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계시 이해를 위한 해석학적 인식론에 있어 주관성의 문제 : 하이데거와 불트만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 The issue on the Subjectivity for Understanding the Revelation in Hermeneutical ontology: fou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ontology of Heidegger and Bultmann

임순숙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계시 이해를 위한 해석학적 인식론에 있어 주관성의 문제 : 하이데거와 불트만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 The issue on the Subjectivity for Understanding the Revelation in Hermeneutical ontology: fou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ontology of Heidegger and Bultman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객관성
  • 계시
  • 불트만
  • 전이해
  • 주-객 이분법
  • 주관성
  • 하이데거
  • 해석학
  • 현상학
  • 현상학적 존재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34 0

0.0%

' 계시 이해를 위한 해석학적 인식론에 있어 주관성의 문제 : 하이데거와 불트만의 현상학적 존재론을 중심으로 = The issue on the Subjectivity for Understanding the Revelation in Hermeneutical ontology: fou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ontology of Heidegger and Bultmann' 의 참고문헌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상학
    이남인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21집. , 11) [2003]
  • 현상학과 해석학 :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 상학
    이남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에 대한 성찰
    김영한 『철학논총』. 58집 , 10) [2009]
  • 가다머에게서 하이데거 해석학의 유산과 ‘철학적 해석학
    윤병렬 『현대유럽철학 연구』. 제15집. , 4) [2007]
  • 『현상학의 이해』
    한전숙 서울: 민음사 [1984]
  • 『현대의 신학사상』
    김광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 『현대신학의 흐름: 계시와 응답』
    김동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 『현대 신학과 현대 개혁신학』
    윤철호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 『헤겔과 바르트』
    김균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한자경 서울: 서광사 [2009]
  • 『해석학과 성서언어』
    전경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9]
  •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존재: 후기 하이데거의 자기해석에 기초한 존재와 시 간의 재조명』
    김종두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박찬국 서울: 그린비 [2014]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소광희 서울: 문예출판사 [2003]
  • 『포퍼와 현대의 과학철학』
    신중섭 서울: 서광사 [1992]
  • 『칼 포퍼의 과학철학』
    조용현 서울: 서광사 [1992]
  • 『칸트의 인식론』
    김정주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1]
  • 『칸트와 초월철학』
    한자경 서울: 서광사 [1992]
  •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주현성 경기: 더좋은책 [2012]
  • 『위대한 열정: 칼 바르트 신학 해설』
    박성규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역사주의와 역사철학』
    이한구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6]
  • 『신뢰와 의혹』
    윤철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7]
  • 『송영의 삼위일체론: 경배와 찬미의 신학』
    오동영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세계교회사에 나타난 이단논쟁』
    정행업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 『메를로 뽕띠와 애매성의 철학』
    김형효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6]
  • 『대화하는 신학』
    신옥수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7]
  • 『「존재와 시간」 용어 해설』
    구연상 이기상 서울: 까치방 [1998]
  • 『21세기 신학사상』
    김균진 Ⅰ.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 “후설 현상학에서 실증적 객관주의 비판의 의의.”
    이종훈 『철학과 현상학 연구』 [2012]
  • “현상학적 판단중지와 가능세계.”
    박승억 『철학과 현상학 연구』. 43 [2009]
  • “하이데거의 현상학 이해.”
    이유택 『동서인문학』. 38 , 12) [2005]
  •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순환에 대하여.”
    박서현 『철학』 101집 , 11), 69 [2009]
  • “하이데거의 철학사적 위치와 의의에 대한 고찰.”
    박찬국 『존재론 연구』 18 [2008]
  • “하이데거의 실존적 진리개념에 대해서.”
    박찬국 『하이데거 연구』. 제13집 [2006]
  • “하이데거와 역사학의 문제.”
    하피터 『철학과 현상학 연구』. 제 40집. 월 [2009]
  • “하이데거에 있어서 사물존재와 역사성.”
    엄필선 『하이데거 연구』. 19 [2009]
  • “하이데거 초기 사유에서 기분(Stimmung)의 의미.”
    박현정 『존재론 연구』. 17집 [2008]
  •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행위이론」에 관한 연구.”
    박종대 『사회와 철학』.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1]
  • “칸트와 데카르트에서 정신과 물질의 관계 –인식론적 관점에서-.”
    최인숙 『칸트연 구』. , 12) [2005]
  • “아날로기아와 해석학.”
