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구려의 성립과 전기 지배체제 연구

장병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고구려의 성립과 전기 지배체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Bu(部)
  • Bulnae Ye(不耐濊)
  • Chaekguru(幘溝漊)
  • East Okcho(東沃沮)
  • Feudal system(封建制)
  • Four Han Commanderies(漢四郡)
  • Gojoseon(古朝鮮)
  • Gyeru group(桂婁集團)
  • Leading force(主導勢力)
  • Lelang Commandery(樂浪郡)
  • Liaodong(遼東)
  • Na(那)
  • Official rank system(官等制)
  • Ruling System(支配體制)
  • Sono group(消奴集團)
  • Territory ruling(領域支配)
  • Xuantu Commandery(玄菟郡)
  • koguryo(高句麗)
  • 계루집단(桂婁集團)
  • 고구려(高句麗)
  • 고조선(古朝鮮)
  • 관등제(官等制)
  • 나(那)
  • 낙랑군(樂浪郡)
  • 동옥저(東沃沮)
  • 봉건제(封建制)
  • 부(部)
  • 불내예(不耐濊)
  • 소노집단(消奴集團)
  • 영역지배(領域支配)
  • 요동(遼東)
  • 주도세력(主導勢力)
  • 지배체제(支配體制)
  • 책구루(幘溝漊)
  • 한사군(漢四郡)
  • 현도군(玄菟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 0

0.0%

' 고구려의 성립과 전기 지배체제 연구' 의 참고문헌

  • 「「泉男産墓誌」의 역주와 찬술 전거에 대한 고찰」
    장병진 高句麗渤海硏究 55 [2016]
  • 「「毌丘儉紀功碑」의 해석과 高句麗・魏 전쟁의 재구성」
    이승호 목간과 문자 15 [2015]
  • 「遼東郡 中部都尉와 高句麗의 新城」
    권오중 고구려연구재 단, 고구려의 국제관계 [2005]
  • 「遼東半島와 鴨綠江 中・下流地域 積石墓의 관계 -高句麗 積石墓의 기원 에 관한 試論-」
    池炳穆 史學硏究 53 [1997]
  • 「樂浪郡의 土着勢力 再編과 支配構造」
    吳永贊 서울대학교 국사 학과, 韓國史論 35 [1996]
  • 「樂浪前期 郡縣支配勢力의 種族系統과 性格」
    尹龍九 歷史學報 126 [1990]
  • 「진서 동이 조공 기사의 재검토」
    윤용구 사계절, 한국 고대사 연구의 자료와 해석 [2014]
  • 「삼국지 부여전의 문헌적 검토」
    윤용구 동북아역사재단, 부여사와 그 주변 [2008]
  • 「說文解字의 고조선・낙랑 기록과 典據」
    김남중 先史와 古代 51 [2017]
  • 「三國志 高句麗 관계 기사의 몇 가지 문제에 관한 재검토 -諸加會議・ 官制・地方統治의 내용과 해당시기를 중심으로-」
    崔熙洙 韓國古代史探究 創刊號 [2009]
  • 「三國史記 上代記事의 信憑性 問題」
    盧泰敦 아시아문화 2 [1987]
  • 「三國史記에 보이는 東扶餘, 北扶餘, 卒本扶餘의 자료 계통과 성격」
    임기환 주류성출판사,  (石門 李基東敎授 停年紀念論叢) 한국 고대사 연구의 현단계 [2009]
  • 「후한의 변군운용과 요동・현도군」
    방향숙 동북아역사 재,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2008]
  • 「현도군의 군현 지배와 고구려」
    윤용구 동북아역사재 단,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2008]
  • 「현도군과 고구려의 건국에 대한 연구」
    기수연 高句麗硏究 29 [2007]
  • 「한사군의 역사지리적 변천과 ‘낙랑군 초원 4년 현별 호구부’」
    윤선태 동북아역사재단, 낙랑군 호구부 연구 [2010]
  • 「한대 요동군의 군현 지배 –군현체제로의 지향과 한계」
    배진영 동북아역사재단, 요동군과 현도 군 연구 [2008]
  • 「한국고대국가의 정치체제발전론 -‘부체제’논쟁에 대한 소견을 대신하여 -」
    김영하 韓國古代史硏究 17 [2000]
  • 「한국 고대의 축제와 사면」
    김수태 韓國古代史硏究 59 [2010]
  •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서영대 일조각, 한국사 시민강좌 45 [2009]
  • 「한국 고대의 ‘中國式 土城’에 대하여」
    尹龍九 한국고대사 회연구소, 韓國古代史論叢 8 [1996]
  • 「한국 初期鐵器時代의 政治體 首長에 대한 고찰」
    李賢惠 歷史學報 180 [2003]
  • 「포항중성리신라비」
  •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관등제」
    하일식 韓國古代史硏究 56 [2009]
  • 「포항냉수리신라비」
