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증강현실 퍼포먼스의 감성적 지각 연출방안 연구 : 게르노트 뵈메의 분위기 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isthesis Direc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Performances : Focusing on Gernot Böhmes Atmosphere Aesthetics

이관준 2019년
' 증강현실 퍼포먼스의 감성적 지각 연출방안 연구 : 게르노트 뵈메의 분위기 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isthesis Direc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Performances : Focusing on Gernot Böhmes Atmosphere Aesthetic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화와 제도
  • 감성적 지각
  • 감성학
  • 공명
  • 공연
  • 관객해방
  • 미학
  • 뵈메
  • 분위기
  • 소격효과
  • 소외효과
  • 숭고
  • 아우라
  • 언캐니
  • 증강현실
  • 퍼포먼스
  • 푼크툼
  • 혼합현실
  • 홀로그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83 0

0.0%

' 증강현실 퍼포먼스의 감성적 지각 연출방안 연구 : 게르노트 뵈메의 분위기 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isthesis Direc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Performances : Focusing on Gernot Böhmes Atmosphere Aesthetics' 의 참고문헌

  • 「한국 전통연희의 활성화를 위한 3D 홀로그램 설계 및 구현」
    천주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홀로그램 무대장치 특허등록결정명세서(제10-1686135호)
    이관준 [2016]
  • 킥스, 〈킥스2〉
    올림픽공원 K아트홀 [2017]
  • 정선아리랑센터, 아리랑센터 3D 시스템 구축 실시설계보고서
    정선군 [2017]
  • 정선아리랑문화재단, 〈아리아라리〉
    정선아리랑센터 [2018]
  • 인터페이스(interface)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 docId=2837557&cid=40942&categoryId=32828&mobile
  • 올댓퍼포먼스, 세라믹 네트스크린 시험성적서(15-035869-01-2)
    한국 산업기술시험원 [2015]
  • 올댓퍼포먼스, 〈카르마 : 운명의 랩소디〉, 4W 홀로그램 시스템 시 뮬레이션영상
    베이징공인체육관 [2014]
  • 올댓퍼포먼스, 〈카르마 : 운명의 랩소디〉
    베이징공인체육관 [2014]
  • 올댓퍼포먼스, 〈아리랑, 흙의 노래〉4WX 파노라마 시스템 시뮬레 이션영상
    정선아리랑센터 [2019]
  • 올댓퍼포먼스, 〈아리랑, 흙의 노래〉
    정선아리랑센터 [2019]
  • 연극에서의 영상 활용을 통한 시공간의 재구성
    한정수 청주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애니메이션영화〈폴라익스프레스〉(The Polar Express, 2004)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8F%B4%EB%9D%BC%20%EC %9D%B5%EC%8A%A4%ED%94%84%EB%A0%88%EC%8 A%A4 [2004]
  • 애니메이션영화〈인크레더블〉(The Incredibles, 2004)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35165&cid=5854 4&categoryId=58544#TABLE_OF_CONTENT4 [2004]
  • 쓰리디팩토리, 〈김광석 홀로그램 콘텐츠〉
    소극장 떼아뜨르분도 [2016]
  • 시학, 이상섭 옮김
    Aristoteles 문학과지성사 [2005]
  • 사진 매체 그리고 아우라의 변형: 디지털사진과 디지털 아우라
    김석진 민족미학 10집 [2011]
  • 몸의 세계, 세계의 몸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 한 강해
    조광제 이학사 [2004]
  •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박영욱 향연 [2008]
  • 디스트릭트, 〈죽은 나무 꽃피우기〉
    광화문아트홀 [2010]
  • 뉴컨텐츠컴퍼니, 〈벤허〉
    충무아트홀 [2017]
  • 노먼 맥래런(Norman McLaren,)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 entry.nhn?docId=1092023&mobile&cid=40942&categoryId=34 409
  • 古川裕朗, 「へルマンシュミッシとゲルノートベーメの雰囲氣槪念を めぐって」, 『人間環境學硏究』第3卷第2号, 廣島修道大學 人間環境學會編, 2005.
