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상담자의 가족건강성,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구조적관계 : 자기연민과 이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unselor: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Altruism.

이선화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상담자의 가족건강성,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구조적관계 : 자기연민과 이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unselor: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Altruis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집단 분석
  • 상담자
  • 이중 매개효과
  • 이타성
  • 자기 연민
  • 잠재평균 분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24 0

0.0%

' 상담자의 가족건강성,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구조적관계 : 자기연민과 이타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trengt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unselor: Focusing on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Altruism.' 의 참고문헌

  • 희망, 공감,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 가정 아동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철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 직무만족, 이직의도 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찬미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형제변인, 어머니-아동 간 의사소통유형 및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 과 아동의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
    고재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행동실천과 습관형성을 위한 교수전략
    정호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3), 115-132 [2014]
  •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Ⅱ(KFSS-Ⅱ) 개 발 연구
    김순기 유영주 이인수 최희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13-119 [2013]
  •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대학 생을 중심으로
    김경의 이금단 이우경 조용래 채숙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2008]
  •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최선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
    aks.ac.kr/ [2018]
  •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차경호 청 소년학연구, 11(3), 321-337 [2004]
  •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분석
    최윤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79-200 [2003]
  • 학교폭력의 방어자 역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손강숙 아주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학교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 의 조절효과
    박자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편부모가족 자녀의 의사소통과 특성불안에 관한 연구
    김갑숙 최선남 최외선 재활심리연구, 8(2), 191-207 [2001]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성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 및 탈진에 관한 연구
    이동주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초월영성: 상담자의 자애명상 경험 연구
    김영란 정영주 상담학연구, 9(4), 1851-1862 [2008]
  • 초보상담자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정경빈 가톨릭대학교 상 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행복감간의 관 계
    신명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경험과의 관계
    박영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초등교사의 희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주은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초등 교사들의 심리적안녕감 : 그 구조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양병한 敎育學硏究, 41(4), 13-309 [2003]
  • 청소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사회관계망 지지 지각
    윤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수혜와 지지제공의 심리적 효과
    이지연 청소년학 연구, 21(10), 245-268 [2014]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
    이정화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의 잠재평균분석
    이은설 홍세희 황매향 여성심리연구, 19(4), 1159-1177 [2005]
  • 청소년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미영 순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청소년상담자의 성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세일 경성대학교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청소년상담교육과정개발연구
    박재황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3]
  • 청소년 비행예방과 치유를 위한 치유인자에 대한 고찰 : 어떤 경험이 청소 년들을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하는가?
    정민 제주한라대학 논문집, 20, 83-99 [1996]
  • 직종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원과 직무스트레스에서의 차이
    탁진국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7(1), 125-141 [2002]
  •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 만족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태현 명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 지혜 및 자 기조절의 조절효과
    송정덕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직무스트레스 척도제작에 관한연구(Ⅰ)
    박한기 이종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4(1), 241-262 [1988]
  • 즐거운 SPSS 풀리는 통계학
    김준우 서울: 博英社 [2007]
  • 중학생의 학업성취 압력 지각과 공감능력이 심리적 안녕감 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미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중소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원, 직무 스트레스 및 조직 성과간의 관계
    곽원섭 이종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97-122 [2001]
  • 중년기 자기애성에 대한 분석과 이타성 함양을 위한 기독교상담 적 연구
    최은미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중년기 기혼 여성의 자아정체감이 부부친밀도 및 심리 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간의 비교-
    도민정 성윤주 가족과 상 담, 7(1), 81-98 [2017]
  • 정미라 임신기 부부의 원가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배우 자와의 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강수경 최지현 어린이 문학교육연구원, 16(3), 529-551 [2015]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도, 심리 적 소진과의 관계
    이기학 이현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83-102 [2009]
  • 전문상담교사의 상담활동과 직무만족도
    금명자 이미숙 정경미 중등교 육연구, 57(3), 113-132 [2009]
  • 재활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혜정 황경열 중복 지체부자유아교육, 47, 107-124 [2006]
  • 자아 존중감 및 내외 통제성과 심리적안녕감의 관계 : 20, 30대 성인 남녀를 중심으로