  • 「초기 고대국가의 국가구조와 정치운영 -부체제론을 중심으로-」
    노태돈 韓國 古代史硏究 17 [2000]
  • 「초기 고구려의 주도세력과 현도군」
    장병진 韓國古代史硏究 77 [2015]
  •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예맥족을 중심으로-」
    조영광 동북아역사논총 27 [2010]
  • 「청동기를 통해서 본 고조선과 주변사회」
    이청규 학 연문화사, 고조선의 역사를 찾아서 [2007]
  •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
    李淸圭 國史館論叢 42 [1993]
  • 「철기시대 중국 동북 지역 금속제 이식의 시공간성과 제작 방식」
    吳江原 湖南 考古學報 48 [2014]
  •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 「진한제국의 변경 이민족 지배와 부도위」
    김병준 동북아역사재단,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외교와 변경기구 [2013]
  •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金秉駿 歷史學報 189 [2006]
  • 「중국계 관료와 그 활동」
    윤용구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百濟文化史大系硏究叢書 (9) -백제의 대외교 섭- [2007]
  • 「위진남북조의 ‘요동’ 인식과 고구려 –조위의 동방경략과 그 역사적 의 미를 중심으로-」
    이성제 한신대학교출판부,중국의 변강 인식과 갈등 [2007]
  • 「위만조선과 고구려 초기의 相」
    김남중 韓國古代史探究 14 [2013]
  • 「울진봉평리신라비」
  • 「우리 나라 서북 지방의 나무곽무덤에 대한 연구」
    리순진 고고민속론문집 8 [1983]
  • 「요동・현도군의 한묘」
    김용성 동북아역사재단,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2008]
  • 「요동군의 설치와 전개」
    서영수 동북아역사재단,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2008]
  • 「요동 공손씨정권의 대방군 설치와 그 의미」
    權五重 大丘史學 105 [2011]
  • 「오녀산성・국내성・환도산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성과」
    徐吉洙 高句麗硏究  19 [2005]
  • 「영천청제비 병진명」
  • 「압록강 중류유역에서 고구려의 국가 형성」
    여호규 역사와 현실 21 [1996]
  • 「압록강 유역 고구려 초기 적석묘의 출현과 분포 양상의 성격」
    김종은 역사문 화연구 61 [2017]
  • 「선고구려・고구려 초기의 기술 혁신과 고분 구조와 장제의 전환 –환인 일대를 중심으로」
    오강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 [2015]
  • 「서평 : 국가성립사연구와 방법론」
    하일식 역사와 현실 4 [1990]
  • 「서기 3세기 초의 고구려와 魏의 외교 관계」
    박노석 全北史學 24 [2001]
  •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 -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尹龍九 韓國古代史硏究  46 [2007]
  • 「부여・고구려 건국신화의 同異樣相」
    신종원 서경,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2006]
  • 「부여의 정치와 사회」
    宋鎬晸 국사편찬위원회, (신편) 한국사 4 [1997]
  • 「백제의 건국 시기와 주체세력」
    김기섭 先史와 古代 27 [2007]
  • 「백제 건국의 주체세력과 그 계통」
    정재윤 서경문화 사, 한성백제의 역사와 문화 [2007]
  • 「모본왕대의 후한 공격」
    박노석 大同史學 1 [2002]
  • 「동명신화의 전개와 변용」
    임기환 동북아역사재단, 부여사와 그 주변 [2008]
  • 「대동강 하류일대 고구려 적석총의 분포현황과 그 성격」
    장효정 國史館論叢 101 [2003]
  • 「대구 지역 古代 政治體의 형성과 변천」
    李熙濬 嶺南考古學 26 [2000]
  • 「대가야 멸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 -‘加耶叛’ 기사를 중심으로-」
    신가영  韓國古代史硏究 72 [2013]
  • 「단양신라적성비」
  • 「낙랑의 군현 재편과 예(濊)」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낙랑군 호구부 연구 [2010]
  • 「낙랑군 초기의 군현 지배와 호구 파악」
    윤용구 동북아 역사재단, 낙랑군 호구부 연구 [2010]
