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습득 양상 연구

왕호 2019년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습득 양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2-syallble Sino-Korean
  • 2音节汉字词
  • 2음절 한자어
  • Cognates
  • False cognates
  • Homographs
  • Korean Education
  • Non-cognates
  • Sino-Korean + hada(하다)
  • Synonyms
  • inverse morpheme words
  • vocabulary acquisition
  • 假同源词
  • 同形异义词
  • 同源词
  • 异形同义词
  • 汉字词+hada
  • 汉字词教育
  • 词汇习得
  • 逆顺同义词
  • 非同源词
  • 가짜 동족어
  • 동족어
  • 동형이의어
  • 비동족어
  • 어휘습득
  • 역순동의어
  • 이형동의어
  • 한자어+하다
  • 한자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5 0

0.0%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습득 양상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어 텍스트 수정 연구의 비판적 고찰
    김영규 이승은 한국응용언어학회, 『응용언어학』 25(1), 27~54쪽 [2009]
  •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http://www.korean.go.kr
  •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
    후문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3]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수준별 어휘적 특 성 연구
    이영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한자어 어휘 학습 전략의 연구 : 한 중 한자어 의미 대조를 중심으로
    유서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 중 동형 한자어의 의미기술과 지도 방안 연 구
    곽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陳明遠(1981),「數理統計在漢語研究中的應用」, 『中國語文』6(1), 中国社会科学 院语言研究所.
  • 问卷星 https://www.wjx.cn
  • 柳智恩(2007), 「漢韓漢字詞的比較研究」, 東北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 崔万基(2003),「现代汉语和韩国语词汇对比分析」,辽宁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
  • 『현대 국어 사용빈도 조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 사』
    조남호 국립국어원 [2002]
  • 『한국한자어에 관한 연구: 어휘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주 서울: 삼영 사 [1974]
  • 『한국의 언어』
    이익섭 서울: 심구문화사 [1997]
  •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 형 조사 연구』
  •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조남호 국립국어원 [2003]
  • 『한국어 사용 빈도: 1500만 어절 세종형태 의미 분석 말뭉치 기반』
    강범모 김홍규 한국문화사 [2009]
  • 『한국어 교육 어 휘 내용 개발(4단계)』
  • 『한국어 교육 어 휘 내용 개발(3단계)』
  • 『한국어 교육 어 휘 내용 개발(2단계)』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 『국어교육 어휘 연구』
    이충우 서울: 국학자료원 [1994]
  • 『국어 문자 표기론』
    김문창 서울: 文學世界社 [1987]
  •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김광해 서울: 탑출판사 [1989]
  • 『(中國語學講義)중국어란 무엇인가』
    崔玲愛 서울: 통나무 [1998]
  • 「현대 한중 한자어의 동형이의어⋅이형동의어 비교 연구: HSK 8822 甲乙급 어휘를 중심으로」
    김홍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현대 한국 한자어 어휘와 중국어 어휘의 의미론적 비교 연구」
    孫惠波 송 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현대 한⦁중 이형동의어의 구조 연구」
    남명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09]
  • 「현대 국어 한자어의 구성 단위와 구조 연구」
    이상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한중 한자어 의미 대비 연구」
    文蓮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2007]
  • 「한중 실용 한자어의 비교 연구」
    고뢰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한중 상용 한자어 비교 연구」
    고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한자어의 구조와 그 조어력」
    심재기 『국어생활』8, 국어연구소, 25~39 쪽 [1987]
  •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성」
    정원수 어문연구학회, 『어문연구』18, 69~82 쪽 [1988]
  • 「한자를 활용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 초급 과정 한자권 중국인 결혼이민자 대상」
    최인영 군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자 교육 방법에 관한 고찰: 외국인에 대한 한자 교육을 중심으 로」
    최주열 『한국어 교육』5,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5~174쪽 [1994]
  • 「한국인 학습자의 제3언어 습득에 제2언어가 미치는 영향: 영어와 독 일어의 거짓 짝(false cognates)을 중심으로」
    정유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한국어와 중국어의 同素逆序 이음절어 비교연구」
    文英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 난 어휘를 바탕으로」
    강현화 『한국어 교육』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1]
  •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 명사의 공기 관계 연구: 한중 대조 연구 를 예시로 하여」
