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 언어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명애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 언어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언어
  • 문화교육
  • 한국신체언어교육
  • 한국어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08 0

0.0%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 언어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body languag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의 참고문헌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0]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1]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활용 점검및보완 연구」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6]
  • 한국인의 언어 예절과 신체 언어
    김성도 성광수 『기호학연구』,10, 77-114쪽 [2001]
  • 한국인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행위에 관한 연구
    김진웅 한국외국어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 한국인의 마음지도 Ⅰ: 한국 대학생 의 정서, 사고방식, 가치관
    김범준 김진형 이훈진 최인철 한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435-464쪽 [2012]
  •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1979 년, 1998 년, 및 2010 년의 조사 결과 비교
    나은영 차유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4), 63-93쪽 [2010]
  • 한국인과 터키인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대조 연구
    조은숙 『언어와 문화』, 12(2), 179-201쪽 [2016]
  • 한국인과 일본인의 비언어행동의 대조연구-동작 접촉 공간학을 중심으로-
    홍민표 『일본학보』, 41, 263-278쪽 [1998]
  • 한국인 손동작의 의미와 화용
    김영순 『한국어 의미학』, 6, 27-47쪽 [2000]
  • 한국인 비언어적 행위의 특징과 한국어 교육 연구
    조현용 『이중언어학』, 33, 269-295쪽 [2007]
  • 한국어의 예의 문화적 특징과 문화 교육
    주명애 『한국(조선)어교육연구』, 7, 251-265쪽 [2010]
  • 한국어의 공손성 교육과 학습-미국의 Korean as a Foreign Language(KFL) 학생들의 경우-
    윤상석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국제 학술발표논문집』, 28, 435-441쪽 [2016]
  • 한국어에 있어서 몸짓과 발화의 관계
    성광수 『이중언어학』, 16, 299-326쪽 [2001]
  • 한국어교재의 비언어 표현과 문화교육
    김정은 『한국어와 문화』, 18, 403-422쪽 [2015]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경지 『이중언 어학』, 40, 1-29쪽 [2009]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교육 방안 연구-초급 교육에서 손짓 언어를 중심으로 -
    심휘령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한국어 비언어적 행위 표현과 한국어문화 교육 연구
    조현용 『한국어 교육』, 16, 307-335쪽 [2005]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비언어행동의 분석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방안
    허지애 『국어교과교육연구』, 17, 374-66?? [2010]
  • 한국어 교육에서의 비언어적 표현 교육
    김정은 『외국어교육』, 13(2), 509-525쪽 [2006]
  • 한국어 공손표현의 교수학습 연구
    정미진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어 공손성 표현의 생성 유형 분류
    문금현 『한국어와 문화』, 21, 51-75쪽 [2017]
  • 한국문화교육에서의 문화지능 적용 연구: ‘문화적 선입견 다루기’ 전략을 중심으로
    박광옥 이명애 이지양 『언어와 문화』, 12(4), 151-175쪽 [2016]
  •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표현 방식 연구
    갈라노바 딜노자 갈라노바 딜노자 강미영 강미영 『문화교류연구』, 6(3), 5-27쪽 [2017]
  • 한국 일본 중국 미국인의 신체 언어에 관한 대조 사회언어학 적 연구
    홍민표 『일본어문학연구』, 61, 359-382쪽 [2007]
  • 한국 대학생들의 독일 신체 언어 이해에 대한 실험분석Ⅱ- 이중적 특성을 지닌 신체 언어 기호를 중심으로-
    추계자 『사대논문 집』, 42, 1-12쪽 [2003]
  • 한국 대학생들의 독일 신체 언어 이해에 대한 실험분석Ⅰ- 문화의존적인 신체 언어 기호를 중심으로-
    추계자 『코기토』, 59, 227-242쪽 [2003]
  • 재미교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비언어표현 교육 방안 연구
    백승옥 경 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인사 장면에서 나타나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언어적 의사 소통 연구
    황창민 『어문연구』, 40(1), 473-494쪽 [2012]
  • 이중언어교육과 비언어적 소통
    성광수 『이중언어학』, 16, 1-34쪽 [1999]
  • 응웬 티 흥,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신체 언어 비교 분석 및 상호문화교육 적 개선 방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원지은, 영화에 나타난 한일 신체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
