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뇌교육명상 수련의 자기치유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고건영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뇌교육명상 수련의 자기치유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감
  • 뇌교육
  • 명상
  • 이타성
  • 자기 치유
  • 자기관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61 0

0.0%

' 뇌교육명상 수련의 자기치유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호흡명상 체험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천용진 박사학 위논문 [2016]
  • 현상학적 연구로 나아가기. 한국교육인류학회
    권효숙 추계학술대회 발표글 [2009]
  • 현상학과 해석학 : 후썰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현 상학
    이남인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4]
  • 현대단학의 장생법 연구: 걷기, 진동, 지감수련을 중심으로. 국제뇌교육 종합대학원대학교
    안진경 박사학위논문 [2012]
  • 현대 한국불교 명상수행문화의 종교학적 의미 -간화선과 위빠사나 수행 담론을 중심으로
    강은애 한국연구재단(NRF)연구 성과물 [2009]
  • 현대 상담치료와 논어를 통한 자기치유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이지현 석사학 위논문 [2016]
  •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탈중 심화의 조절효과검증. 가톨릭대학교
    엄미선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 무용수의 몰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연세대학교
    김은영 석사학위논 문 [2005]
  • 학문과 교육(하): 교육적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장상호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 부 [2000]
  • 학문과 교육(상) : 학문이란 무엇인가
    장상호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학교 밖 청소년의 호흡명상과 드로잉활동체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명 지대학교
    이랑주 박사학위논문 [2015]
  • 통합심리학 기반 무용/동작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성인 스트레스 감 소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김나영 박사학위 [2012]
  • 태극권수련을 통한 명상 효과에 관한 고찰. 원광대학교
    엄기영 석사학위논문 [2007]
  • 탈중심화와 조망수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성과 반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장경숙 석사학위논문 [2013]
  •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제공이 관상동맥조영술 대상자의 검사 전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정경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칼 로저스의 카운슬링의 이론과 실제. 한승호⦁한성열 역
    Rogers, C. R. 서울: 학지사 [2002]
  • 칼 로저스의 사람 중심 상담. 오제은 역
    Rogers, C. R. 서울: 학지사 [2007]
  • 치유와 회복. 주민아(역)
    David. R. Hokins 서울: 판미동 [2016]
  • 촉감을 활용한 체험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김효선 석사학위논문 [2016]
  • 초기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조성호 학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 775-788 [2002]
  • 체험연구. 신경림, 안규남 역
    Max van manen 서울: 동녁 [1990]
  • 체험 표현 이해. 이한우 역. (2002)
    Dilthey, W. 서울: 책세상 [1979]
  •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정성, 스트레스, 우울 감소를 위한 음악 및 명상의 치료효과. 중앙대학교
    박선미 박사학위논문 [2008]
  • 청소년 비행예방과 치유를 위한 치유인자에 대한 고찰 : 어떤 경험이 청소 년들을 긍정적으로 변화하게 하는가?
