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연구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orytelling of Feng Shui Location in the Palace of Seoul

박현규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연구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orytelling of Feng Shui Location in the Palace of Seou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상법, 운명판단
  • 아시아지리
  • 한국
  • "풍수요소"
  • 「조선왕조실록
  • 궁궐
  • 스토리텔링
  • 풍수
  • 풍수입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98 0

0.0%

' 서울 궁궐 풍수입지의 스토리텔링 연구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orytelling of Feng Shui Location in the Palace of Seoul' 의 참고문헌

  • 한국의 풍수사상
    최창조 서울: 민음사 [1984]
  • 한국고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규목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5]
  • 한국 풍수설화에 나타난 풍수이론 특징
    홍보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대학교 국학과 명 리풍수전공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 전통풍수 통맥법 연구
    이진삼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프랜차이즈 점포의 매출액과 풍수요인의 상관성 분석
    박종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8]
  • 풍수지리설의 발생배경에 관한 연구
    박시익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 풍수사상의 입지선정 영향에 관한 연구: 전통적 풍수지리와 현대적 입지요건의 비교
    심재열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창경궁관리소
    http://cgg.cha.go.kr
  • 지리신법호순신(地理新法胡舜申)
    규장각본
  • 종택마을의 풍수적 입지유형과 구조의 계량적 연구
    박재락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종택마을의 풍수요소를 적용한 계량적 명당 연구 –대구 근교 종 택을 중심으로-
    박재락 『민족문화논총』, 56,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31-263 [2014]
  • 조선초기의 풍수지리사상 연구
    강환웅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illok.history.go.kr
  • 조선시대 음양과 지리학 과시과목의 문헌연구
    홍성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전통 궁궐 공간의 수체계에 관한 연구
    문다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여주시의 입지환경과 신시청사 선정에 관한 연구
    이성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7]
  • 신증동국여지승람
    고전간행회 서경문화사) [1994]
  •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실제
    송정란 문학아카데미 [2006]
  • 스토리텔링의 개념
    김광욱 『겨레어문학』, 41, 겨레어문학회, 249-276 [2008]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은미 최인호 『관광학연 구』, 32(4), 한국관광학회, 411-421 [2008]
  •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 인식과 관광경험 구성요인과의 관계 에 관한 연구
    김동기 세종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서울궁궐의 풍수지리분석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희 건국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7]
  • 산림경제
  •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문화관광 해설사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고궁 해설사 제도 및 교육프로 그램 중심으로
    정현숙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디지털 스토리텔링
    최혜실 『정보과학회지』, 21(2), 한국정보과학회, 12-15 [2003]
  • 덕수궁관리소
    http://www.deoksugung.go.kr
  • 농촌관광마을의 스토리텔링 구현을 통한 장소성 확보
    이병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1]
  • 김두규 역해, 『호순신의 지리신법』
    장락 [2001]
  • 김두규 역, 『감룡경 의룡경』
    양균송 비봉출판사 [2009]
  • 김규순 역, 『청오경 금낭경』
    곽박 서울동인학회 [2011]
  • 금낭경(錦囊經, 규장각본)
  • 궁궐지(번역본: 서울학연구소)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 관광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가 관광목적지 매력 지각, 브 랜드 자산, 브랜드 가치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관광객의 스토리텔링 경험이 관광목적지 브랜드가치 인식과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양정임 경희대학교 대학원 호텔관광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관광 스토리텔링 특성이 관광지 러브마크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매력지각을 조 절효과로
