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주택가격 상승률 및 기대수명 변동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 가구수의 변화 = Changes in the numbers of households that joined in the reverse mortgage depending on the housing price increase rate and life expectancy variation

여대환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주택가격 상승률 및 기대수명 변동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 가구수의 변화 = Changes in the numbers of households that joined in the reverse mortgage depending on the housing price increase rate and life expectancy vari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정효과
  • 기대수명
  • 역선택
  • 정보비대칭
  • 주택가격 상승률
  • 주택연금
  • 패널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01 0

0.0%

' 주택가격 상승률 및 기대수명 변동에 따른 주택연금 가입 가구수의 변화 = Changes in the numbers of households that joined in the reverse mortgage depending on the housing price increase rate and life expectancy variation' 의 참고문헌

  • 「주택연금 가입자 수도권 집중현상에 대한 고찰」
    고제헌 (1-11). 부산: 한국주택금융공사 [2015]
  • 「역모기지 활성화 방안」
    강종만 이석호 『정책조사보고서』, 2006(1), 1-123 [2006]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 평생주택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조덕호 하성규 『국토계획』, 32(1), 143-161 [1997]
  • 통계청 국가정보포털
    http://kosis.kr
  • 지역별 주택가격 상승률이 주택연금 보증기 관의 재정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승한 임유선 하서진 『감정평가학 논집』, 17(1), 101-127 [2018]
  • 주택연금제도의 현황과 향후과제
    박희원 『부동산포커스』, 21, 10-15 [2010]
  • 주택연금의 비활성화 요인 분석과 시사점
    김대영 김대환 『주택도 시금융연구』, 1(2), 83-107 [2016]
  • 주택연금의 리스크와 장기균형관계에 관한 연구
    이종의 『한국지역 개발학회지』, 23(5), 145-170 [2011]
  • 주택연금의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 소득증가 및 빈곤완화 효과를 중심으로
    유지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주택연금에 대한 인식ㆍ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곽희용 경기대학교 행 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주택연금 수요의 가격효과
    변준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주택담보연금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태 『지역사회개발 연구』, 28(1), 97-106 [2003]
  • 주택가격과 금리 시계열의 순환주기와 역모기지 리스 크
    김갑태 마승렬 『보험개발연구』, 17(2), 61-97 [2006]
  • 조만. 역모기지의 Cross-over Risk와 잠재수요에 관한 연구
    민인식 『주택연구』, 17(3), 161-187 [2009]
  • 정부보증제도의 재정위험에 관한 연구 : 정부보증 역주택저 당대출제도에 대한 옵션가격 결정방법론의 적용을 통한 재정위험량의 추정을 중심으로
    김정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일본의 역저당제도에 관한 연구
    유선종 조주현 『국토계획』, 33(4), 105-122 [1998]
  • 우리나라 역모기지론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은호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역저당제도의 정책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오정일 최우석 『한국 정책학회보』, 17(2), 267-287 [2008]
  • 역저당제도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경제효과에 관한 연구
    유선종 『국 토계획』, 37(2), 147-157 [2002]
  • 역모기지의 대출종료확률에 관한 연구
    마승렬 『주택금융월보』, 2007(2), 19-35 [2007]
  • 역모기지론 시장에서 수요자의 특성과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역모기지 활성화를 위한 공적보증체계의 필요성
    이석호 『주간금융 브리프』, 14(43), 12-13 [2005]
  • 부동산114 REPS
    http://www.r114.com
  • 베이비붐세대의 노후소득원으로 주택연금의 효과에 관한 연 구 : 개인투자방법과 비교를 통한 고찰
    신기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 미국의 역모기지와 정책적 시사점
    유선종 『부동산학보』, 22, 17-34 [2004]
  • 미국 역모기지 제도(HECM) 집행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김정주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미국 공적 보증 역모기지의 리스크관리 기법 및 정책적 시사 점
    강현구 『주택금융월보』, 2013(9), 20-43 [2013]
  • 동시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한 주택연금의 보증리스크 평가
    류근옥 마승렬 『주택연구』, 23(2), 143-179 [2015]
  •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주택연금제도 개선방안 연구 : 2차 베 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김상균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노후경제 대책을 위한 역모기지 이용 성향에 관한 연구
    권기철 경 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노인주거안정을 위한 역저당(Reverse Mortgage) 제 도 도입 가능성
    임경수 조덕호 『한국노년학』, 19(1), 1-13 [1999]
  • 『현대부동산학』
    안정근 서울: 양현사 [2019]
  • 『최근 부산지역 주택연금 가입자 증가 요인 분석』
    변준석 (1-8). 부산: 한국주택금융공사 [2015]
  • 『주택연금보증 시장리스크 측정 및 관리 시스템 도입 선행 연구』
    김계홍 (1-31). 부산: 한국주택금융공사 [2016]
  • 『주택연금 가입이 고령층 소비 진작에 미치는 영향』
    고제헌 (1-18). 부산: 한국주택금융공사 [2015]