    정민 제주한라대학 논문집, 20, 83-99 [1996]
  • 차크라 명상시 자율신경 및 두뇌 영역별 뇌파특성의 변화
    김종상 심준영 선도 문화, 18, 279-326 [2016]
  • 질적연구방법론 Ⅰ: Bricoleur(2판)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질적연구 방법의 이해
  • 질적연구 방법론 - 다섯가지 접근
    Jone W. Creswell 학지사: 서울 [2010]
  •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현상학
    이근호 교육 인류학연구, 10(2), 41-64 [2007]
  • 질적 연구
    조용환 교육 과학사: 서울 [1999]
  • 질적 간호연구방법. 신경림 역
    Field, P.A. Morse, J. M 서울 : 이화여자대학 교 출판부 [2003]
  • 중학교 과학교과에 공감을 도입한 수업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최경덕 석사 학위논문 [2016]
  • 주역의 상생론(相生論)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김수자 석사학위논문 [2012]
  • 자연치유의 비밀 솔라바디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15]
  • 자기명상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13]
  • 인성교육과 뇌교육. 브레인, 44, 18-21
    장래혁 서울: 한국뇌과학연구원 [2014]
  • 이항로, 최영완 영재교육의 질적 연구에 대한 대학원생들의 인식 변화
    채동현 초등과학교육, 30(1), p. 93-101 [2011]
  • 이타적 인간의 뇌. 장현갑 역
    에릭 호프만 서울: 불광출판사 [2014]
  • 이완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대전대학교
    인경숙 석사학위논문 [2003]
  • 이완기법, 이완이론, 그리고 이완상태
    손정락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4), 793-822 [2012]
  •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허미애 박사학 위논문 [2007]
  • 위파사나 명상의 심리치유적 기능
    권석만 서울: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06]
  • 위빠싸나 명상, 마음챙김, 그리고 마음챙김을 근거로 한 심리치료
    박성현 인지 행동치료, 7(2), 83-105 [2007]
  •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적 고찰
    김정호 사회과학연구, 4, 35-60 [1996]
  • 월리엄 제임스 철학에서 자기치유의 가능성. 이화여자대학교
    권지혜 석사학위 논문 [2014]
  •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 연구 : 질적 연구 방법론에 의한 분석. 명지대학교
    이치숙 석사학위논문 [2010]
  • 요가 수행자들의 삼매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단국대학교
    최정화 박사학위 논문 [2008]
  • 요가
    정위교 서울: 고려원 [1989]
  • 영역 중심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조망 수용능력에 미치는 요인분석. 동국대학교
    이경남 석사학위논문 [2009]
  • 열린 교실의 교육 공간 구성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서울대학교
    박민정 석사학 위논문 [1998]
  • 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임파워먼트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최윤희 석사학위 논문 [2018]
  • 알아차림 명상과 미술치료를 통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개발연구, 동방대 학원대학교
    김교옥 박사학위논문 [2014]
  • 아동의 이타성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북대학 교
    이경민 석사학위논문 [2014]
  • 심리치료에서의 탈동일시
    성승연 윤호균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7(2), 265-275 [2005]
  •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 외 역
    Corey, G. 서울 : 센게이지러닝 [2017]
  • 심리 상담의 치료적 기제
    윤호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2005]
  • 실천 명상, 요가집단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송형도 석사학위논문 [2005]
  • 실존주의 심리치료. 임경수 역
    Yalom, I. D. 서울: 학지사 [2007]
  • 신체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유계식 한국심리학회 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1-13 [2002]
  • 신체 감각알아차리기(Somatic Experiencencing)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윤소희 석사학위논문 [2016]
  • 스피노자의 뇌: 기쁨, 슬픔, 느낌의 뇌 과학. 임지원 역
    Antonio Damasio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7]
  •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김선주 김정호 서울: 도서출판 아름다운 세상 [1999]
  • 수행법 연구: 고전요가와 하타요가 수행법에 관한 비교 연구
    이지나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 교대학원 [1995]
  • 수용적 독서와 표현적 글쓰기를 통한 자가치유 고찰 – 이승하와 최승자 를 중심으로
    우남희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111-140 [2016]
  • 수용-전념치료 통합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김유정 박사학위논문 [2014]
  • 선입견 극복을 위한 불교 명상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원광대학교
    배성월 박 사학위논문 [2015]
  • 상담 장면에서의 탈동일시 현상. 가톨릭대학교
    성승연 박사학위논문 [2006]
  •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김수진 석사학위논문 [2015]
  •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김유진 석사학위논문 [2012]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억제의 관계: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상지 대학교
