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 실제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e of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박정욱 2019년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 실제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e of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utonomy committee
  • entry of life record
  • exclusive organ
  • focus group interview (FGI)
  • restorative justice
  • retrial
  • school violence prevention law
  • survey of school violence and prevention education
  • 생활기록부기재
  • 자치위원회
  • 재심
  • 전담기구
  • 학교폭력
  • 학교폭력 실태조사 및 예방교육. school violence
  • 학교폭력예방법
  • 핵심집단인터뷰(FGI)
  • 회복적 정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91 0

0.0%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 실제 연구 = A Study on the Practice of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의 참고문헌

  • 회복적 정의와 실제적 대처 방안을 중심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류혜옥 서울: 학지사 [2014]
  • 회복적 생활교육이 학교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효과분석. 단국대학 교 경영대학원
    박희진 석사학위 논문 [2017]
  • 회복적 사법과 학교폭력 대응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정영훈 박사 학위 논문 [2015]
  • 형사정책
    박상기 서울: 형사정책연구원 [1999]
  • 형법상 형사미성년자 연령 설정과 소년법상 소년보호처분제도와의 관계
    박찬걸 소년보호연구, Vol.22, 191-222 [2013]
  • 현장 전문가의 관점에서 본 청소년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명지 대학교 대학원
    박현동 박사학위 논문 [2014]
  •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승호 박사학위 논문 [2017]
  • 한국형사정책연구원(김준호 외2
    학교주변 폭력의 실태와 대책. http://ww w.kic.re.kr/ [1997]
  • 한국행정학회
    http://www.kapa21.or.kr/
  • 한국행정연구원
    http://www.kipa.re.kr/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http://www.kyci.or.kr/
  • 한국청소년복지상담개발원(김선애
    학교주변 폭력에 대한 연구. http://www.kyci. or.kr/ [2000]
  • 한국정책학회
    http://www.kaps.or.kr/
  • 한국일보, 서울시교육청, 학교폭력 은폐 S초교 재심의 기각.http://www.hankookilbo.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709281019845057에서 2017.09.28
    검색 [2017]
  • 한국의 교육문제, 직업교육으로 풀어라. 직업교육정책 토론회. 2주 제 발표. 더불어 민주당 도종환 의원 주최. 한국직업교육단체총연합회 주관. 2017년 3월21일(화) 10시
    강연흥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2017]
  • 한국교육법과 인권교육학회
    http://www.khlea.org
  • 한국교육개발원(박균열 외
    ICT 기반의 미래형 창조학교 설립방안 연구 [2016]
  • 한국교육개발원
    http://www.kedi.re.kr/
  • 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 한국 교원평가정책의 변동 분석: 옹호연합과정모형(ACPF)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조흥순 박사학위 논문 [2008]
  • 한 중 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이현승 법학연구, Vol.61(1), 143-165 [2016]
  •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분석
    나장함 교육과정연구, Vol.24(4), 181-202 [2006]
  • 학생인권조례 실효성 연구
    표관식 공주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전 공 박사학위 논문 [2017]
  • 학생생활기록부 기재방식, 관리,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균열 엄준용 주영효 교육문제연구, Vol.54, 81-107 [2014]
  • 학생과 교사의 성별 및 공학 유형에 따른 학교폭력 실태 연구. 충 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남효진 석사학위 논문 [2017]
  • 학교폭력학: 학교폭력 예방과 해결 실마리
    지영환 서울: 그린 [2013]
  • 학교폭력종합대책(2012-2014)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간 연계성 분 석 연구.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이병일 박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의 원인과 해결방안.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재욱 석사학위 논문 [2012]
  • 학교폭력의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 및 경찰차원 예 방활동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신성대 박사학위 논문 [2015]
  •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류영숙 한국교원교육연구, Vol. 29(4), 615-636 [2012]
  •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광명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4]
