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한 공간도량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 및 개념화 연구

권희정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중·한 공간도량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 및 개념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Asymmetry
  • Conceptual Metaphor
  • Conceptual Metonymies
  • Spatial word
  • conceptuali-zation
  • embodiment
  • image schema
  • measurement word
  • opposing pair
  • 개념적 은유
  • 개념적 환유
  • 개념화
  • 공간어
  • 대립쌍
  • 도량형용사
  • 비대칭성
  • 신체화
  • 영상 도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70 0

0.0%

' 중·한 공간도량 형용사 의미 대응 관계 및 개념화 연구' 의 참고문헌

  • 李艶 仝國斌, 「量度形容詞的性質和狀態表達」『殷都學刊』2014(4).
  • 李洁, 「從認知角度分析“遠、近”」, 『文史縱橫』, 2010(2).
  • 李東海, 「淺論空間量度形容詞的句法特點」, 『長江學術』, 2008(4).
  • 陸儉明, 「說量度形容詞」, 『語言敎學與硏究』, 1989(3).
  • 劉叔新 李行健, 정헌철 송상미 역, 『현대중국어 어휘학 입문』
    서울: 학고방 [2003]
  • 홍기선, 「공간 차원 형용사의 대립 관계 연구」
    박선영 『한국어 의미학』 제23집 [2007]
  • 조정여, 『한 중 형용사 대비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인간의 모든 감각
    최현석 파주: 서해문집 [2009]
  • 이-푸 투안 저, 구동회 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서울: 도서출판 대윤 [1995]
  • 은유와 환유
    김욱동 서울: (주)민음사 [1999]
  • 우리말본
    최현배 18번째 펴냄, 서울: 정음사, 1999 [1937]
  •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저,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서울: 에코리브스 [2011]
  • 데이비드 싱글턴, 배주채 역, 『언어의 중심 어휘』
    서울: 삼경문화사 [2008]
  • 데이비드 리, 임지룡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입문』
    서울: 한국문화사 [2003]
  • 대조언어학
    김선정 허용 경기: 소통 [2013]
  • 대조분석론
    강현화 서울, 역락 [2003]
  • 다이앤애커먼, 백영미 역, 『감각의 박물관』, 서울
    작가정신 [2004]
  • 다이안애커만, 임혜련 역, 『열린감각』, 서울
    인폴리오 [1995]
  • 공저, 『한국어 연어사전』
    김하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馮沛, 『“遠/近”的不對稱现象硏究』, 廣西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4.
  • 馬淸華, 『隐喻意义的趋向与文化认知』, 外语教学与研究, 2000.
  • 馬叔駿, 『漢字詞彙語用探索』, 北京: 北京語言大學出版社, 2010.
  • 閔子, 『韓漢空間維度詞對比硏究』, 延邊大學博士學位論文, 2012.
  • 金美順, 『空間形容詞“深”的硏究』, 北京語言大學博士學位論文, 2009.
  • 郭大方, 『現代漢語動詞分類辭典』, 吉林: 吉林敎育出版社.
  • 郭一誠, 『中韓感覺形容詞的形態及語義結構硏究』, 復旦大學博士學位論文, 2012.
  • 邢红兵, 「第二語言詞彙習得的語料庫硏究方法」, 『漢語學習』第2期, 2012.
  • 贾彦德, 『漢語語義學』,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 許愼(漢), 李翰文譯注, 『說文解字』, 北京:九州出版社, 2006.
  • 解海江 章黎平, 『漢語詞彙比較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 蘇新春, 『語彙計量及實現』, 北京: 商務印書館, 2010.
  • 蘇新春, 「再論義類辭典的分類原則與方法」, 『世界漢語敎學』第24卷, 2010年 第2期.
  • 蕫大年, 『現代漢語分類大辭典』,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2008.
  • 蔡基刚, 『英漢詞典對比硏究』,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2008.
  • 董秀芳, 『漢語的詞庫與詞法』,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4.
  • 葛本儀, 『現代詞彙學(修订版)』, 山東: 山東人民出版社, 2001.
  • 范爲,『漢韓視覺詞彙的槪念隱喩及其投射範圍的對比硏究』, 湖南師範大學碩士 學位論文, 2013.
  • 符淮靑, 박흥수 역, 『現代漢語詞彙』
    서울: 차이나하우스 [2007]
  • 符淮靑, 『詞典學詞彙學語義學文集』, 北京: 商務印書館, 2007.
