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오브제의 기호적 변환을 통한 욕망과 상실감 표현 연구 : 본인의 신형상회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Sense of Desire and Loss through Symbolic Changes of Objets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New Figurative Paintings

이지연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오브제의 기호적 변환을 통한 욕망과 상실감 표현 연구 : 본인의 신형상회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Sense of Desire and Loss through Symbolic Changes of Objets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New Figurative Painting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술 순수와 응용
  • 결핍된 욕망
  • 기호와 물질
  • 반복과 연속성
  • 상실감
  • 신형상회화(New Figurative Painting)
  • 실제(Reality)
  • 오브제
  • 외상(trauma)
  • 응시
  • 해체
  • 현상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96 0

0.0%

' 오브제의 기호적 변환을 통한 욕망과 상실감 표현 연구 : 본인의 신형상회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Sense of Desire and Loss through Symbolic Changes of Objets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New Figurative Paintings' 의 참고문헌

  • 철학사전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중원문화 [2012]
  •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 미술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한국사전연구사 [1998]
  • 데리다의 해체철학
    김형효 민음사 [1993]
  • 『홍준기, 라캉의 재탄생』
    김상환 창작과비평사 [2002]
  • 『현대미학특강』
    이주영 미술문화 [2018]
  • 『현대미술의 전략』
    최광진 아트북스 [2004]
  • 『현대미술과 모더니즘론: 형식주의, 맑시즘, 후기구 조주의,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
    Thomas Crowe 시각과 언어 [1995]
  • 『현대미술 다시보기: 모노크롬과 텅 빈 캔버스』
    Thierry de Duve 시 각과 언어 [1995]
  • 『현대미술 강의』
    조주연 글항아리 [2017]
  • 『클릭 서양미술사』
    Carol Strickland 예경 [2010]
  • 『전환기의 미술』
    오광수 열화당 [1975]
  • 『전자용어사전』
    이정일 일진사 [2003]
  • 『전기용어사전』
  • 『자크라캉 세미나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Jacques Lacan 새물결 [2008]
  • 『일상생활의 패러다임』
    강수택 민음사 [1998]
  • 『이미지와 욕망』
    신철하 한양대학교 출판부 [2012]
  • 『에리히 프롬읽기』
    박찬국 세창미디어 [2013]
  • 『아방가르드 예술론』
    Renato Poggioli 문예출판사 [1996]
  • 『신구상회화』
    Jean-Louis Pradel 열화당 [1988]
  • 『세계 명화 속 현대 미술 읽기』
    Thompson Jon 마로니에북스 [2009]
  •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새로운 예술의 탄생』
    Michel Ragon 정음사 [1974]
  • 『새로운 매체의 등장과 현대회화의 변화』
    정숙영 한국학술정보(주) [2010]
  • 『비판적 대중문화론』
    양건열 현대미학사 [1997]
  • 『미술철학사3: 해체와 종말』
    이광래 미메시스 [2016]
  • 『미술비평의 역사』
    Andr Richard 열화당미술책방 [2000]
  • 『문화이론과 문화읽기』
    원승룡 서광사 [2001]
  • 『문 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 『무엇이 예술인가』
    Arthur Danto 은행나무 [2013]
  •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 『모더니즘 이후 미술이 화두』
    Fredric Jameson 눈빛 [2007]
  • 『데리다의 해체주의』
    Jhon Llewelyn 문학과 지성사 [1988]
  • 『The Return of The Real』
    Hal Foster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3]
  • 『The American century: 현대미술과 문화 1950-2000』
    Lisa Phillips 지안출판사, [2008]
  • 『Nouveau Realisme』
    Daniel Abadi 열화당 [1988]
  • 『Art Since 1900』
    Hal Foster 세미콜론, [2010]
  • 『501 위대한 화가』
    Stephen Farthing 마로니에북스 [2009]
  • 『20세기 미술: The Story Of Modern Art』
    Norbert Lynton 예경 [1993]
  • 「현대미술이 바라본 슬픔의 파토스」
    박진아 월간미술 8월 [2003]
  • 「현대미술의 알레고리적 충동」
    권정임 월간미술 12월 [2003]
  •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주의: 로티와 리오타르」
    노양진 범한철학회논 문집<범한철학>, 제34호 [2004]
  • 「포스트-미디엄과 포스트프로덕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미술의 ‘동시대성’, 미술이론과 현장」
    정연심 제14호 [2012]
  •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New Painting특성」
    김순자 한국 의 류산업학회지 제14권(제6호) [2012]
  • 「카라 워커(Kara Walker, 1969∼)의 실루엣 작품연구: 1994∼ 1998년 작품을 중심으로」
    정희라 미술사문화비평 6권, [2015]
  • 「존재를 향한 욕망의 윤리」
    김 석 인문과학 제23집 [2011]
  • 「잉카 쇼니바레 작품의 혼종성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