    정은주 석사학위논문 [2014]
  • 사이코드라마가 자기개방과 상담효과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김은혜 석사 학위논문 [2009]
  • 사운드테라피(소리치유)를 통한 체질별 자연치유 증진에 관한 연구. 서울 장신대학교
    김필희 석사학위논문 [2017]
  • 빈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요가프로그램의 심리적 효과. 서울불교대학원 대학교
    왕인순 석사학위논문 [2005]
  • 비전수립 코칭 프로그램이 방과 후 아카데미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진로 성숙도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정보현 박사학위논문 [2012]
  •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치료적 관계형성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상담자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나경미 석사학위논문 [2016]
  • 브레인트레이닝 기반 뇌체조에 대한 과학적 이해
    이승호 국제뇌연구, 1, .137-176 [2016]
  • 불교명상과 천주교 관상기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비교연구. 서울불교 대학원대학교
    김혜옥 박사학위논문 [2016]
  • 부적응적 인지도식과 역기능적 신념이 대학생의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 향. 한양대학교
    김상아 석사학위논문 [2009]
  • 부적응 여고생의 알아차림 향상을 위한 뇌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국제 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박현주 박사학위논문 [2015]
  • 벨리버튼명상이 직장인의 스트레스 반 응, 신체적 증상, 일 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 신혜숙 이승호 장상철 한지훈 스트레스 연구, 25(1), 8-16 [2017]
  • 미적 경험의 현상학적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칸트와 메를로 퐁티를 중심 으로. 홍익대학교
    이동민 석사학위논문 [2016]
  • 미술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 유형 소고
    최규진 미술치료연구, 20(5), 865-883 [2013]
  • 무의식의 형상화를 통한 자기(Self)인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진선희 석사학 위논문 [2009]
  • 무용작품「순례」연구 : 무용수의 ‘몸의 인격성'을 찾아서. 이화여자대 학교
    한혜주 박사학위논문 [2016]
  • 몸의 철학. 임지룡 외 역. 서울: 박이정
    Johnson, M. Lakoff, G. (원전은 1999년에 출판) [2011]
  • 몸알아차림(Somatic Awareness)에 기반한 요가자세 및 움직임이 갖는 자기 조절과 치유 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안나 무용역사기록학, 40, 109-139 [2016]
  • 몰입의 기술. 이삼출(역)
    칙센트미하이 서울: 더불어 책 [2003]
  •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최인수(역)
    칙센트미하이 서울: 한울림 [2004]
  • 목회상담에 있어서 털어놓기와 들어주기. 한신대학교
    유정현 석사학위논문 [2003]
  • 모험스포츠참가가 몰입경험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건철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12, 423-431 [1999]
  • 모험 스포츠 참가자의 참여 동기, 스포츠 몰입, 참여 후 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이광수 박사학위논문 [2004]
  • 모험 스포츠 참가자의 참가동기 과인지 기량 및 자아 성취감의 관계. 미 간행. 한국체육대학교대학원
    손승범 석사학위논문 [1999]
  • 모범적 이타주의자들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이지연 박사학위논문 [2003]
  • 모든 것의 역사. 조효남 역
    Wilber, k. 서울: 대원출판사 [2004]
  • 명상프로그램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전대학교
    류현민 박사학위논문 [2014]
  • 명상이란 무엇인가. 오무수 역
    Thomas M. 서울 : 카톨릭출판사 [2008]
  • 명상의 심리학적 개관: 명상의 유형과 정신생리학적 특징
    장현갑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1, 15-33 [1990]
  • 명상의 세계
    정태혁 서울: 정신세계사 [1987]
  • 명상의 부작용과 불교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서양심리치료와 불교수 행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준영 불교학보, 68, 33-63 [2014]
  • 명상음악의 전반적인 고찰: Relax music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황미향 석 사학위논문 [2008]
  • 명상을 통한 자기 치유
    장현갑 인문연구, 39, 255-283 [2000]
  • 명상시설의 건축적 특성 분석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운수 석사학위논문 [2015]
  • 명상수련에 따른 뇌 활동의 변화. 마음을 움직이는 뇌, 뇌를 움직이는 마음
    장현갑 서울 : 해나무 [2004]
  • 명상수련과 현대인의 자기치유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양은선 경북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9]
  • 명상과 자기 개발
    장현갑 학생연구, 30(1), 291-307 [1999]
  • 명상 중의 내적 경험 유형과 명상효과. 가톨릭대학교
    방병노 박사학위논문 [2000]
  • 명상 길라잡이
    박석 서울 : 도솔 [1997]
  •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김재성 역)
  •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윤상숙 석사학위논문 [2016]
  •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상). 장현갑 외 역
    Jon Kabat-Zinn 서울: 학지사 [2005]
  • 마음 vs 뇌
    장현갑 서울: 불광출판사 [2009]
  • 마사지의 명상적 요소에 관한 연구.