    정민경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관광 스토리텔링 선택속성이 관광객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수 손병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2), 한국콘텐츠학획, 432-445 [2011]
  • 고려, 조선초 국도풍수연구
    장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경희궁관리소
    http://www.cgcm.go.kr
  • 경복궁관리소
    www.royalpalace.go.kr
  • 韓.中宮闕의 立地및 三朝空間構成에 關한 比較硏究: -景福宮과 紫禁城을 中心 으로
    정용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풍수사상사』
    이몽일 명보문화사 [1991]
  • 『풍수총론』
    장태상 도서출판 정산 [2011]
  • 『풍수지리원리』
    신영대 경덕출판사 [2004]
  • 『풍수지리 시간리듬의 과학』
    옥한석 이지출판 [2017]
  • 『조선왕조실록』
  • 『우리 궁궐 이야기』
    홍순민 청년사 [1999]
  • 『왕도풍수』
    최원석 문화와 사상 [2003]
  • 『안동에서 풍수의 길을 묻다』
    옥한석 이한방 집문당 [2012]
  • 『신한국풍수』
    최영조 동학사 [1992]
  • 『스토리텔링의 이해』
    류수열 글구림출판사 [2007]
  • 『서울의 고궁산책』
    허균 효림 출판사 [1994]
  • 『산림경제Ⅱ, 민족문화추진회(역)
    홍만선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 『부동산학 원론』
    이원준 박영사 [1991]
  • 『덕수궁』
    안창모 동녘 [2016]
  • 「호순신의 생애와 저술에 관한 연구」
    오동기 『문화재』, 44(3), 국립문화재연구소, 44-61 [2011]
  • 「현대 한국사회와 풍수지리설」
    이기동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123-134 [1994]
  • 「해설매체에 따른 방문객의 해설속성평가, 만족도 및 문화유산 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및 영향관계 : 궁의 문화해설사와 해설판을 대상으로」
    김주연 안경모 이민재 『한국콘텐 츠학회논문지』, 11(11), 한국콘텐츠학회, 434-443 [2011]
  • 「한양천도와 풍수설의 패퇴」
    이태진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44-69 [1994]
  • 「한국 전통산사(山寺)의 야생차산지 관광테마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
    김홍길 윤병국 『유라시아 연구』, 15(3), 175-210 [2018]
  • 「한 중 일 도성계획에서 『주례 고공기』의 해석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이영 한경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7, 163-170 [2011]
  • 「풍수지리의 현대적 재해석」
    옥한석 정택동 『대한지리학회지』, 48(6), 대한지리학 회, 967-977 [2013]
  • 「풍수지리와 관광자원 세계화를 위한 풍수대토론」
    장원기 『대풍련 풍수지리학술세미 나』 [2010]
  • 「풍수는 시간리듬을 어떻게 조절하는가」
    옥한석 『대한풍수연구』, 3, 동북아평화와한 반도통일연구원, 3-11 [2017]
  • 「풍수 지침표를 통한 생태관광 해설자원으로의 가능성 연구」
    이화 관광경영학회, 『관광경영연구』, 16(3), 405-429 [2012]
  •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와 스토리텔링의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권기영 성유정 『한 국의류산업학회지』, 11(2), 한국의류산업학회, 210-218 [2009]
  •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체계」
    박지선 한국프랑스 학회,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지』, 4, 177-190 [2007]
  • 「체험전시의 스토리텔링기법 연구:과학박물관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민정 현은령 『한국디자인포럼』, 1(16), 한국디자인트렌트학회, 103-112 [2007]
  • 「창덕궁 연구(Ⅰ) - 건축물을 중심으로 한 전통 공간의 시대적 변화」
    김귀곤 김익수 손창구 오구균 전용준 『한국조경학회지』, 40, 한국조경학회, 87-100 [1991]
  • 「창경궁의 장소성과 상징적 의미의 사회적 재구성」
    송희은 『문화역사지리』, 19(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44 [2007]
  •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김동욱 『건축역사연구』, 7(2) [1998]
  • 「조선시대의 자연인식체계」
    양보경 『한국사시민강좌』, 14, 일조각, 70-97 [1994]
  • 「조선시대 궁궐공간의 관념적 구성에 관한 연구」
    김영모 최기수 『한국조경학회지』, 25(4), 한국조경학회, 141-157 [1998]
  • 「조선시대 궁궐 정전(正殿)의 배치형식에 투영된 풍수구조」
    고제희 정우진 『한국전 통조경학회지』, 34(1),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 「연려실기술」
  • 「양택풍수와 음택풍수 논리 구성의 특징 비교 분석」
    박정해 『국토연구, 84, 95-109 [2015]
  • 「안동의 풍수경관 연구: 음택 명당을 중심으로」
    옥한석 대한지리학회지, 38(1), 70-86 [2003]
  • 「실내디자인의 감성적 접근을 위한 스토리텔링의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
    최진식 『기 초조형학연구』, 8(4), 한국기초조형학회, 731-739 [2007]
  • 「스토리텔링의 이론적 배경 연구:기호학 이론과 분석모델을 중심으로」
    김기국 『한국 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4, 한국프랑스학회, 151-158 [2007]
  • 「스토리텔링의 서사학」
    송효섭 『시학과언어학』, 18, 시학과 언어학회, 163-180 [2010]
  • 「스토리텔링 마케팅」
    허문경 『CERI엔터테인먼트연구』, 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연 구원, 261-273 [2007]
  • 「쇼핑공간 디자인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안현정 『기초조형학연구』, 9(6), pp. 307-318 [2008]
