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인칭대명사 연구 : 인칭표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sonal Pronouns in Korea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referring Expressions

송재영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인칭대명사 연구 : 인칭표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sonal Pronouns in Korea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referring Expression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고어, 방언
  • deixis
  • 구어
  • 담화
  • 담화 분석
  • 담화직시
  • 말뭉치 언어학
  • 사회직시
  • 인칭대명사
  • 인칭표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30 0

0.0%

' 한국어 인칭대명사 연구 : 인칭표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ersonal Pronouns in Korea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Person-referring Expressions' 의 참고문헌

  • 「한국어 주어의 격표지 연구」
    김민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국어의 단어 구조에 대하여」,
    최형용 『형태론』 1-2, 형태론, 245-260쪽 [1999]
  •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 옮김, 『언어 이론: 언어의 서술 기능』(B hler, K.(1934/1982), Sprachtheorie: Die Darstellungsfunktion der Sprache , Stuttgart & New York: Fischer.)
    지광신 최경은 나남 [2008]
  • 솔 최현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간행회, 『외솔 최현배 박사 고희 기념 논문 집』
    정음사 [1968]
  • 대명사 ‘나’와 ‘우리’의 사회와 인지 표상 차이
    이재호 『한국심리학회지』 36-1, 한국심리학회, 137-160쪽 [2017]
  • 담화 화용론
    송경숙 한국문화사 [2003]
  • 남길임 서상규,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글』264
    서은아 한글학회, 123-151쪽 [2004]
  • 남길임 서상규, “대학생 구어 텍스트에서의 조사, 어미의 분포와 사용 양 상에 대한 연구”, 『텍스트언어학』 15
    박석준 텍스트언어학회, 139-167쪽 [2003]
  • 나), 『한국어의 텍스트 장르와 언어 특성』
    강범모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 나),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2: 가나다순』
    서상규 한국문화사 [2015]
  • 나), “지시의 분류와 지시사 ‘이, 그, 저’의 쓰임”, 『한글』 178
    김일웅 한글학회, 53-88쪽 [1982]
  • 나), “대용어”, 『이익섭 선생 회갑 기념 논총』
    신지연 태학사 [1998]
  • 나), “국어 대명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주경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국어 문법론
    이익섭 임홍빈 학연사 [1983]
  •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서상규 국립국어원 [2007]
  • 가),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잦기순』
    서상규 한국문화사 [2015]
  • 가), 『국어 지시용언 연구』, 국어학총서 28
    신지연 태학사 [1998]
  • 가), “우리말 대용어 연구”
    김일웅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2]
  • 가), “빈도와 언어 기술”, 『언어정보의 탐구 1』
    강범모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 구원, 108-132쪽 [1999]
  • 가), “대명사 ‘이’에 대하여”, 『국어교육』 77
    주경희 한국어교육학회, 1-12쪽 [1992]
  • 『화용론 연구』
  • 『현대의미론』
    이익환 민음사 [1983]
  •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
    양명희 국어학총서 33, 태학사 [1998]
  •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노대규 국학자료원 [1996]
