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의 구조적 특성 연구 : 주부신경증 사례 중심 = A Study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IT) Manual : Focusing on Clinical Cases for Housewife Neurosis

최윤주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의 구조적 특성 연구 : 주부신경증 사례 중심 = A Study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IT) Manual : Focusing on Clinical Cases for Housewife Neurosi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IT매뉴얼
  • 구조적 특성
  • 통합예술치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5 0

0.0%

'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의 구조적 특성 연구 : 주부신경증 사례 중심 = A Study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grative Arts Therapy (IT) Manual : Focusing on Clinical Cases for Housewife Neurosis' 의 참고문헌

  • 형상화된 언어, 치유적 삶
    채연숙 파주: 교육과학사 [2015]
  • 현대 주부의 역할수행 변화에 관한 연구
    문지현 여성연구논총, 15, 81-94 [2000]
  • 한국의 음악치료 미래변화와 그 전망
    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8(2), 1-20 [2016]
  • 한국연극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실태(석사학위). 동덕여자 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최윤주 서울 [2013]
  • 한국여성의 심리구조
    문은희 서울: 니 [2011]
  • 한국무용치료의 이해와 적용
    이정숙 파주: 이담 Books [2018]
  • 한국 전업주부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한 소고
    김선미 인문과학, 5, 191-204 [1999]
  • 한국 연극치료의 발전방향 모색
    박미리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학술대회지, 11, 1-8 [2017]
  • 한국 미술치료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술심리치료學
    장연집 한국심리치료학회지, 7(2), 105-126 [2015]
  • 통합적 미술치료 프로그램 및 평가
    전정민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1]
  • 통합적 문학치료
    변학수 서울: 학지사 [2006]
  • 통합적 마음학
    이기흥 고양: 공동체 [2016]
  • 통합의학적 연극치료기법 연구(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김종현 서울 [2012]
  • 통합예술치료의 보조치료사 역할(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이유미 서울 [2018]
  • 통합예술치료를 통한 발달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증진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이채원 서울 [2016]
  • 통합예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긍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장창명 서울 [2017]
  • 통합예술치료 IT매뉴얼의 힐링드라마모델을 적용한 콘텐츠개발
    배상국 서울 (박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통합문학치료의 현황과 발전 장향
    채연숙 문학치료연구, 31, 189-213 [2014]
  • 통합문학치료의 접근 방법론 연구
    배수을 무용예술학연구, 37, 1-26 [2012]
  • 통섭을 넘어서
    이남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탈진증후군 대상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 학생 사례(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최윤영 서울 [2016]
  • 치매노인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통합 예술치료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박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소형 서울 [2018]
  • 치매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이미정 서울 [2018]
  • 초보 연구자를 위한 질적 연구 방법론
    박휴용 전주: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 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연극치료(석사학위). 동덕여자대 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전지윤 서울 [2016]
  •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 질적 연구방법과 상담심리학
    이정빈 서울: 학지사 [2018]
  • 질적 연구: 열다섯 가지 접근
  • 질적 연구 여행
    김영순 김지영 김진희 성남: 북코리아 [2015]
  • 질적 연구 방법론
    고명숙 고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신경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7]
  • 지적장애인의 뇌가소성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연구
    허정선 서울 (박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지적장애성인을 위한 연극치료 사례연구(석사학위). 동덕 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남선미 서울 [2016]
  • 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박병수 고양: 지식공감 [2015]
  • 중년전환기 여성의 인생구조변화와 신경증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박사학위). 계명대학교 대학원
    전찬례 대구 [2012]
  • 중년여성의 자아실현과 영향요인
    김귀분 김숙영 서연옥 전은영 성인간호학회지, 14(4), 602-611 [2002]
  • 중년여성의 우울감 완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곽혜신 서울 [2016]
  •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김수아 김희경 이선미 전소자 지역사회 간호학회지, 15(2), 266-276 [2004]
  •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강인성 및 자아존중감 과의 관계
    김수진 이금주 임선영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1(4), 51-57 [2015]
  • 중년여성의 갱년기 증상호소와 자아개념
    성미혜 한국모자보건학회지, 5(2), 215-227 [2001]
  • 중년여성의 “실존의미 상실”로부터 “본래적 자아”로의 회귀 -키에르케고어의 실존개념을 중심으로-
    박성은 기독교철학연구, 4, 73-105 [2005]