  • 「소비자 브랜드 스토리의 지각된 특성이 전반적인 브랜드 태도에 미치 는 영향」
    이원준 정상수 『마케팅논집』, 17(2), 한국전략마케팅학회, 57-89 [2009]
  • 「세종대-단종대의 정치변동과 풍수지리 : 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주 『역사민속학』, 36, 한국역사민속학회, 125-160 [2011]
  • 「선조후반-광해군초반 궁궐경영과 ‘경운궁’의 수립」
    윤정 『서울학연구』, 42, 서울시 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59-299 [2011]
  • 「서울의 기후 지형요소와 경관풍수에 의한 왕궁터의 평가」
    옥한석 『문화역사지리』, 19(1),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78-90 [2007]
  • 「불교문화관광자원의 풍수론적 입지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규식 『관광정보연 구』, 9, 한국관광정학회, 118-119 [2001]
  • 「미디어에 따른 스토리텔링의 의미변화와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미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3-60 [2006]
  • 「문화콘텐츠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
    김효정 서동훈 『민족문화논총』, 43, 영 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471-501 [2009]
  • 「문화유산 관광 스토리텔링에 풍수 적용 방안 연구-경주 교동 최부자 고택을 중심으로」
    박성대 백재권 『한국학논집』, 51,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97-331 [2013]
  • 「문화관광해설 프로그램 만족 향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관한 연구 -문 화유산해설사의 해설기법 개선을 중심으로-」
    진영재 『한국관광정보학회지』, 20, 한국관광정 보학회, 41-71 [2005]
  • 「문화관광 해설이 인지, 감정, 몰입 및 문화유산 방문의도에 미 치는 영향 –경복궁, 창덕궁의 문화해설사 서비스 이용객을 중심으로-」
    김주연 안경모 이민재 『관광학연 구』, 35(9), 한국관광학회, 361-381 [2011]
  • 「도시정체성 구현을 위한 스토리텔링적용시론」
    강상대 『인문콘텐츠』, 10, 인문콘텐 츠학회, 167-186 [2007]
  • 「덕수궁과 경희궁에 대한 궁궐지형 고찰」
    김규순 박현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2), 한국사진지리학회, 73-87 [2018]
  • 「덕수궁(경운궁)의 혼재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대한제국시기 이후를 중 심으로-」
    조경진 한소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한국전통조경학회, 45-56 [2011]
  • 「대전의 도시풍수와 풍수관광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장원기 『대풍련 풍수지리학 술세미나』 [2013]
  • 「대동야승」
  • 「농촌관광자원의 관광상품화와 그 전략」
    박석희 『농어촌관광연구』, 10(1), 한국농어 촌관광학회, 84-100 [2003]
  • 「광해군대의 궁궐경영과 풍수지리설」
    노대환 『조선시대사학보』, 63, 조선시대사학 회, 225-256 [2012]
  • 「관광지 스토리텔링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 관점을 중심으로」
    송영민 윤현호 이훈 『관광연구』, 26(1), 대한관광경영학회, 267-286 [2011]
  • 「관광유형다변화에 따른 문화해설사양성에 대한 제언」
    이승재 『디지털융복합연구』, 12(4), 한국디지털정책학회, 467-474 [2014]
  • 「공감을 위한 지리와 스토리텔링 : 합강문화제와 영춘 하안단구 시나리오」
    옥한석 『문화역사지리』, 23(2),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63-78 [2011]
  • 「공간 텍스트로서 ‘도시’의 스토리텔링 과정 연구」
    김영순 정미강 『텍스트언어학』, 2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67-192 [2008]
  • 「고려시대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김기덕 『사학연구』, 73 [2004]
  • 「고려시대 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김기덕 『한국사상사학』, 17 [2001]
  • 「고려시대 개경과 서경의 풍수지리적 고찰」
    김기덕 『한국사연구』, 127 [2004]
  • 「고려시대 강도 궁궐의 풍수지리적 고찰」
    김기덕 『한국중세사연구』, 31 [2011]
  • 「경복궁의 풍수지형과 풍수요소에 관한 고찰」
    김규순 박현규 『한국지리학회지』, 7(2), 한국지리학회, 199-214 [2018]
  • 「경복궁의 입지환경에 대한 풍수적 논의와 해석」
    박정해 『서울과역사』, 83, 서울시 사편찬위원회, 201-263 [2013]
  • 「경복궁 아미산의 조영과 조산설(造山說)에 관한 고찰」
    심우경 정우진 『한국전통조 경학회지』, 30(2),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 「경남의 풍수-풍수로 본 경남지역의 조선시대 취락」
    최원석 『경남문화연구』,30, 경 남문화연구원, 58-59 [2009]
  • 「경관풍수의 본질과 명당의 선정기준: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옥한석 『문화역사지 리』, 17(3), 22-32 [2005]
  • 「周禮『考工記와 후대 해석 -匠人의 서술 중, 조선시대 도시공간의 형성과 관 련된 화두를 중심으로」
    강서연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206 [2012]
  • 「‘이산구곡가’를 활동한 ‘마이경승’의 스토리텔링 전략」
    노재현 『한국전통조경학회 지』, 36(3), 한국전통조경학회, 63-74 [2009]
  • 「<그라운드호그 데이 축제>의 스토리텔링 분석」
    한명희 『인문콘텐츠』, 50, 인문콘 텐츠학회, 165-184 [2018]
  • Storytelling 要素가 文化觀光祝祭의 企劃과 祝祭效果에 미치는 影響
    이희원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