  • 「낙랑군 동부도위 지역 邊縣과 군현지배」
    김병준 韓國古代史硏究 78 [2015]
  • 「김포 운양동유적 출토 금제이식에 대한 검토」
    이한상 한강문화재연구원・한국토지주택공사, 김포 운양동유적Ⅱ (2 권) [2013]
  •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박준형 사학연구 108 [2012]
  • 「기원 4세기까지의 고구려 묘제에 관한 연구」
    정찬영 고고민속론문집 5 [1973]
  • 「고조선・부여의 주민 구성과 종족」
    박경철 북방사논총 6 [2005]
  • 「고조선의 정치체제」
    박대재 동북아역사논총 47 [2015]
  • 「고조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盧泰敦 民音 社, 韓國上古史 : 연구현황과 과제 [1989]
  • 「고조선사 연구의 쟁점과 흐름」
    서영수 학연문화사,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과 대외 교류 [2015]
  • 「고조선대 창해군에 대한 재 고찰」
    박노석 全北史學 50 [2017]
  •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노태돈 사계절, 단군과 고조선사 [2000]
  •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과 국가적 성격에 대한 새로운 논의 –박준형, 고 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송호정 韓國古代史硏究 79 [2015]
  •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대재 동북아역사논총 55 [2017]
  • 「고대중국의 동이관(東夷觀)과 고구려 –동이교위(東夷校尉)를 중심으로- 」
    윤용구 역사와 현실 55 [2005]
  •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이성규 일조각, 한국사시민강좌 32 [2003]
  • 「고구려초기의 沛者와 국가체제」
    김두진 한국학논총 31 [2009]
  • 「고구려의 종족기원과 국가형성과정」
    김현숙 大丘史學 89 [2007]
  • 「고구려의 왕실조상제사 -4~5세기 ‘始祖 朱蒙’의 위상과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조우연 韓國古代史硏究 60 [2010]
  • 「고구려의 영동지역 진출과 관할 방식」
    장병진 동북아역사논총 58 [2017]
  •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
    임기환 동북아역사논총  38 [2012]
  •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교역」
    金基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16 [1987]
  • 「고구려의 성립과 변천」
    盧泰敦 한길사, 韓國古代史論 [1988]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余昊奎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5 [1996]
  •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금경숙 신서원, 한국고대사입문 2 [2006]
  • 「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
    노태돈 서울대학교출판부,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1999]
  • 「고구려와 낙랑군의 관계」
    임기환 韓國古代史硏究 34 [2004]
  • 「고구려와 고대중국의 전쟁 -西漢에서 西晉까지 국제정치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李仁哲 高句麗硏究 24 [2006]
  • 「고구려와 孫吳의 해상 교섭 -曹魏의 고구려 침공 원인과 관련하여-」
    박대재 아연출판부, 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2010]
  • 「고구려성립기의 고고학적 배경 –묘제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지병목 고구려연구재단, 고구 려의 국가형성 [2005]
  • 「고구려사 연구의 제문제」
    임기환 학연문화사,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2004]
  • 「고구려 출자 의식의 변화와 「集安高句麗碑」의 건국설화」
    장병진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과학 106 [2016]
  • 「고구려 초기의 지방통치체제」