    하유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은정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자기자비가 타인자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이호준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자기자비가 타인의 안녕에 대한 관심에 미치는 영향
    박세란 인지행동 치료, 16(2), 187-212 [2016]
  • 자기자비가 자기조절과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박세란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자기연민과 타인연민, 마음챙김, 그리고 삶의 질
    김완석 박도현 신강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605-621 [2015]
  • 임상간호사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아대학교대학 원
    강수미 석사학위논문 [2015]
  • 인생의 봄과 가을: 중년의 심리 이해와 분석
    임경수 서울: 학지사 [2005]
  • 이혼가정 자녀의 스트레스 완충의 조절효과로써 부모 양 육태도와 유기공포
    이민규 정연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89-708 [2006]
  • 이타행동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규미 이선화 발달지원연구, 7(2), 87-108 [2018]
  • 의료기관의 고객만족 정책이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수 준에 미치는 영향
    박성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유방암 환자의 결혼만족도, 부부친밀감, 배우자지지와 신체증상 및 안녕감
    문지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937-950 [2016]
  • 원불교대사전 https://terms
    naver.com [2019]
  • 우울한 독거노인의 자기-자비 증진을 위한 통합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의 효과 : 주관적 삶의 질을 중심으로
    배미정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외모만족도와 사회적지지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거부민 감성의 매개효과
    공영길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완벽주의 경향을 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자비 단기개입 프로그 램 개발
    이수민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예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치료적 동맹 관계
    김수정 원광대학교 동 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여성상담자들이 경험하는 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현상학적연 구
    김정현 가족과상담, 4(1), 59-81 [2014]
  •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영숙 한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심리적안녕감과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 를 대상으로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2001]
  •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통합적 모델의 탐색
    김교헌 전겸구 한국심리 학회지: 건강, 1(1), 34-65 [1996]
  • 수용-전념 치료에서 과정변인이 불안에 미치는 매개효과
    이선영 고려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성폭력상담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가 자기위로능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민선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 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황윤정 이화 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상담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특징들
    조도현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혜정 대구대학교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상담자활 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민경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 공감방 식과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박빛나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상담자의 자기자비가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 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상담자 경력을 조절변인으로
    김은영 이유정 임채원 정주리 최승애 상 담학연구, 18(2), 61-80 [2017]
  • 상담자의 원가족건강성이 상담자 발달수준이 미치는 영 향에서 자기돌봄의 매개효과
    권혜영 조은숙 상담학연구, 19(4), 71-86 [2018]
  • 상담자의 애착,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 상담자활동 자기효능 감의 매개효과
    문수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상담자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한영민 인간이해, 23, 41-68 [2002]
  • 상담자의 소진(burnout)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이영란 숙명여자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상담자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미숙 대구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1]
  • 상담자 발달수준, 정서인식의 명확성, 자기자비 및 공감능력의 구 조적 관계
    이나은 인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상담자 발달과 관련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상관관계 메타분석
    정문주 조한익 상담학연구, 17(6), 141-164 [2016]
  • 상담의 실제 : 과정과 기법
    이규미 서울:학지사 [2017]
  • 상담심리학
    이장호 서울: 박영사 [2010]
  • 상담과 심리치료
    김충기 이재창 서울: 교육과학사 [1985]
  •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를 중심으로
    백미현 유현실 상담학연구, 13(6), 3191-3205 [2012]
  •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개인특성 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혁주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사회복지사의 심리적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
    간순옥 대 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심리적 분리, 가족체계유형이 직업가치관에 미 치는 영향
    유영미 진로교육연구, 21(2), 19-38 [2008]
  •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에 대한 메 타분석
    박병기 이종욱 최한희 아동교육학회지, 21(4), 275-296 [2012]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수준과 정서적 자율성이 청 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희숙 하정희 한국청소년연구, 18(2), 89-110 [2007]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개발
    양안숙 조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방송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안녕감과 소진에 미 치는 영향
    유정희 심리행동연구, 2(1), 97-114 [2010]
  • 박용두, 송미경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상담자 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의 성격과 조직 변인을 중심 으로
    강석영 배주미 양재원 청소년상담연구, 18(1), 73-92 [2010]
  • 마음챙김-자기자비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비판 성향을 지닌 대학생 을 대상으로
    강재연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마음챙김-자기자비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 대인관계문제 개선을 중 심으로
    허정 서강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이 타주의에 미치는 효과
    김경심 김영혜 이지연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3(3), 49-70 [2009]
  • 대학행정직 종사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대인관계능력에 관한 연구
    정경옥 광주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분리개별화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분리불안과 함입불안을 중심으로
    권혁철 오남경 이영순 한국재활심리연 구, 19(1), 85-102 [2012]