  •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고효정 김혜영 여성건강간호학회지, 3(2), 117-138 [1997]
  • 중년 위기 극복을 위한 자조모임에 참석한 중년여성의 경 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두현정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78-87 [2013]
  • 중년 여성의 자아 존중감, 신체만족도와 자 아이미지가 의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건 정성지 허정화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2014(6), 147-149 [2014]
  • 중년 여성의 자아 정체성
    방희정 조혜자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6(1), 202-203 [2006]
  • 중년 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 자아분화, 내면체계 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춘경 변외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12), 155-165 [2006]
  • 조현병 환자의 역할증대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최슬아 서울 [2016]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연극치료 단일사례연구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최선화 서울 [2017]
  • 정서행동문제 아동을 위한 통합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정숙 서울: 신아사 [2015]
  • 장 노년 심리학
    김애순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2]
  • 자아정체성 위기 여고생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정윤주 서울 [2017]
  • 자아 성장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옥진 인간이해, 21, 23-42 [2000]
  • 자기표출훈련과 자기주장훈련이 불안신경증 환자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
    권성민 이철구 이현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7-33 [2003]
  • 자기설득, 마음을 치유하는 길
    정인석 서울: 나노 미디어 [2014]
  • 이주배경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통합 예술치료 적용연구(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송경실 서울 [2017]
  •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정현주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 음악치료 관련 최근 연구동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 치료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조망
    박소연 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지, 8(1), 37-53 [2006]
  • 음악심리치료
    이유진 정은주 황은영 서울: 학지사 [2014]
  • 웃음 혁명
    김영민 서울: 행복한에너지 [2017]
  • 예술이 어떻게 사람과 사회를 변화시키는가?
    김재은 파주: 교육 과학사 [2014]
  • 여자의 자존감
    김한규 조연심 서울: 중앙북스 [2013]
  • 여성의 불행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장정은 한국고전여성문학 연구, 33, 5-35 [2016]
  • 여성심리학
  • 여성 젠더 사회
  • 신경증 환자를 위한 무용치료의 실제
    류분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 93-105 [1993]
  • 세계음악치료연합회 (WFMT)
    www.musictherapyworld.net
  • 세계 존재의 이해
  • 성인발달 및 노화 심리학
    장휘숙 서울: 박영사 [2012]
  • 성공적 노화를 위한 통합예술치료 연구(석사학위). 동덕여자 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권현경 서울 [2019]
  • 삶의 의미를 찾는 역경의 심리학
    정인석 서울: 나노미디어 [2008]
  • 사회구조적 변인과 사회적 지원에 따른 취업주부, 비취업 주부의 심리적 안녕
    김혜원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115-136 [1997]
  • 분노감소와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김성희 서울 [2017]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이세연 서울 [2018]
  • 부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이 주부의 신경증 경향에 미치는 영향
    채수옥 성심생활, 6, 49-67 [1987]
  • 복지시설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연구(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염혜조 서울 [2017]
  • 방미나, 배정우, 이승수, 조원국 외. 영화치료의 기초
    김은지 김은하 서울: 박영story [2016]
  • 발달장애인의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적용 연구(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장소연 서울 [2017]
  •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치료(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이희진 서울 [2016]
  • 미술치료학개론
    영남대학교 미술치료연구회 서울: 학지사 [2011]
  • 미술치료의 이해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14]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 서울: 동아문화사 [2000]
  • 미술치료 핸드북
    신승녀 서울: 창지사 [2015]
  • 미술심리치료
    공마리아 최은영 서울: 학지사 [2008]
  • 미국음악치료협회 (AMTA)
    www.musicthreapy.org
  • 문학치료학: 이론과 실제
    최소영 서울: 고요아침 [2016]
  • 문학치료
    변학수 서울: 학지사 [2007]
  • 문서란, 양은아, 김성애, 여정윤. 음악치료학
    문지영 최병철 서울: 학지사 [2015]
  •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신경증 환자의 신체화, 우울, 불안, 감정표현불능에 미치는 효과
    김옥희 스트레스연구. 17(2), 99-109 [2009]
  • 무용/동작치료의 Warm-up 방법이 낮 병원 정신 분열증환자의 대인관계기술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김나영 조아영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7(1), 1-27 [2007]
  • 무용 동작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김인숙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2]
  • 무용 동작 심리치료
    류분순 서울: 학지사 [2017]