    『일본어문학』, 34, 123-146쪽 [2006]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 교육방안 연구
    강소영 『한민족문화연구』, 57, 339-380쪽 [2017]
  • 외국어 습득에 있어서 신체 언어능력의 중요성 및 문화와 제스 의 관계
    권종분 『외국어교육연구』, 1, 111-137쪽 [1998]
  • 외국어 교수/학습에 있어서 동작의 중요성
    장한업 『기호학연구』, 10, 139-153쪽 [2001]
  • 예(禮)의 커뮤니케이션: 유교사상과 한국인의 인간 커뮤니케이션
    박정향 『한국언어학회』, 30, 59-98쪽 [1993]
  • 영상매체를 활용한 신체 언어 교육방안-몸짓을 중심으로-
    김경지 『고 황논집』, 40, 9-16쪽 [2007]
  • 언어로서의 몸짓
    박인진 『외대논총』, 27, 273-291쪽 [2003]
  •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7: 델파이 기법: 전문적 통찰로 미래예측 하기
    노승용 『국토』, 299, 53-62쪽 [2006]
  • 알기 쉬운 교육과정
    홍후조 학지사 [2011]
  • 아랍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양식에 관한 고찰-제스처를 중심으로-
    사희만 『한국 이슬람 학회 논총』, 1(1), 117-129쪽 [1990]
  • 신체 언어의 의사 소통 기능
    윤애선 『성곡논총』, 29(1), 351-479 [1998]
  • 신체 언어와 의사 전달
    이석주 『국어교육』, 101, 65-93쪽 [1999]
  • 신체 언어와 외국어-불어교육
    장한업 『불어불문학연구』, 39, 187-207쪽 [1999]
  • 신체 언어와 문화의 상관성
    김인택 『우리말연구』, 24, 165-195쪽 [2009]
  • 신민아 이두원 정현숙 최윤희,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김숙현 김평희 박기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손짓 기호로 광고 텍스트 읽기
    김영순 『기호학 연구』, 10, 115-138쪽 [2001]
  • 삽화 제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삽화 이해에 관한 연구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비언어적인 요소인 한독 신체 언어 기호의 비교분석
    추계자 『독일어 문학』, 7, 93-118쪽 [1997]
  • 비언어적 행위와 의사소통
    장영희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12, 55-79쪽 [2006]
  • 비언어적 행위 관련 한국어 관용표현 교육 연구
    조현용 『한국어교육』, 14(1), 279-297쪽 [2003]
  • 비언어적 표현활동이 말하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안희숙 제주교육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비언어적 의사소통행위에 관한 연구
    홍희광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4]
  • 비언어적 요소를 고려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권종분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비언어의 상호동기화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음성 언어와 몸짓 언어를 중심으로
    김현주 이영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5, 153-184쪽 [2014]
  • 비언어 행동과 한국어 교육
    박갑수 『국학연구론총』, 8, 9-45쪽 [2011]
  • 비언어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미지를 중심 으로-
    김선정 김성수 『언어와 문화』, 1, 103-119쪽 [2004]
  • 비언어 텍스트를 통한 문화교육 방안-광고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성수 『언어와 문화』, 1(2), 149-165쪽 [2005]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분류에 대한 연구
    홍기선 『커뮤니케이션 과학』, 13(15), 3-23쪽 [1995]
  • 문화권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고찰
    박명석 『언어와 언어학』, 6, 63-79쪽 [1980]
  • 문화교육의 현주소: 교육내용에 대한 진단과 대안 모색
    박종한 『중국어교육 과연구』, 15, 201-225쪽 [2012]
  • 문화간 비음성 언어 차이에 대한 접근-한국어와 스페인어의 몸 짓언어를 중심으로
    조혜진 『언어와 언어학』, 35, 321-336쪽 [2005]
  • 문화 간 의사소통의 갈등 양상분석
    김정은 『한국어 교육』, 19(2), 1-38쪽 [2008]
  •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인지능력 평가에 관한 비교 문화 적 연구-한국과 아시아 지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성균관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각매체 비 교연구-중국 손짓언어를 중심으로-
    이노미 『한국영상학회논문집』, 4(2), 59-74쪽 [2016]
  • 몸짓 의사소통적 한국어 교수법 모형
    김영순 『이중언어학』, 20, 1-24 쪽 [2002]
  • 리샤오원,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중 신체 언어 대조연구
    경희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듣기 말하기 교육에서의 비언어적 표현 지도 방안
    이주섭 『청람어문 교육』, 31, 101-121쪽 [2005]
  • 델파이 방법
    이종성 교육과학사 [2001]
  • 대화에 나타나는 신체 언어의 의사소통적 역할-대화분석론적 관 점을 예로 들며-
    임성우 『독일어문학』, 34, 315-334쪽 [2006]
  • 대인관계의 생심리학: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시선