  •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기능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 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주현정 인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안 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권재환 김경희 인간발달연구, 21(4), 43-60 [2014]
  •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위안 과 자기공격의 매개효과
    신선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18(1), 596-606 [2018]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기자비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혜진 이 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안녕감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 과 검증
    김현주 교육종합연구, 13(4), 23-41 [2015]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
    한아름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대학생의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 자아존중감과 생활 스트레스와 의 관계
    최명숙 지역사회논문집, 38(2), 31-37 [2013]
  •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희망 및 행복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김미정 동아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학생들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 계
    안경숙 인제대학교대학원 가족소비자학 석사학위논문 [2006]
  • 대학생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김유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차영민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대학생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 자기 자 비의 매개효과 검증
    손슬기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Burnout)과 회복경험에 대한 질 적 연구
    최혜윤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대승불전에서 자비 개념의 전개 양상
    문을식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18(1), 167-190 [2012]
  •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김민정 이희경 社會科學硏究, 25, 49-67 [2009]
  • 기혼상담자의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환경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진희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기독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영적, 심리적안녕감에 미 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 매개효과-
    오윤선 복음과상담, 26(2), 155-184 [2018]
  • 기독 상담자의 심리 영적 안녕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최아람 한국성서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김민규 김주환 홍세희 서울: 커뮤니케이 션북스 [2009]
  •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서울: 학지사 [2009]
  •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홍세희 한국심리 학회지:임상, 19(1), 161-177 [2000]
  •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 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김정휘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관조적 자기-자비(Self-Compassion)와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된 통 제가능성에 따른 대처방식의 차이
    이현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관광종사원 직무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 구
    박시사 오상운 정병웅 조문수 관광레저 연구, 19(2), 205-224 [2007]
  • 공격성 및 분노대처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서수균 한국심리학회 지:임상, 31(3), 849-867 [2012]
  •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학령후기 아동의 성차를 중심으로
    박수정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심리적안녕감, 자기효능감 및 학교 생활적응의 관계
    이나경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고등학교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이 정신건가에 미치 는 영향
    신필순 탁진국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110-122 [1999]
  • 건강한 가족을 위한 가족원의 역할
    유영주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 집. 12, 25-42 [1994]
  •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 심으로
    유계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2004]
  • 간호조직문화, 직장내 괴롭힘, 병원폭력에 대한 태도가 간소하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심희숙 안성윤 이윤주 한국융합학회논문 지, 9(10), 589-597 [2018]
  •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김현정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어은주 유영주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1995]
  • 가족상담자의 상담관련 전문성이 부부관계와 가족의 심 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
    김수지 정문자 상담 학연구, 11(3), 1289-1303 [2010]
  •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유영주 한국가족 관계학회지, 9(2), 119-151 [2004]
  •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여가 활동의 효과
    천혜정 한국가족자원경 영학회지, 8(2), 1-13 [2004]
  • 韓國大學生의 스트레스現況과 認知-行動的相談의 效果
    최해림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6]
  • 自我分化水準이 夫婦葛藤에 미치는 影響
    금온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6]
  •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정남운 최혜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279-300 [2003]
  • “대학생의 가족 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자아 탄력 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김민경 청소년문화포럼, 29, 34-57 [2012]
  • “국내외 HRD 연구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이현응 HRD연 구, 16(3), 225-249 [2014]
  • Yerkes, R. M., & Dodson, J. D. (1908). The relation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formation.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and Psychology, 18 , 459-482.
  • Wittmer, J. (2000). Managing your school counseling program: K-12 development strategies(2nd ed.) . Minneapolis, MN: Educational Media Corporation.
  • Wei, M., Mallinckrodt, B., Larson, L. A., & Zakalik, R. A. (2005). Attachment, depressive symptoms, and validation from self versus othe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368–377.
  • Wei, M., Liao, K. Y., Ku, T., & Shaffer, P. A. (2011). Attachment ,Self-Compassion, Empath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mmunity Adults. J ournalofPersonality, 79, 191-221.
  • Wee 프로젝트 사업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CR2011-31)
    김인규 한국교 육개발원 [2011]
  • Wampold, B. E.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Mahwah, NJ: Erlbaum.