    林起煥 慶熙史學 14 [1987]
  • 「고구려 초기 정치체제의 성격과 성립기반」
    여호규 韓國古代史硏究 17 [2000]
  • 「고구려 초기 도읍과 비류국 연구」
    조법종 동북아역사 재단, 초기 고구려역사 연구 [2008]
  • 「고구려 초기 대가(大加)의 성격과 상위 관제(官制)의 작적(爵的) 운영」
    이준성 동북아역사논총 53 [2016]
  • 「고구려 초기 관등의 기원과 성격에 대하여」
    조영광 사학연구 119 [2015]
  • 「고구려 초기 王系에 대한 一考察」
    盧泰敦 一潮閣,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 上 [1994]
  • 「고구려 초기 涓奴部의 쇠퇴와 왕권교체」
    이준성 역사와 현실 80 [2011]
  •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여호규 동북아역사논총 15 [2007]
  • 「고구려 정치사의 연구 현황과 과제」
    임기환 韓國古代史硏究 31 [2003]
  • 「고구려 멸망 전후의 말갈 동향」
    김종복 북방사논총 5 [2005]
  • 「고구려 건국신화의 전개와 변용」
    정원주 高句麗渤海硏究 33 [2009]
  • 「고구려 東盟의 정치의례적 성격과 기능」
    이정빈 韓國古代史硏究 41 [2006]
  • 「고구려 建國神話와 祭儀」
    윤성용 韓國古代史硏究 39 [2005]
  • 「고구려 5那部의 성립과정과 영역 검토」
    조영광 大丘史學 98 [2010]
  • 「고고학에서 이주의 개념과 물질문화의 변이 –개념 및 서구사례를 중심 으로-」
    김종일 한국고고학회, (제34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移住의 고고학 [2010]
  • 「鴨綠江 중상류 연안의 高句麗 성곽과 東海路」
    余昊奎 역사문화연구 29 [2008]
  • 「鴨綠江 上流 臨江 -長白地域 積石塚築造集團의 存在樣態」
    朴京哲 역사문화연 구 38 [2011]
  • 「魏晉의 東北關係 -秩序推移를 中心으로-」
    金容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高句麗・新羅의 官階組織의 成立過程」
    金哲埈 一潮 閣, 李丙燾博士華甲紀念論叢 [1956]
  • 「高句麗의 흥기와 幘溝漊」
    윤용구 서경,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2006]
  • 「高句麗의 靺鞨支配에 관한 試論的 考察」
    金賢淑 韓國古代史硏究 6 [1993]
  • 「高句麗의 興起」
    李弘稙 국사상의 제문제4・5 [1959]
  • 「高句麗의 膨脹主義와 中國과의 관계」
    李龍範 三知院, 古代韓中關係史의 硏究 [1987]
  • 「高句麗의 種族 起源에 대한 일고찰 -夫餘別種說과 貊族說의 정합적 이 해를 중심으로-」
    여호규 史林 38 [2011]
  • 「高句麗의 發展과 戰爭」
    金瑛河 大東文化硏究 32 [1997]
  • 「高句麗의 沃沮服屬과 그 性格」
    金美炅 혜안, (河炫綱敎授定年紀念論叢) 韓國史의 構 造와 展開 [2000]
  • 「高句麗의 樂浪・帶方地域 進出과 그 支配形態」
    김미경 學林 17 [1996]
  • 「高句麗의 東沃沮 정벌과 樂浪郡」
    이종록 先史와 古代 49 [2016]
  • 「高句麗의 成長과 鐵」
    李龍範 白山學報 1 [1966]
  • 「高句麗의 征服과 爵位(試論)」
    이옥 東方學志 27 [1981]
  • 「高句麗의 巡狩制」
    金瑛河 歷史學報 106 [1985]
  • 「高句麗의 始祖廟儀禮」
    朴承範 東洋古典硏究 15 [2001]
  • 「高句麗의 夫餘 出源에 관한 認識의 變遷」
    이도학 高句麗硏究 27 [2007]
  • 「高句麗의 國家祭祀 -東盟을 중심으로-」
    徐永大 韓國史硏究 120 [2003]
  • 「高句麗의 國家形成」
    金基興 民音社,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1990]
  • 「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
    余昊奎 軍史 54 [2005]
  • 「高句麗의 國家形成 問題」
    李基白 一潮閣,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1985]
  • 「高句麗時代의 靺鞨 硏究」
    韓圭哲 釜山史學 14・15 合輯 [1988]
  • 「高句麗建國期의 姓氏賜與」
    金光洙 金哲埈博士華甲紀念論叢 [1983]
  • 「高句麗官位制とその史的展開」 朝鮮學報 86 ; 1989 「高句麗 官位制の史的展開」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안정준・정원주 共譯 (2017), 「高句麗 官位制의 史的 전개」
    武田幸男 東아시아 古代 學 46 [1978]
  • 「高句麗國號考」
    李丙燾 서울대논문집 3(인문사회과학) [1956]