  • 『한국어의 대용화』
    양동휘 한국연구원 [1988]
  • 『한국어와 정보화』
    홍윤표 태학사 [2002]
  • 『한국어 화용론』
    박영순 박이정 [2007]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명사 연구』
    정희정 한국문화사 [2000]
  • 『한국어 대명사』
    김미형 한신문화사 [1995]
  • 『한국어 구어 연구』
    구현정 서상규 한국문화사 [2005]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어휘 선정 1-기초 어휘 빈도 조 사 결과-』
    남윤진 서상규 진기호 (한국어 세계화 추진을 위한 기반 구축 사업 1차년도 결과보고서), 문 화관광부 한국어세계화추진위원회 [1998]
  • 『최현배 지은 우리말본』
    최현배 연희전문학교출판부, (외솔최현배전집 8, 연세대 학교 출판문화원) [1937]
  • 『지시어의 의미 기능』, 한신문화사. 볼프강 하이네만, 디터 피이베거(백설 자 옮김)(2001), 『텍스트언어학 입문』
    박영환 역락 [1991]
  • 『지시어의 의미 기능』
    박영환 한남대학교 출판부 [1991]
  • 『증보판 담화와 문법』
    정희자 한신문화사 [1999]
  • 『주시경의 언어이론과 표기법』
    송철의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 『조선어 문법』
    손문경 도서출판 솔터 [1992]
  • 『조선문법』
    김규식 역대한국문법대계  15,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 소 [1912]
  • 『의미론서설』
  • 『의미론 개론』
    이익환 한신문화사 [1985]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200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 부 [2005]
  • 『왜 다시 품사론인가』
    남기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영어화용론』
    이성범 한국문화사 [2002]
  • 『연세 한국어사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06]
  • 『생략과 대용 현상』
    한재현 한신문화사 [1981]
  • 『사전식 텍스트 분석적 국어 조사의 연구』
    이종희 이희자 한국문화사 [1998]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의 탐색』
  • 『동사 ‘하-’의 문법』
    서정수 형설출판사 [1975]
  • 『담화와 추론』
    정희자 한국문화사 [2002]
  • 『담화분석』
    이원표 한국문화사 [2001]
  • 『국어화용론』
    김종택 형설출판사 [1982]
  • 『국어학개론』
    이석주 이주행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4]
  • 『국어의 재귀사 연구』
    임홍빈 신구문화사 [1987]
  •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동아출판사 [1990]
  • 『국어어순연구』
    김승열 한신문화사 [1988]
  •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6]
  • 『국어 화용표지의 연구』
    이정애 월인 [2002]
  • 『국어 변항범주 연구』
    김광희 한국문화사 [1997]
  • 『국어 문법의 이해』
    나찬연 제이앤씨 [2007]
  • 『국어 문법』
    주시경 역대한국문법대계  11,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 소 [1910]
  • 『국어 대용언의 연구』
    도수희 탑출판사 [1987]
  • 『국문문법』
    주시경 역대한국문법대계  107,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 구소 [1905]
  •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07]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2, 명사 와 명사구Ⅱ』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2, 명사 와 명사구Ⅰ』
  • 『(말뭉치 기반) 구어 문어 통합 문법 기술1』
  •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허웅 샘문화사 [1995]
  •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서상규 『한국어 교육』 2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1-107쪽 [2013]
  • 「한국어 호칭어의 교육 내용과 과제」
    전혜영 『Korean 연구와 교육』, 이화여자 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21-135쪽 [2005]
  • 「국어의미론」
    김민수 일조각 [1981]