    박은숙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로저스 인본주의 교육론의 실천적 의미. 경인교육대학교
    유정민 석사학위논문 [2014]
  • 디지털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하은경 박 사학위논문 [2010]
  • 도시거주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과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삼육대학원
    김혜경 박 사학위논문 [2015]
  • 도박중독 회복을 위한 심리치유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연구. 동국대학 교불교대학원
    신효철 석사학위논문 [2016]
  • 대학생의 공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 효과. 한양대학교
    김은혜 석사학위논문 [2016]
  • 당신이 플라시보다. 추미란 역
    Joe Dispenza 서울: 샨티 [2014]
  • 단학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02]
  • 단기 이완반응 명상요법이 정신과 입원환자의 수면문제 개선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윤대근 석사학위논문 [2013]
  • 뇌호흡이 초등학생의 학습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신혜숙 오미경 이승헌 교육 학연구, 42(2), 511-542 [2004]
  • 뇌호흡의 뇌과학적 근거와 유아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김유미 한국열린유 아교육연구, 10(2), 21-39 [2005]
  • 뇌호흡수련이 여성 노인의 뇌파와 우울 상태에 미치는 효과
    김용호 심준영 한 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 17(4), 117-133 [2006]
  • 뇌호흡수련 여성 노인의 생활 만족 및 도형구분과제 수행시 활성뇌파의 변화
    심준영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2), 31-44 [2007]
  • 뇌호흡명상 훈련에 따른 프로농구선수의 기분상태 및 스트레스 호르 몬 변화
    심준영 한국체육학회지, 3(1), 153-161 [2004]
  • 뇌호흡 지감이 중학생의 주의 산만도에 미치는 효과. 국제 평화대학원대 학교
    신현정 석사학위논문 [2005]
  • 뇌호흡 수련이 시각장애학생의 정서 및 신체생리변화에 미치는 효과. 단 국대학교
    김계옥 박사학위논문 [2007]
  • 뇌호흡 수련의 목적과 수단으로서의 기 탐색.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김정애 석 사학위논문 [2007]
  • 뇌호흡 수련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신혜숙 박사 학위논문 [2002]
  • 뇌호흡 명상이 아동의 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오복자 석사학위논문 [2003]
  • 뇌호흡 명상과 인지치료가 고등학생의 우울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
    임성문 한정균 한국심리학회지, 17(4), 855-876 [2005]
  • 뇌호흡
    이승헌 서울: 한문화 [1997]
  • 뇌호흡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02]
  • 뇌호흡
    이승헌 서울: 한문화 [2012]
  • 뇌파진동
    이승헌 서울: 브레인 월드 [2008]
  • 뇌체조와 음악 줄넘기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초등학생의 공격성 과 자율신경의 변화
    김순하 심준영 아동교육, 22(3), 53-68 [2013]
  • 뇌교육의 전제와 의미
    신혜숙 뇌교육 연구, 3, 3-27 [2009]
  • 뇌교육의 신성 개념과 신경과학적 접근을 통한 신성인식에 관한 시론적 이해
    이승호 선도문화 16, 59-99 [2014]
  • 뇌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의 의의
    권효숙 뇌교육연구, 12, 95-116 [2013]
  • 뇌교육명상을 활용한 해피스쿨 프로그램이 아동의 두뇌활용능력지수에 미치는 영향
    오미경 청소년 시설 환경, 8(2), 23-34 [2010]
  • 뇌교육명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능력에 미치는 영향
    오미경 청소년 시설환경, 8(2), 37-46 [2012]
  • 뇌교육 원론
    이승헌 천안: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 뇌교육 수련 활동의 심리치료적 요소
    오미경 뇌교육 연구, 8, 55-77 [2011]
  • 뇌교육 명상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국제뇌교 육종합대학원대학교
    최문택 석사학위논문 [2011]
  • 뇌교육 기반 공감교육 수업모형 설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김영진 석 사학위논문 [2017]
  • 노인의 자살시도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이수정 박사학위논문 [2015]
