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근대 시기 국어 품사 체계 형성 연구 = A Study on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Part of Speech System in Modern Period

주현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근대 시기 국어 품사 체계 형성 연구 = A Study on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Part of Speech System in Modern Period'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본어문법서
  • 한국어 문법서
  • 한국어 학습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 0

0.0%

' 근대 시기 국어 품사 체계 형성 연구 = A Study on Foundation of Korean Language Part of Speech System in Modern Period' 의 참고문헌

  • 히데아끼, 서상규, 「일본의 ‘문법(文法)’과 문법 용어의 형성—근 대 한일 문법 교섭사 규명을 위한 기초 연구」
    오오이 「한글 307」한글학회 [2015]
  • 히데아끼, 「20세기 초 한국어 문법 형성사 연구-일본 문법 과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오오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85]
  • 일본국립국회도서관 근대자료 : http://kindai
    ndl.go.jp/
  • 일본 서지 자료 : http://webcatplus
    nii.ac.jp/
  • 우리말본
    최현배 우리말본 최현배 [1937]
  • 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제이앤씨
  • 레이코,「개화기 일본인 대상 한국어 학습서 연구 –명사 어휘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이시즈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3]
  • 다카시(三ツ井崇)
    미쓰이 「‘언어문제’에서 본 한국 근대사-교육 정책과 언어운동의 측면에서」한국학연구 제22집 [2010]
  • 다카사키 소지, 이규수 역,『식민지조선의 일본인들』
    역사비평사 [2006]
  • 근대서지 근대화상 데이터베이스 : http://base1
    nijl.ac.jp/
  • 韓語通前間恭作1909
  • 韓語文典高橋亨1909
  • 韓語入門宝迫繁勝1880
  • 韓英文法(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언더우드(H.G
    Underwood) 1890
  • 鈴木一(2001), 「松下大三郎の「章句論」「句法論」について-『中學教程 日本文典』,『日本俗語文典』を中心に」, 國學院雜誌, 國學院大學.
  • 現行朝鮮語法
    정국채 現行朝鮮語法정국채 [1926]
  • 浅野信(1976),「松下大三郎著・徳田政信編,復刻版『改撰標準日本文法』」, 國學院雜誌, 國學院大學.
  • 河野六郞(1964),『日本に於ける朝鮮語硏究史槪觀』, アジア アフリカ文獻調 査委員會.
  • 櫻井義之(1979),『朝鮮硏究文獻誌明治大正編』, 龍溪書舍.
  • 標準日本文法松下大三郎1924
  • 植田晃次(2007),『日本近現代朝鮮語敎育史』, 硏究成果報告書.
  • 枡岡正浩(1993),「国語学史における松下大三郎--業績と人間像」塩沢重義, 國學院雜誌, 國學院大學.
  • 朝鮮語發音及文法
    이완응 朝鮮語發音及文法이완응 [1926]
  • 朝鮮語文法(Grammaire Cor enne) 리델(F. C
    Ridel) 1881
  • 朝鮮語學講義要旨
    박승빈 朝鮮語學講義要旨박승빈 [1931]
  • 朝鮮語學
    박승빈 朝鮮語學박승빈 [1935]
  • 朝鮮語典
    김희상 朝鮮語典김희상 [1911]
  • 朝鮮文法
    안 확 朝鮮文法안 확 [1917]
  • 日本文法講義山田孝雄1922
  • 日本文法論山田孝雄1908
  • 日本文典中根淑1876
  • 日本小文典田中義廉1877
  • 斎藤倫明(2010),『山田文法の現代的意義』, ひつじ書房.
  • 徳田正信(1983),『近代文法図説』, 明治書院.
  • 廣日本文典大槻文彦1897
  • 山田寛人(2004),『植民地朝鮮における朝鮮語奨励政策 朝鮮語を学んだ日本      人』,不二出版.
  • 山田孝雄(1950),『日本文法學要論』, 角川書店.
  • 小倉進平(1940),『增訂朝鮮語學史』刀江書院.
  • 大韓文典
    유길준 大韓文典유길준 [1908]
  • 大韓文典
    유길준 大韓文典유길준 [1909]
  • 國語法要說橋本進吉1935
  • 國語文法
    주시경 國語文法주시경 [1910]
  • 國文文法
    주시경 주시경 國文文法주시경 [1905]
  • 古田東朔(1959),「田中義廉「小学日本文典」の拠つたもの-明治初期洋風文 典原典考3」,國學院雜誌, 國學院大學.
  • 古田東朔(1959),「中根淑『日本文典』の拠ったもの」,國學院雜誌, 國學院大學.
  • 口語法大槻文彦1916
  • 修正朝鮮文法
    안 확 修正朝鮮文法안 확 [1923]
  • 仁田義雄(1982), 「明治初期の洋式文典における品詞分類」, 京都教育大学紀要.
  • 『歷代韓國文法大系: 總索引. 別冊』
    고영근 김민수 하동호 박이정출판사 [2009]
  • 『주시경연구』
    김민수 탑출판사 [1977]
  • 『일본인의 한국어연구 자료집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전형식 보고사 [2006]
  • 『신국어학사』
    김민수 일조각 [1974]
  • 『명치시기 일본어 한어 학습서 연구 - 『교린수지』