  • Walsh, F. (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Innovative pt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ns, 51, 130-137
  • Walsh, F. (1993). Conceptualization of normal family processes (pp. 3-69). In F. Walsh (ed.), Normal family processes (2nd. ed.). NY: Guilford Press.
  • Twelve steps to a compassionate life. NY :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자비를 말하다. (권혁 역, 2012)
    Armstrong, K. 서울:돋을 새김 [2010]
  • The mindful path to self-compassion: freeing yourself from destructive thoughts and emotions. 나를 위한 기도 셀프 컴패션. (한창호역
    Germer, C. K. 2011) 서울: 아름드리미디어 [2009]
  •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9). NIOSH Office of mine safety and health research. Pittsburgh, PA:U.S.
  •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3rd ed.). NY: Harper Collins.
  • Stinnett, N., & Sauer, K. H. (1977). Relationship char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 15, 159-166.
  • Stinnett, N. (1985). Six qualities that make families strong. In G. Rekers (Ed.), Family builing (pp. 35-50). Ventura, CA: Regal.
  • Stinnett, N. (1982). Familystrengths (Vol.4) : Positivesupport systems. Lincoln, NE:University of NebraskaPress. Stinnett, N., DeFrain, J., King, K., Lingren, H., Van Zandt, S., & Williams, R. (Eds.).
  • Stine, R. (1989). An Introduction to Bootstrap Methods: Examples and Idea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8(2-3), 243-291.
  • Song, X. Y., Lu, Z. H., Hser, Y. I., & Lee, S. Y. (2011). A Bayesian Approach for Analyzing Longitudin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 ournal, 18(2), 183-194.
  • Skovholt, T., & Ronnestad, M. H. (1992).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 and themes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NY: Wiley.
  • Skovholt, T M. (2001). The Resilient practitioner . MA:Allyn & Bacon.
  • Selye. H. (1974). Stress without distress. Philadelphia, PA: J.B.Lippincott.
  • Selye, H. (1979). The stress concept and some of its implications. In V. Hamilton and D. M. Warburton(Eds.) Human stress and cogni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NY: Wiley.
  • Selye, H. (1956). The stress of life. NY: McGraw-Hill.
  • Sears, S. F. Jr., Urizar, G. G. Jr., & Evans, G. D. (2000). Examining a stress-coping model of burnout and depression in extension agents. J 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56-62.
  •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organiz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 Schmutte, P. S., & Ryff, C. D. (1997). Personality and well-being: Reexamining methods and mean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549-559.
  • Schermerhorn, J. R., Hunt, J. G., & Osborne, R. N. (1997). Organizational Behavior. London:John Wiley and sons Inc.
  • Schaffer, D. R.(1993). Development psychology : Childhood and adolescence . (3rd Ed.) . California:Brooks/Cole.
  • S derfeldt, M., S derfeldt, B., & Warg, L.-E. (1995). Burnout in Social Work. Social Work, 40(5), 638-646.
  • Ryff, C. D., & Keyes, C. L.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f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 Ross, R. R., Altmaier, E. M., & Russell, D. W. (1989).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ing center sta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64-470.
  • Romano, J. L. (1984). Stress management and wellness: Reaching beyond the counselor's office. Personnel & Guidance Journal, 62(9), 533-537.
  • Rogers, C. R. (1986). Reflection of feelings and transference. Person-Centered Review. 1, 375-377.
  • Ro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London: Constable.
  • Raquepaw, J. M., & Miller, R. S. (1989). Psychotherapist burnout: A componential analysi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1), 32-36.
  • Quick, J. C., & Quick, J. D.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preventive management. NY: McGraw-Hill Book Co.
  • Program 1 구조방정식 모형: 조급
    홍세희 홍세희 교수의 고급연구방법 론 워크샵 자료 [2011]
  • Pope, K. S., & Tabachnick, B. G. (1994). Therapists as patients: A national survey of psychologists' experiences, problems, and belief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5(3), 247-258.
  • Pepping, C. A., Davis, P. J., O., Donovan, A., & Pal, J. (2015).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compassion: The role of attachment and experiences of parenting in childhood. Self And Identity, 14(1), 104-117.
  •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77.
  • Otto, H. A.(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 Olson, D. H., & Defrain, J. (2003). Marriages and families (4th ed.). Boston: McGraw-Hill
  • Olson, D. H., & DeFrain, J. (2000).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3rd ed.). Mountain View, CA, US: Mayfield Publishing Co.