  • 「高句麗史硏究의 現況과 課題」
    盧泰敦 東方學志 52 [1986]
  • 「高句麗初期의 王室交替와 五部」
    田美姬 探求堂, (水邨朴永錫敎授華甲紀念) 韓國史學論 叢 上 [1992]
  • 「高句麗初期積石墓의 出現과 形成過程」
    吳江原 高句麗渤海硏究 43 [2012]
  • 「高句麗 초・중기의 對中 교섭과 교역」
    金昌錫 新羅文化 24 [2004]
  • 「高句麗 초기 積石墓의 기원과 築造集團의 계통」
    여호규 역사문화연구 39 [2011]
  •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余昊奎 李明 韓國 古代史硏究 85 [2017]
  • 「高句麗 起源의 考古學的 考察」
    지병목 高句麗硏究 27 [2007]
  • 「高句麗 貴族會議의 成立過程과 그 性格」
    尹成龍 韓國古代史硏究 11 [1997]
  • 「高句麗 積石塚의 登場에 대하여」
    姜賢淑 京畿史學 3 [1999]
  • 「高句麗 異種族支配의 實狀」
    박경철 韓國史學報 15 [2003]
  • 「高句麗 東川王代 對중국 외교의 변천과 목적」
    김효진 高句麗渤海硏究 52 [2015]
  • 「高句麗 左, 右輔의 起源과 性格」
    조영광 先史와 古代 50 [2016]
  • 「高句麗 始祖廟 祭祀 硏究 -親祀의 성립과 변천을 중심으로」
    강진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 54 [2008]
  • 「高句麗 國內 遷都의 시기와 배경」
    余昊奎 韓國古代史硏究 38 [2005]
  • 「高句麗 前期의 海洋活動과 古代國家의 成長」
    尹明喆 韓國上古史學報 18 [1995]
  • 「高句麗 前期 那部統治體制의 運營과 變化」
    金賢淑 歷史敎育論集 20 [1995]
  • 「高句麗 初期의 梁貊과 小水貊」
    余昊奎 韓國古代史硏究 25 [2002]
  • 「高句麗 初期의 諸加會議와 國相」
    余昊奎 韓國古代史硏究 13 [1998]
  • 「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
    余昊奎 東方學志 150 [2010]
  • 「高句麗 初期의 政治的 成長과 對中國關係의 展開」
    李鍾旭 一潮閣, 東亞史의 比較硏究  [1987]
  • 「高句麗 初期의 左右輔와 國相」
    李鍾旭 一潮閣, 全海宗華甲紀念論叢 [1979]
  • 「高句麗 初期의 地方統治制度」
    李鍾旭 歷史學報 94・95 [1982]
  • 「高句麗 初期의 中央政治組織」
    李鍾旭 東方學志 33 [1982]
  • 「高句麗 初期 那部의 分化와 貴族의 姓氏」
    金賢淑 慶北史學 16 [1993]
  • 「高句麗 初期 那部統治體制의 成立과 運營」
    余昊奎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27 [1992]
  • 「高句麗 初期 建國說話 관련 자료의 계통과 성격」
    임기환 동북아역사재단, 졸본시기의 고구려 역사 연구 발표자료집 [2008]
  • 「韓國宗敎史 資料로서의《三國志》東夷傳」
    徐永大 仁荷大學校 韓國學硏究所, 한국학연구 3 [1991]
  • 「韓國古代國家의 起源論」
    金貞培 白山學報 14 [1973]
  • 「韓國古代國家形成에 대한 一考察; 衛滿朝鮮의 例」
    崔夢龍 金哲埈博士 華甲紀 念 史學論叢 [1983]
  • 「韓國 古代의 祝祭와 裁判」
    李基白 歷史學報 154 [1997]
  • 「部族聯盟勢力의 擡頭」
    金哲埈 국사편찬위원회, 韓國史 2 [1977]
  • 「郞官의 屬官化를 통해 본 漢代 官僚제도의 발달」
    閔厚基 역사와 실학 36 [2008]
  • 「遼寧~西北韓地域 中細形銅劍에 관한 硏究」
    吳江原 淸溪史學 16・17 [2002]
  • 「試論桓仁“望江樓積石墓”與“卒本夫餘”」
    王綿厚 동북아 역사재단, 초기 고구려역사 연구 [2008]
  • 「衛滿朝鮮의 領域과 王儉城」
    金南中 韓國古代史硏究 22 [2001]
  • 「衛滿朝鮮의 形成過程과 國家的 性格」
    서영수 韓國古代史硏究 9 [1996]
  • 「蓋馬大山과 單單大嶺에 관한 고찰 -沃沮의 위치 문제를 중심으로-」
    金侖禹  民族文化 18 [1995]
  • 「萬發撥子를 통하여 본 通化地域 先原史文化의 展開와 初期 高句麗文化 의 形成過程」
    오강원 北方史論叢 창간호 [2004]
  • 「耳飾으로 본 古代 東北아시아 各國 사이의 交流」
    이한상 百濟文化 49 [2013]
  • 「考古學的으로 본 高句麗 建國 以前의 桓人-集安地區의 文化社會性格 (試論)」
    李松來 마한・백제문화 13 [1993]
  • 「第1玄菟郡의 위치에 대한 재검토」
    金美炅 실학사상연구 24 [2002]
  • 「秦・漢初 周邊民族에 대한 戶籍制度의 運營 : 秦漢簡牘資料를 中心으로」
    金慶浩 中國史硏究 81 [2012]
  • 「秦漢帝國의 이민족 지배 -部都尉 및 屬國都尉에 대한 재검토-」
    김병준 歷史 學報 217 [2013]
  • 「百濟의 東明神話와 東明廟 -東明神話의 再生産 現象과 관련하여-」