  • 학교폭력의 실태, 원인, 예방 방안에 대한 초ㆍ중ㆍ고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 인식의 비교분석: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소라 이소라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의 실태, 원인 그리고 대처에 관한 연구
    홍종관 초등상담연구, Vol.11(2), 237-259 [2012]
  •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및 공감에 미치는 효과.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전용선 석사학위 논문 [2017]
  • 학교폭력예방연구소
    학교폭력 사안의 효과적 재심 운영을 위한 연구 학교폭력 종합정보, http://www.dorandoran.go.kr/ [2012]
  • 학교폭력예방과 상담
    문용린 서울: 학지사 [2003]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법률」검토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윤태현 박사학위 논문 [2017]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으로서 회복적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
    이인곤 법률실 무연구, Vol.6(3), 253-292 [2018]
  •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중 앙대학교 대학원
    박진희 박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및 고등교육전공
    강유미 석사학위 논문 [2011]
  •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류세홍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학교폭력사안의 원활한 해결을 위한 행 재정 지원 관련 교사 인식 연구: 학교생활부적응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 학원
    김유진 석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문제의 도덕과교육 접근의 가능성: 회복적 정의의 관점에 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기정 석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학부모 위원의 학교폭력 조치 관련 역할 및 경험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조금란 석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경인 교육대학교
    장미현 석사학위 논문 [2014]
  •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의 개선 방안
    이창배 한국범죄 심리연구, Vol.12(4), 237-256 [2016]
  • 학교폭력과 무관용(Zero Tolerance)정책
    강경래 소년보호연구, Vol.19, 129-166 [2012]
  • 학교폭력과 경찰 대응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경찰행정학 과
    장양식 박사학위 논문 [2009]
  • 학교폭력: 이해ㆍ예방ㆍ개입을 위한 지침서
    김혜원 서울: 학지사 [2014]
  • 학교폭력 현상 및 정책에 관한 교원들의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장가람 석사학위 논문 [2013]
  •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회복적 정의모델 도입방안 연구
    이유진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 학교폭력 피해자의 불안 및 우울 감소를 위한 회복적 조정 화해 상담 사례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오인경 석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 피해자 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준 황지태 피해자학연구, Vol.10(2), 81-100 [2002]
  • 학교폭력 책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분석: Q방법론 적용. 백석 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우시정 박사학위 논문 [2017]
  • 학교폭력 제도 개선을 위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 률」개정 방향 연구. 제3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토론회. 주제 발 표.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육정책네트워크 주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방송공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주관. 2018년 7월 12일(목) 14시
    박주형 인천 올림포스 호텔 다이아몬드홀 [2018]
  • 학교폭력 예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동아대 학교 대학원
    정향기 박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재)청소년폭력예방재단 서울: 학지사 [2012]
  •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김난주 박사학위 논문 [2013]
  • 학교폭력 예방법에 대한 고찰: 법적용실제에 있어서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성태 홍익법학, Vol.16(3), 611-636 [2015]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박창언 열린교육연구. Vol.22(4), 229-247 [2014]
  •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구
    최용석 자치경찰연구, Vol.8(3), 89-119 [2015]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조대훈 서울: 박영사 [2013]
  • 학교폭력 예방 기여교사 승진 가산점 제도의 운영 실태와 효과 분 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서이 석사학위 논문 [2015]