    전경연 『바르트 신학연구: 바르트 기념 논문집』 [1970]
  • “불트만의 해석학.”
    윤성범 『기독교 사상』. 25호. , 10) [1959]
  • “불트만의 해석학 고찰.”
    심상태 『신학사상』 Vol. 26 [1979]
  • “불트만의 인간
    허 혁 ” 『기독교 사상』. , 2) [1964]
  • “불트만의 신학적 유산.”
    김용옥 『신학과 세계』 1. , 9) [1976]
  • “불트만의 신학방법론.”
    윤철호 『한국조직신학논총』. 54집. , 3) [2019]
  • “불트만의 비신화론화.”
    이여진 『기독교 사상』 [1957]
  • “불트만의 기독론에서 역사적 예수.”
    김동건 『신학사상』. Vol 139 [2007]
  • “불트만에 대하여.”
    김상돈 『신학논단』. 4집 [1958]
  • “발견의 맥락과 정당화의 맥락.”
    한상기 『동서철학연구』. 제58호 , 12) [2010]
  • “바르트의 신학방법론.”
    윤철호 비발간논문
  • “루돌프 불트만의 현상학적 신학:-불트만과 하이데거의 사상 비교
    서동은 ” 『기독교 철학』 5권 0호 [2007]
  • “공적 신학으로서의 조직신학을 위한 해석학적 방법론: 데이비드 트레이시에 대한 재조명.”
    윤철호 『온 신학회 전문위원 세미나』. 서울: 온신학회 [2019]
  • “가다머에 있어서 ‘이해’의 문제.”
    김석수 『철학논집』. 8집 [1997]
  • http://www.newsnjoy.or.kr/news/articleView.html?idxno=29861
  • Wittgenstein, Ludwig.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이영철 역. 『철학적 탐 구』
    서울: 서광사 [1994]
  • Van Huyssteen, J. Wentzel, Theology and the Justification of Faith: Constructing Theories in Systematic Theology. trans. H. F. Snijders. Grand Rapids, Mich.: Eerdmans, 1989.
  • Van Huyssteen, J. Wentzel, The Shaping of Rationality: toward Interdisciplinarity in Theology and Science. Michigan: William B. Eerdmans, 1999.
  • Turner, Jonathan H. The Emergence of Sociological Theory 3rd. 김문조 외 역. 『사회학 이론의 형성』
    서울: 일신사 [1997]
  • Tracy, David. The Analogical Imagination: Christian Theology and the Culture of Pluralism. New York: Crossroad, 1987.
  • Tillich, Paul. Systematic Theology Ⅲ. 유장환 역. 『조직신학』 Ⅲ
    서울: 한들 [2005]
  • Thiselton, Anthony C.. The Two Horizions. 박규태 역. 『두 지평: 성경해석과 철 학적 해석학』
    (서울: IVP [1980]
  • Spivak, Gayatri. A Critique of Postcolonial Reason: Toward a History of the Vanishing Present. 태혜숙 박미선 역. 『포스트식민 이성 비판: 사라져가 는 현재의 역사를 위하여』
    서울: 갈무리 [2005]
  • Schrag, Calvin O., Communicative Praxis and the Space of Subjectivity. Indiana: Indiana University Press, 1989.
  • Schmithals, Walter. Die Theologie Rudolf Bultmann. 변선환 역. 『불트만의 실 존론적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3]
  • Rosaldo, Renato. Culture & Truth: The Remaking of Social Analysis. 권숙인 역. 『문화와 진리: 사회분석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서울: 아카넷 [2002]
  • Rahner, Karl. “Einf hrung in den Begriff der Existentiaphilosophie bei Heidegger.” S mtilcihe Werke Ⅱ. 이영덕 역. “하이데거의 실존철학 개 념에 대한 연구
    ” 『신학전망』 172호 [2011]
  • Popper, Karl.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박우석 역. 『과학적 발견의 논 리』
    서울: 고려원 [1994]
  • Popper, Karl. Objective Knowledge: An Evolutionary Approach. 이한구 정연 교 역. 『객관적 지식』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13]
  • Popper, Karl. All Life is Problem Solving. 허형은 역.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 다』
    서울: 부글북스 [2006]
  • Pitcher, George. The Philosophy of Wittgenstein. 박영식 역.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울: 서광사 [1987]
  • Pannenberg, Wolfhart. Systematische Thiologie. 신준호 안희철 역. 『조직신학』 Ⅰ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Palmer, Richard. Hermeneutics; Interpretation Thoelogy in Schlermacher, Dilthey, Heidegger, and Gadamer. 이한우 역.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문예출판사 [1991]
  • Mueller-Vollmer, K.. The Hemeneutics Reader. New York: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85.
