수연 『湖西史學』 29 [2000]
  •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도남서원 운영과 상주 사족의 동향」
    송석현 『조선시대사학보』 제79집 [2016]
  • 「17세기 상주지역 사족의 동향」
    송석현 『영남학』 제27호 [2015]
  • 「17세기 도산서원과 예안향교의 비교 검토」
    박현순 『안동학연구』 11 [2012]
  • 「17世紀 南冥學派 動向 硏究 -鄭仁弘과 그 系列을 中心으로」
    구진성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17~18세기 합천 용연서원의 辨誣와 활동」
    박소희 『서원학보』 제5호 [2018]
  • 「17~18세기 영남지역 노론의 동향-송시열 문인가문을 중심으 로」
    이연숙 『실학사상연구』 23 [2002]
  • 「17~18세기 英陽地方 漢陽趙氏의 門中硏究」
    조준호 『북악사론』 4 [1997]
  • 「1738년(영조 14) 安東 鶴東書院의 存置와 지방관의 역할-‘法城 日記’를 중심으로」
    김형수 『영남학』 제17호 [2010]
  • 「1728년 무신난과 居昌 褒忠祠 건립의 성격」
    이수환 채광수 『역사교육논집』 제70집 [2019]
  • 「16세기 어느 도망노비 가족의 생존전략 –1578년 奴婢決訟立案 을 중심으로」
    이혜정 『인문논총』 제72권 제4호 [2015]
  • 「16세기 星州지역 士族의 交遊와 書院 건립계획 - 默齋日記를 중 심으로-」
    김소은 『정신문화연구』 91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