  • 「국어문법론강의」
    이익섭 채완 학연사 [1999]
  • 「가정에서의 호칭어 지칭어 사용 실태와 문제점」
    김태경 이필영 『사회언어학』 26-1, 한국사회언어학회, 277-309쪽 [2018]
  • 《한국어, 그 인칭의 비밀》
    목정수 태학사 [2014]
  • “화시의 기능과 체계에 대한 고찰”
    박철우 『한국어의미학』 36, 한국어의미학회, 1-37쪽 [2011]
  • “화시와 맥락 그리고 합성성의 원리에 관하여”
    김진웅 『한국어 의미학』 45, 한 국어의미학회, 185-212쪽 [2014]
  •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임동훈 『국어학』 47, 국어학회, 287-320쪽 [2006]
  • “한국어의 재귀대명사에 대하여”
    이익섭 『인문논총』 2,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3-25쪽 [1978]
  • “한국어의 대용사론”
    양동휘 『국어학』 15, 국어학회, 41-162쪽 [1986]
  • “한국어의 Deictics 분석”
    송병학 『언어』 4, 충남대학교 어학연구소, 29-48쪽 [1983]
  • “한국어의 1 2인칭 주어 생략 현상에 대한 재고–명시적 주어 표현의 화 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21-3
    이나라 담화 인지언어학회, 145-163쪽 [2014]
  • “한국어 화시의 용법과 해석에 관한 재고”
    김진웅 『담화 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담화 인지언어학회, 68-71쪽 [2015]
  • “한국어 지시어 교육 연구”
    박영환 『언어연구』 23, 한국현대언어학회, 357-372 쪽 [2007]
  •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의 사용 양상에 대하여”
    민경모 『언어정보와 사전편 찬』 14 15 1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31-98쪽 [2005]
  • “한국어 지시사 연구”
    민경모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어 지시관형사의 사용 양상 연구”
    박병선 『언어과학연구』 28, 언어과학회, 61-78쪽 [2004]
  • “한국어 대용어 교육 연구”
    이은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어 대명사의 특성-범주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
    김미형 『말』 22, 연세대 학교 한국어학당, 25-52쪽 [1997]
  •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김정남 『한국어 의미학』 13, 한국어의미 학회, 257-274쪽 [2003]
  • “한국어 대명사 ‘우리’”
    이한규 『담화와 인지』 14-3, 담화 인지언어학회, 155-178쪽 [2007]
  • “한국어 담화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이한규 『담화와 인지』 3, 담화 인지언 어학회, 1-26쪽 [1996]
  • “한국어 기능어의 어휘 정보 구축:지시어”
    신현숙 『한국어교육』 10-2,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215-232쪽 [1999]
  • “한국어 1인칭 대명사 대용 표현 연구”
    곽현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 일 인칭어 비교연구-인칭어의 어원을 중심으로”
    이관식 『어문연구』 22-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90-110쪽 [1994]
  •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석”
    강범모 김흥규 허명회 『언어학』 22, 한국언어학회, 3-57쪽 [1998]
  • “텍스트에서의 ‘그러하다’의 쓰임”
    양명희 『텍스트언어학』 3, 한국텍스트언어학 회, 205-235쪽 [1995]
  • “지시와 조응”
    장석진 한글 186, 『한글학회』, 115-149쪽 [1984]
  • “지시어 ‘이, 그, 저’의 의미 분석”
    장경희 『어학연구』 16-2, 서울대학교 어학연 구소, 167-184쪽 [1980]
  • “지시사 ‘이, 그, 저’의 범주 지시”
    장경희 『인문과학』 17, 한양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5-27쪽 [1989]
  • “지시 해석을 위한 ‘그것’의 쓰임에 관한 연구”
    서상규 서정연 조은경 『언어』 31-1, 한국언어학회, 143-163쪽 [2006]
  • “증거성과 인칭의 상호작용”
    송재목 『언어학』 73, 한국언어학회, 111-132쪽 [2015]
  • “중세 국어 ‘재귀대명사’ 설정에 대한 재고”
    양명희 『한글』 273, 한글학회 73-97쪽 [2006]
  • “중등교과서의 대명사 관련 교육내용 분석 연구”