  • Migliore, Daniel L. Faith Seeking Understanding 2nd Edition. 신옥수 백충현 역. 『기독교 조직신학 개론: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 제2판
    서울: 새물결플 러스 [2012]
  • Merleau-Ponty, Maurice. Ph nom nolgie de la Perception. Edited by Gallimard. 류의근 역. 『지각의 현상학』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2]
  • McCormack, Bruce L.. Orthodox and Modern: Studies in the Theology of Karl Barth.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8.
  • Macqurrie, John. Heidegger and Christianity. 강학순 역. 『하이데거와 기독교』
    서울: 한들출판사 [2006]
  • Macquarrie, John. An existentialist theology : A comparison of Heidegger and Bultmann. London: SCM Press, 1960
  • Luhmann, Niclas. Die Gesellschaft der Gesellschaft. 장춘익 역. 『사회의 사회 』 1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2]
  • Levinas, Emmanuel. Totalit et infini. Essai sur l’ext riotit . 김도형 외 2인 역. 『전체성과 무한: 외재성에 대한 에세이』
    서울: 그린비출판사 [2018]
  • Kuhn, Thoma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김명자 홍성욱 역.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글방 [1999]
  • Kaulbach, Friedrich. Immanuel Kant. 『칸트 비판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
    서울: 서광사 [1992]
  • Karl Barth: Biblical and Evangelical Theologian. 최 영 역. 『칼 바르트: 성서적 복음주의적인 신학자』
    Torance, T. F. 서울: 한들출판사 [1997]
  • Kant, Immanuel. Kritik der Reinen Vernunft. 최재희 역. 『순수이성비판』
    서울: 박영사 [2013]
  • Joseph J. Smith. “Primal Revelation and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Brunner and Catholic Theology.” Theologicl Studies Vol 27 (1966).
  • Jaspert, Bernd. Sackgassen im Streit mit Rudolf Bultmann: Hermeneutische Probleme der Bultmannrezeption in Theologie und Kriche. 황현숙 역. 『루돌프 불트만 신학의 재조명』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 Husserl, Edmund. Ideen zu einer reinen Ph nomenologie und Ph nomenologischen Philosophie Ⅰ. 이종훈 역. 『순수현상학과 현상학 적 철학의 이념들』 제1권
    경기: 한길사 [2009]
  • Hick, John. “Religious Faith as Experiencing-As.”: Royal Institute of Philosophy Lectures (Talk of God Vol 2, 1967/68). London: G. N. A. Vesey, 1969.
  • Heidegger, Martin. Sein und Zeit. 소광희 역. 『존재와 시간』
    서울: 경문사 [1995]
  • Habermas, J rgen. Theories des Kommunikativen Handelns: Handlungsrationalit t und gesellschaftliche Rationalisierung. 장춘익 역. 『의사소통행위 이론: 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제1권
    경기: 나남출판 [2006]
  • Habermas, J rgen. Theories des Kommunikativen Handelns: Handlungsrationalit t und gesellschaftliche Rationalisierung. 장춘익 역. 『의사소통행위 이 론: 행위합리성과 사회합리화』 제2권
    경기: 나남출판 [2006]
  • Habermas, J rgen. Technik und wissenschaft als ideologie. 장일조 역. 『이성적인 사 회를 향하여』
    서울: 종로서적 [1995]
  • Habermas, J rgen. Erkenntnis und Interesse. 강영계 역. 『인식과 관심』
    서울: 고려원 [1983]
  • Grenz, Stanley J. Olson, Roger E.. 20th-century Theology. 신재구 역. 『20세기 신학』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7]
  • Green, Garrett. Imagining God. 장경철 역. 『하나님 상상하기』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6]
  •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e. 임홍배 역. 『진리와 방법』 2
    서 울: 문학동네 [2012]
  • Frei, Hans W. The Eclipse of Biblical Narrative. 『성경의 서사성 상실』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6]
  • Fergusson, David. Bultmann. 전성용 역. 『불트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 Dunbar. Kant: An Introduction. 하영석 이남원 역. 『칸트철학의 분석 적 이해』
    Broad, C. 서울: 서광사 [1992]
  • Derrida, Jacques. De la Grammatologie. 김성도 역. 『그라마톨로지』
    서울: 민음 사 [2010]
  • Deleuze, Gilles. Diff rence et R p tition. 김상환 역.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 사 [2004]
  • Cobb, John. Living Options in Protestant Theology: A Survery of Methods. Lanham/London: Univiersity Press of America, 1968.
