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성폭력 행위자들의 성경험역사와 아동기외상의 통찰에 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xual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and Insight on Unfinished through Psychodrama

공현준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성폭력 행위자들의 성경험역사와 아동기외상의 통찰에 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xual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and Insight on Unfinished through Psychodram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이코드라마
  • 성경험역사
  • 성폭력
  • 성폭력 행위자
  • 아동기외상
  • 통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84 0

0.0%

' 사이코드라마를 통한 성폭력 행위자들의 성경험역사와 아동기외상의 통찰에 관한 현상학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exual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s and Insight on Unfinished through Psychodrama' 의 참고문헌

  • 심리극 집단상담이 간호학생의 신체,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고영애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성폭력 가해자 교정 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여성가족부 [2010]
  • 사이코드라마의 이론과 적용
    김수동 이우경 서울: 학지사 [2004]
  • 사이코드라마 이론과 실제
    최헌진 서울: 학지사 [2010]
  • 『이상심리학의 기초: 이상행동과 정신장애의 이해』
    권석만 서울: 학 지사 [2014]
  • 「트라우마테라피-심리학, 상처입은 마음을 어루만지다」
    최명기 서울: 좋은책만들기 [2012]
  • 「성행동심리학」
    채규만 서울: 학지사 [2006]
  • 「성범죄자 교화프로그램 연구」
    여운철 법무연수원 [2006]
  • “청소년 우울감소를 위한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 개발과 효 과”
    조미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연극을 활용한 청소년 여성폭력 인식개선 방안연구”
    박윤주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7]
  • “여성청소년의 성적학대경험. 가출. 폭력적 비행. 그리고 성 관련 비행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은영 아시아교정포럼 교정담론. 제 6호, 233-272 [2012]
  • “여대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 모형구축”
    강희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아동기의 심리적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해리와의 관계에서 집단 따돌림의 매개효과”
    공성숙 배재현 한국간호과학 회 정신간호학회지. 제 22호, 193-204 [2013]
  • “아동기 성폭력 경험의 회복 과정에 간한 연구”
    김지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아동 청소년기 근친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경험과 적응에 관 한 현상학 연구”
    천해리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심리극을 경험한 대학생의 자아상태와 인생태도의 변화분 석”
    이정희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 지. 제 6호, 15-40 [2003]
  • “수형자의 PAI 프로파일과 범법행위 예언지표”
    김영환 박은영 정상문 홍상황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 21호, 941-954 [2002]
  • “소시오드라마를 통한 성의식의 변화양상에 관한 현상학적 연 구 -성폭력 가해자 교정.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윤일수 한국사이코 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18호, 33-57 [2015]
  • “성폭력행위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엄정순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성폭력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태명 형사정책연 구원 형사정책연구. 제87호, 5-44 [2011]
  • “성폭력 피해아동의 피해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신기숙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성폭력 피해 여성의 심리적 후유증의 변화와 인지적 요인의 효과”
    신경민 아주대학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적 분열과 성적 공격성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 오토 컨버그(Otto Kernberg)와 제임스 폴링 (James Poling)의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허선호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성폭력 가해대상에 따른 대상관계 차이 분석”
    홍숙선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성범죄자와 일반인의 성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유재두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성범죄자와 일반인의 강간통념 비교연구”
    송병호 유재두 한국공안 행정학회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 36호, 135-165 [2009]
  • “성범죄자 재범방지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 발연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박정일 여운철 윤정숙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형 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제 12호 1-4 [2011]
  • “사이코드라마의 치료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박수병 대전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사이코드라마의 치료적 측면”
    김수동 이우경 한국무용동작심리치 료학회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제 1호, 109-132 [2003]
  • “사이코드라마의 개입과 치유 효과”
    윤일수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연구. 제 37호, 85-116 [2012]
  • “사이코드라마가 주는 자기개방 및 상담의 효과분석”
    김은혜 한국사 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12호, 41-54 [2009]
  • “사이코드라마가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분노표현.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종숙 카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사이코드라마가 미혼모의 우울.충동성.자존감 및 사회적 지 지에 미치는 효과”
    전은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 우울집단의 우울.사회적 지 지.자존감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희석 임수진 한국사이코드라마, 소시 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제 5호, 93-115 [2002]
  • “사이코드라마 현장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경험과정”
    조은숙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논문 [2018]
  • “사이코드라마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헌성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한국사이코드 라마학회지. 제 14호, 1-14 [2011]
  • “사이코드라마 치료요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허미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부부강간죄의 체계적 정비 방안에 관한 연구”
    김응지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Newman의 실무연구방법론을 근거로 한 성폭력 피해자의 건 강경험”
    공수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 대학생 우울집단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와 사이코드라마의 치 료 효과”