    김수정 서종학 『국어교육연구』 50, 국어교육학회, 127-160쪽 [2012]
  • “조응표현”
    장경희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1990]
  • “조응어와 선행어: ‘이, 그, 저’를 중심으로”
    홍순성 『한국학논집』 15, 계명대학 교 한국학연구원, 13-24쪽 [1988]
  • “정보구조에 기초한 영한번역의 대명사 생략현상 연구”
    이은주 세종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0]
  • “재귀대명사 ‘자기’의 의미와 기능 연구-‘자기’와 ‘자신’의 말뭉치 용례를 중심으로-”
    한송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8, 279-303쪽 [2013]
  • “인칭대명사의 화맥에서의 기능”
    강사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 “인칭대명사의 조응현상에 대하여”
    김광희 『국어학』 22, 국어학회, 159-189쪽 [1992]
  • “인칭대명사 유형론의 몇 가지 논점에 대하여”
    송경안 『독일언어문학』 47, 한국 독일언어문학회, 65-89쪽 [2010]
  • “인칭 대명사 ‘나’와 ‘너’의 정서적 평가 차이”
    이재호 『인지과학』 23-3, 한국인 지과학회, 323-348쪽 [2012]
  • “이인칭 대명사의 화용적 의미 기능에 대하여”
    강연임 『어문연구』 28, 어문연구 학회, 5-17쪽 [1996]
  • “이인칭 대명사로의 전용 현상”
    이규호 『국어국문학』 182, 국어국문학회, 5-38 쪽 [2018]
  • “이른바 ‘지시적 표현’의 사전 기술에 대하여”, 『사전편찬학연구』 9
    남길임 연세 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27-152쪽 [1999]
  •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박진호 『국어학』 50, 국어 학회, 115-382쪽 [2007]
  • “우리말의 지시어와 3인칭”
    윤우열 『애산학보』 13, 애산학회, 157-188 [1992]
  • “우리말의 대용어 연구”
    이정애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우리말 체언의 품사 설정과 하위분류”
    이정택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233-252쪽 [2006]
  • “우리말 대용법 연구”
    김일웅 『한글』 155, 한글학회, 186-208쪽 [1975]
  • “영어의 SHE는 ‘그미’로 뒤치자(세째 가리킴 여성 대이름씨)”
    최현배 『외솔 최 현배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서울: 정음사, 345-349쪽 [1968]
  • “영어와 한국어 지시어의 용법 차이 연구”
    송재영 『언어과학』 18, 한국언어과학 회, 91-108쪽 [2011]
  • “영어 직시(deixis)의 실제와 화용론적 기능”
    배문숙 『언어과학』 6, 광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40쪽 [2000]
  • “영어 대명사의 정의와 화용적 기능”
    배문숙 『영어영문학21』, 24-2, 21세기영 어영문학회, 77-98쪽 [2011]
  • “여성 3인칭 대명사 ‘그녀’에 대한 연구”
    홍상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1]
  • “언어의 형식이 지니는 개념적 의미와 정보”
    장경희 『언어』 11-2, 한국언어학 회, 233-257쪽 [1986]
  • “선행어와의 관계를 통한 대명사의 특성 고찰”
    주경희 『국어교육』 87 88, 한국 국어교육연구회, 271-292쪽 [1995]
  • “상황소(deixis)와 한국어의 시제”
    노대규 『문법연구』 4, 문법연구회, 175-235 쪽 [1976]
  • “비지시 대용어의 대용성”
    양명희 『한국어의미학』 19, 한국어의미학회, 105-124쪽 [2006]
  • “불완전명사 ‘것’의 쓰임”
    남기심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 기념 논총: 국어의 이 해와 인식』, 한국문화사 [1991]
  • “분류 기준에서 본 주시경 품사 체계의 변천에 대하여”
    최형용 『국어학』 63, 국 어학회, 313-340쪽 [2012]
  • “부정칭 대명사와 미정칭 대명사”
    김미형 『한국학논집』 24, 한양대한국학연구 소, 237-253쪽 [1994]
  • “복수의 형식과 의미”
    임동훈 『한국어의미학』 39, 한국어의미학회, 25-49쪽 [2012]
  • “보이나 안 들리는 ‘너’와 ‘나’”
    장석진 『어학연구』 10-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 원, 54-65쪽 [1974]
  • “문법과 언어 사용-코퍼스에 기반한 재귀사 ‘자기, 자신, 자기자신’의 기 능 분석을 중심으로-”
    강범모 『국어학』 31, 국어학회, 165-204쪽 [1998]
  • “문법 교재 구안을 위한 이론적 연구-대명사를 중심으로”