  • 두산세계대백과사전.23: 정암집-지덕지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 서울: 두산동아 [1997]
  • 뇌졸중 환자의 자기표현 증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 적용
    오제은 서울 (석사학위).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예술치료대학원 [2018]
  • 놀이의 심리학
    조준모 진미선 서울: 밥북 [2015]
  • 내적가족체계치료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자아정체 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춘경 변외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47-63 [2007]
  • 내 안의 나를 깨우는 통합예술치료
    홍유진 서울: 학지사 [2018]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 [1999]
  • 국내 음악치료서비스 운영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박지선 이은선 황은영 예술심리치료연구, 9(3), 1-17 [2013]
  •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황금숙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 [2005]
  • 교육연구방법론
    김석우 박상욱 최태진 서울: 학지사 [2016]
  • 게슈탈트 심리치료
    김정규 서울: 학지사 [2015]
  • 結婚がこわい: 심리학이 결혼을 말하다. (이윤정 역). 서 울: 예문
    香山リカ (원서 2005년 발행) [2009]
  • 生きる意味: 살아가는 의미. (양억관 역). 서울: 일토
    上田紀行 (원 서 2005년 발행) [2016]
  • アドラー人生を生き抜く心理学: 버텨내는 용기: 아들러의 내 인생 애프터서비스 심리학. (박재현 역). 서울: 엑스오북스
    岸見一郎 (원서 2010년 발행) [2015]
  • 『통합 스트레스 의학』
    신경희 서울: 학지사 [2016]
  • 『질적 연구방법론 :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교육 연구의 주사위』
    강진숙 서울: 지금 [2016]
  • 『영화치료의 이론과 실제』
    심영섭 서울: 학지사 [2011]
  • 『성인심리학』
    장휘숙 서울: 박영사 [2008]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2009]
  • “중년여성의 지각 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김미옥 박금자 방부경 윤수정 이지현 최은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2), 354-362 [2002]
  • Zinker, J. C. (1978).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New York: Vintage Books.
  • Zillmann, D. (1988). Mood management through communication choice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1(3), 327-341.
  • Zeit: der Stoff, aus dem das Leben ist: eine Gebrauchsanleitung: 안녕하세요, 시간입니다: 심리학과 뇌과학이 파헤진 시간의 비밀. (유영미 역). 파주: 뜨인돌
    Klein, S. (원서 2006년 발행) [2017]
  • Yontef, G. M. & Yontef, G. M. (1993). Awareness, dialogue & process: essays on gestalt therapy. New York: Gestalt Journal Press.
  •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 With 문학치료
  • Wilson, E. O. (1998).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London: Abacus.
  • Wilber, K. (2007). The integral vision : a very short introduction to the revolutionary integral approach to life, Go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Boston : Shambhala.
  • Whitbourne, S. K. (2002). The aging individu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2ne ed). New York: Springer Pub.
  • Wheeler, B. L. (2015). Music therapy handbook. New York: London.
  • What is art for?: 예술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김성동 역). 고양: 연암서가
    Dissanayake, E. (원서 1990년 발행) [2016]
  • Welfel, E. R., Patterson, L. E. (2005). (The)counseling process: a multith eoretical integrative approach. California: Thomson/Brooks/Cole.
  • The seasons of a man's life: 남자가 겪는 인생의 사계절. (김애숙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The neurotic personality of our time: 우리 시대는 신경증일까?. (정명진 역). 서울: 부글북스
    Horney, K. (원서 1977년 발행) [2015]
  • The lost art of healing: 치유의 예술을 찾아서. (서정돈, 이희돈 공역). 서울: 몸과마음
    Lown, B. Lown, B. (원서 1999년 발행) [2003]
  • The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미술심리치료학. (장연집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Wadeson, H. (원서 1995년 발행) [2008]
  • The Definitive Book of Body Language: 당신은 이미 읽혔다: 상대의 속마음을 간파하는 기술. (황혜숙 역). 서울: 흐름출판
    Pease, A. Pease, B. (원서 2007년 발행) [2012]
  • The Art of Art therapy: 예술로서의 미술치료. (김진숙 역). 서울: 학지사
    Rubin, J. A. (원서 1984년 발행) [2008]
  • Tesch, R. (1990). Qualitative research. New York: Falmer Press.
  •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Oaks: Sage Publications.
  • Scheff, T. J. (2001). Catharsis in healing, ritual, and drama. Lincoln, Nevada: iUniverse.com.
  • SNew Yorkder, C. R., Harris, C., Anderson, J. R. & Holleran, S. A.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12), 81-82.
  • Punch, K. (1998). Introduction to Social Research. London: SAGE.
  • Psychotherapy: an eclectic-integrative approach: 심리치료: 절충 통합적 접근. (김미리혜, 김진영, 이주성, 최윤경, 윤선아, 임성문 외 공역) 서울: 정민사
    Garfield, S. L. (원서 1995년 발행) [2000]
  • Provine, R. R. (1992). contagious laughter.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30(1), 1-4.