  • 『희곡의 세계』
    이종대 태학사 [1998]
  • 『현대 독일 미학 : 감각, 기억, 사유의 변증법』
    임성훈 이 학사 [2017]
  • 『해방된 관객 : 지적 해방과 관객에 관한 물음』, 양창렬 역
    Jacques Ranci re 현실문화 [2016]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지각방식과 관객의 역할 : 수행적인 것 의 미학의 성과와 한계』
    김형기 푸른사상 [2014]
  • 『컴퓨터는 극장이다』
    Brenda Laurel 유민호 차경애 역, 커뮤니케 이션북스 [2008]
  • 『지식인의 종언』, 이현복 편역
    Jean-Francois, Lyotard 문예출판사 [1994]
  • 『수행성의 미학 : 현대예술의 혁명적 전환과 새로운 퍼포먼스 미학( sthetik des Performativen)』, 김정 숙 역
    Erika Fischer-Lichte 문학과지성사 [2017]
  • 『미학』
    김진엽 하선규 책세상 [2007]
  • 『뮤지컬의 상호매체성과 혼종의 미학』
    조복행 경인문화사 [2014]
  • 『독일미학 : 고전에서 현대까지』
    유형식 논형 [2009]
  • 『감성시대의 미학』
    박성봉 일빛 [2011]
  • 『4차 산업시대의 문화콘텐츠산업』
    김상욱 크린비디자인 [2017]
  • 「페터 춤토르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분위기’ 개념의 특 성과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이예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증강현실 퍼포먼스 : 디지털 공연예술의 새로운 패러다 임」
    이재운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 섀넌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적용을 중심으로」
    윤현정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2호 [2016]
  • 「융합공연콘텐츠 〈카르마〉의 실감영상효과 향상을 위한 세라믹 네트스크린(반사계수 3Gain)이 적용된 다이렉트 투 사방식의 4W입체무대영상 기술개발」
    이관준 ㈜올댓퍼포먼스 문 화산업 현장 수요지원 기술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015]
  • 「브레히트의 독자, 랑시에르 - “불화”의 연극과 리얼리즘의 갱신」
    김겸섭 인문과학연구 제20집 [2013]
  • 「뵈메의 새로운 미학 : 분위기와 감각학」
    김산춘 미학 예술학 연 구 30집 [2009]
  • 「미래의 콘텐츠는 홀로그램으로부터」
    정상원 산업융합과 신성장 동력 월간 웹진 제40호 [2013]
  • 「미감적 경험의 현상학적 재정의: 헤르만 슈미츠의 신체현 상학과 미학이론에 대하여」
    하선규 『미학 예술학연구』제23집 [2006]
  • 「매체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극, 연극성」
    이경미 한국연극학 제 43호 [2011]
  •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에 나타난 푼크툼의 환유적 확 장」
    이경률 프랑스학연구 제39집 [2007]
  •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푼크툼(Punctum) 표현방법 연 구」
    김지현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1호 [2017]
  • 「디지털 영상매체시대 춤의 환영성에 관한 고찰」
    이지선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관객접근에 의해 행동하는 3D 홀로그래픽 콘텐츠 저작 및 프로젝션」
    김상욱 임수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2012]
  • 「감성학에서의 감성적 지각 문제에 관하여 - Aura, Uncanny 그리고 Atmosphere를 중심으로」
    심혜련 시대와철학 제 22권 2호 [2011]
  • 「가상현실 예술에 대한 미학적 비평
    김진엽 한국미학예술학회 22 권 [2005]
  • 「KINECT 기반 3D 홀로그래픽과 제스처 에 대한 연구」
    노창배 서래원 주 강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3]
  • 「4W 홀로그램의 구현원리와 경제적 효과 연구」
    이관준 영상문화 콘텐츠연구 11집 [2016]
  • 「3D 입체영상 〈아바타〉와 언캐니 현상」
    김기덕 김헌식 인문콘 텐츠 제22호 [2011]
  • “가상에서 혼합현실로”
    Hirose Michitaka 『미디어아트 : 예술 의 최전선』, 진중권 엮음, 2009 [2009]
  • “魔幻神秘全息舞台剧《阿里郎大地之歌》兰 州预演, 매직 미스터리 홀로그램 무대극〈아리랑, 흙의 노 래〉란저우 프레스리허설"