    주경희 『국어교육학연 구』 2, 국어교육학회, 32-42쪽 [1992]
  • “명사의 의미적 특성과 그 사전적 처리의 문제”
    정희정 『사전편찬학연구』 8, 연 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145-189쪽 [1998]
  • “대용의 분류”
    김일웅 『언어연구』 4, 부산대학교 어학연구소, 29-49쪽 [1981]
  • “대용언에 대하여”
    도수희 『어문연구』 5, 어문연구학회, 67-98쪽 [1967]
  • “대용어 결속구조의 기능 연구”
    신현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대상지시와 화자태도의 표현”
    이용주 『동천 조건상선생고희기념논총』, 형설출 판사 [1986]
  • “대명사화 변형과 재귀대명사화 변형에 대하여”
    김일웅 『국어국문학』 17, 부산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3-52쪽 [1980]
  • “대명사의 특성”
    주경희 『한국어의미학』 8, 한국어의미학회, 83-108쪽 [2001]
  • “대명사의 생략 현상”
    김일웅 『언어연구』 7, 부산대학교 언어연구소, 1-20쪽 [1984]
  • “대명사”
    장경희 『새국어생활』 12-2, 국립국어연구원, 147-161쪽 [2002]
  • “대명사 조응의 비통사적 해석에 대하여”
    김광희 『한국언어문학』 55, 한국언어 문학회, 5-30쪽 [2005]
  • “대명사 사전 기술의 한 관점 -문장에서의 쓰임을 중심으로-”
    정희정 『사전편 찬학연구』 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291-318쪽 [1999]
  • “대명사 ‘그녀’의 텍스트 유형별 쓰임에 대하여”
    안소진 『한국어 의미학』 50, 한국어의미학회, 123-146쪽 [2015]
  • “담화표지화의 정도성에 대한 한 논의 -“뭐, 어디, 왜”를 대상으로-”
    박석준 『한말연구』 21, 한말연구학회, 81-101쪽 [2007]
  • “담화대용표지의 의미 연구-{그래서/그러니까/그러나/그렇지만}을 대상으 로”
    신현숙 『국어학』 19, 국어학회, 427-451쪽 [1989]
  •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임동훈 『한국어의미학』 36, 한국어의미학회, 39-63 쪽 [2011]
  • “담화 자료의 비언어적 요소의 전사 방법 연구”
    김현강 송재영 신유리 『어문논 총』 55, 한국문학언어학회, 85-106쪽 [2010]
  • “담화 연구를 위한 자료 구축의 문제-비언어 요소의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7
    김현강 송재영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149-171쪽 [2011]
  • “균형 말뭉치 구축을 위한 실험적 연구(1)-표본 크기 및 텍스트범주의 문 제를 중심으로-”
    남윤진 『언어정보의 탐구』 1,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38-74 쪽 [1999]
  • “국어의 재귀대명사에 대한 재고”
    성광수 『한글』 172, 한글학회, 29-56쪽 [1981]
  • “국어의 인칭대명사”
    이기문 『관악어문연구』 3-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25-338쪽 [1978]
  • “국어의 인칭 범주”
    김미형 『동아시아 문화연구』 13, 299-326쪽 [1988]
  • “국어의 인칭 범주”
    최웅환 『언어과학연구』 40, 언어과학회, 33-52쪽 [2007]
  • “국어의 대명사화-재귀칭과 3인칭대명사를 중심으로-”
    김미형 『한국학논집』 17, 한양대한국학연구소, 229-284쪽 [1990]
  • “국어 화시 표현의 유형”
    박철우 『한말연구』 29, 한말연구학회, 141-164쪽 [2011]
  • “국어 화맥 조응 대명사의 장거리 결속에 대하여”
    김광희 『한국언어문학』 45, 한국언어문학회, 563-584쪽 [2000]
  • “국어 지시어의 거리와 시점”
    최상진 『국어국문학』 104, 국어국문학회, 137-156쪽 [1990]
  • “국어 지시 표현의 유형과 성능”
    장경희 『한국어의미학』 15, 한국어의미학회, 51-70쪽 [2004]
  • “국어 존대법의 커뮤니케이션 기능과 전략에 대하여(Ⅰ)”
    박석준 『연세어문학』 32,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7-26쪽 [2000]
  • “국어 연구와 빈도 정보”
    남윤진 홍윤표 외(2002),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 “국어 변항범주의 조응현상 연구”
    김광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국어 대용언 연구”
    홍종선 『국어국문학』 109, 국어국문학회, 83-101쪽 [1993]
  • “국어 대용어의 특성과 기능”
    양명희 『국어학』 24, 국어학회, 259-289쪽 [1994]
  • “국어 대용어에 관한 연구”