    한기태 『고신대학 논문집』, 15, 299-319쪽 [1987]
  • 다중 문화 교육을 위한 동작 분석 방안
    김영순 『이중언어학』, 16, 131-147쪽 [1999]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김대현 김석우 학지사 [2008]
  •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 개발
    민용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3), 19-41쪽 [2011]
  • 관습화된 일상적 제스처
    Posner, R. 『기호학연구』, 10, 11-41쪽 [2001]
  • 『한국인의 신체 언어』
    조현용 소통 [2009]
  • 『한국어 화용론』
    박영순 박이정 [2007]
  • 『커뮤니케이션론』
    홍기선 홍기선 서울:나남출판 [1994]
  •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강길호 김현주 한나래 [1995]
  • 『의사소통교육 성과 진단』
    김미란 김성숙 박정하 정희모 한국교양기 초교육원 [2013]
  • 『외국인을 위한 한국현대문화』
    이선이 한국문화사 [2007]
  • 『언어행동과 비언어행동』
    정혜경 박이정 [1999]
  • 『신체 언어 커뮤니케이션 기호학』
    김영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손짓, 그 상식을 뒤엎는 이야기』
    이노미 바이북스 [2007]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론』
    김우룡 장소원 나남 [2004]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김우룡 김해영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최윤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부모와 교사를 위한 기본 생활예절교육』
  •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
    김진석 한국문화사 [2015]
  • 『몸짓 기호와 손짓 언어: 교사-학생간 비언어 의사소통 연구』
    김연화 김영순 한국문화사 [2007]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8]
  • 『국어의 융합현상』
    이지양 태학사 [1998]
  • 『교육연구 방법론』
    박도순 문음사 [2008]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 연구」
    김경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몸’의 기호학적 고찰-유가 전통을 중심으로
    이승환 『기호학연구』, 3(1), 42-75쪽 [1997]
  • Willbrand, M. L. & R. D. Reike(1983). Teaching or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s. Macmillan Publishing Co.
  • Wainwright, G. R.(1985;1999). Body language. Hodder & Stoughton Limited.
  • Van Ek, J.A. & L.G. Alexander(1980). Threshold level English:council of Europe modern languages project. Pergamon Press.
  • Trompenaars, F.(1993). Riding the waves of culture. Irwin.
  • Stewart, J. & C. E. Rogan(1998). Together: communicating interpersonally. Mc Graw.
  • Stevick, E. W.(1986). Images and options in the language classroom.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cheflen, A. E.(1972). Body language and the social order.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 S am o v a r, L. A. & R. E. P o rte r( 2 004).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5th Ed.).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정현숙 김숙현 최 윤희 김혜숙 박기숙 번역)
    커뮤니케이션북스
  • Remland, M. S.(2000). Nonverbal communication in everyday life.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외 국어교수의 원리』(이흥수 외 역)
    Brown, H. D. Pearson Education Korea [2001]
  • Pinto, R. & J. Ametller(2002). Students' difficulties in reading images: comparing results from four national research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3), 333-341.
  • Peeck, J.(1993). Increasing picture effects in learning from illustrated text. Learning and Instruction, 3(3), 227-238.
  • Paige, R. M.(1993). Education for the intercultural experience, Yarmouth, ME: Intercultural Press.
  • Morris, D. (2002). Peoplewatching. Vintage.
  • Morris, D. (1994). Bodytalk. Crown.
  • Moran, P. R.(2001). Teaching culture: perspectives in practice, Heinle.
  • Mehrabian, A.(1971). Silent message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Inc.
  • Mehrabian, A.(1968). Communication without words. Psychology Today, 2(4), 53-55.
  • McGinley, H.(1984). Attraction effects of smiling and body position. Perceptual and Motor Sklls, 58, 915-922.
