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5세기 의존명사의 형태와 분포 = The Form and Distribution of Korean Bound Noun in 15th Century

서정호 2019년
논문상세정보
' 15세기 의존명사의 형태와 분포 = The Form and Distribution of Korean Bound Noun in 15th Centu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양3국 문학
  • 15세기
  • 분포
  • 의존명사
  • 형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7 0

0.0%

' 15세기 의존명사의 형태와 분포 = The Form and Distribution of Korean Bound Noun in 15th Century' 의 참고문헌

  • 􋺷우리말 이음씨끝의 통시적 연구􋺸
    리의도 어문각 [1990]
  • 􋺷용비어천가􋺸
    조규태 한국문화사 [2007]
  • 􋺷연결 어미의 형성에 관한 연구􋺸
    이용 역락 [2003]
  • 􋺷역주 지장경언해􋺸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9]
  • 􋺷역주 월인석보 제4􋺸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 􋺷역주 월인석보 제25 (하권)􋺸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 􋺷역주 월인석보 제25 (상권)􋺸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9]
  • 􋺷역주 월인석보 제21 (하권)􋺸
    한재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 􋺷역주 월인석보 제21 (상권)􋺸
    한재영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 􋺷역주 월인석보 제19􋺸
    남성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 􋺷역주 원각경언해하1의1 하1의2 7􋺸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5]
  • 􋺷역주 원각경언해상1의2 4􋺸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5]
  • 􋺷역주 원각경언해상1의1 2􋺸
    김동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하􋺸
    장영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 􋺷역주 선종영가집언해 상􋺸
    장영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 (하)􋺸
    김성주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5 (상)􋺸
    김성주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3 (하)􋺸
    김성주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7]
  • 􋺷역주 법화경언해 권7􋺸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3]
  • 􋺷역주 법화경언해 권5􋺸
    김무봉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법화경언해 권4􋺸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법화경언해 권3􋺸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김무봉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능엄경언해 제3․4􋺸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 􋺷역주 능엄경언해 제1․2􋺸
    김영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
  • 􋺷역주 남명집언해 하􋺸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남명집언해 상􋺸
    김동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2]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5􋺸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4􋺸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7]
  • 􋺷역주 금강경삼가해 제3􋺸
    이유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6􋺸
    김문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3􋺸
    김문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2􋺸
    남성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 􋺷석보상절 제23․24 연구􋺸
    김영배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9]