  •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보도자료』
    통계청 [2019]
  • 『역모기지 제도도입 검토 사항』
    한국주택금융공사 [2006]
  • 『신용리스크 따라잡기』
    금융감독원 [2006]
  • 『부동산금융론(이론과 실제)』
    이용만 임재만 서울: 다산출판사 [2017]
  • 『미시경제학』
    성태경 서울: 지필미디어 [2013]
  • 『국민연금 공표통계(2018년 12월말 기준)』
    국민연금공단
  • 『고급통계분석론』
    노승철 이희연 서울: 문우사 [2013]
  • 『가계금융ㆍ복지조사 보고서』
    통계청 [2018]
  • 『Excel을 활용한 경제경영통계학』
    권혁제 김상봉 여대환 파주: 지필미디어 [2016]
  • “주택연금제도의 노인빈곤 완화 효과 분석”
    김안나 『사회복지정책』, 30, 371-391 [2007]
  • “주택연금 가입 주택 포트폴리오 가격지수에 관한 연 구”
    신승우 유승동 『국토연구』, 76, 3-13 [2013]
  •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구성 및 빈곤율 분석”
    김수완 조유미 『사 회복지연구』, 29, 5-37 [2006]
  • “역주택저당대출 수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정주 마승렬 『부 동산학보』, 46, 207-225 [2011]
  • “역모기지 활용에 따른 가구유형별 노후소득보장 및 빈곤 완화 효과분석-거주주택 및 순자산의 역모기지 전환 효과를 중심으로-”
    강성호 김경아 『사회보장연구』, 24(3), 171-198 [2008]
  • “노후생활 보장을 위한 역저당제도의 잠재수요 특성 분석”
    최은희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Wang, L., E. Valdez. & J. Piggott. (2008). “Securitization of longevity risk in reverse mortgage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Vol. 12, pp.345–371.
  • Venti, S. F. & D. A. Wise. (1991). “Aging and the Income Value of Housing Wealth”, Journal of Economics, Vol. 44, pp.371-197.
  • United Nations. (1956). The Aging of Populations and its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New york: United Nations publication.
  • Thaler, R. (1990). “Saving, Fungibility, and Mental Account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4, No. 1, pp.193-205.
  • Szymanoski, E. J. (1994). “Risk and the Home Equity Conversion Mortgage”, Journal of the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 22, No. 2, pp.347-366.
  • Skinner. J. (1996). “Is Housing Wealth a Sideshow?”, Papers in the Economics of Ag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241-272.
  • Sherris, M. & S. David. (2010). “Risk Based Capital and Pricing for Reverse Mortgages Revisited”, Australia School of Business Research Paper, No. 2010ACTL04, pp.1-42.
  • STATA: 패널 데이터 분석
    민인식 최필선 서울: 지필미디어 [2012]
  • OECD. (2017). Pensions at a Glance 2017, pp.97-115.
  • Miceli, T. J. & C. F. Sirmans. (1994). “Reverse Mortgage and Borrower Maintenance Risk”, Journal of the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 22, No. 2, pp.433-450.
  • Merrill, S. R., M. Finkel. & N. Kutty. (1994). “Potential Beneficiaries from Reverse Mortgage Products for Elderly Homeowners: An Analysis of AHS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 22, No. 2, pp.257-299.
  • Leviton, R. (2001). “Reverse mortgage decision-making”, Journal of Aging Social Policy, Vol. 13, No. 4, pp.1-16.
  • Lazarsfeld, P. & Fiske, M. (1938). “The ‘panel’ as a new tool for measuring opinion”, Public Opinion Quarterly, Vol. 2, No. 4, pp. 596-613.
  • Kulp, C. A. (1965). Causality Insurance, 3rd edition. New York: Ronald Press.
  • Hsiao, C. (2003). Analysis of panel data, 2nd edition. Econometric society monographs, Vol. 3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siao, C. (1986). Analysis of panel data. Econometric society monographs, Vol. 1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elpAge International. (2015). Global AgeWatch Index 2015.
  • Davidoff, T. & G. Welke. (2004). “Selection and Moral Hazard in the Reverse Mortgage Market”, Haas School of Business, U. C. Berkeley, working paper.
  • Chou, K. L., N. W. Chow. & I. Chi. (2006). “Willingness to consider applying for reverse mortgage in Hong Kong Chinese middle-aged homeowners”, Habitat international, Vol. 30, No. 2, pp.716-727.
  • Chinloy, P. & F. M. Isaac. (1994). “Megbolugbe, Reverse Mortgage: Contracting and Crossover Risk”, Journal of the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 22, No. 2, pp.367-386.
  • Boehm, T. P. & M. C. Ehrhardt. (1994). “Reverse Mortgage and Interest Rate Risk”, Journal of the American Real Estate and Urban Economics Association, Vol. 22, No. 2, pp.387-408.
  • 2007년~2018년 보도자료.
    한국주택금융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