    우형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국어 대명사의 품사론”
    신지연 『한국어학』 38, 한국어학회, 33-56쪽 [2008]
  • “국어 대명사의 체계화 재고”
    김수정 서종학 『인문연구』 65, 영남대 인문과학연 구소, 1-24쪽 [2012]
  • “국어 대명사의 응집성 연구”
    송재영 국어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2]
  • “국어 대명사의 어휘화”
    김미형 『한국어의미학』 9, 1-48쪽 [2001]
  • “국어 대명사의 발달과 체계에 관한 연구”
    김미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국어 대명사에 대하여-인칭대명사의 소위 통칭과 재귀화에 대한 검토-”
    성광수 『어문논집』 16(1), 안암어문학회, 101-118쪽 [1975]
  • “국어 대명사 연구-1970년대 이전을 대상으로”
    최호철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논문집』 5,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59-120쪽 [2005]
  • “구어에서의 지시어의 용법에 대하여-‘그러-, 이러-, 저러-’를 중심으로 -”
    신지연 『어학연구』 29-3,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63-381쪽 [1993]
  • “구어에서의 2인칭 대명사 ‘자기’의 사용과 문법 교욱에서의 적용”
    정지현 『한 국어학』 68, 한국어학회, 161-188쪽 [2015]
  •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김형정 서상규 『언어정보와 사전편찬』 14 15 1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5-29쪽 [2005]
  • “감탄사”
    오승신 남기심 외(2006),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이게 바로 그거야”: 원근지시에서 태도지시로”
    서경희 홍종화 『담화와 인지』 6-2, 담화인지언어학회, 1-22쪽 [1999]
  • “‘하다’:그 대동사설의 허실”
    김영희 『배달말』 32, 어문연구학회, 31-63쪽 [1984]
  • “‘준말’과 ‘준 꼴’과 ‘줄인 꼴’”
    이희자 『사전편찬학연구』 7, 연세대학교 언어정 보개발연구원, 19-42쪽 [1997]
  • “‘자기’에 관하여”
    김미형 『한국학논집』 10,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57-285 쪽 [1986]
  • “‘이, 그, 저’의 품사문제”
    도수희 『어문연구』 9, 어문연구학회, 81-96쪽 [1976]
  • “‘이, 그, 저’의 담화기능”
    정희자 『한국어학의 이해와 전망』, 박이정 [1997]
  • “‘의사소통의 최소단위’로서의 ‘발화문’과 ‘문장’”
    이희자 『텍스트언어학』 13, 한 국텍스트언어학회, 343-366쪽 [2002]
  • “‘그러하-’의 지시와 대용, 그리고 그 역사”
    이기갑 『언어』 19-2, 한국언어학회, 455-488쪽 [1994]
  • “‘그동안’을 찾아서”
    이익섭 『새국어생활』 7-1, 국립국어연구원, 195-202쪽 [1997]
  • “Toward a Functional Theory of Anaphora”
    양동휘 『어학연구』 14-2, 서 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5-209 [1978]
  • “The Theory of Anaphora in Korean Syntax”
    김화춘 MIT 박사학위논문 [1976]
  • “Notes on Pronouns, Reflexives, and Pronominalization”
    이홍배 『어학연 구』 12-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53-263쪽 [1976]
  • “Jespersen과 인칭”
    임혜순 『영어학연구』 18, 한국영어학학회, 43-62쪽 [2004]
  • “Deixis의 생성적 고찰”
    장석진 『어학연구』 8-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6-43쪽 [1972]
  • “Deixis의 개념 정립에 대한 일고찰”
    민경모 『한국어의미학』 37, 한국어의미학 회, 27-52쪽 [2012]
  • “19세기 전반기의 서양인의 국어연구자료”
    고영근 『관악어문연구』 3, 서울대학 교 국어국문학과, 27-40쪽 [1978]
  • “15세기 국어의 대명사에 관한 연구”
    김정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 ‘그러-’ 계열 접속사의 형성과정과 문법화”
    안주호 『국어학』 35, 국어학회, 113-141쪽 [2000]
  • Yang, D.-H.(1978), Toward a Functional Theory of Anaphora. Language Research. Vol.14, No.2, pp.195-209.