  • 􋺷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 (수정판)􋺸
    조규태 한국문화사 [2007]
  • 􋺷杜詩와 杜詩諺解 7􋺸
  • 􋺷杜詩와 杜詩諺解 6􋺸
  • 􋺷動名詞 語尾의 歷史的 變化 -􋺷舊譯仁王經􋺸과 􋺷華嚴經􋺸의 口訣 을 중심으로-」
    李丞宰 太 學社, 􋺷(素曲南豊鉉先生 回甲紀念論叢) 國語史와 借字表記􋺸, 215-252 [1995]
  • 􋺷副詞性 不完全名詞故考」
    王汶鎔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국어교육􋺸 49, 273-292 [1984]
  • 􋺷中世國語의 依存名詞 硏究􋺸
    黃慶洙 청운 [2002]
  • 􋺷中世國語口訣의 硏究􋺸
    安秉禧 一志社 [1977]
  • 􋺷(이화여자대학교 국어문화원 연구 총서 3) 한국어 분류사 연구􋺸
  • 􋺷(언해불전총서) 석보상절 권9􋺸
    이유기 정성준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8]
  •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姜信沆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 􋺷(學術叢書 第二輯) 금강경 언 해 주해􋺸
  • 􋺷(大學叢書 Ⅰ) 中世國語文法 -15世紀語를 主로 하여-􋺸
    李崇寧 乙酉 文化社 [1990]
  • 􋺷(國語學新書 2) 韓國語 依存名詞의 通時的 硏究􋺸
    李周行 한샘 [1988]
  • 􋺷(國語學叢書 4) 中世國語聲調의 硏究􋺸
    金完鎭 塔出版社 [1977]
  • 􋺷(國語學叢書 23) 依存名詞 ‘’의 文法化􋺸
    鄭在永 太學社 [1996]
  • 􋺷(國語學叢書 13) 國語活用語尾의 形態와 意味􋺸
    徐泰龍 탑출판사 [1988]
  • 􋺷(國語國文學叢書 第1輯) 語彙史硏究 5􋺸
    劉昌惇 宣明文化社 [1973]
  • 􋺷(國語國文學叢書 第1輯) 李朝國語史硏究 3􋺸
    劉昌惇 宣明文化社 [1973]
  • 「현대 국어 특수조사 연구 - 의존명사, 접미사와의 구분을 중심 으로」
    崔祐赫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현대 국어 의존명사의 의미 연구」
    안정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어 의존명사의 분포와 의미 기능 분석 -‘바’의 경우를 중심 으로-」
    禹亨植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 문화연구􋺸 11, 269-290 [2006]
  • 「타동사문에 나타나는 ‘줄’ 구성의 통시적 양상에 대한 일고찰 」
    李知英 韓國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46-2, 7-36 [2018]
  • 「중세․근대국어 의존명사 {줄}의 분포와 의미」
    홍사만 경 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嶺南學􋺸 3, 263-304 [2003]
  • 「중세․근대국어 어휘의미 연구(9) -의존명사 {}와 {줄}의 의미 분석-」
    홍사만 한국문학언어학회, 􋺷어문론총􋺸 38, 1-42 [2003]
  • 「의존명사 ‘둥’의 변천과 문법 기능 변화」
    정혜선 韓民族語文學會, 􋺷韓民族語文學􋺸 83, 133-157 [2019]
  • 「의존명사 ‘것’의 이형태 ‘거/걸’의 정립을 위한 시론」
    陳艶平 韓國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41-4, 55-79 [2013]
  • 「의존명사 ‘것’으로부터 도출된 몇몇 형식에 대한 고찰」
    이은섭 경희대학교 비교문학연구소, 􋺷비교문 화연구􋺸 41, 245-273 [2015]
  • 「역주 월인석보 제1」
    허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월인석보 제1․2􋺸 [1992]
  • 「역주 월인석보 서」
    허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월인석보 제1․2􋺸 [1992]
  • 「역주 석보상절 제13」
    김영배 세종대왕기 념사업회, 􋺷역주 석보상절 제13․19􋺸 [1991]
  • 「역주 석보상절 제11」
    김영배 세종대왕기 념사업회, 􋺷역주 석보상절 제6․9․11􋺸 [1991]
  • 「역주 석보상절 서」
    허웅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월인석보 제1․2􋺸 [1992]
  • 「언어 변화와 언어의 화석」
    宋喆儀 문학과 지성사, 􋺷(안병희선생 회갑기념논총)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352-370 [1993]
  • 「국어문법사 기술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
    李賢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과학연구부 어문연구실, 􋺷국어사 논의에 있어서 의 몇 가지 문제􋺸, 57-76 [1991]
  • 「국어 의존명사 {것}의 사적 연구」
    홍사만 한국문학언 어학회, 􋺷어문론총􋺸 38, 101-144 [2006]
  • 「국어 담화의 話者나 聽者를 위한 어미」
    徐泰龍 東 岳語文學會, 􋺷東岳語文論集􋺸 30, 21-42 [1995]