    심혜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한국어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권별 어휘 오류의 통계적 분석」
    김미옥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1(32), 31~52쪽 [2003]
  •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문금현 『이중언어학』23, 이중언어학회, 13~35쪽 [2003]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어휘 교육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김성중 『漢字 漢文教育』1(32),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59~79쪽 [2013]
  • 「한국 한자어와 현대 중국어 어휘 비교 연구: 동혀이의어⋅이형동의 어를 중심으로」
    김동호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의 대조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및 의미적 차 이」
    李得春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19, 27~39쪽 [1994]
  • 「한국 한자어와 中國現代漢語語彙의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어 휘 선정 결과 보고서>의 어휘 목록을 중심으로」
    채옥자 『이중언어학』24, 이중언어 학회, 268~273쪽 [2004]
  • 「한⦁중 한자어의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한국어 교재(3-6권) 부록에서 나온 어휘를 중심으로」
    유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한⦁중 한자 어휘 대비 연구: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 서>의 2음절 명사 어휘를 중심으로」
    임봉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한 중 2음절 동형 한자어 품사 대조 연구: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 록을 중심으로」
    장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에 미치 는 영향 연구」
    황민형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중급 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 어휘 학습 전략 연구: 의미 발견 전략을 중심으로」
    박성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이해 능력이 한국어 읽기에 미치는 영 향」
    왕비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馬今善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동형 한자어 대조 연구」
    이금영 『충청문화연구』17,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47~274쪽 [2016]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자어 형식 습득 연구」
    靳葆強 『한국(조선)어교 육연구』13, 217~236쪽 [2018]
  • 「중국인 학습자의 한자어 습득 양상 및 교육 방안: 중급 학습 자를 대상으로」
    이향순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형용사 이해⦁사용에 나타난 오류에 관한 연 구」
    王丹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Korean 연구와 교육』(1), 69~91 쪽 [2005]
  • 「중국인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이향화 최경봉 중앙 어문학회, 『어문논집』52, 5~36쪽 [2005]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기초 한국어 한자어 명사의 ‘공기 관계’ 교육 연구」
    심혜령 『中國文學』52, 한국중국어문학회, 405~430쪽 [2007]
  • 「중국인 학습자 한국어 한자어 습득 연구」
    靳葆強 『어문연구』40(2), 445~470쪽 [2014]
  • 「중국인 학국어 학습자의 수준별 한국어 어휘 사용 양상 연구」
    노관예 계 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 연구」
    김수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학습 반안 연구」
    이영초 충남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한자어 학습 오류에 대한 연구」
    한지현 『배달 말』(57), 배달말학회, 427~461쪽 [2015]
  • 「읽기 텍스트 상의 한자 병기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한자 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우리말 漢字語彙에 對應하는 現代 中國語語彙 比較 硏究: 제 7차 교 육과정에 따른 中國語基本語彙表 중심으로」
    崔貴淑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2004]
  •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이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08]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미 교육의 현황과 전망」
    문금현 『한국어 의미 학』16, 한국어 의미학회, 143~177쪽 [2005]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본 한자어 선정: 초⦁중급 한자를 중심으로」
    김지형 『어문연구』31(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77~402쪽 [200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자어 교육을 위한 기초적 연구: 한자문화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재영 『이중언어학』13, 이중언어학회, 113~164쪽 [2003]
  •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의 조어력 조사: 한국어 회화 교재에 나타난 한자어를 대상으로」
    강현화 김창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25~26, 연 세대학교 한국어 학당 [2001]