  • O'Halloran, T. M., & Linton, J. M. (2000). Stress on the job: Self-care resources for counselor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22(4), 354-364.
  • O'Connor, M. F. (2001). On the etiolog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nal distress and impairment among psychologists. Professi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2(4), 345-350.
  • Neff, K. D., Kirkpatrick, K. L.,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 225–240.
  • Neff, K. D., & Lamb, L. M. (2009). Self-compassion. In S. Lopez(Ed.). The encyclopedia of Positive Psychology(pp.864-867). Black well Publishing.
  • Neff, K. D., & Germmer, K. (2018). The Mindful Self-Compassion Workbook: A Proven Way to Accept Yourself, Build Inner Strength, and Thrive. NY : Guilford Publications.
  • Neff, K. D., & Germmer, K. (2013). Self-Compassion in Clinical practice. J 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8), 856-867.
  • Neff, K. D., & Dahm, K. A. (2015). Self-Compassion: what it is, what it does, and how it relates to mindfulness. appear M. Robinson, B. Meier & B. Ostafin(Eds.).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NY: Springer.
  • Neff, K. D. (2003b).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2(3), 223-250.
  • Neff, K. D. (2003a).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 Musick, M. A., & Wilson, J. (2003). Volunteering and depression: The rol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in different age groups. Social Science & Medicine, 56, 259-269.
  • Moore, K. A., & Cooper, C. L. (1996). Stress in mental health professional: A theoretical overview. The International J ournal of Social Psychiatry, 42, 82-89.
  • Miller, A. (1993). Who are the best psychotherapist.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12, 1-18.
  • McWilliams, A. (2001).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theory of the film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6(1), 117-127.
  • McGrath, J. E. (1976). Stress of behavior in organiza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 McDonald, R. P., & Ho, M.-H. R. (2002). Principles and practice in report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Psychological Methods, 7, 64-82.
  • McCubbin, M. A., & McCubbin, H. I. (1996). Resiliency in families: A conceptual model of family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response to stress and crisis. In H. McCubbin, A. Thompson, & M.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1-64).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 McCann, I. L., & Pearlman, L. A. (1990).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31-149.
  •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 Maslach, C., & Jackson, S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2), 99-113,
  • Maslach, C., & Jackson, S. E. (1982). Burnout in health profession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In Sanders, G.S. and Suls, J., Eds., Social Psychology of Health and Illness, Erlbanm, Hillsdale, 227-251.
  • Macho, S., & Ledermann, T. (2011). Estimating, testing, and comparing specific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phantom model approach. Psychological Methods, 16 (1), 34-43.
  • MacCallum, R. C., Roznowski, M., & Reith, J. (1994). Alternative strategies for cross-validation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9, 1-32.
  • Linley, P. A., & Joseph, S. (2007). Therapy work and therapists' positive and negative well-being. J 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6(3), 385–403.
  • Limberg, D., Ohrt, J. H., Barden, S. M., Ha, Y. S., Hundley, G., & Wood, A. W. (2015). A Cross-Cultural Exploration of Perceptions of Altruism of CounselorsinTraining. Counseling and Values, 60(2), 201-217.
  • Limberg, D., Lambie, G., & Robinson, E. H.(2016). The Contribution of School Counselors' Altruism to Their Degree of Burnout.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20(1), 127-138.
  • Leung, K. H., & Ma, S. L. (1995). Partial Difference Sets with Paley Parameters. Bulletin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27(6), 553 –564.
  •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Allen, A. B.,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 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887-904.
  •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 Lambett, M. J., & Bergin, A. E.(1983). Therapist characteristics and their contribution to psychotherapy cotcome. In C.E. Walker(Ed). the handbook of clinical psychology, 1, 205-241. Horrlywood: Dow Jones Iriwin.
  • Krebs, D. L. (1987). The challenge of altruism in biology and psychology. Sociobiology and psychology: Ideas, issues, and applications, 81-118.
  • Klingman, A. (2002). Children under stress of war. In A. M. LaGreca, W. K. Silverman, E. M. Vernberg, & M. C. Roberts(Eds.), Helping children cope with disasters and terrorism(pp.359-380).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ition ed.). NY: The Guilford Press.