  • 학교폭력 실태분석 및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장효순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학교폭력 사안의 적법절차에 관한 사례분석. 고려대학교 행정대학 원
    박상돈 석사학위 논문 [2014]
  • 학교폭력 사안 처리에 대한 예비교사의 대처능력 척도 개발. 중앙 대학교 대학원
    강은지 석사학위 논문 [2016]
  • 학교폭력 분쟁조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장맹배 박사학위 논문 [2011]
  •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한국 ․ 일본의 비교법적 연구
    정재준 법학연구, Vol.53(2), 79-108 [2012]
  • 학교폭력 대책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임계령 박사학위 논문 [2012]
  • 학교폭력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소년사법 실험연구(Ⅰ)
    김은경 이호승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 학교폭력 갈등전환을 위한 회복적 정의의 적용과 확산 방안. 한림 대학교 대학원
    김영희 석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의 회복조정모임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이조경 박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평가 정책집행요인 분석
    김재웅 박상완 교육정치학연구. Vol.22(1), 85-116 [2015]
  •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에 대한 구미지역 청소년의 인식도. 경북대학 교 수사과학대학원
    황윤아 석사학위 논문 [2017]
  •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가 학교폭력 예방에 적극 대처. 교육개발, Vol.32(5)
    김미란 한국교육개발원 [2005]
  • 학교생활기록부 정보의 재구조화.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 피해자학(제4판)
    김용세 서울: 형설출판사 [2010]
  • 통계청
    http://www.kostat.go.kr/
  • 크레스웰(Creswell, John W.) 지음, 조흥식 외 옮김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 지 접근
    서울: 학지사 [2015]
  •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 한 분석
    김진호 나장함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Vol.19(1), 43-61 [2016]
  • 청소년폭력예방재단
    http://www.jikim.net
  • 청소년지위비행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행정대학원
    박상호 석사학위 논문 [2015]
  • 청소년의 사이버폭력피해경험과 차별가해행동의 관계: 인권의식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최하영 석사학위 논문 [2017]
  • 청소년보호위원회
    http://www.mogef.go.kr/
  •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릉시 중 고등학교 청소년을 중심으로
    고광영 이동영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1, 201-228 [2014]
  • 청소년 성폭력의 취약성과 탄력성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김동옥 박사학위 논문 [2018]
  • 청년고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 교 대학원
    최승제 박사학위 논문 [2016]
  • 집단따돌림 행동과 자아개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김아영 최윤자 교육 심리연구, Vol.17(1), 149-166 [2003]
  • 집단 괴롭힘
    강진령 유형근 서울: 학지사 [2000]
  • 질적연구 방법과 교육의 평등: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근원 교육사 회학연구, Vol.24(3), 99-129 [2014]
  • 지역사회요인의 학교폭력피해에 대한 공간적 영향력 분석. 경기대 학교 대학원
    최선옥 박사학위 논문 [2018]
  • 중앙일보ㆍJTBC 뉴스, 성폭력 막겠다며 경찰청이 만든 웹툰이…“선정적 ㆍ허술” https://news.joins.com/article/23002630에서 2018.09.28
    검색 [2018]
  • 중앙일보ㆍJTBC 뉴스, 벗어나기 어려운 '사이버 불링'…정부 "학교폭 력에 포함"https://news.joins.com/article/22958952에서 2018.09.28
    검색 [2018]
  • 중앙일보, 학교폭력 신고당한 '40여명' 아이들…'학교폭력예방법' 손질 주장. https://news.joins.com/article/22972947에서 2018.09.28
    검색 [2018]
  • 중앙일보, 서영교 "학생간 성폭력, 5년새 312% 증가…피해자 지원 필요" 같은 기간 ‘학폭위’ 심의건수는 1만건이 넘었다. https://news.joins. com/article/23019784에서 2018.10.04
    검색 [2018]
  • 중소기업청
    http://www.smba.go.kr/
  • 중등학교 학생선도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광민 석사학위 논문 [2013]
  • 중국의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내용과 그 시사점
    노연상 이상훈 한국경찰연구, Vol.12(3), 75-102 [2013]
  • 좋은 교육정책
    http://goodpolicy.tistory.com
  • 조선일보ㆍYTN 뉴스, 자살 중학생, 동급생들로부터 지속적 괴롭 힘 당했다. http://www.ytn.co.kr/_ln/0115_201709122234168558에서 2017.09.16
    검색 [2017]
  • 조선일보, [발언대] 학교폭력대책자치위, 학교 밖에 설치하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6/14/2017061403 441.html에서 2017.06.17
    검색 [2017]