  • Presbury, J. H., Echterling, L. G. & McKee, J. E. (2008). Beyond brief counseling and therapy: an integrative approach. New Jersey: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 Polster, E. & Polster, M. (1991). Gestalt therapy integrated: contours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Vintage Books.
  • Phototherapy techniques: 사진치료기법. (심영섭, 김준형, 이명신 공역). 서울: 학지사
    Weiser, J. (원서 1999년 발행) [2012]
  • Petzold. H. G. (1990). Unterhaltungsliteratur. Erlangen: Univ. Bibliothek.
  • Peoplewatching: 피플워칭: 보디 랭귀지 연구. (김동광 역). 서울: 까치
    Morris, D. (원서 2002년 발행) [2004]
  • Pavlicevic, M. (2001). A child in time and health: Guiding images in music therapy. British Journal of Music Therapy, 15(1), 14-21.
  • Patton, M. Q. (2015).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4th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 On relationship: 관계에 대하여. (정채현 역). 서울: 고요아침
    Krishnamurti, J. (원서 1992년 발행) [2009]
  • Nathan, A. A. & Mirviss, S. (1998). Therapy techniques: using the creative arts. Washington: Idyll Arbor.
  • Myers, D. G. (2015). Social psychology. (7th ed). Boston: McGraw-Hill.
  • Muhlbauer, V. & Chrisler, J. C. (2007). Women over 50: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Springer.
  • Merriam, S. B. & Tisdell, E. J. (2015).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California: John Wiley&Sons Inc.
  • Mead, G. H. & Morris, C. W. (2015). Mind, self &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cNiff, S. (2009). Integrating the arts in therapy. Illinois: Charles C. Thomas.
  • McMinn, M. R. & Campbell, C. D. (2007). Integrative psychotherapy: toward a comprehensive Christian approach. Illinois: Inter Varsity Press.
  • McAdams, D. P. (2001). The Psychology of Life Stori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2), 100-102.
  • Martin, R. A. (2007). The psychology of humor: an integrative approach. Massachusetts : Elsevier Academic Press.
  • Levinson, D. J. & Levinson, J. D. (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Knopf.
  • Landy, R. J. (1994). Drama therapy: concpts, theories, and practices. Illinois: C.C. Thomas.
  • Kramer, E. & Wilson, L. (1998). Childhood and art therapy. Chicago: Magnolia Street Publishers.
  • Kimmel, D. C. (1990). Adulthood and aging: an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al view. New York: Wiley.
  • Jung, C. G., Baynes, Cary F. & Dell, W. S. (1959). Modern Man in Search of a Soul.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Ltd.
  • Jung, C. G. & Hull, R. F. C. (1969).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V. 11, Psychology and religion, West and Eas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ones, P. (1996). Drama as therapy:theatre as living. New York: Routledge.
  • J'aimerais tant tourner la page: 그때 그 장면을 지우고 싶어요. (임말희 역). 서울: NUN
    Louboff, F. (원서 2008년 발행) [2015]
  • Horney, K. (1951).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Hollis, J. (1993). The middle passage: from misery to meaning in midlife. Toronto: Inner City Books.
  • Halprin의 타말파 동작중심 표현예술치료가 내담자의 신경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김정향 창원 [2014]
  • Greenberg, L. S., Paivio, S. C. (2003).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 Goffm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 Doubleday.
  • Glass, L. (2002). I know what you're thinking: using the four codes of reading people to improve your life. New York: J. Wiley & Sons.
  • Glaser, B. G. & Strauss, A. L. (1999).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New York: Aldine de Gruyter.
  • Gestalt approach & Eye witness to therapy: 펄스의 게슈탈트 심리치료. (최한나, 변상조 공역). 서울: 학지사
    Perls F. (원서 1973년 발행) [2013]
  • Furedi, F. (2004). Therapy Culture: Cultivating Vulnerablity in an Uncertain Age. New York: Routledge.
  • Fundamentals of psychoanalytic technique: 라깡의 정신분석 테크닉. (김종주 역). 서울: 하나의학사
    Pink B. (원서 2007년 발행) [2011]
  • From ritual to theatre: the human seriousness of play: (빅터 터너의) 제의에서 연극으로. (김익두, 이기우 공역). 서울: 민속원
    Turner, V. W. (원서 1982년 발행) [2014]
  •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The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 Folkman, S. & Moskowitz, J. T. (2000). Stress, positive emotion, and coping.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4), 115-117.