  • 盧衛中, 「人體隱喩化的認知特點」, 『外語敎學』, 2003.
  • 田美花, 『漢韓空間維度詞“大/小”的語義對比』, 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2006.
  • 王銀平, 「空間緯度詞“粗、细”的認知隱喩硏究」, 『語言文子修辭』, 2016.
  • 王志紅, 「通感隱喩的認知闡釋」, 『修辭學習』第3期, 2005.
  • 王少華 徐健, 「通感與槪念隱喩」, 『外語學刊』第3期, 2002.
  • 王安節, 周殿龍, 『形容詞分類詞典』, 吉林: 吉林敎育出版社, 1993.
  • 王啓龍, 『現代漢語形容詞計量硏究』, 北京: 北京语言大學出版社, 2003.
  • 王啓龍 저, 김현철 박미애 진화진역, 『현대한어 형용사 계량 연구』
    서울: 학고방, 2013 [2003]
  • 王云路, 『中古漢語詞彙史(上下)』, 北京: 商務印書館, 2010.
  • 熊学亮, 『認知語用學槪論』, 上海: 上海外國語敎育出版社, 1999.
  • 漢語大詞典編纂處, 『漢語大詞典』, 上海: 上海辭書出版社, 2007.
  • 漢語大字典編輯部, 『漢語大字典』, 成都: 四川辭書出版社, 1993.
  • 溫鎖林 저, 박정구 역, 『중국어화용론』
    서울: 신성출판사 [2005]
  • 洪桂治, 「論<現代漢語分類辭典>基礎語義類的形成」, 『雲南師範大學學報』 第44卷第1期, 2012.
  • 權喜靜, 『中韓基本味覺詞構詞與引伸用法對比硏究』, 北京大學碩士學位論文, 2005.
  • 楊逸鷗, 『空間維度形容詞的句法差異及語義選擇』, 上海師範大學碩士學位論 文, 2008.
  • 李紅印, 『現代漢語顔色詞語義分析』, 北京: 商務印書館, 2007.
  • 李福印, 『語義學槪論(修訂版)』,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6.
  • 李福印, 『認知語言學槪論』,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8.
  • 朱曉軍, 『空間範疇的認知語義硏究』, 華東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2008.
  • 朱志平, 『漢語雙音復合詞屬性硏究』,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5.
  • 徐蓮, 「日漢語感覺詞語的通感式詞義引伸之比較」, 『日語學習與硏究』, 2003(4).
  • 張興, 「反義形容詞“深淺”的日漢語對比硏究」, 『外語硏究』149期, 2015.
  • 廖孜孜, 『한 중 맛그림씨의 인지의미론적 대조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2009]
  • 崔永華, 『詞彙文字硏究與對外漢語敎學』, 北京: 北京語言文化大學出版社, 1997.
  • 崔永華, 「現代漢語形容詞分類的現況和問題」, 『語言敎學與硏究』第3期, 1990.
  • 崔奉春, 『朝漢語語彙對比』, 吉林: 延邊大學出版社, 1989.
  • 孫宣琦, 『漢語空間形容詞語義拓展硏究』, 大連理工大學碩士學位論文, 2014.
  • 孫宣琦, 「空間形容詞“高”語義拓展」, 『學術交流』第380期, 2014.
  • 姜海燕, 『朝漢空間槪念的隱喩對比』, 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2004.
  • 商務印書館辭書硏究中心, 『應用漢語詞典』, 北京: 商务印书馆, 2001.
  • 周薦, 『詞彙學辭典學硏究』, 北京, 商務印書館, 2004.
  • 周薦 楊世鐵, 『漢語詞彙硏究百年史』, 北京: 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2006.
  • 周曉波 朴庸鎭, 「인지의미론으로 본 중국어 '臉面'과 관련된 어휘연구분석」
    『건지인문학』 제4집 [2010]
  • 劉麗媛, 「“遠/近”對稱與不對稱的歷時分析」, 『長春師範大學學報』, 2015(3).
  • 何洁玲 羅思明, 「空間維度形容詞“深”的基本義、轉喩義和隱喩義的硏究」, 『語 言本體硏究』, 2012.
  • 伍瑩, 『現代漢語空間維度形容詞語義系統硏究』, 武漢大學博士學位論文, 2011.
  • 伍瑩, 「現代漢語空間形容詞“寬、窄”面積義分析」, 『當代敎育理論與實踐』第5 卷第3期, 2013b.
  • 伍瑩, 「漢語維度形容詞“高”語義特征分析」, 『內江師範學院學報』第29卷第7 期, 2014b.