  • Trask, R. L.(1993), A Dictionary of Grammatical Terms in Linguistics. London: Routledge.
  • Tannen, D.(ed.)(1982), Spoken and Written Language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Tannen, D.(1989), Oral and Literate strategies in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Language 58. Vol.58, No.1, pp.1-21.
  • Tannen, D.(1982), The Oral/Literate Continuum in Discourse . In Tannen, D.(ed.)(1982).
  • Sweet, H.(1898/1955), A New English Grammar Part II . Clarendon Press.
  • Sweet, H.(1891/1930), A New English Grammar Part I . Clarendon Press.
  • Stubbs, M.(1996), Text and Corpus Analysis . Blackwell.
  • Stubbs, M.(1983), Discourse Analysis , Oxford: Basil Blackwell
  • Sinclair, J.(1991), Corpus Concordance and Colloc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 Sennholz, Klaus(1985), Grundz ge der deixis . Bochum: Brockmeyer.
  • Seligman, J. and Westerstahl, D.(eds.)(1996), Logic, Information, and Computation. CSLI Publications.
  • Seiwierska, A.(2004), Pers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chiffrin, D.(1994), Approaches to Discourse. Blackwell.
  • Pragmatics
    Huang, Y. Oxford University Press. (이해윤 옮김(2009), 『화용 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7]
  • Pennebaker, J. W.(2011), The Secret Life of Pronouns. New York: Bloomsbury Press.
  • Ogden, C. K. and Richards, I. A.(1923/1927), Meaning of Meaning.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 Oakes, M. P.(1998), Statistics for Corpus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 Nunberg, Geoffrey. (1993), Indexicality and Deixis. Linguistics and Philosophy . Vol.16, No.1, pp.1-43.
  • Niimura, T. and Hayashi, B.(1996), Contrastive Analysis of English and Japanese Demonst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LI and L2 Acquisition. Language Science, Vol.18, No.3-4, pp.811-834.
  • Nicholas H.(2015), Basic Kinship Terms: Christian Relations, Chronotopic Formulations, and a Korean Confrontation of Language, Anthropological Quarterly , Vol.88, No.2, pp.305-336.
  • Myers, T.(ed.)(1979), The Development of Conversation and Discourse . Edinburgh University Press.
  • Meyer, C. F.(2003), Corpus Analysis: Language Structure and Language Use . Rodopi.
  • Meyer, C. F.(2002), English Corpus Linguistics: An Introduc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cEnery, T. and Wilson, A.(1996), Corpus Linguistics . Edinburgh University Press.
  • Lyons, J.(1995), Linguistic Semantic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yons, J.(1979), Deixis and Anaphora. In Myers, T.(ed.)(1979).
  • Lyons, J.(1968), Introduction to theoretical linguistics, Cambridge Univ ersity Press.
  • Lyons, J. (1977), Semantics I &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vinson, S. C.(1983), Pragmatic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nz, F.(ed.)(2003), Deictic Conceptualisation of Space, Time and Person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Language and Computers –A Practical Introduction to the Computer Analysis of Language
    Barnbrook, G. Edinburgh University Press. (유석훈 옮김(1999), 『언어와 컴퓨터』,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 Labov, W.(1972), Sociolinguistic Patterns .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Kohnen, T.(2009), Historical Corpus Pragmatics: Focus on Speech Acts and Texts. Corpora: Pragmatics and Discourse. Vol.68, pp.13-18.
  • Kim, C.-K.(2009), Personal Pronouns in English and Korean tests: A Corpus-based Study in Terms of Textual Interaction. Journal of Pragmatics 41. pp.2086-2099.
  • Jucker, A. H.(2013), Corpus pragmatics. In: stman, Jan-Ola; Verschueren, Jef. Handbook of Pragmatics . Amsterdam: John Benjamins, pp.1-17.
  • Jucker, A. H.(2013), Corpus Pragmatics. Handbook of Pragmatics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Johansson, S. and Oksefjell, S.(1998), Corpora and Cross-linguistic Research . Rodopi.