  • 조선일보, 50만원 내면… '삼촌'이 학폭 가해학생 혼내드립니다. http://news. 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9/12/20180912 00131.html에서 2018.09.12
    검색 [2018]
  • 조선일보, '부산 여중생'이어서 '강릉 여고생' 폭행…"5명이서 7 시간 폭행"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5 /2017090501288.html에서 2017.09.05
    검색 [2017]
  • 제어(Howard Zehr) 지음, 조균석 외 옮김 회복적 정의 실현을 위한 사법의 이념과 실천
    하워드 서울: 대장간 [2017]
  • 제어(Howard Zehr) 지음, 손진 옮김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하워드 서울: KAP [2011]
  • 제어(Howard Zehr) 지음, 변종필 옮김 회복적 정의의 비판적 쟁점
    하워드 서 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4]
  • 정책학원론
    정정길 서울: 대명출판사 [1989]
  • 정책 집행론
    유훈 서울: 대영문화사 [2008]
  • 정부 정책브리핑 누리집
    http://reporter.korea.kr/main.do
  •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오늘과 내일
    홍대우 상담과 지도, Vol.45, 143-154 [2010]
  • 재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이희관 대한변협 학교폭력예방법 개선방 안 심포지엄 자료집 [2015]
  • 자치법규 정보시스템
    http://www.elis.go.kr/
  •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양가성 현상의 발견 과 의미
    임종헌 교육행정학연구, Vol.34(4), 99-128 [2016]
  • 일본의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토론. 교과서연구
    정제영 한국교과서연구재단 [2012]
  • 일반고 진로진학정책 집행 과정의 패러독스 현상에 대한 질적 연 구: D.Stone의 정책 패러독스 이론을 중심으로
    이인수 교육행정연구, Vol.35 (5), 51-84 [2017]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unesco.or.kr/
  • 월간조선, 학교 성폭력 매년 증가에도 여전히 ‘경징계’에 그쳐. http://mon 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1691&Newsnumb =2017101691에서 2017.10.21
    검색 [2017]
  • 온라인 교사공동체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여교사 아이사 랑 카페’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 김병찬 교육연구, 18(3), 71-107 [2010]
  • 연합뉴스, 지난 5월 충남 아산서도 10대 집단폭행…여중생 1시간 넘게 감금하고 때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9/06/ 0200000000AKR20170906139000063.HTML에서 2017.09.06
    검색 [2017]
  • 언론문화재단 기사검색서비스
    http://kind.or.kr/
  • 아주경제, 서울교육청 S초교 학교폭력 감사 착수 ‘조사지연 등 초기대 응부적정’ https://www.ajunews.com/view/20170621104456801에서 2017.06.21
    검색 [2017]
  • 스카이데일리(,[이슈포커스: 잔혹한 학교폭력 실태] 집단폭행ㆍ인격 모독ㆍ생명위협…애들싸움 도 넘었다. http://www.skyedaily.com/news /news_view.html?ID=65356에서 2017.09.25
    검색 [2017]
  • 소년법상 회복적 사법이념의 실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 원
    강지명 박사학위논문 [2012]
  • 성폭력 피해구성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친밀한 이성 관계에서 성 (폭력) 경험에 대한 여성의 목소리 중심으로
    변해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3 [2003]
  •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임정현 석사학위 논문 [2017]
  •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성적수치심' 담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남승현 석사학위 논문 [2017]
  • 설명자료
    교육부 학교폭력 자치위원회 심의 건수 증가 보도 관련 [2015]
  • 선취업 후 진학정책 평가연구: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를 중 심으로
    안선회 이숙영 교육문화연구, Vol.23(3), 211-241 [2017]
  • 서울특별시교육청 보도자료
    http://sen.go.kr/
  • 서울연구원
    http://www.si.re.kr/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한국정책지식센터
    http://www.know.or.kr/
  • 샌델(Michael J. Sandel) 지음, 김명철 옮김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서울: 와이즈베리 [2014]
  •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 개원 1주 년 심포지엄자료집
    이규미 서울특별시 청소년종합상담실 [1998]
  • 보도자료
    교육부 2017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2017]
  • 법제처
    http://www.moleg.go.kr/
  • 법무부 형사사법포탈
    http://www.kics.go.kr/
  • 법무부 법질서선진화과 홈페이지
    http://www.lawedu.go.kr/
  • 법률전문인터넷신문
    http://www.lawissue.co.kr/
  • 법교육을 통한 사이버폭력 예방 효과 분석: 사례연구법 적용을 중 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상훈 석사학위 논문 [2018]
  • 민주적 학교문화 요인과 학교효과성 요인 간 구조분석
    박균열 엄준용 정주영 주영효 교육문제연구, Vol.61, 139-162 [2016]
  • 미디어오늘, 학교폭력 5년 연속 감소?