  • Firman, J., Gila, A. (2002). Psychosynthesis: A Psychology of the Spirit.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Feders' the art and science of evaluation in the arts therapies: 예술치료에서의 평가와 연구. (김나영, 김명식, 김선희 외 공역). 서울: 학지사
    Cruz, R. F. Feder, B. (원서 2013년 발행) [2015]
  • Ezzy, D. (2002). Qualitative analysis. London: Routledge.
  • Emotions revealed: 얼굴의 심리학. (이민아 역). 서울: 바다출판사
    Ekman, P. (원서 2003년 발행) [2006]
  • Eckenrode, J. (1984). Impact of chronic and acute stressors on daily reports of mood. J Person and Soc Psychology, 46, 907-918.
  • Donath, O. (2017). Regretting motherhood. California: North Atlantic Books.
  • Dinkmeyer, D. C. & Sperry, L. (2000).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 integrated, individual psychology approach. New Jersey: Merrill.
  • Der sinn des lebens: 삶의 의미. (김세영 역). 서울: 부글북스
    Adler, A. (원서 1933년 발행) [2017]
  • Denzin, N. K. (2009).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New Jersey: AldineTransaction.
  •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Los Angeles: Sage.
  • Corey, G. (2001). The art of integrative counseling. Belmont, CA: Brooks-Cole/Wadsworth.
  • Clinical training guide for the student music therapist: 음악치료 전공자를 위한 임상 훈련 가이드. (김영신, 김은주 공역). 서울: 학지사
    Polen, D. W. Shultis, C. L. Wheeler, B. L. (원서 2005년 발행) [2015]
  • Chrisler, J. C., Ackerman, R. J., Banks, M. E., Denmark, F. L., Gergen, M., Hall. R. et al. (2007). Women over 50: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York: Springer.
  • Case study methodology in business research: 직접해보는 사례연구. (안동윤, 이희수 공역). 서울: 피와이메이트
    Dul, J. Hak, T. (원서 2007년 발행) [2017]
  • Capacchione, L. (2006). The art of emotional healing. Boston: Shambhala.
  • Buss, A. H. (1961). Thepsychology of aggression. New york: Wiley
  • Bruscia, K. E. (2014). Defining music therapy. Illinois: Barcelona Publishers.
  • Brown, M. Y. (2004). (The)unfolding self: the practice of psychosynthesis. Watson-Guptill Pubns.
  • Breuer, J. & Freud, S. (2010). Studies on hysteria. Mansfield Centre: Martino Publishing.
  • Bolz, N. W. (2014). Wer nicht spielt, ist Krank: warum Fu ball, Gl cksspiel und social Games lebenswichtig f r uns sind. M nchen: Redline-Verl.
  • Blatner, A. (1985). The dynamics of catharsis. Journal od Group Psychotherapy, Psychodrama and Soriometry, 37(4), 157-166.
  • Baumeister, R. F., Shapiro, J. P. & Tice, D. M. (1985). Two kinds of identity crisis. Journal of Personality, 53(3), 407-423.
  • Aigen, K. (2014). The study of music therapy. New York: Routledge.
  • Adler, A. (1964). Problems of neurosis: a book of case histories. New York: Harper & Row.
  • Achterberg, J. (1985). Imagery in healing. Boston: Shambhala.
  • 1970년대 도시 공간과 신경증의 상관성 연구
    이평전 Journal of Korean Culture, 34, 99-126 [2016]
  •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의)예술적 상상력과 통섭
    심진호 서울: 작가와비평 [2015]
  • (여자의 모든 인생은)자존감에서 시작된다
    남인숙 서울: 해냄 출판사 [2018]
  • (알기쉬운)미술치료 사진치료
    노대겸 전영신 파주: 양성원 [2017]
  • (아동 청소년을 위한)예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김영숙 박희석 홍은주 서울: 학지사 [2017]
  • (미술치료사를 위한)매체 연구 및 기법실습
  • (La) musica sveglia il tempo.: 다니엘 바렌보임의 치유의 음악. (곽진향 역). 서울: 아포리아
    Barenboim, D. (원서 2010년 발행) [2016]
  • (La) Gu rison du coeur: nos souffrances ont-elles un sens?: 나는 왜 이유 없이 아픈 걸까. (강현주 역). 고양: 예담
    Corneau. G. (원서 2000년 발행) [2015]
  • (Der) Wahn und die Traume in W. J ensens Gradiva: 예술, 문학, 정신분석. (정장진 역). 파주: 열린책들
    Freud, S. (원서 1956년 발행)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