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기혼자의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관계 특성 및 출산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소이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기혼자의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관계 특성 및 출산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사분담만족
  • 가족주의 가치관
  • 결혼만족도
  • 출산의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2 0

0.0%

' 기혼자의 가족주의 가치관, 부부관계 특성 및 출산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출산격차 영향요인 실증분석- 희망자녀수와 현실 자녀수의 차이를 중심으로
    박재완 이주영 「한국정책학회보」, 24(4), : 1-32 [2015]
  • 출산행태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서울거주 여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미란 국민대학교 대학원 ㅍ [2007]
  • 출산율 제고와 잠재성장력 확충을 위한 조세 재정정책: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 재정정책] 2차년도 과제
    민희철 우석진 (서울: 한국조세연구원) [2007]
  • 출산순위별 출산결정요인 분석
    김은지 민현주 「한국사회학」, 45(4), : 198-222 [2011]
  • 출산 의도 및 출산 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배광일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 주재선 황정임 김지경, 「저출산 대책의 정책효과성 제 고 방안 연구」
    김영란 장혜경 (서울: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5]
  •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 회진출을 중심으로
    송유미 이제상 「보건사회연구」, 31(1), : 27-61 [2011]
  • 저출산 고령사회와 그 적들
    정재훈 (서울: EM실천) [2017]
  •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대전:통계청) [2016]
  • 장기적 인적자본 형성을 위한 조세⋅재정정책 : 출산율 결정요인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
    김현숙 류덕현 민희철 (서울:한국조세 연구원) [2006]
  • 자녀 출산 시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규범에 관한 질적연 구
    우원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201-214 [2012]
  • 일가정 양립정책의 수용격차에 관한 연구: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김리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 인구학-인구의 지리학적 이해-
    이희연 (서울:법문사) [2003]
  • 인구의 이해
    권태환 김두섭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 구.
    마미정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2008]
  •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박수미 「한국인구 학」, 3(1), : 55-73 [2008]
  •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김정석 「한국인구학」, 30(2), : 97-116 [2007]
  • 「한국의 저출산 현상과 성평등: 인구정책과 여성정책 의 연계를 중심으로」
    김인춘 최정원 「사회과학연구」, 16(1), :312-345 [2008]
  • 「한국 저출산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탐색」
    김명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7(10), : 289-297 [2017]
  •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김승권 「한국사회 학」, 27(2), : 1-32 [2004]
  • 「지방자치단체 저출산 정책의 효과」
    이명석 최상준 「정책분석평가학 회보, 23, : 93-114 [2013]
  • 「저출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장단기 정책방안」
    김승권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이삼식 정경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 「저출산 대비 인구정책 개발 및 범정부추진체계 수립 연 구」
    김승권 (세종: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방안 연구」
    (서 울: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 [2017]
  • 「인구변동의 국제 동향과 중장기 인구정책 방향」
    우해봉 (세 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 「남녀고용차별 현황 및 고용평등이행실태 조사방법 개 발」
    김난주 김태홍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3]
  • 「20대 이상 남녀의 출산 동향조사」
    (세 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복지실태조 사」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현재의 저출산이 여성들 때문일까?”
    배은경 「젠더와 문화」, 3(2), : 37-75 [2010]
  • “한국의 출산력 변천: 추이와 예측”
    전광희 「통계연구」, 8(1), : 33-58 [2003]
  • “한국여성의 출산행태 결정요인 분석”
    이현옥 (박사학위논문,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2011]
  • “한국여성의 출산의지 결정요인”
    이현옥 「정책개발 연구」, 11(1), :99-132 [2011]
  •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 적 영향”
    박수미 「한국사회학」, 36(2), : 145-174 [2002]
  • “한국사회 저출산의 단계별 분석과 젠더논의”
    손승영 「담론 201」, , 10(1): 207-243 [2007]
  • “한국 기혼여성의 출산기피요인에 관한 연구”
    이인순 (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박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6]
  • “출산장려를 위한 PR 메시지 전략: 문제인식과 효능감 을 중심으로”
    박현순 임지영 「광고학연구」, 16(5), : 345-368 [2005]
  •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 로”
    석호원 「지방행정연구」, 25(2), : 143-180 [2011]
  • “출산장려 정책신뢰도가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원 문상호 「정책 분석평가학회보」, 20, :257-281 [2010]
  •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 의 둘째 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일옥 왕희정 정구철 최소영 「한국인구학」, 34(3), : 139-155 [2011]
  • “출산자녀수에 따른 기혼여성의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광호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7]
  •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향을 미치는 요인”
    서정연 (박 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015]
  •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한곤 서정연 「한국인구학」, 38(3), :1-24 [2015]
  •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박영애 (박사학위논문, 한성대학 교 대학원 [2012]
  • “직장여성의 저출산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직종별 출산장려정책 에 관한 연구”
    이연주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 “지역특성이 신혼부부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이상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7]
  • “지방정부의 출산지원정책이 추가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 향”
    김영임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 “조부모에 의한 비공식 자녀돌봄 및 지원이 기혼여성의 추가출산 계획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연숙 한영선 「한 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 163-182 [2014]
  • “제3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성공적 이행을 위한 전략 과 조건: 저출산 대책을 중심으로”
    이삼식 「보건복지포럼」, 2, : 6-16 [2016]
  •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배경과 의의”
    이삼식 「보건 복지포럼」, :5-10 [2011]
  • “정보사회의 원리 규명과 가족제도 변화에 관심 쏠려”
    조정문 출판저 널, 314, : 19 [2001]
  •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 치는 영향력 분석”