    박희석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 Woodworth M1, Freimuth T, Hutton EL, Carpenter T, Agar AD, Logan M.(2013). High-risk sexual offenders: an examination of sexual fantasy, sexual paraphilia, psychopathy, and offence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 W. L. Marshall, H. E. Barbaree. (1990). An Integrated Theory of the Etiology of Sexual Offending. Clinical Psychology. 257-275
  • Trauma and Recovery: The Aftermath of Violence--From Domestic Abuse to Political Terror. 최현정 역(2012). 트 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Judith Herman 경기: 열린책들 [1992]
  • Tian Dayton. (1994). The Drama Within: Psychodrama and Experiential Therapy. Health Communications
  • The restoration of the self. 이재훈 역(2006). 자기의 회복
    Heinz Kohut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77]
  • The Will to Change. 이순역 역(2017). 남자다움이 만 드는 이상한 거리감
    Bell hooks 서울: 책담 [2004]
  • The Living Stage. 김세준 역(2012). 상담 및 집단치료 에 활용하는 사이코드라마
    Tian Dayton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4]
  • Stratton. (1990). Catharsis reconsidered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543-551
  • Roger. K. F. (1981). The effects of psychodrama and group therapy on emotional state. Biola College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홍식 외 역(2015). 질적연 구방법론
    John W. Creswell. 서울 : 학지사 [2012]
  • Psychodrama: A Beginner's Guide. 최윤미 역(2007). 사이코드라마가이드
    Zoran Djuric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Psychodrama, Surplus Reality and the Art of Healing. 황헌영 역(2005). 사이코드라마와 잉여현실
    Zerka T. Moreno 서울: 학지사 [2000]
  • Psycho-analysis of children. 이만우 역(2011). 아 동 정신분석
    Melanie Klein 서울: 새물결 [1989]
  • Peter F. Kellermann. (1992). Focus on Psychodrama: The Therapeutic Aspects of Psychodram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 Object-Relations Theory & Clinical Psychoanalysis. 이재훈 역(2003). 대상관계이론과 임상적 정신 분석
    Otto Kernberg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5]
  • Murphy,W.D, Barbaree, H.E. (1994). Assessment of sex Offenders by Measures of Erectile Respons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Decision Making, Safer Socity Press. Brandon
  • Michael P. Nichols, Melvin Zax. (1977). Catharsis in Psychotherapy. Gardner Press.
  • Lewis. W. A, Bucher. A. M. (1992). Anger. catharsis. the reformulated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and health consequence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385-392
  • Kellermann. P. F. (1992). Focus on psychodrama: Therapeutic aspects of psychodrama. London: Cromwell Press.
  • Kellermann. P. F. (1987). Psychodrama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rapeutic factors. Small Group Behavior. 408-419.
  • Kellermann. P. F. (1987). Outcome research in classical psychodrama. Small Group Behavior. 459-469.
  • Kellermann. P. F. (1986). Therapeutic aspects of psychodrama. Swede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tockholm.
  • Kellermann. P. F. (1985). Participants' perception of therapeutic factors in psychodrama.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Psychodrama & Sociometry. 123-132.
  • Healing Collective Trauma Using Sociodrama and Drama Therapy. 박우진 외(2015)
    Eva Leveton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Hall.G.C., Barongan C. (1997). Prevention of sexual aggression: Sociocultur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e American psychologist. 5-14.
  • Hall G.C.N, Hirschman, R.(1991). Toward a theory of sexual aggression A quadripartite mod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62-669
  • Groth.A.N. (1977). The adolescent sexual offender and his prey. International Journal of O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 Groth.A.N, Burgess.A, Holmstrom. (1977). Power. anger and sexualit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Groth.A.N, Birnbaum.H. (1979). Men who rape: The psychology of the offender. New York: Plenum Press.
  • Gross.A.N, Burgess.A.W. (1977). Sexual dysfunction during rap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 Gary Zukav. (2007). The seat of the soul. Simon & Schuster; Anniversary edition.
  • Garcia & Buchanan. (2000). Healing Collective Trauma Using Sociodrama and Drama Therapy.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Father-Daughter Incest. 박은미 역(2010). 근친성폭 력- 감춰진 진실
    Judith Herman 서울: 삼인 [1981]
  • Elaine Eller Goldman. (1984). Psychodrama: Experience and Process. Kendal: Hunt Publishing Company.
  • Desk Reference To The Diagnostic Criteria From DSM-5. 권준수 역(2018). DSM-5 간편 정신질환진단통계편람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서울: 학지사 [2013]
  • Creative Drama in Groupwork. 이귀연 외 역(2007).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Sue Jennings. 서울: 율력 [1986]
  • Clark Moustakas. (1994).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 Adam Blatner. (1973). Acting-in; Practical Applications of Psychodramatic Method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A Secure Base: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Theory. 김수임 외 역(2014). 존 볼비의 안전기지-애착이론의 임상적 적용
    John Bowlby. 서울: 학지사 [1988]
  • . Psychodrama - Second Volume. 손창선 외 역(2015). 사이코드라마-정신치료의 토대
    Jacob Levy Moreno Zerka T. Moreno 서울: 아카데미아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