    杨晨雨 《兰州日报, 란저우일보》, http://gansu.gansudaily.com.cn/system/2019/01/09/01711699 9.shtml [2019]
  • “大型全息舞台剧《阿里郎大地之歌》今晚兰 州首演, 대형 홀로그램 무대극〈아리랑, 흙의 노래〉오늘 밤 란저우 초연)"
    李超 《兰州日报, 란저우일보》, http://gansu .gansudaily.com.cn/system/2019/01/09/017117007.shtml [2019]
  • “中韩联袂打造大型全息舞台剧《阿里郎大地之歌》, 중한합작 대형 홀로그램 무대극〈아리랑, 흙의 노래〉"
    刘 俊海 《大公网, 대공넷》, http://www.takungpao. com/culture/237144/2019/0110/232316.html?from=timeline&is appinstalled=0 [2019]
  • Wolfhart Henckmann, “Atmosph re, Stimmung, Gef hl”, 松尾大 阿 部美由起譯, 「雰囲氣, 氣分, 感情」, 『カリタス』no. 14, 東京芸大美學硏究室, 2007.
  • Wolfgang Welsch, “Vorwort”, in: Wolfgang Welsch (Hrsg.), Die Aktualit t des sthetischen,
  • Wolfgang Welsch, “Das sthetische-ein Schl sselkategorie unserer Zeit?”, in: Wolfgang Welsch (Hrsg.), Die Aktualit t des sthetischen, M nchen, 1993.
  • Willem van Reijen, Walter Benjamin, 􋺷발터 벤야민: 예술, 종교, 역사철학􋺸, 김득룡 역
    Norbert Bolz 서광사 [2000]
  • Walter Benjamin,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in: Gesammelte Schriften I. 2, Unter Mitw. von Theodor W. Adorno und Gerschom Scholem, Hrsg von Rolf Tiedemann und Hermann Schweppenh user, Frankfurt am Main, 1991.
  • Walter Benjamin, “ ber einige Motive bei Bauddelaire”, in: Gesammelte Schriften, 1991.
  • Steve Dixon, Digital performance: a history of new media in theater, dance,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MIT press, 2007.
  • Samuel Weber, Mass Mediauras: Form, Technics, Media, Stanford UP, 1996
  • Roland Barthes, La chambre claire, Paris, Cahier du Cin ma Galimard Seuil, 1992.
  • Reiner Matzker, sthetik der Medialit t: Zur Vermittlung von k nstlerischen Welten und sthetischen Theorie, Hamburg, 2008.
  • Prometheus Global Media, Michael Jackson Hologram Performs at the 2014 Billboard Music Awards, MGM Grand Garden Arena, 2014.
  • Philosophieren mit Kant, 『칸트와 더불어 철학하 기』, 구승회 역
    Gernot Bohme 청하 [1993]
  • Phenomenologie de la perception, 『지각 의 현상학』, 류의근 역
    Maurice Merleau-Ponty 문확과지성사 [2004]
  • Patrice Pavice, 『수행성과 매체성 : 21세기 인문학의 쟁점』
    최준호 푸른사상 [2012]
  • Paolo Bianchi, Was ist (Kunst)?, in: Kunstform, Bd. 152, Oktober-Dezember 2000.
  • Oliver Bimber and Raskar Ramesh, Spatial augmented reality: merging real and virtual worlds, CRC Press, 2005.
  • Michael Hauskeller, “Vorwort”, in: Michael Hauskeller (Hrsg.), Was das Sch ne sei: Klassische Text von Platon bis Adorno, M nchen, 1999.
  • Medienphilosephie, 『미디어철학』, 이상엽․강웅 경 역
    Frank Hartmann 북코리아 [2008]
  • Medien sthetik-Zu Geschichte und Theorie audiovisueller Wahrnehmungsformen, 􋺷미디어 미학 : 시청 각 지각 형식들의 역사와 이론에 대하여􋺸
    Ralf Schnell 이론과 실천 [2005]
  • Max Herrmann, Das theatralische Raumerlebnis, Bericht vom 4. Kongre f r sthetik und Allgemeine Kunstwissenschaft, Berlin 1930.