  • 伍瑩, 「漢語維度形容詞“深”語義系統硏究」, 『綿陽師範學院學報』第33卷第4 期, 2014a.
  • 伍瑩, 「漢語維度形容詞“大、小”語義系統硏究」, 『內江師範學院學報』第28卷 第5期, 2013c.
  • 伍瑩, 「漢語空間形容詞“寬”語義系統硏究」, 『語言本體硏究』2013.01, 2013a.
  • 任永軍, 『現代漢語空間維度詞語義分析』, 延邊大學碩士學位論文, 2000.
  • 任永軍, 「空間緯度詞“粗、細”的認知語義硏究」,『聊城大學學報』, 2002, 第3期.
  • 任曄, 『現代漢語五官感覺範疇詞的隱喩硏究』, 新疆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05.
  • 『형식의미론과 인지의미론에서 본 어휘의미론』
    오예옥 서울: 도서출판 역 락 [2004]
  • 『형식 의미론 입문』
    문귀선 서울: 한성대학교출판부 [2011]
  • 『현대중국어 빈어수반 형용사서술어문의 타동성 연구』
    진화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현대중국어 공간척도사의 의미와 개념화 연구』
    장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현대국어의 공간개념어 연구』
    박경현 서울: 도서출판 한샘 [1987]
  • 『현대국어 공간개념어의 의미연구』
    박경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82]
  •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송정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 『현대 한국어 공간형용사 연구』
    주송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현대 국어의 형용사 연구』
    신순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조남호 서울:국립국어원 [2002]
  • 『한중감각형용사의미연구』
    김찬화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중감각형용사의미연구』
    김찬화 서울: 한국학술정보㈜ [2010]
  • 『한중 시각 형용사의 의미확장 양상에 대한 대조 연구』
    이천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중 공간어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왕난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6]
  • 『한일 연어 대조연구』
    윤상실 서울: 한국문화사 [2015]
  • 『한국어연어연구』
    임근석 서울: 월인 [2010]
  • 『한국어 형용사 어휘문법』
    남지순 서울: 한국문화사 [2007]
  • 『한국어 형용사 ‘크다/작다’와 중국어 형용사 ‘大/小’의 대조』
    Meng Lin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은유 연구』
    박영순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0]
  • 『한국어 연어 관계 연구』
    강범모 최호철 홍종선 서울: 월인 [2001]
  • 『한국어 시각형용사에 대한 인지의미론적 분석』
    한지오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사용 빈도』
    강범모 서울: 한국문화사 [2009]
  • 『한국어 미각 형용사의 의미와 개념화』
    이경수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2]
  • 『한국어 기본 색이름과 색채공간 표상영역』
    김영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논문 [1998]
  • 『한국어 관용구의 은유 환유 연구』
    최지훈 서울: 도서출판 혜안 [2010]
  • 『한국어 ‘크다/작다’와 중국어 ‘大/小’의 통사적 의미적 대조 연구』
    장영평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한 중 양극적 맞섬말의 다의 구조 연구-척도 형용사를 중심으로-』
    胥陽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한 중 공간감각어의 다의 구조 연구-한국어에 대한 중국어의 대응 표현을 중심으로』
    민영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한 중 감각형용사의 공감각적 의미전이 대조연구』
    허정영 경희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서울: 탑출판사 [1991]
  • 『중국어 형용사연구』
    오문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4]
  • 『인지적 대조언어학의 방법론 연구』
    김미형 서울: 한국문화사 [2009]
  • 『인지의미론』
    임지룡 서울: 탑출판사 [1997]
  • 『인지언어학과 중국어 어순』
    이운재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14]
  • 『인지언어학과 언어』
    김동환 서울: 태학사 [2005]
  • 『인지언어학과 개념적 혼성 이론』
    김동환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2013]