    ‘교육부의 통계 장난’ http://www.mediato day.co.kr/ [2016]
  • 미국의 인성교육 정책과 교사교육
    박균열 박종필 조흥순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4), 6-21 [2015]
  • 마케팅조사원론
    안광호 임병훈 서울: 범문사 [1995]
  • 로레인 수투츠만 암스투츠 & 쥬디 H. 뮬렛(Lorraine Stutzman Amstutz & Judy H. Mullet) 지음, 이재영ㆍ정용진 옮김 학교현장을 위한 회복적 학생생활교육
    서울: KAP(Korea Anabaptist Press) [2011]
  • 레더락(Lederach, John P.) 지음, 박지호 옮김 갈등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 러다임 갈등 전환
    서울: KAP(Korea Anabaptist Press) [2014]
  • 동양일보, ‘학폭’ 모르는 ‘학폭위’ 분쟁만 키운다. 위원구성은 학교 장 재량…전문가 참여 어려워 ‘밀실 재판’식으로 운영…학부모 불신 갈등 키워.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7620에서 2017.08.30
    검색 [2017]
  • 동아일보, 반성 없이 처벌만.. '학폭위'에 학교가 멍든다. 툭하면 "학 폭위 열자" 법정이 된 학교. https://news.v.daum.net/v/20180830030020 144에서 2018.08.30
    검색 [2018]
  • 동아시아 삼국의 학교폭력 현황 및 예방대책에 관한 비교 연구. 고 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진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대한민국정보공개포털
    www.open.go.kr
  • 대입제도 정책문제 정의의 타당성 분석
    안선회 교육문제연구. Vol.58, 219-255 [2016]
  • 대입제도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연계성 분석: 노무현, 이명박, 박근 혜 정부의 대입제도를 중심으로
    안선회 한국교육학연구, Vol.24(1), 57-92 [2018]
  • 대안교육에 참여한 학교폭력피해학생 경험의 교육적 이해. 충남대 학교 대학원
    여은정 석사학위 논문 [2018]
  • 대법원 양형위원회 홈페이지
    http://sc.scourt.go.kr
  • 단위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 집행 사례 분석: Lipsky의 일선관 료제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현성 석사학위 논문 [2015]
  • 노르웨이의 학교폭력 위기개입 정책: 학교폭력 위기개입의 이론과 실제
    박종효 서울: 학지사 [2008]
  • 년). 광고와 마케팅 조사는 이렇게 한다
    김희경 서울: 정보여행 [1995]
  • 네이버 어학사전
    http://http://dic.naver.com
  • 굿모닝 충청, 충남 공주 학교폭력 가해학생 징계수위 형평성 논 란. A고생 '전학조치', B고생은 '출석정지'…피해학부모 "재심 요청 검토" http://www.goodmorningcc.com/news/articleView.html?idxno= 61967에서 2017.05.01
    검색 [2017]
  • 국회전자도서관(
    http://dl.nanet.go.kr/
  • 국회입법조사처
    http://www.nars.go.kr/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누리집 : stdweb2
    korean.go.kr/
  •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구상의 타당성 검토
    조흥순 교육문제연구, Vol.62, 261-292 [2017]
  •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를 중심으로
    엄준용 이준희 정우진 교육문제연구, Vol.36, 29-55 [2010]
  • 교육정책의 정당성 제고의 방향과 과제: Habermas의 의 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엄준용 조흥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22), 191-212 [2017]
  •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오욱환 서울: 교육과학사 [2011]
  •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2012]
  • 교사의 폭력피해경험, 심리사회적 후유증 및 조절변인에 관한 연구
    이규미 아주대학교 [2014]
  • 교과교육과 수업 연구에서의 질적 접근: 질적 연구 샘플링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나장함 교육연구, Vol.53, 75-104 [2012]
  •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
  •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태도, 폭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 대학원
    나혜연 석사학위 논문 [2016]
  • 고등학교 학생자치활동이 학교폭력예방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최재영 석사학위 논문 [2016]
  • 경향신문, 학교폭력 자치위원회는 법원이 아닙니다. http://news.khan.co.kr/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7011524021&code= 940100에서 2017.07.02
    검색 [2017]
  • 경향신문, 변호사 돈벌이로 전락한 ‘학폭위’ http://news.khan.co.kr/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7141255011&code=940401 에서 2018.07.14
    검색 [2018]
  • 경향신문, 말 많은 ‘학폭위’…교사들 “외부로 넘겨야” 말하는 이유는. gomgom@kyunghyang.com 2017.11.03
    검색 [2017]
  • 경향신문, 깜깜이 ‘학폭위’… 무능한 ‘재심위’ http://news.khan.co.kr/kh_news /khan_art_view.html?artid=201808111443021&code=940100에서 2018. 08.16
    검색 [2018]