    盧明鎬 歷 史學硏究 10 [1981]
  • 「百濟社會와 그 文化」
    金哲埈 武寧王陵發掘調査報告書 [1973]
  • 「百濟 建國神話의 原形과 成立背景」
    盧明鎬 忠南大學校 百濟硏 究所, 百濟硏究 20 [1989]
  • 「百濟 始祖傳承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고찰」
    林起煥 忠南大學 校 百濟硏究所, 百濟硏究 28 [1998]
  • 「玄菟郡의 改編과 高句麗 -‘夷貊所侵’의 의미와 郡縣의 對應을 중심으로 -」
    李成制 韓國古代史硏究 64 [2011]
  • 「燕國의 五郡 설치와 그 의미 -戰國時代 東北아시아의 勢力關係-」
    裵眞永 中 國史硏究 36 [2005]
  • 「濊・貊의 분포 양상과 그 이해」
    박준형 강릉대학교 인문학연구 소, 人文學報 34 [2008]
  • 「漢이 구성한 고조선 멸망 과정 -사기 조선열전의 재검토-」
    김병준 韓國古代 史硏究 50 [2008]
  • 「漢의 沃沮 지배와 토착 지배층의 동향 -夫租薉君 사례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李丞鎬 동국사학 57 [2014]
  • 「漢과 高句麗의 關係」
    權五重 高句麗硏究 14 [2002]
  • 「漢城時代 百濟의 建國과 漢江流域 百濟 古墳」
    林永珍 百濟論叢 4 [1994]
  • 「漢代 列侯爵制의 변화와 侯國制의 변모」
    鄭勉 서강인문논총 25 [2009]
  • 「漢代 邊境 支配秩序와 ‘東夷’地域 -河西・西南夷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 로-」
    金慶浩 史林 24 [2005]
  • 「滄海郡과 遼東東部都尉」
    權五重 歷史學報 168 [2000]
  • 「沃沮의 기원과 문화 성격에 대한 고찰」
    이현혜 韓國上古史學報 70 [2010]
  • 「松花江유역 初期鐵器文化의 변천과 夫餘文化 성립과정 고찰」
    이종수 東洋學 53 [2013]
  • 「東北亞地域의 多鈕鏡과 그 副葬墓에 대하여」
    李淸圭 한국고고학보 40 [1999]
  • 「李他仁墓誌銘에 나타난 李他仁의 生涯와 族源」
    안정준 목간과 문자 11 [2013]
  • 「朱蒙의 出自傳承과 桂婁部의 起源」
    盧泰敦 韓國古代社會 硏究所, 韓國古代史論叢 5 [1993]
  • 「朝鮮神話의 科學的考察(一); 太陽神과 宇宙卵說話」
    金廷鶴 史海 1 [1948]
  • 「朝鮮の初期國家 -3世紀の夫餘國-」 , 이승호 역 (2017), 「한국의 초기 국가 –3세기의 부여국-」, 東國史 學 63
    이노우에 히데오 (井上秀雄) 東北日本文化硏 究所硏究報告 12 [1975]
  • 「春秋시대의 爵, 官, 軍 一體論 -位階, 官職, 軍職 미분리 상태의 國家運 營論」
    민후기 中國學報 54 [2006]
  • 「春秋戰國時代의 國家와 社會」
    李成九 지식산업사, 講座 中國史 Ⅰ [1989]
  • 「春秋 爵制의 성격과 변화 -族에서 國으로-」
    閔厚基 中國古代史硏究 12 [2004]
  • 「新羅 「中古」期 六部의 部役動員과 地方支配」
    徐毅植 서울대학 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23 [1990]
  • 「新羅 惠恭王代의 政治的 變革」
    李基白 韓國社會科學硏究會, 社會科學 2 [1958]
  • 「扶餘國의 境域과 그 變遷」
    盧泰敦 國史館論叢 4 [1989]
  • 「戰國・秦・漢時期 遼東郡과 그 경계」
    宋眞 韓國古代史硏究 76 [2014]
  • 「戰國 秦의 爵制 연구 -爵制에서 官僚制로서의 이행을 중심으로-」
    閔厚基 東 洋史學硏究 69 [2000]
  • 「後漢時期 邊郡 통치의 변화와 樂浪郡 -王調 반란의 분석을 중심으로-」
    홍승현 韓國史學報 61 [2015]
  • 「延邊地域의 長城을 통해 본 高句麗의 東夫餘支配」
    金賢淑 國史館論叢 88 [2000]
  • 「廣開土王陵碑의 東夫餘에 대한 考察」
    孔錫龜 韓國史硏究 70 [1990]
  • 「平壤出土 「樂浪郡初元四年縣別戶口簿」 硏究」
    尹龍九 木簡과 文字 3 [2009]
  • 「夫餘・高句麗의 食邑制 -三國志 東夷傳을 中心으로-」
    李仁在 東方學志 136 [2006]
  • 「夫餘, 高句麗 社會의 北方文化的 要素에 대하여」
    曺泳光 檀國大 學校 東洋學硏究所, 東洋學 66 [2017]
  • 「夫組薉君에 대한 고찰 -漢의 對土着勢力 施策의 一例-」
    金基興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12 [1985]
  • 「國史上에 나타난 建國說話의 檢討」
    金庠基 建國大, 學術誌 5 [1964]
  • 「古朝鮮의 浿水와 沛水」
    吳江原 江原史學 13・14合輯 [1998]
  • 「古朝鮮의 對外關係와 疆域의 變動」
    徐榮洙 檀國大學校 東洋學硏 究所, 東洋學 29 [1999]
  • 「古朝鮮의 位置와 中心地 문제에 대한 고찰」
    송호정 韓國古代史硏究 58 [2010]