  • Matsumoto, D. & H. S. Hwang(2012). Nonverbal communication: the message of emotion, action, space, and silence. In Jane Jackson (Ed.), The Routledge Handbook of Language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130-147. Routledge.
  • Mao, L. R. (1994). Beyond politeness theory: 'Face' revisited and renewed. Journal of Pragmatics, 21. 5: 451-486.
  • Leech, G. N. (1983). Principles of pragmatics. London: Longman.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Lamb, W. & E. Watson(1994). Body code: the meaning in movement. Princeton Books Publishing co.
  • Lakoff, R. (1972). Language in context. Language, 48(4), 907-927.
  • Knapp, M. L., J. A. Hall, & T. G. Horgan(2014).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Cengage.
  • Jandt, F. E.(2001).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 introduction(3rd ed.). Sage Publications, Inc.
  • Ide, S.(1989). Formal forms and discernment: two neglected aspects of universals of linguistic politeness. Multilingua 8(3), 223-248.
  • Hymes, D.(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Pride & Holmes.
  • Hofstede, G.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Beverly Hills, CA: Sage.
  • Halliday, M.(1973). Exploration in the functions of language. London: Edwrad Arnold.
  • Hall, E.(1983). The dance of life : the other dimension of time. N.Y.:Anchor Books.
  • Hall, E.(1976). Beyond culture. Garden City. N.Y.:Anchor Books.
  • Gu, Y.(1990). Polite phenomena in modern Chinese. Journal of Pragmatics, 14, 237-257.
  • Goman, C. K.(2008). The nonverbal advantage: secrets and science of body language at work. Berrett-Koehler Pub.
  • Goffman, E.(1961). Encounters: two studies in the sociology of interaction. Indianapolis. Inc.:Bobbs-Merrill.
  • Glass, L.(2012). The body language advantage. Fair Winds Press.
  • Elfenbein, H.A., & N. Ambady(2003). When familiarity breeds accuracy: cultural exposure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276-290.
  • Ekman, R., W. Frisen, & J. Bean(1984). The international language of gestures. Psychology Today, 18, 64-69.
  • Ekman, P.(2003). Emotion revealed: understanding faces & feelings. Pheonix.
  • Ekman, P.(1982), Methods for measuring facial action. In K.R. Schere & P. Ekman(Eds.), Handbook of method in nonverbal behavior research, 45-9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kman, P.(1965). Universal and cultural differences in facial expression of emo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Duchastel, P.(1978). Illustrating instructional texts. Educational Technology, 18(11), 36-39.
  • Dodd, C. H.(1982). Dynamic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rown Company publishers.
  • Darwin, C.(1872). Expression of the emotion in man & animals. Oxford University Press.
  • Collett, P.(2003). The book of tells, Bantam.
  • Chun, M. Y.(2009). Cultural relativity and universality of linguistic politeness: the speech of advice. Doctoral dissertation of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 Capelle G. & N. Gidon(1999). Reflets1. Hachettelivre.
  • Calbris G. & J. Montredon(1992). La mauvaise langue. Universit e de Franche-Comt e.
  • Byram, Michael, C. Morgan, & collegues(1994). Teaching-and-learning language-and-culture, Multilingual Matters Ltd.
  • Burgoon, J. & J. Guerrero(1994). Nonverbal communication, In M. Burgoon et al. (Ed.), Human Communication, 122-171. Thousand Oaks:Sage.
  • Brown, P. & S. Levinson(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osnahan, L.(1998). Korean and English gesture: contrastive nonverbal communication. Leger Brosnahan.
  • Birdwhistell, R. L.(1970). Kinesics and context : essays on body motion communictia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Berko, R. M., A. D. Wolvin, & D. R. Wolvin (1998). Communicating: a social and career focus(7th ed.). Houghton Mifflin College Div.
  • Bae, Juchae(2005), A study on framing a lecture "Korean Culture through the Korea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8(1), 179-196.
  • B. Pease The Definition Book of Body Language., 『보 디 랭귀지』(서현정 번역)
    Pease, A. 대교베텔스만 [2004]
  • Axtell, R. E.(1998). Gestures: the do's and taboos of body language around the world. John Wiley & Sons Inc.
  • Argyle, M.(1975). Bodily commuication. Methuan & Co. Ltd., Lon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