  • Kishon-Barash, R. Midlarsky, E., & Johnson, D. R. (1999). Altruism and the Vietnam war veteran: The Relationship of Helping to Symptomatology. J ournal of Traumatic Stress, 12(4), 655-662.
  • Kerr, M. H., Beck, K., Shattuck, D. T., Katter, C., & Uriburu, D. (2003). Family involvement, problem and prococial behavior outcomes of latino youth. American J ournal of Health Behavior, 27(1), s55-s65.
  • Kenny, D. A., & McCoach, D. B. (2003). Effect of the number of variables on measures of fi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3), 333-351.
  • Kalat, J. W., & Shiota, M. N. (2007). Emotin. CA: Thomason Wadsworth.
  • Jex, S. M., Adams, G. A., Bachrach, D. G., & Sorenson, S. (2003). The Impact of Situational Constraints, Role Stressors, and Commitment on Employee Altruism.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8(3), 171-180.
  • Janssens, J. M. A. M., & Dekovic, M. (1997). Child rearing,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behavior. International J ournal of Bebavioral Development, 20, 509-527.
  • Ivancevich, J. M., & Matteson, M. T. (1980). Optimizing human resources: A case for preventive health and stress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9, 5-25.
  •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54.
  •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J 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1(2), 213-218.
  • Hollingsworth, M. A. (1993). Responses of female therapists to treating adult female survivors of ince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estern Michigan University, MI.
  • Hoffman, M. L. (1994). The contribution of empathy to justice and moral judgment. In Puka, B. (Eds), Moral development : A compendium. (pp.161-195). NY:Garland publishing.
  • Hoffman, M. L. (1975). Moral internalization, parental power, and the nature of parent-child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11(2), 228-239.
  • Hart, T. E. (1988). Long-range planning. school districts prepare for the future. Oregon School Study Council, 31(5).
  • Goldenberg, H., & Goldenberg, I. (2001). Family Therapy:An Overview.
  • Gilbert, P. (2009). Introducing compassion focused therapy.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15, 199-208.
  • Gilbert, P. (2005). Compassion and cruelty: A biopsychosocial approach. In P. Gilbert (Ed.), Compassion: Conceptualisations, research and use in psychotherapy (pp. 9–74). London: Routledge.
  • Galton, L. (1983). Coping with executive stress : Executive health examiners, NY:McGrqw-Hill
  • Fuertes, F. C., & Jim nez, M. L. V. (2000). Motivation and bourout in volunteerism. Psychology in Spain, 4(1), 75-81
  • French, J. R., & Caplan, R. D. (1972). Occupational stress and individual strain. In A. J. Marrow(Ed.), The failure of success, 30-66. NY: Amacon.
  • French, J. R. P. (1963). The social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J ournal of Social Issues, 19(4), 39–56.
  •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Y: Brunner/ Mazel.
  • Farber, B. A., &Heifetz, L. J. (1982). The process and dimensions of burnout in psychotherapists. Professional Psychology, 13(2), 293-301.
  • Familientherapie in Aktion: die Konzepte von Virginia Satir in Theorie und Praxis. Satir, V., & Baldwin, M.(Eds). 아름다운 가족. (나경범 역, 2003)
    Satir, V. 서울:창조문 [1988]
  • Erikson, E. (1994). The life cycle completed. NY:Norto & Company.
  • Eisenberg, N., & Valiente, C. (2002). Parenting and children's prosocial and moral development. In Bornstein, M. H. (Ed.), Handbook of parenting :Vol.5:Practical issues in parenting(2nd ed, pp.111–142). Mahwa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Eisenberg, N., & Mussen, P. H. (1989).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isenberg, N., & Miller P. A. (1987).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101, 91-119.
  • Eisenberg, N. (1986). Altruistic emotion, cognition, and behavior. Hillsdale, NJ: Erlbaum.
  • Eberly, M. B., & Montemayor, R. (1999). Adolescent affection and helpfulness to ward parents : A2‐yearfollow‐up. The J ournal of Early Adolescence, 19, 226–248.
  • E. C. (2002). Guidance on work-related stress -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https://www.stress.org/wp-content/uploads/2011/11/Guidance2520on252 0work-realted2520stress.pdf
  • Dunn, R., Callahan, J. L., & Swift, J. K. (2013). Mindfulness as a transtheoretical clinical process. Psychotherapy, 50(3), 312-315.