  •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Y. Tsuji 임지룡 요시모 하지메 이은미 오카 도 모유키,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인지문법의 디딤돌』
    김종도 서울: 박이정 [2002]
  • 『의미자질에 의한 어휘의 성분분석』
    고명균 한국외대 사법대학 한국어교육 과 석사학위논문 [1991]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의미론서설』
    심재기 서울: 집문당 [1984]
  • 『의미론-국어, 세계, 마음』
    강범모 서울: 한국문화사 [2018]
  • 『우리말 분류사전』
    남영신 서울: 한강문화사 [1988]
  • 『우리말 감각어 연구』
    정재윤 한신문화사 [1989]
  • 『연어연구』
    김진해 서울, 한국문화사 [2000]
  • 『언어와 인지-몸과 언어 의미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임혜원 서울: 한 국문화사 [2013]
  • 『언어, 컴퓨터, 코퍼스 언어학』
    강범모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 『미각 형용사의 의미확장 연구』
    김해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문법화의 이해』
    이성하 서울: 한국문화사 [1998]
  • 『말하는 몸-감정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서울: 한국문화사 [2006]
  • 『동사의 의미망 연구』
    정병철 서울: 한국문화사 [2009]
  • 『국어의미론』
    임지룡 서울: 탑출판사 [1997]
  • 『국어어휘론 개설』
    심재기 서울: 지식과교양 [2011]
  • 『국어색채어의 의미구조 연구』
    이승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국어내용연구2』
    배해수 서울: 국학자료원 [1992]
  • 『국어 형용사의 의미확장 연구』
    송영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7]
  • 『국어 형용사의 연구』
    김정남 서울: 도서출판 역락 [2005]
  • 『국어 형용사 연구』
    유현경 서울: 한국문화사 [1998]
  •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김억조 서울: 한국문화사 [2012]
  •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대립 연구』
    김억조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국어 차원낱말의 의미구조』
    양태식 부산: 태화출판사 [1985]
  •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
    임지룡 서울:형설출판사 [1989]
  • 『국어 공간어의 시간 개념화 양상 연구』
    홍달오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 『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변천 연구』
    박상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공간어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 연구』
    서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 『공간개념의 은유적 확장』
    임혜원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공간 이동의 개념과 언어화』
    이강호 서울: 한국문화사 [2015]
  • 『개념화와 의미해석』
    이수련 서울: 박문사 [2015]
  • 『韓中空間形容詞‘깊다/얕다’和‘深/淺’的語義對比』
    趙彬彬 延邊大學碩士學 位論文 [2012]
  • 『漢韓空間緯度詞對比-以“粗/細”和“굵다/가늘다”爲中心』
    權美玲 延邊大學碩 士學位論文 [2015]
  • 『漢韓空間緯度詞“厚/薄”和“두껍다/얇다”的對比』
    崔馨丹 延邊大學碩士學位 論文 [2015]
  • 『(한 일 영) 단어 분류 사전』
    왕희자 서울: 보고사 [2001]
  • 「환유에 기초한 국어 차원형용사의 중화에 대한 해석」
    김억조 『언어과학 연구』제60집 [2012]
  • 「현대중국어 다의어 ‘遠/近’의 의미확장 연구」
    장가영 『중국학연구』제69 집 [2014]
  • 「현대중국어 기본어휘의 연어 관계 연구 방법론 탐구-‘얻다’류 동사 를 중심으로-」
    강병규 『중국언어연구』제29집 [2009]
  • 「현대중국어 “형용사(A)+起来”구문의 상태변화 의미와 한국 어 대응형식 연구」
    김현철 진화진 『중국언어연구』제43권 [2012]
  • 「한중 어휘 개념지도 구축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 명사의 개념 분포연구」
    배선미 심소희 『중국어문학지』 제21집 [2006]
  • 「한중 대조언어학 소고」
    정윤철 『중국연구』 제25권 [2000]
  • 「한국어 색채서술형용사의 심리적 구조분석」
    김영선 『한국색채학지』 제15집 [2001]
  • 「한국어 감각 형용사의 공감각적 의미전이 특징」
    김혜원 『중국학연구』 제38집 [2006]