  • Jespersen, O.(1933), Essentials of English Grammar .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 Jespersen, O.(1924), The Philosophy of Grammar .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 Jespersen, O.(1922/1924), Lnanguage: Its Nature, Development and Origin . George Allen & Unwin Ltd.
  • Hymes, D.(1964), Toward ethnography of speaking . In Giglioli, P.P.(ed.)(1972).
  • Huang, Y.(2000), Anaphora: a Cross-Linguistic Approach . Oxford University Press.
  • Heine, B. and Song, K.-A.(2011),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personal pronouns. Journal of Linguistics 47(3).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587-630.
  • Heine, B. and Song, K.-A.(2011),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Personal Pronouns. Journal of Linguistics . Vol.47, No.3, pp.587-630.
  • Halliday, M. A. K. and Hasan, R.(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 Giglioli, P. P.(ed.)(1972), Language and Social Context . Penguin Books.
  • Fox, B.(1987), Discourse structure and anaphora . Cambridge University Press. Gardelle, L. and Sorlin, S.(ed.)(2015), The Pragmatics of Personal Pronouns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Fillmore, C. J.(1997), Lectures on Deixis . CSLI Publications.
  • Fillmore, C. J.(1966), Deictic Categories in the Semantics of ‘Come’. Foundations of Language Vol.2 No.3. pp.219-227.
  • Engwell, G.(1994), Not Chance but choice: Criteriain Corpus Creation. In Atkins, B. T. S. and Zampolli, A.(eds.)(1994).
  • Dixon, R. M. W.(2017), The Grammar of English Pronouns. Lingua 200, pp.33-44.
  • Chafe, W.(1992), Discourse: an overview. In W. Bright et al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Chafe, W.(1982), Integration and Involvement In Speaking, Writing, and Oral Literature. In Tannen, D.(ed.)(1982).
  • Campbell, G.(1991),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 Routledge.
  • Byron, D. and Laura S.(2005), An Analysis of Proximity Markers in Collaborate Dialog. In Proceedings of the 41st annual meeting of the Chicago Linguistics Society. Chicago Linguistic Society.
  • Brown, G. and Yule, G.(1983/1984), Discourse analysi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own, D. G.(1955), Speakers, listeners and Communic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anco, A., McEnery, T., and Mitkov, R.(eds.)(2005), Anaphora Processing: Linguistic, cognitive and computational modeling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Botley, S. and McEnery, T.(eds.)(2000), Corpus-based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to Discourse Anaphora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Bloomfield, Leonard.(1933), Language ,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 Biber, D., Johansson, S., Leech, G., Conrad, S., and Finegan, E.(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 Pearson Education.
  • Biber, D.(1995), Dimensions of Register Vari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ber, D.(1988), Variation across Speech and Writing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ber, D. and Finegan, E.(1994), Sociolinguistic Perspective on Register . Oxford University Press.
  • Bhat, D. N. S.(2004), Pronouns , Oxford University Press.
  • Bedell, G. et al.(eds.)(1979), Exploration in Linguistics: Papers in Honor of Kazuko Inoue . Kenkyusya.
  • Baker, M., Francis G. and Tognini-Bonelli E.(eds.)(1993), Text and Technology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B hler, K.(1934), Sprachtheorie . Gustav Fischer Verlag. (translated by Goodwin, D. F.(1990), Theory of Language: the Representational Function of Language .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Atkins, B. T. S. and Zampolli, A.(eds.)(1994), Computational Approaches to the Lexicon . Oxford University Press.
  • Agha, A.(2007), Language and Social Relation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bbot, B.(2010), Reference . Oxford University Press
  • <현대국어 형식명사 연구>
    임동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 빈도 사전>
    서상규 한국문화사 [2014]
  •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 <국어정보학 입문>
    서상규 한영균 태학사 [1999]
  • /2014), 『표준국어 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박이정 [1985]
  • /2011),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1986]
  • /1999),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37]
  • /1992), 『화용론연구』
    장석진 탑출판사 [1985]
  • (1897-, 『조선문전』, 역대한국문법대계  1
    유길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 육연구소 [1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