  • 「어휘 학습 전략 훈련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학습 효과」
    윤유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어원분석학적 접근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 연구」
    이선중 『새국어교육』 (112), 한국국어교육학회, 211~243쪽 [2017]
  • 「스페인어 가짜 동족어 사용의 오류 분석」
    유은정 『이중언어학』38, 285~304쪽 [2008]
  • 「비한자문화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설혜경 심혜령 『외국어 로서의 한국어교육』34,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57~174쪽 [2009]
  • 「비한자권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 연구」
    오수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비한문 문화권 외국인에 대한 한자교육 방법론 소고」
    손연자 『말』9(1), 연세대학교한국어학당, 81~100쪽 [1984]
  • 「국어 사전 어휘의 류별 구성화로 본 한자어의 중요도와 교육문제」
    이응백 『語文研究』8(1-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6~141쪽 [1980]
  • 「과제의 인지적 복잡성이 한국어 학술인지 기본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강현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과제 복잡성이 한국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채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처리와 추론 전략에 대한 연구」
    박신영 연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고급 단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어휘 교수-학습 전략 연 구」
    정서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 「韓國語에 있어서의 漢字語의 品詞性-일본어의 경우와 관련하여」
    李于錫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日本硏究』16, 337-338쪽 [2001]
  • 「韓國語漢字詞的母語遷移與教學對策: 以韓國語中的雙音節漢字詞為中 心」
    齊曉峰 『北京第2外國語學院學報』2,北京第2外國語大學, 63~70쪽 [2008]
  • 「韓國語教育에서 漢字教育의 위상과 방향」
    김정남 『어문연구』33(3), 한 국어문교육연구회, 399~424쪽 [2005]
  • 「韓國漢字詞와 現代中國語語彙比較研究: 高等學校中國語教材를 중심 으로」
    지창란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韓中漢字語의 變遷에 關한 比較研究」
    程崇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7]
  • 「韓中漢字語類型比較研究: HSK 動詞語彙를 중심으로」
    정성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韓中 漢字詞에 關한 比較研究: 現代國語를 中心으로」
    王克全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4]
  • 「韓⦁中漢字語의 異形同義語 比較研究」
    탕화봉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09]
  • 「韓⦁中共用漢字詞 중의 異議語 연구」
    康惠根 중국인 문학회, 『中國人文科學』14, 47~88쪽 [1995]
  • 「韓⦁中兩國에서 現用하는 漢子語彙 比較攷: 中國語의 特殊語彙를 中心으로」
    成元慶 성곡언론문화제단, 『성곡논총』8, 284~325쪽 [1977]
  • 「現代 中國語와 韓國 漢字語 對照 硏究」
    盧純菱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現代 中國語와 現用 韓國漢字詞 動詞의 對比 研究: 韓國 初等學校 教育用漢字詞의 動詞를 對象으로」
    崔金丹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漢字語의 語彙形態論的 特性에 관한 硏究」
    노명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1990]
  • 「外國語로서의 韓國語教育: 教材編纂에 대한 基礎研究」
    장석진 『言語教 育』6(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69~107쪽 [1974]
  • 「外國人을 위한 韓國語漢字教育研究」
    김종섭 『어문연구』25(3), 한국어문 교육연구회, 95~113쪽 [1997]
  • 「外國人을 위한 國語漢字教育研究」
    정승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1988]
  • 「基于ERPs实验的二语词汇能力心理现实性研究」
    楊亦明 耿立波 北京外國語大學, 『外语教学 与研究』3, 163~169쪽 [2008]
  • 「國語語彙指導方法의 比較研究: 漢字利用與否를 中心으로」
    손영애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2]
  • 「中韩汉字词比较研究:以形义分析为中心」
    董磊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12]
  • 「中國語作文時發生하는 語彙選定上의 誤謬研究: 韓⦁中 同形漢字詞 를 中心으로」
    김신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한자어+하다’ 동사 연구」
    이서란 『冠嶽語文硏究』23(1), 281~303쪽 [1998]
  • 「VP shells와 ‘한자어 명사+하다’에 대하여」
    김건희 『언어연구』21, 서울 대학교 언어연구회, 1~18쪽 [2001]
  • 「(논문작성에 필요한)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파주: 21세기사 [2011]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어휘 오류”
    송향근 차숙정 『한국어 교육』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415~436쪽 [2006]
  •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오류 연구 :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이정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19(3), 1~23쪽 [2008]
  • Whitman, R. L. & Jackson, K. L. (1972). “The unpredictability of contrastive analysis”. Language learning, 22(1). 29~41.