  • 꿈과 만다라를 통한 자기치유 사례연구. 대구대학교
    전인숙 석사학위논문 [2008]
  • 깨달음의 길 : 근본불교 명상관찰 수행법
    거해 서울: 山房 [1990]
  • 기독교대안학교 교사의 교육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 Van Manen의 해석 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김명자 박사학위논문 [2015]
  • 국학기공명상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 초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유동욱 박사학위논문 [2015]
  • 국학기공 명상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주의집중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집중력과 기감과의 상관관계
    이승호 선도문화, 20, 337-369 [2015]
  • 구조주의 심리학과 불교의 사념처 수행의 비교
    김정호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3, 186-206 [1994]
  • 관조적 태도로 바라보기.
    박지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관조(觀照)를 통해 만나는 내면의 소통 공간. 이화여자대학교
    정연희 석사학위 논문 [2012]
  • 계획된 간호정보가 수면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이소우 박 사학위논문 [1982]
  •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나타난 마틴 부저의 만남의 수용 및 적용 연구
    최하나 석사학위논문. 고 신대학교 [2009]
  • 감성적 치유공간디자인의 선호 유형에 관한 연구-병원로비(Lobby)공간을 중심으로-
    추진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 조절 전략을 매 개로. 가톨릭대학교
    김유리 석사학위논문 [2009]
  • 가족관계향상을 위한 불교 명상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알아차림, 자기- 자비, 역할스트레스 및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불교대학원대학교
    강미자 박사 학위논문 [2013]
  • 老子에서 본 無爲自然의 敎育思想. 원주대학교
    박상욱 석사학위논문 [2009]
  •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주은선 서울: 학지사 [2011]
  • 『뇌 안의 위대한 혁명 B.O.S』
    이승헌 충남: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07]
  • ‘체화된 인지’개념에 근거한 무용에서의 경험과 공감 연구.
    이진이 국민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6]
  • Wolpe, J. (1958). Psychotherapy by reciprocal inhibition Calif. Stanford University Press.
  • Watson, D. ,Clark, L.A., & Tellegan, A.(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 The Expressive Body in Life, Art and Therapy, Working with Movement, Metaphor and Meaning.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6)
    Halprin, D. 동작 중심 표현예술치료 [2003]
  • Sloman, A.(1990). What sort of Architecture is Required for a Human-Like Agent? In Foundations of Rational Agency, ed. M. Wooldridge, and A. S. Rao.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Shapiro, Linda E. Carlson 예술과 과학이 융합된 마음챙김. 안희영, 이재석 역
    Shauna L. 서울 : 학지사 [2014]
  •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NY: Guilford Press.
  • Satir, V. ,Banmen, J. , Gerber, J. , & Gomori, M.(1991). The Satir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Palo Alto, CA: Science & Behavior Books.
  • Safran, J. D,. & Segal, Z. V. (1990). Interpersonal process in cognitive theraphy. Newyork: Basic Books.
  • Riff, C. (1989). Multiful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Reformulation and Test of the Social Isolation Hypothe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74-187.