  • 「한-중-일-영 다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의 이론과 실제」
    강병규 『중국어 문논총』제33권 [2007]
  • 「한 중 형용사 대비연구-형태, 통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왕단 『국어국문 학』 제139집 [2005]
  • 「한 중 대조언어학 연구 현황에 대한 고찰」
    김영옥 『중국어문학논집』 제 68호 [2011]
  • 「한 중 공간형용사의 대조 방법론적 연구-‘깊다 얕다/深 浅’을 중심으 로-」
    주송희 『한중인문학연구』제34집 [2011]
  • 「한 중 공간형용사 ‘크다’와 ‘大’의 기본의미 대조」
    김진수 오금희 『어문연 구』제79집 [2014]
  • 「한 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김진수 오금희 『한국 언어문학』제87집 [2013]
  • 「한 독 차원형용사의 의미구조에 관한 대비 연구」
    김진도 『독일언어문 학』 제14집 [2000]
  • 「코퍼스에서의 어휘 ‘가깝다’의 의미와 용법분석」
    김해연 『담화와 인지』 18(3) [2011]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김준기 『새국어교육』 제67호 [2004]
  • 「차원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이민우 『중 국언어연구』제12집 [2000]
  • 「차원의 인지와 한국어 차원 낱말의 추론」
    류병래 『인지과학』제20권 제 4호 [2009]
  • 「차원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의미 연구」
    이종각 『영어교육』23호 [1982]
  • 「중세국어 성상부사 연구(Ⅰ)」
    민현식 『국어국문학』107 [1992]
  • 「중국어의 미각어 형태 및 의미확장 연구」
    권희정 『CHINA연구』 제5집 [2008]
  • 「중국어와 한국어의 공간개념 은유에 관한 일고」
    유은성 『동아인문학』9 집 [2006]
  • 「중국어 언어자료-말뭉치 구축현황과 활용 방법 고찰」
    강병규 『중국어 문논총』제35권 [2007]
  • 「중국어 문화어휘에 대한 고찰」
    김은희 『중국인문과학』 제42집 [2009]
  • 「중국어 공간차원형용사의 의미 고찰」
    장가영 『중국문학』제74집 [2013]
  • 「제2언어 교육을 위한 대조 분석 방법론 연구」
    신자영 『국제문화연구』 제2-2집 [2009]
  • 「정도그림씨의 의미대립 특성」
    임지룡 『언어』12 [1987]
  • 「일한 형용사의 전이 양상에 관한 고찰 -감각형용사를 중심으로」
    고은숙 『일어일문학연구』제57집 [2006]
  • 「일한 양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용법에 관한 일고찰」
    고은숙 『일본언어 문화』 제5집 [2004]
  • 「인지언어학 연구방법론」
    김동환 『우리말연구』27집 [2010]
  • 「인지 의미론과 어휘 의미」
    김명숙 『인제논총』20 [2005]
  • 「의미중화 현상」
    김남탁 『문학과 언어』제12집 [1991]
  • 「의미와 의미 분석」
    김영란 신현숙 서울: 푸른사상 [2012]
  • 「의미망 분석과 다의성 판정의 원리」
    임지룡 정병철 『담화와 인지』16 [2009]
  • 「우리말 형용사의 감각어 연구」
    박문섭 『어문논집』 제20집 [1987]
  • 「언어의 주관성과 주관화」
    김보유 『중국조선어문』제5집 [2016]
  • 「어휘의미론의 흐름과 특성」
    임지룡 『한말연구』31권 [2012]
  • 「어휘의미론」
    최경봉 서울: 한국문화사 [2015]
  • 「어휘 외적 대립어 설정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접근」
    김억조 『국제언어문 학』제30호 [2014]
  • 「심리형용사연구」
    김건희 『언어학』 37, 한국언어학회 [2003]
  • 「시각형용사의 어휘론」
    김창섭 『관악어문연구』 10호 [1985]
  • 「사전 기술과 말뭉치의 ‘넓다/좁다’ 의미 대립 연구」
    김억조 『어문학』제 103집 [2009]
  • 「말뭉치 분석을 통한 ‘멀다’의 의미와 용법연구」
    김해연 『언어학』(61) [2011]
  • 「대립적 의미 관계에 대하여」
    도재학 『국어학』(66) [2013]
  • 「대립어의 머릿속 작용 양상」
    임지룡 『한글』307 [2015]
  • 「다의어의 비대칭 양상 연구」
    임지룡 『언어과학연구』제15호 [1988]
  • 「국어 형용사의 의미구조」
    김정남 『한국어 의미학』8 [2001]
  • 「국어 형용사의 공감각적 전이 연구」
    정인수 『현대문법학회』 제11집 [1997]
  • 「국어 차원형용사를 포함한 관용표현의 의미 척도 연구」
    김억조 『어문 학』제113집 [2011]
  • 「국어 어휘론 연구사」
    조항범 『국어학』 제19집 [1989]
  • 「국어 말뭉치에서의 ‘넓다’의 의미와 용법분석」
    김해연 『언어와 언어학』 제54집 [2012]
  • 「국어 공감각 표현의 인지 언어학적 연구」
    김중현 『담화와 인지』 제8권 2호 [2001]
  • 「국어 공간어의 의미 확장 연구」
    정수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국어 ‘단맛’ 표현의 인지적 의미 해석」
    정수진 『언어과학연구』 제24집 [2003]