  • 경향신문, “중학생 때 저지른 학교폭력, 고교생 돼도 징계 가능” 법원은「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서 학교폭력의 발생ㆍ징계 시점을 제한하는 규정이 없다는 것에 주목. http://news.khan.co.kr/ 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6212216005&code=9403 01#csidxd8077b13977424ba49bbf10415f79ee에서 2018.06.22
    검색 [2018]
  • 경향신문, ‘중학생 폭행사건, 부산 사상경찰서 불똥 왜?’ 부실수사에 대한 비판을 넘어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 http://sports.khan. co.kr /bizlife/sk_index.html?art_id=201709061713003&sec_id= 560901#csidx3b5daa3503d49117a3da57c847547d10에서 2017.09.06
    검색 [2017]
  • 경향신문, [교사가 말한다] "학폭위, 이대로는 안 된다." https://news. v.daum.net/v/20180714125734209에서 2018.07.14
    검색 [2018]
  • 경찰청 안전드림 누리집
    http://www.safe182.go.kr/
  • 경남신문, 스웨덴에서는 왜 왕따와 학교폭력이 적을까? http://www.knnews. co.kr/news/articleView.php?idxno=1176950에서 2017.05.01
    검색 [2016]
  • 감사원
    http://www.bai.go.kr/
  • 갈등 전환과 공동체 구축을 위한 회복적 서클 가이드 북
    박성용 서울: 대장간 [2018]
  • 가정학대 피해가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순지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5]
  •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 개입태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승환 한세대학 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이승주 정병수 한국경찰학회보, Vol.52, 223-250 [2015]
  • 가정, 비행친구, 비행의 상호인과관계
    이성식 형사정책연구. Vol.49, 67-87 [2002]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김미란 에 대한 사후적 입법평가. 고 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홍석한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원광법 학, Vol.32(1), 7-33 [2016]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강동욱 문영희 의 적용범위 및 피 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그 개선방안. 법과 정책((Law & Policy Review), Vol.21(1), 151-180 [2015]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김희균 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학교 폭력대책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소년보호연구, Vol.29(1), 68-77 [2016]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이승현 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Vol.90, 157-190 [2012]
  • 「학교 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문영희 상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 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과 정책연구, Vol.14(4), 1905-1932 [2014]
  • 「학교 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이진국 의 체계적 문제점과 개선 방안. 입법정책, Vol.1(1), 93-127 [2007]
  •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조영남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17(2), 307-329 [2001]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부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2014]
  •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교육부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2018]
  •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 구”
    박경숙 손희권 송혜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98]
  •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회복적 정의모 델 도입방안 연구”
    강지명 이상희 이유진 이창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경찰 개입의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 구”
    김학배 한세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학폭위 구성에 하자 있으면 징계도 무효’ 판결. https://news.v.daum. net/v/20180722160232596에서 2018.07.22
    검색 [2018]
  • https://namu
    나무위키 wiki/w/청소년보호법
  • http://www
    교육부 moe.go.kr/
  • YTN 국민신문고, 잔인한 학교폭력, 끝없는 고통. https://www.ytn.co.kr /_pn/0481_201709152122500810에서 2017.09.16
    검색 [2017]
  • Van Meter, D. S., & Van Horn, C. E. (1975).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Administration and Society, 6(4).