  • M The brain. 김현택 외 역
    Restak, R. 서울: 학지사 [1996]
  • Linehan, M. M.(1993). Cognitive behavior al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Plenum Press.
  • Lee, S. H. (2004). A new recognition the possibilities of brain development throught HSP. World Brain Respiration Symposium, Seoul, July. 14-21.
  • Lakoff, G., & Johnson, M.(1980a). The metaphorical structure of the human conceptual system. Cognitive Science: A Multidisciplinary Journal, 4(2), 195-208.
  • Judge, T. A. ,Erez, A. ,& Bono, J. E.(1998). The power of being positive: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self-concept and job performance. Human Performance, 11, 167-187.
  • Jourad(1959). Self - disclosure and other-cathexi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 Horvath, A. O., & Symonds, B. D. (1991). 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outcome in psychotherapy: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 139-149.
  • Hoffman, M. L.(1993). "Empathy, Social Cognition, and Moral Education", In Andrew Garrod (Ed.),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New Research and Emerging Themes(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Hill, C. E., Helrns, J. e., Tichenor, V., Spiegel, S. B., O'Grady, K.151E., & Perry, E. S. (1998). Effect of therapist response modes in brief psycho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 222-233.
  • Hackeney, H & Ney, L. S.(1973). Counseling Strategies and objective, Englewood & Cliffs, N, T. : Prentice-Hall.
  • Glass, A. (1991). Significance of EEG alpha asymmetries in cerebral domin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11, 32-33.
  • Gaston, L. (1990). The concept of the alliance and its role in psychotherapie: Theoretical and emprical considerations. Psychotherapeutics, 27, 143-153.
  • Fredrickson, B. L.(2000). Cultivationg Positive emotions to optimize health and well-being. Prevention and Treatment, 3, Retrieved November 12, 2002.
  • Ford, M. E.(1979). The construct validity of egocentrism, Psychological Bulletin, 86, 1169-1188.
  • Focus. 박세연 역
    Daniel Goleman 서울 : 리더스 북 [2014]
  • Flavell J. H.(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In L. B. Resnick(Ed.), The nature of intelligenc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Feffer, M. H.(1971). Developmental analysis of interpersonal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77, 197-214.
  • Elias, L. J., & Saucier, D. M.(2005). Neuropsychology, 9, 288-290.
  • Dishman, Rod K.(1980). The Influence of Response Distortion in Assessing Self-Perceptioins of Pysical Abillity and Attitude Toward Physical Attivity.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1(2), 286-298.
  • Diener, E.,& Larsen, R.j.(1993). The experience of emotional well-being. In M. Lewis & J. M. Haviland(Eds.). Handbook of emotion (p. 405-415). New York: Guilford.
  • Deininger, G., Loudon, G., & Norman, S.(2012). Modal preference in creative problem solving. Cogn Process. Jul 18.
  • Damasio, A. R., Grabowski, T. J., Bechara, A., Damasio, H., Ponto, L. L., Parvizi, J., & Hichwa, R. D. (2000). Subcortical and cortical brain activity during the feeling of self-generated emotions. Nature neuroscience, 3(10), 1049-1056.
  • Burns, N(1988). Standards public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Nursing science Quarterly, 2(1), 44-52.
  • Awasthi, B. (2012). Issues and perspectives in meditation research: in search for a definition. Front Psychol 3, 613.
  • Assagioli, R. (1965). Psychosynthesis : A manual of Principles and Techniques.
  • Aftanas, L. L., & Golosheikine, S. A.(2001). Human anterior and frontal midlinetheta and lower alpha reflect emotionally positive state and intermalized attention: high - resolution EEG investigation of meditation. Neuroscience Letters, 310, 57-60
  • 7가지 행복 명상법. 김명권 외 역
    Walsh, R. 파주: 김영사 [1999]
  • 20-30대 미혼 성인을 중심으로 한 뇌교육 명상 수련 경험의 유무에 따 른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감 비교 연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조연비 석사학 위논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