  • Masahiro Mori, K.F. MacDorman, and N. Kageki, The uncanny valley. IEEE Robotics and Automation, 2012.
  • Masahiro Mori, Bukimi no tani (the uncanny valley), Energy 7, 1970.
  • Lemieux Pilon 4D art, Temporel, Canada, 2018.
  • Lemieux Pilon 4D art, Orfeo, Canada, 1998.
  • Lemieux Pilon 4D art, Norman : a Tribute to Norman McLaren, Canada, 2007.
  • Lemieux Pilon 4D art, La Belle et la B te, Canada, 2011.
  • L'acte photographique, 『사진적 행위』, 이경률 역
    Philippe Dubois 사진마실 [2005]
  • Karlheinz Barck, Peter Gente, Heidi Paris, Stefen Richter (Hrsg.), Aisthesis: Wahrenehmung heute oder Perspektiven einer anderen sthetik, Leipzig, 1990.
  • Grenzg nge der sthetik, 􋺷미학의 경계를 넘어: 현대 미학의 새로운 시나리오, 진단, 전망􋺸
    Wolfgang Welsch 심혜련 역 [2005]
  • Gernot B hme, Kants Kritik der Urteilskraft in neuer Sicht, Frankfurt am Main: Suhrkamp, 1999.
  • Gernot B hme, Atmosph re, Essay zur neuen sthetik, Frankfurt am Main: Suhrkamp Verlag, 1995
  • Gernot B hme, Architectural Atmospheres, Christian Borch, 2014.
  • Gernot B hme, Anmutungen, ber das Atmosph rische, Stuttgart: edition tertium, 1998; 梶谷眞司(外) 編譯, 『雰囲氣の美学』, 京都: 晃洋書房, 2006.
  • Gernot B hme, Aisthetik. Vorlesungen ber sthetik als allgemeine Wahrnehmungslehre, M chen, 2001.
  • Gernot B hme, Aisthetik, Vorlesungen ber shetik als allgemeine Wahrnehmungslehre, M nchen: Wilhelm Fink Verlag, 2001; 井村彰(外)譯, 『感覚学としての美学』, 東京: 勁草書房, 2005.
  • Edward Gordon Craig, “The Actor and the ber-Marionette” On the Art of the Theatre, London: William Heinemann, 1924.
  • Dream Works, How to Train Your Dragon Live Spectacular, USA, 2012.
  • Das Unheimlich. 􋺷예술, 문학, 정신분석􋺸, 정장진 역
    Sigmund Freud 열린책들 [2004]
  • Cirque du Soleil, Toruk : The First Flight, Canada, 2015.
  • Christian Borch, Atmospheres, Art, Architecture: A Conversation between Gernot B hme, Christian Borch, Olafur Eliasson & Juhani Pallasmaa, Basel, 2014.
  • Brigitte Scheer, Einf hrung in die philosophische sthetik, Darmstadt, 1997.
  • Ben Shneiderman,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Strategies for Effective Human-computer Interaction(3rd edn), (Reading, MA: Addison-Wesley, 1998).
  • Being Digital, New York: Knopf, 백욱 인 역, 『디지털이다』
    Nicholas Negroponte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995]
  • Andrew Benjamin, Charles Rice, “Introduction: Walter Benjamin and the Architecture of Modernity”, in: Andrew Benjamin, Charles Rice (ed.), Walter Benjamin and the Architecture of Modernity, Melbourne, 2009.
  • Alexander Gottlieb Baumgarten, sthetik, Hamburg: Felix Meiner Verlag, 2007.
  • Adrien Mondot & Claire Bardainne, Le mouvement de l’air, 2015.
  • Adrien Mondot & Claire Bardainne, Hakana , France, 2014.
  • Adrien Mondot & Claire Bardainne, Cin matique, France, 2010.
  • <아우라의 진화>
    심혜련 이학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