  • 「공간어휘에서의 의미적 대립 관계」
    김진도 『중원인문논총』 제20집 [1999]
  • 「공간어에 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노재민 충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09]
  • 「공간감각 형용사의 원형 인식과 언어 표현」
    박동근 『문법교육』제19호 [2013]
  • 「공간 개념어의 반의 구조」
    전수태 『한어문교육』(4) [1996]
  • 「결합 관계를 통한 차원 형용사의 의미 연구」
    김억조 『국제언어문학』제 23호 [2011]
  • 「감정 표현으로서의 감각어」
    김향숙 『국어국문학』140집 [2005]
  • 「감각형용사의 분류 체계」
    손용주 『대구어문논총』 제10집 [1992]
  • 「韓漢空間形容詞“遠/近(멀다/가깝다)”的隱喩認知對比」
    張慧貞 李英姬 『中 國證券期貨』(07) [2012]
  • 「漢韓空間緯度詞對比分析」
    张琦 『중국학연구』제37집 [2006]
  • 「漢語와 공간 의식」
    허성도 『중국문학』제34집 [2000]
  • 「学术语言的隐喻现象以及汉韩翻译」
    강병규 『중국문학』제49집 [2006]
  • 「中 韓 對照言語學 硏究 現況 考察」
    김현철 양영매 『중국어 교육과 연 구』제14호 [2011]
  • 「‘달다’ 계열 어휘의 의미확장과 개념화 양상 연구」
    김해미 『한국어 의미 학』44 [2014]
  • 「‘높다/낮다’의 사전적 처리와 의미대립 양상에 관한 연구」
    김억조 『언어 과학연구』제45집 [2008]
  • 「‘길다/짧다’의 의미확장에 관한 연구」
    김억조 『한국어 의미학』제28집 [2008]
  • 「{높다/낮다}와 {高/低}의 다의 구조 비교 대조 연구-한국어와 중국 어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민영란 『한중인문학연구』31 [2010]
  • “어휘대립의 중화 현상.”
    임지룡 『국어교육연구』19 [1987]
  • “다의어의 판정과 의미 확장의 분류 기준.”
    임지룡 『한국어 의미학』28 [2009]
  • “극성의 의미대립 양상.”
    임지룡 『국어교육연구』제20호 [1988]
  • “공간감각어의 의미 특성.”
    임지룡 『배달말』9호 [1984]
  • sylviane Granger 외 저, 박기성 역, 『대조언어학과 번역학의 코퍼스기반 방 법론 연구』
    서울: 동인 [2009]
  • Yan Huang 저, 이해윤 역, 『화용론』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9]
  • Y. Tsuji 저, 임지룡 요시모토 하지메 이은미 오카도모유키 역,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Vyvyan Evans 저, 임지룡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적 어휘의미론』
    대구: 경 북대학교출판부 [2012]
  • Vyvyan Evans 저, 임지룡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 용어사전』
    서울: 한국문 화사 [2010]
  • Sebstian L bner 저, 임지룡 김동환 역, 『의미론의 이해』
    서울: 한국문화 사 [2010]
  • Saeed 저, 이상철 역, 『최신의미론』
    John I.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Melanie Green 저, 임지룡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 기 초』
    Vyvyan Evans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M. Sandra Pe ̃a 저, 임지룡 김동환 역, 『은유와 영상도식』
    서울: 한국문화 사 [2006]
  • Langacker 저, 김종도 나익주 역, 『문법과 개념화』
    Ronald W. 서울: 도서 출판 박이정 [2001]
  • Heine, B, U. Claudi & F. H nnemeyer(1991), Grammaticalization: A Conceptual Framework,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F. Ungerer, H.-J. Schmid 著, 彭利貞 許國萍 趙微譯, 『認知語言學導論』, 上 海: 復旦大學出版社, 2009.
  • E. Bruce Goldstein 저, 김정오 외 공역, 『감각과 지각』
    서울: 시그마프레 스 [2007]
  • D. Alan Cruse & William Croft 저, 김두식‧나익주 역, 『인지언어학』
    서 울: 도서출판 박이정 [2010]
  • D .Geeraerts & Cuyckens 저, 김동환 역, 『인지언어학 옥스퍼드핸드북』
    서울: 로고스라임 [2011]
  • Conrad G Mueller 저, 李泰炯 역, 『감각심리학』
    서울: 益文社 [1973]
  • <한국어의 확장된 어휘 단위 연구-분포와 의미를 중심으로->
    최준 경북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 빈도 사전>
    서상규 서울: 한국문화사 [2014]
  •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연구원 서울: 동아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