  •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 art and Winston. 박종흡 역(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Spradley, J. P. 서울: 시그마 프레스 [1979]
  •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4th ed). Sage Publications Inc. 최욱 외 역 (2014). 질적 연구 핸드북
    Denzin, N. Lincoln, Y. SAGE 아 카데미 프레스 [2011]
  • Sutherland E. H., & Cressey D. R. (1974). Principles of criminology,(9th ed.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mpany).
  •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s.
  • Smith Thomas B.,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Policy Sciences, June 1973, pp. 202-204.
  • SNS에서 청소년 사이버불링의 특징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박성훈 심현정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1), 156-185 [2015]
  •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Boston : Allyn and Bacon. 신옥순 역(1991). 교육연구의 새 접근: 질적 연구
    Biklen, S. K. Bogdan, R. C. 서울: 교육과학사 [1982]
  •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조 흥식 외 역(2015).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13]
  • Pressman, J. L., & Wildavsky, A. (1973). Implementa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 Paul Berman.(1980). “Thinking about programmed and adaptive implementation,” In Helen Ingram & Dean Mann (Eds), Why Policies Succeed or Fail pp. 208-210.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 Patton, M. G.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nd ed.). Newbury Park, CA: Sage.
  •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신재영 역(2006). 참여관찰법
    Spradley, J. P. 서울: 시그마프레스 [1980]
  •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Oxford, UK : Blackwell Publishers.
  • Olweus D. (1984). Aggressors and their victims: bullying 'at school. In N. Frude & H. Gault (Eds),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s. New York: John Wiley.
  • Nakamura, R. T., & Smallwood, F. (1980). The politics of policy implementation. New York: 51. Martin’s Press, pp. 55-57.
  • Merton, R.(1938). Social structure and Anome. American Socialogical Review vol. 3.
  • Mazmanian Daniel A., & Sabatier Paul A. (1983). Implementation and Public Policy Glenview: Scott, Foresman and Co, 20-35
  • Linder Stephen H., & Guy Peters B., “Relativism, Contingency, and the Definition of Success in Implementation Research.” Policy Studies Review, Autumn 1987, 99. 116-127.
  •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 Johnson, B., & Christensen, I. (2004). Educational research: Qu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approaches (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King, L., & Emmons, R.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pp. 864-877.
  • James S. Larson. (1980). Why Goverment Programs Fails: Improving Policy Implementation. New York: Praeger, 2-7.
  • Horne, A.M, Newman-Carlon,D. & Bartlmucci,C.L.(2003) Buly Bustrs: A Teacher' ManualfrHelig bulis, vitms, and Bustrs: A Teacher' ManualfrHelig Bulis,Vitms, and Bystnders : Grades K-5. Research Press.
  • Horne, A. M., & Socherman, R. (1996). Profile of a bully: Who would do such a thing? Educational Horizons, Winter, 77-83.