  • Sharwood Smith, M. & Kellerman, E. (1986).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 introduction”.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
  • Selinker, L. (1972). Interlanguage. IRAL-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10(1-4), 209-232.
  • Saville-Troike, M. (2006). “Silence: cultural aspects”, 379~381. In Keith Brown (Eds.): Encyclopedia of Language & Linguistics(2nd Ed), Reference Work.
  • S nchez-Casas, Rosa. M., Davis, C. W. & Garcia Albea, J. E. (1992). “Bilingual lexical Processing: Exploring the cognate/non-cognate distinction”. European Journal of Cognitive Psychology, 4. 293~310.
  • Ringbom, H. (2001). “Lexical transfer in L3 production”. 59~68. In J. Cenoz, B. Hufeisen & U. Jessner (Eds.): Cross-linguistic influence in third language acquisition. Multilingual Maters Ltd., Clevedon, England.
  • Ringbom, H. (1992). “On L1 transfer in L2 comprehension and L2 production”. Language Learning, 42. 85~112. Cited in Beltran, R. C.(2006). “Towards a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false friends (Spanish-English)”.
  • Ringbom, H. (1987). The Role of the First Languag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ultilingual Maters Ltd., Clevedon, England.
  • Ringbom, H. (1983). “Borrowing and lexical transfer”. Applied Linguistics, 4(3). 207~212.
  • Paribakht, T. S. & Wesche, M. (1997). “Vocabulary enhancement activities and reading for meaning in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In J. Coady & T. Huckin (Eds.): Second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Olshtain, E. (1987). “The acquisition of new word formation process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9(2). 221~231.
  • Odlin, T. (1989). Language transf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ation, I. S. P. (2005).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In Handbook of research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 Meara, P. (1996b). The vocabulary knowledge framework. Vocabulary Acquisition Research Group Virtual Library.
  • Mattheoudakis, M. & Patsala, P. (2007). “English-Greek false friends: Now they are, now they aren’t”. In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Greek Linguistics.
  • Liu, Shaozhong. (2001). “Studies on transfe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Guangxi Normal University Journal, 3(1). 1~29.
  • Kellerman, E. (1979). “Transfer and non-transfer: where are we now?”.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2(1). 37~57.
  • Holmes, J. & Ramos, R. G. (1993). “False friends and reckless guessers: Observing cognate recognition strategies”. Second language reading and vocabulary learning, 86-108.
  • Ellis, R. & Barkhuizen, G. P. (2005), Analysing Learner 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order, S. P. (1983). “A role for the mother tongue”. In S. Gass & L. Selinker (Eds.): Language Transfer in Language Learning. Rowley, MA: Newbury House.
  • Beltr n, R. C. (2006). “Towards a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false friends(Spanish-English)”, Revista Espa ola de Ling stica Aplicada, 19. 29~40.
  • <현대한어사전(現代漢語詞典)>, 제6판
  • <한중대사전(韓漢大字典)>
    유패림 중국 상무출판사, 제2판 [2007]
  • <바이두 온라인 한어사전>
    https://dict.baidu.com/
  • <네이버 한자사전>
    http://www.naver.com
  • <네이버 중국어사전>
    http://www.naver.com
  •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https://ithub.korean.go.kr
  •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자어 어휘 오류 분석과 교육 방안 – 모국어 영향에 의한 오류를 중심으로-"
    민영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2, 81~103쪽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