  • 『근대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
    이강민 역락 [2015]
  • 『국어학연구사』
    고영근 학연사 [1985]
  • 『국어학사』
    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 『국어학개설』
    이희승 민중서관 [1955]
  •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1986]
  • 『국어학 발전사-현대국어학편』
    권재선 우골탑 [1986]
  • 『국어문법의 연구』
    고영근 탑출판사 [1983]
  • 『국어문법연구. 3, 한국어 품사 연구』
    이광정 역락 [2008]
  • 『국어문법사연구』
    강복수 형설출판사 [1974]
  • 『국어문법론연구』
    김민수 통문관 [1960]
  • 『국어 품사론』
    최웅환 역락 [2016]
  • 『朝鮮語學習書の變遷』
    梶井陟 「三千里」, 제16호 [1978]
  • 『日本語文法論』
    김공칠 학문사 [1995]
  • 「현대 일본 학교문법의 성립 과정 고찰-품사명과 분류 체계 를 중심으로」
    윤영민 연세대학교 [2017]
  •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고경민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적 변천」
    이지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 제학술발표논문집 [2004]
  • 「학범 박승빈의 용언 분석과 표기 원리」
    최호철 BK21 고려대학교 한국학교육연구단 [2004]
  • 「조선어 학습서에 나타난 국어사적 특징과 일본어 간섭 현상」, 「우리말연구 14」
    유동석 차윤정 우리말학회 [2004]
  • 「일본인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에 대한 고찰-1890∼ 1945년에 간행된 교재를 중심으로」
    박기영 채숙희 『이중언어학』, 34호 [2007]
  • 「일본에서의 한국어 연구사와 한일어 대조연구」, 「어문학 87집」
    홍사만 한국어문학회 [2005]
  •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朝鮮語연구」
    오대환 연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근대 이후 간행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의 변천과정과 문법 내용 연구」
    주현희 채영희 우리말연구, 45 [2016]
  • 「근대 시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음운 현상 기술에 대한 연구」
    김희섭 주현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7 [2016]
  • 「개화기 일본인 간행한 한국어 학습서의 문법항목 연구」, 「배달말 57」
    윤영민 배달말학회 [2015]
  • 「개화기 일본인 간행 한국어 문법서에 대한 일고찰:『韓語 通』의 품사 설정과 문법 항목 기술을 중심으로」
    윤영민 연세대학교 [2016]
  • 「개화기 다언어 학습서와 근대 한일 양국어」,「일본 학보 104」
    이강민 한국일본학회 [2015]
  • 「개항이후 학제 도입 이전까지의 한국근대 학문론 과 어문문제」
    최영철 허재영 『인문과학연구40』,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2014]
  • 「개신교 선교사 한국어교육의 형성과 전개에 대한 사적 연 구」
    박새암 한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2017]
  • 「韓.日文法論の比較硏究: 山田孝雄文法と崔鉉培文法を中心 に」
    이흥복 한양대학교 [1990]
  • 「近現代期日本文法書に用いられた「文法」-「文法」の概念と 定義」
    윤영민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 「近代日本の「国語」と大槻文彦の言語観」,「일본문화학보 74」
    邢鎭義 한국일본문화학회 [2017]
  • 「江戶時代と明治時代の日本にぉける朝鮮語の硏究」
    류상희 成甲書房 [1980]
  • 「明治後期における朝鮮語会話書の特徴とその日本語」
    성윤아 『日本語研 究』29집 [2010]
  • 「日本語資料としての朝鮮語会話書〔明治前期〕」
    성윤아 『日本語研 究』,4권 2호 [2008]
  • 「日本文法論에서의 品詞分類에 대한 比較考察」
    배상웅 경상대 학교 교육대학원 [2009]
  • 「日本文法論における品詞分類の比較考察: 橋本文法と松下 文法を中心に」
    배종옥 漢陽大學校 [1992]
  • 「山田孝雄に関する一考察」, 「일본문화학보 44」
    邢鎮義 韓有善 한국일본문화학회 [2010]
  • 「小倉進平の韓国語研究-日帝強占期の韓国人研究者との比較 を中心として」
    최성옥 韓國外國語大學博士學位論文 [2009]
  • 「大正時代における朝鮮語会話書の特徴-日本人の朝鮮語学習の 意味」
    성윤아 『日本学報』,97집 [2013]
  • 「19세기 국어에 대한 종합적 검토」, 「국어국문학 149」
    민현식 국어 국문학회 [2008]
  • 「1930년대 전반기 민족어 규범 형성과 철자법 정리 통일운 동」
    임동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909년刊『大韓文典』의 품사명 도입에 대한 연구-江戸와 明治기 간행일본어문법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윤영민 연세대학교 [2017]
  • -1986),『역대한국문법대계』
    고영근 김민수 하동호 탑출판사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