  • 「古朝鮮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盧泰敦 서울대학교 국사 학과, 韓國史論 23 [1990]
  •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과 衛滿朝鮮」
    박경철 동북아역사논총 44 [2014]
  • 「古朝鮮 官名의 系統的 理解」
    金光洙 歷史敎育 56 [1994]
  • 「古代國家의 成立과 發展」
    盧泰敦 국사편찬위원회, (구편) 한국사 2 [1984]
  • 「古代國家 成長過程에 있어서의 對服屬民施策(上) -其人制 起源說에 대 한 檢討에 붙여서-」
    韓㳓劤 歷史學報 12 [1960]
  • 「古代南堂考」
    李丙燾 서울大學校 硏究委員會, (서울大學校)論文集 -人文, 社會科學篇 1 [1954]
  • 「古代 遼東郡의 位置問題 試論」
    權五重 吉玄益敎授停年紀念 史學論叢 [1996]
  • 「北아시아 遊牧國家의 君主權」
    金浩東 한울아카데미, 東亞史上의 王權 [1993]
  • 「前漢 列侯의 性格 -郡縣支配下에서 封建制의 一變貌-」
    李成珪 東亞文化 14 [1977]
  • 「初期百濟의 성장과정에 관한 일고찰」
    權五榮 서울대학교 국사 학과, 韓國史論 15 [1986]
  • 「五胡時期 慕容前燕의 建國과 그 性格 -‘勤王’의 출현 및 그 運用을 중 심으로-」
    李椿浩 東洋史學硏究  113 [2010]
  • 「五女山山城及其周圍的高句麗早期遺迹」
    李新全 고구려연구재단, 고구려 문화의 역사적 의의 [2005]
  • 「中國 東北地域 세 靑銅短劍文化의 文化地形과 交涉關係」
    吳江原 先史와 古代  20 [2004]
  • 「三韓의 對外交易體系」
    李賢惠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 (上) [1994]
  • 「三韓의 國家形成(上・下)」
    千寬宇 韓國學報 2・3 [1976]
  • 「三國과 渤海史에서의 靺鞨」
    한규철 韓國史學報 58 [2015]
  • 「三國時代의 「部」에 關한 硏究」
    盧泰敦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韓國史論 2 [1975]
  • 「三國時代의 開始에 關한 一考察」
    金元龍 東亞文化 7 [1967]
  • 「三國時代의 王과 權力構造」
    김영하 韓國史學報 12 [2002]
  • 「三國 初期의 土地制度論」
    李仁在 實學思想硏究 15・16合輯(元裕漢敎授定年記 念論叢 上) [2000]
  • 「‘高句麗社會’의 發展과 政治的 統合 努力 -國家形成期 高句麗史 理解를 위한 前提-」
    朴京哲 韓國古代史硏究 14 [1998]
  • 「‘濊貊’의 形成過程과 古朝鮮」
    박준형 學林 22 [2001]
  • 「5~7세기 고구려의 지방제도」
    盧泰敦 韓國古代社會硏究所, 韓國古代史論叢 8 [1996]
  • 「4세기-5세기 초 高句麗와 慕容‘燕’의 영역확장과 지배방식 비교」
    여호규 韓 國古代史硏究 67 [2012]
  • 「4세기 慕容鮮卑 前燕의 성장과 고구려의 대응」
    박세이 韓國古代史硏究 73 [2014]
  • 「4~6세기 중국사서에 나타난 한국고대사상」
    임기환 韓國古代史硏究 14 [1998]
  • 「4, 5세기 高句麗 王室의 世系認識 變化」
    趙仁成 韓國古代史硏究 4 [1991]
  • 「3세기말 이후 부여(扶餘)와 고구려(高句麗)・선비(鮮卑)의 관계」
    송호정 靑藍 史學 22 [2013]
  • 「3세기~4세기초 위(魏)・진(晉)의 동방 정책 –낙랑군・대방군을 중심으로 -」
    임기환 역사와 현실 36 [2000]
  •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 -南道와 北 道를 중심으로-」
    余昊奎 韓國史硏究 91 [1995]
  • 「3세기 후반 「晉高句麗率善」印과 高句麗의 對西晉 관계」
    이승호 韓國古代史硏 究 67 [2012]
  • 「3세기 전반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余昊奎 歷史學報 194 [2007]
  • 「3세기 이전 中國史書에 나타난 韓國古代史像」
    尹龍九 韓國古代史硏究 14 [1998]
  • 「3세기 고구려의 사회변동과 통치체제의 변화」
    여호규 역사와 현실 15 [1995]
  • 「3세기 高句麗 諸加會議와 國政運營」
    李廷斌 震檀學報 102 [2006]
  • 「2세기 전반 高句麗와 後漢의 관계 변화」
    여호규 檀國大學校 東 洋學硏究所, 東洋學 58 [2015]
  • 「2C 末~3C 中葉 高句麗의 遼東 進出에 對한 硏究 -公孫氏 政權을 중 심으로-」
    吳舜濟 先史와 古代 11 [1998]
  • 평양일대 락랑무덤에 대한 연구
    리순진 도서출판 중심 [2001]
  • 요동군과 현도군연구
    서영수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부여사와 그 주변