    김인숙 한국과 학예술포럼, 제23호 [2006]
  • 「인종, 기원, 장애…‘열등’이 아니라 단지 ‘다를 뿐’」
    중기이코노미,http://ww w.junggi.co.kr/article/articleView.html?no=21259
  • 「이지연 개인전 「CONTINUITY 」
    갤러리밈, https://blog.naver.com/galler ymeme/221254884602
  • 「욕망이론-자크라캉」
    피노키오, https://blog.naver.com/e-rimrim/2 [2135]
  • 「외상적」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앤디워홀의 혼합매체를 통한 대중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오주환 한 국디자인트랜드 학회 [2014]
  • 「앤디 워홀 회화의 표면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1960년대 〈죽 음과 재난〉연작을 중심으로」
    이은이 현대미술사연구 제16집 [2004]
  • 「아르테 포베라의 형성에 미친 콘텍스트적 요인들」
    최병길 예술학, Vol.3, No.1 [2007]
  • 「실제」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신형상주의」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시뮬라크르」
    네이버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
  • 「미디어 아트(media art)」
    doopedia, http://www.doopedia.co.kr
  • 「미국 신표현주의의 힘과 정신」
    송미숙 월간미술 5월 [1993]
  • 「메르츠(Merz)」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막다른 골목에서 서양미술을 구하다」
    OhMyNews, http://www.ohmynews.com
  • 「리얼리티」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라캉의 응시이론과 재현의 전복」
    피종호 카프카연구 제29집 [2013]
  •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정리」
    무명, https://blog.naver.com/hobero 338/221331374730
  • 「디지털 시대의 예술가와 사회」
    정용도 월간미술 5월호 [2001]
  • 「그래픽 디자인 및 페이지 레이아웃 소프트웨어QuarkXPress」
    https:// blog.naver.com/jun55567/221561257319 [2018]
  • 「국제통화기금」
    네이버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
  • 「공상적 사회주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 「공공미술의 두 지점, 보로프스키와 올덴버그의 차이」
    webzinearco, http://www.arko.or.kr/webzine_new/sub3/content_3891.jsp
  • 「공간에 투사된 욕망 읽기」
    심상용 월간미술 8월 [2007]
  • 「게슈탈트 코칭」
    네이버지식 백과, https://terms.naver.com
  • 「거품경제」
    doopedia, http://www.doopedia.co.kr
  • 「Vivre et laisser mourir ou la fin tragique de Marcel Duchamp (Live and Let Die or the Tragic End of Marcel Duchamp)," Museo Nacional Centro de Arte Reina Sof a」https://www.museoreinasofia.es/en/colle ction/artwork
  • 「Screen Politics: Pop Art and the Atelier Populaire」, Tate gallary, My interpretation of this work is indebted to Jill Carrick’s article ‘The Assassination of Marcel Duchamp https://www.tate.org.uk
  • 「Robert Moskowitz」,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s://en.wikipedia.org
  • 「New Image Painting」, The artists, https://the-artists.org
  • 「Kara walker presenting negro scenes drawn upon my passage through the south and reconfigured for the benefit of enlightened audiences wherever such may be found by myself missus keb walker colore d」, THE RENAISSANCE SOCIETY, http://renaissancesociety.org /exhibitions
  • 「Celebrating Black History: Kara Walker」, Westbury Arts, https://westbu ryarts.org/celebrating-black-history-kara-walker
  • 「ART VIEW; The Painstaking Ambiguity Of Robert Moskowitz」, The N 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
  • Robert Storr , Philip Guston, New York, Abbeville Modern Masters, 1986
  • Marge Goldwater Curator. Walker Art Center, Jennifer Bartlett, Abbeville Press, 1985
  • Gwendolyn Dubois Shaw, Seeing the Unspeakable: The Art of Kara Walker, 2004
  • Daniel Spoerri, Wieland Schmied, Daniel Spoerri: Coincidence as Master. D. A.P. Distributed Art Publishers Ins., 2004
  • Craig F. Starr Gallery, Robert Moskowitz Window Shades, 1959~62, New York: Craig F. Starr Gallery, 2018
  • <혼성적 표현을 통한 현실 비판 연구>, 미술박사학위논문
    류지선 서 울대학교 [2012]
  •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박사 학위논문
    오세권 홍익대학교 [2004]
  • <반(反)미술로서 개념미술에 관한 연구-해체주의와의 의미연관 을 중심으로>, 철학박사 학위논문
    박수경 강원대학교 [2013]
  • <니체 철학에서 실재의 문제, 철학박사 학위논문>
    손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