  • Hirschi Travis. (1969). Causes Delinquency. Berkel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Greenfield, T. B. (1975). Theory about organizations: A new perspective and its implication for schools. In M. Hughes (Ed.). Administering Education: International Challenge. pp. 71-99. London : Athlone.
  • Frank Tannenbaum, Crime and the Community, (Boston: Ginn,1938); George B. Vold Theoretical Criminon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2002)
  • Erickson, F. (1992). Ethnographic microanalysis of interaction. In M. LeCompte, W. Milloy, and J. Preissle (eds.),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pp. 201-225. New York: Academic Press.
  • Edwards George C., & Sharkansy Ira. (1978, pp. 292-321). The Policy Predicament: Making and Implementing Policy. (San Francisco; Freeman, 1978).
  • Edwards George C. Ⅲ. (1980). Implementing public policy.(Washington: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pp. 17-46
  • Eduardo Barajas(1997). “Speak Out! Community Justice: Bad Ways of Promoting a Good Idea, Perspectives, 20(3).
  • EBS수능연계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대한 질적 사 례연구
    김병찬 임종헌 교육학연구, Vol.52(3), 175-203 [2014]
  • EBS 뉴스, 청소년단체 활동, 학교폭력 예방에 간접 도움. /10800838/ 에서 2017.12.15
    검색 [2017]
  • EBS 뉴스, 유명무실' 학교폭력자치위원회‥'화해, 중재' 역할 해야. http: //news.ebs.co.kr/ebsnews/allView/10804136/H에서 2017.12.21
    검색 [2017]
  • EBS 뉴스, 서울 청소년 44% "학교폭력 때문에 등교 거부 충동“ /10800450/ 에서 2017.12.15
    검색 [2017]
  • EBS 뉴스, <학교폭력 기획 2편> 학교폭력 '재심' 일원화해야. /10445695/ 에서 2017.05.21
    검색 [2016]
  • EBS 뉴스, <학교폭력 기획 1편> 두 번 상처받는 학교폭력 '재심’ http:// news.ebs.co.kr/ebsnews/menu1/newsAllView/10444298/H?edu NewsYn=N&newsFldDetlCd=focus&brdcDt=&dtBtn=&srchStartDt =&srchEndDt=&srchType=&srch Words=학교폭력&srchWords2= &cPage=1에서 2017.05.21
    검색 [2016]
  • Denzin, N. (1994). The art and politics of interpretation. In N. Denzin & Y.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pp. 500-515). London: Sage.
  • Denzin, N. (1989). The sociological interview. In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pp. 102-120).
  • DEA를 활용한 대학원의 효율성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엄준용 박사학 위 논문 [2010]
  • Clarke, E. A., & Kiselica, M. S. (1997). A systemic counseling approach to the problem of bullying.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31(2), 310-325.
  • Charles Jones. (1977).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public policy,(2nd ed) second edition. North Scituate: Duxbury Press.
  • Chapman, J. D., Sackney, L. E.,& Aspin, D. N. (1999). Internationalization in education administration: Policy and practice, theory and research. In J. Murphy & K. S. Loui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pp. 73-98). CA: Jossey-Bass Inc.
  • Caldeira, V. & Woodin, E. M. (2012). Childhood exposure to aggression and adult relationship functioning: Dep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as mediators, Journal of Family Violence, 27(7), 687-696.
  • Breslau, N., Davis, G. C., Andreski, P., & Peterson, E. (1991).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population of young adul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3), 216-222.
  •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3rd. ed.). Pearson Education. 안혜준 역. (2008). 질적 연구자 되기(제3판)
    Glesne, C. Pearson 아카데미프레스 [2006]
  •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생태계 구축을 위한 교육현장 사례 분석. 제 103차 KEDI 교육정책포럼 2017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사업성과 발표. 2017년 6월 24일(토) 10시
    양승실 충남 대학교 [2017]
  • 3 교육정책론
    이종재 서울: 학지사 [2015]
  • 2인 성폭력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이경자 한국여성개발원, 26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