    윤용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낙랑군 호구부 연구
    권오중 동북아역사재단 [2010]
  • 고구려의 국가 형성
    이남규 고구려연구재단 [2005]
  • 고구려연구
    이옥 주류성 [1999]
  •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 연구
    李東勳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고구려 남방 진출사
    장창은 경인문화사 [2014]
  • 고구려 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연구
    金光洙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3]
  • 高句麗의 國家形成 硏究
    朴京哲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高句麗的 國際秩序認識의 成立과 展開 -4~5世紀를 中心으 로-
    시노하라 히로카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高句麗 領域擴張史 硏究
    孔錫龜 서경문화사 [1998]
  • 高句麗 集權體制 成立過程의 硏究
    林起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高句麗 民族形成과 社會
    李玉 敎保文庫 [1984]
  • 高句麗 地方統治 運營 硏究
    崔熙洙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高句麗 國家祭祀 硏究
    姜辰垣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高句麗 古墳 硏究
    姜賢淑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高句麗 初期의 國家 形成
    曺泳光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韓國과 中國
    全海宗 知識産業社 [1979]
  • 韓國古代의 國家起原과 形成
    金貞培 高麗大學校 出版部 [1986]
  • 韓國古代社會硏究
    金哲埈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 韓國古代史의 硏究
    李弘稙 新丘文化社 [1971]
  • 韓國古代史硏究
    金哲埈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 松花江유역 초기철기 문화와 夫餘의 문화기원
    이종수 주류성 [2009]
  • 東夷傳의 文獻的 硏究
    全海宗 一潮閣 [1980]
  • 朝鮮社會經濟史
    白南雲 改造社 ; 하일식 역, 1994 朝鮮社會經濟史, 이론과 실천 [1933]
  • 朝鮮史硏究 下
    鄭寅普 서울新聞社 [1947]
  • 朝鮮史硏究 上
    鄭寅普 서울新聞社 [1946]
  • 古代 中國에서의 爵制의 形成과 展開 -殷商에서 戰國까지-
    閔厚基 연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04]
  • 九品官人法の硏究 -科擧前史-, 임대희・신성곤・전영섭 옮김 (2002), 구품관인법의 연구
  • 中國境內 高句麗遺蹟 硏究
    姜孟山 朴眞奭 예하 [1995]
  • 三韓의 「國」에 대한 硏究
    權五榮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1~4세기 고구려 政治體制 연구
    余昊奎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임대희 역, 중국의 역사 –위진남북조-
  • 이희준 옮김, 현대 고고학의 이해
    콜린 렌프류 폴 반 사회평론 [2006]
  • 요동사
    김한규 문학과지성사 [2004]
  • 박천수・이근우 옮김, 고구려의 역사와 유 적
    다나카 도시아키 아즈마 우시오 동북아역사재단 [2008]
  • 노태돈 편,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 김대웅 역, 가족, 사유재산 및 국가의 기원
    F. 엥겔스 아침 [1991]
  • 김경택 옮김, 족장사회의 정치 권력
    티모시 얼 도서출판 考古 [2008]
  • 고구려사1
    손영종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0]
  • 고구려사 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 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李殿福 學硏文化社 [1994]
  • 「兩漢代 制夷策과 羈縻策의 성격에 대하여」
    李春植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東洋學 25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