  •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 Delia, C., & Patrick, T. (1996). Stress in clinical psychologists. The international Hournal of Social Psychiatry, 42, 141-149.
  • DeFrain, J., & Asay, S. M. (2007) Strong families around the world: An introdution to the family strengths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wiew, 41(1/2), 1-10.
  • DeFrain, J. (2013). A strengths-based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amily violence worldwide. In Asay, S. M., DeFrain, J., Metzger, M., & Moter, B.(Eds). Family violence from a global perspective: A strengths-based approach. CA:SAGE.
  • DeFrain, J. (1999). Strong families. Family Matters, 53, 6-13.
  • Dalai Lama, XIV. (2003). Lighting the path: The Dalai Lama teaches on wisdom and compassion. South Melbourne, Australia : Thomas C. Lothian.
  •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 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confirm a 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 Corey, M. S., & Corey, G. (2002). Becoming a helper. Pacific Grove, CA : Brooks/Cole.
  • Corey, G. (2006). Integrating spirituality in counseling practice. In G. Waltz, J. Bleurer & R. Yep (Eds.), VISTAS: Compelling Perspectives on Counseling (pp. 117-119). Alexandria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 Corey, G. (1996).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4th ed.). PacificGrove, CA:Brooks/Cole.
  • Cooper, C. L., & Marshall, J. (1976)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ournal of Ocuupational Psychology, 49, 11-28.
  • Cooper, C. L. (1983). Identifying stressors and work : Resentresearch. Developm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 369-376.
  • Comte, I. A. (1851). System of positive policy(Vol.1). London: Longman, Green, & Co.
  • Compassion in buddhist psychology. In wisdom and compassion in psychotherapy: deepening midfulness in clinical practice. 불교심리학에서의 연민심. (서광스님, 김나연 역, 2014)
    Makransky, J. 서울: 학지사 [2012]
  • Coleman, J. C. (1980). Abnormal psychology and modern life. Glenview, IL:Scott/Foreman.
  • Cohen, R. (1978). State foundations: a controlled comparison. In Cohen, R., & Service, E. R.(eds) Origins of the state(pp. 141-160). Philadelphia:ISHI.
  •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Cheung, M. W. L. (2007). Comparison of approaches to construc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mediating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 ournal, 14(2), 227-246.
  •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233 –255.
  • Caplan, R. D. (1983). Person-environment fit: Past, present and future. In Cooper, D. L.,(Ed) Stress Research. (pp. 35-78), London:Wiley.
  • Cantazaro, A., & Wei, M. (2010). Adult attachment, dependence, self-criticism, and depressive symptoms: A test of a meditational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78, 1135–1162.
  •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 so f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Sage.
  • Borgonovi, F. (2008). Doing well by doing goo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 volunteering and self-reported health and happiness. Social Science & Medicine, 66, 2321-2334.
  • Boomsma, A. (2000). Reporting analyses of covariance structu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3) , 461-483.
  • Boellinghaus, I., Jones, F. W., & Hutton, J. (2013). Cultivating self-care and compassion in psychological therapists in training: The experience of practicing loving-kindness meditation. Training and Education in Professional Psychology, 7(4), 267-277.
  • Bentler, P. M., & Chou, C. P.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16, 78-117.
  •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 Beehr, T. A., & Newman, J. E. (1978). Job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ss : Afact analysis, model, and literatu review. Personal Psychology, 31, 665-673.
  • Batson, C. D. (1998). Altruism and prosocial behavior. In Gilbert, D. T., Fiske, S. T., & Lindzey, G. (Eds.),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pp. 282-316). NY, US: McGraw-Hill.
  • Bar-Tal, D. (1986). Altruistic motivation to help: Definition, utility and operationalization. Humboldt J ournal of Social Relations, 13(1-2), 3-14.
  • Bar-Tal, D. (1976). Prosocial behavior: Theory and research. NY: Halsted Press.
  •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 긍정심리학: 진정 한 행복 만들기. (김인자 역, 2006)
    Seligman, M. E. P. 경기: 물푸레 [2004]
  • Arafa, A. M., Mervat, W. A. N., Hahla, K. I., & Ashraf, A. (2003).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nurses in alexandria, Egypt. Internationa Journal of Nursing Practice. 9(5), 313-320.
  •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배병렬 서울: 청람 [2013]
  • 2016 연간보고서
  •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연구방법의 실제
    문수백 서울: 학지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