  • Butmann, Rudolf. “Neues Testament und Mythologie.” Kerygma und Mythos :Ein Theologisches Gespr ch Ⅰ. Hamburg bergstedt: Herbert reich Ev ngelischer verl g, 1960.
  • Butmann, Rudolf. “Neues Testament und Mythologie.” Kerygma und Mythos :Ein Theologisches Gespr ch Ⅰ. Hamburg bergstedt: Herbert reich Ev ngelischer verl g, 1952.
  • Bultmann, Rudolf. “Wissenschaft und Existenz.” Glauben und Verstehen Ⅲ. 107-121. 허 혁 역. “학문과 실존.” 『학문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화 사 [1980]
  • Bultmann, Rudolf. “Welchen Sinn hat es, von Gott zu Reden.” Glauben und Verstehen Ⅰ. 26-37. 허 혁 역. “신으로부터 말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학문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Bultmann, Rudolf. “Theologie als Wissenschaft.” ZThK. 박재준 역. “학문으로 서의 신학
    ” 『신학사상』. 49집 [1985]
  • Bultmann, Rudolf. “Neues Testament und Mythologie.” Kerygma und Mythos I. 15ff. 유동식 허 혁 역.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1969]
  • Bultmann, Rudolf. “Neues Testament und Mythologie.” Kerygma und Mythos I. 1-16. “신약성서와 신화.” 『학문과 실존』 제2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1]
  • Bultmann, Rudolf. “Jesus Christus und die Mythologie.” Glauben und Verstehen Ⅳ. 141-89. 허 혁 역. “예수 그리스도와 신화.” 『학문과 실존』 제3권
    서 울: 성광문화사 [1981]
  • Bultmann, Rudolf. “Ist voraussetzungslose Exegese m glich?.” Glauben und Verstehen Ⅲ. 142-150. 허 혁 역. “전제 없는 주석이 가능한가?.” 『학문 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Bultmann, Rudolf. “Die Bedeutung der ‘dialektischen Theologie’ f r die neutestamentliche Wissenschaft.” Glauben und Verstehen I. 114-33. 허 혁 역. “신약학을 위한 ‘변증법적 신학’의 의의.” 『학문과 실존』 제2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1]
  • Bultmann, Rudolf. “Der Begriff der Offenbarung Neuen Testament.” Glauben und Verstehen Ⅲ. 1-34. 허 혁 역. “신약성서의 계시개념.” 『학문과 실존』 제 1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Bultmann, Rudolf. “Das problem der Hermeneutik.” Glauben und Verstehen Ⅱ. 211-235. 허 혁 역, “해석학의 문제.” 『학문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 화사 [1980]
  • Bultmann, Rudolf. “Ankn pfung und Wederspruch.” Glauben und Verstehen Ⅱ, 117-132. “접촉과 저항.” 『학문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Bultmann, Rudolf. Rudolf Bultmann Theologie des Neuen Testaments. 허 혁 역. 『신약성서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9]
  • Bultmann, Rudolf. Jesus. 허 혁 김경희 역. 『예수』
    서울: 이화서림 [1972]
  • Bultmann, Rudolf. History and Eschatology. 서남동 역. 『역사와 종말론』
    서울: 대한기 독교서회 [1986]
  • Brunner, Emil. “Nature and Grace.” 김동건 역. “자연과 은혜.” 『자연신학』
    서 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 Bernstein, Richard J., Beyond Objectivism and Relativism: Science, Hermeneutics and Praxis.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3.
  • Bavinck, Herman. Magnalia Dei. 김영규 역. 『하나님의 큰 일』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9]
  • Barth, Karl. “No!.” 김동건 역. “아니오! 에밀 브룬너에 대한 답변.” 『자연신학』
    서 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7]
  •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Ⅱ/1. 황정욱 역. 『교회 교의학』Ⅱ/1
    서 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Ⅰ/2. 신준호 역. 『교회 교의학』 Ⅰ/2
    서 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Ⅰ/1. 박순경 역. 『교회 교의학』 Ⅰ/1
    서 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c Ⅰ/1. trans. G. Bromiley. Church Dogmatics Ⅰ/1. London: T. & T. Clark,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