  • 「韓國語 複數標識 ‘들’에 對한 考察 -依存名詞 ‘들’을 中心으로-」
    崔允 韓國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46-4, 91-117 [2018]
  • 「韓國語 名詞類語의 名詞性 檢證」
    李善雄 韓國語文 敎育硏究會, 􋺷語文硏究􋺸 42-1, 37-62 [2014]
  • 「鄕歌注釋散稿 -上代語法에 關한 若干의 基本的見解-」
    梁柱東 震檀學會, 􋺷震檀學 報􋺸 10, 110-133 [1939]
  • 「語幹形成接尾辞의 設定에 對하여 -統辞論的機能과 관련하여-」
    高暢洙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複數性과 複數化」
    任洪彬 國民大學校 韓國學硏究所, 􋺷韓國學論叢􋺸 1, 179-218 [1979]
  • 「融合形의 形態分析과 形態의 化石」
    李承宰 탑출판사, 􋺷周時經學報􋺸 10, 59-80 [1992]
  • 「虛辭化考究」
    劉昌惇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人文科學􋺸 7, 1-23 [1962]
  • 「統辭的 派生에 대하여」
    任洪彬 서울大學校 語學硏 究所, 􋺷語學硏究􋺸 25-1, 167-196 [1989]
  • 「現代國語의 準自立形式에 對한 硏究」
    高永根 서울대 학교 어학연구소, 􋺷語學硏究􋺸 6-1, 17-55 [1970]
  • 「現代國語 依存名詞 ‘줄’의 統辭와 意味」
    吳珉錫 韓 國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43-1, 89-120 [2015]
  • 「接尾辭 ‘-mčik’에 對하여」
    李承旭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8, 13 2-141 [1957]
  • 「後期 近代國語의 依存名詞 硏究」
    王汶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名詞化素 ‘-기’」
    洪允杓 太學社, 􋺷(素曲南豊鉉先生 回甲紀念論叢) 國語史와 借 字表記􋺸, 637-646 [1995]
  • 「助詞에 의한 敬語法 表示의 變遷」
    洪允杓, 國語學會, 􋺷國語學􋺸 14, 75-98 [1985]
  • 「中世語의 形式名詞에 대하여」
    高永根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語學硏究􋺸 18-1, 83-100 [1982]
  • 「中世語의 不完全名詞에 대한 小考 -目錄 設定을 中心으로-」
    李周行 한국 국어교육 연구회, 􋺷 국어교육􋺸 51․52, 363-382 [1985]
  • 「中世國語의 「것」의 연구」
    李崇寧 震檀學會, 􋺷震檀學報􋺸 39, 105-138 [1975]
  • 「中世國語의 動名詞 硏究 --ㄴ, -ㄹ形을 中心으로-」
    金武峰 동국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1987]
  • 「中世國語의 依存名詞 硏究」
    金泰琨 濟州大學 校, 􋺷論文集􋺸 22(인문학편), 89-107 [1986]
  • 「中世國語 依存名詞 ‘’의 語尾化에 대한 硏究」
    鄭在永 한국외국어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1993]
  • 「中世國語 依存名詞 ‘이’에 關한 硏究」
    權五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 「中世國語 ‘이긔, 그긔, 뎌긔’에 대하여」
    金亮鎭 金裕範 震檀學會, 􋺷震檀學報 􋺸 92, 269-291 [2001]
  • 「不完全名詞의 統語論的 機能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姜成一 曉星女子大學出版部, 􋺷神父 全碩在博士 還曆紀念論文集􋺸, 1-28 [1976]
  • 「‘줄’ 구성의 통사적 분포 변화에 대한 고찰」
    이지영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8 2, 39-77 [2018]
  • 「‘이긔, 그긔, 뎌긔’에 대한 考察」
    趙宰亨 韓國 語文敎育硏究會, 􋺷語文硏究􋺸 38-1, 103-129 [2010]
  • 「‘음직하’ 구성의 형태․통사적 연구􋺸
    시정곤 한국어학 회, 􋺷한국어학􋺸 48, 193-221 [2010]
  • 「‘음직하’ 구성의 변천과정에 대한 통계적 접근」
    시정곤 한글학회, 􋺷한글􋺸 288, 5-42 [2010]
  • 「{}系分化語硏究-15~17世紀의 文献語를 中心으로-」
    申碩煥 계명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15세기 국어사 자료 연구」
    金武峰 東岳語文學會, 􋺷東岳語文論集􋺸 34, 91-119 [1999]
  • 「15世紀 國語의 依存名詞 硏究」
    李聖揆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15世紀 國語 文獻資料의 表記法 硏究」
    鄭宇永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國語硏究 第38號) 派生語形成과 音韻現象」
    宋喆儀 國語硏究會 [1977]
  • 「(國語硏究 第27號) 國語 處格에 대한 硏究 -統合上의 特徵을 中心으로-」
    朴良圭 國語硏究會 [1972]
  • 「(國語硏究 第21號) 十五世紀國語의 格硏究」
    洪允杓 國語硏究會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