    신준섭 이충환 「지방행정연구」, 27(1), : 97-124 [2013]
  •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정성호 「한국인구학」, , 32(2), 2009: 161-183 [2009]
  • “저출산시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부모의 자녀양육기 능 강화를 중심으로”
    도미향 「한국가족복지학」, 11(1), : 93-112 [2006]
  • “저출산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년 출산을 중심으로”
    유계숙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009: 169-189 [2007]
  •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정성호 「한국인구학」, 35(1), : 31-52 [2012]
  •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성호 「공공사 회연구」, 8, : 36-64 [2018]
  • “저출산 대책의 추진현황과 과제”
    이삼식 정책토론회 발표문 [2009]
  • “저출산 대응을 위한 일-가정 양립지원정책”
    유계숙 「한국심리학회 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 111-125 [2012]
  •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 분석-저출산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김영미 「비판사회정책」,59, :103-152 [2018]
  • “재혼모의 역할긴장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배우자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연실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 “일가정양립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정희 (석사 학위논문,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근로자의 추가 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희주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8]
  • “일 가정 양립지원정책이 양육부담과 출산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박길진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7]
  • “인구정책 및 저출산ㆍ고령화 대책 전망”
    김종훈 「보건복지포럼」, 255(6), : 61-74 [2018]
  • “육아지원정책이 자녀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도영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 분석-가치관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정원 「사회복지연구」, 40(1), : 323-351 [2009]
  • “유자녀 기혼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수빈 (석 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0]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출산감소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기 이성진 이시원 「한국행정논집」, 18(1), : 83-104 [2006]
  • “외국인 배우자의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 향”
    김두섭 「한국인구학」, 31(3), : 1-26 [2008]
  • “여성의 출산율 결정요인과 출산장려정책의 방 향”
    김홍배 오동훈 최준석 「지역연구」, 24(1), : 23-37 [2008]
  • “여성의 경력유지와 일가정양립, 돌봄 정책”
    최인희 홍승아 「젠더리 뷰」, : 36-44 [2014]
  • “어머니의 개인 심리적 특성과 가정환경자극 수준이 후 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민정원 이진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 79-100 [2015]
  • “양육지원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윤옥 (박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 “신노년층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 향부부친밀감과 애정생활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 로”
    김길현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2012]
  •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저출산 요인분석”
    강경숙 변민희 정은미 「한 국가족복지학」, 10(3), : 127-145 [2005]
  • “서울시 추가자녀 출산계획에 미치는 가구 특성 의 요인분석”
    김의준 신혜원 최명섭 「서울도시연구」, 10(2), : 33-47 [2009]
  • “서울시 다자녀 가족 지원 제도에 관한 분석”
    전혜정 「서울시 여성 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89-103 [2009]
  • “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기혼여성의 출산행태에 관한 연구”
    김미영 (석 사학위논문, 숙명여대 대학원 [2006]
  • “사회적 지원, 일-가정양립 정책 및 부부 특성이 후속 출산의도 및 기대자녀수에 미치는 경로탐색”
    고광만 김소아 「한국가족관계학 회지」, 18(4), : 33-51 [2014]
  • “사회ㆍ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출산의지 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곽경희 조주연 주효진 「한국공공관리학보」, 24(4), :211-228 [2010]
  •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 을 위한 정책적 제안”
    윤경자 「한국인구학」, 33(2), : 137-163 [2010]
  • “부모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유 자녀 가구를 중심으로”
    서미정 「육아정책연구」, 5(1), : 127-148 [2011]
  • “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류연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추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부모의 자녀관과 부부특성을 중심으 로”
    김현주 정소희 정영혜 「人間發達硏究」, 20(2), : 185-203 [2013]
  •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 간 특성 분석”
    천혜정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 25-33 [2005]
  • “기혼취업여성의 향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명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대학원 [2015]
  • “기혼여성의 출산의도 및 출산행동 결정요인 : 여성가족패널 종단분석, (박사학위논문
    노상미 중앙대학교 [2015]
  • “기혼여성의 보육환경이 출산결정에 미치는 영향”
    맹헌옥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계획 및 출산과 관련된 요 인
    정은희 최유석 「보건사회연구」, 33(1), 5-34
  •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지원서비스 개 선방안에 관한 연구”
    구명숙 홍상욱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 531-546 [2005]
  •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전나리 조복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 : 125-143 [2012]
  • “기혼남성의 추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 구”
    전나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 “기혼남녀의 재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성옥 (박사학위논 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3]
  • “기혼 여성의 가족가치관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배혜원 「보건복지 포럼」, 251(7), : 86-100 [2017]
  • “군집분석을 통한 저출산 원인 및 정책수요 도출”
    김경미 염명배 「경 제연구」, 29, : 163-190 [2011]
  • “계획 자녀수의 분석”
    민세진 「여성경제연구」, 10(1), : 1-17 [2013]
  • “결혼 지원 정책의 현황과 향후 추진 방향”
    변수정 「보건복지포럼」, 249(7), : 45-60 [2017]
  • “가족친화제도가 기혼여성의 추가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장생활과 가정생활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최지훈 (박사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 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문정 유해미 이정원 「육아정책연구」, 8(1), : 47-80 [2014]
  • Van Poppel, F., & Beets, G., Van de wieg tot het graf. De Nederlandse bevolking in de 20e eeuw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The Dutch popuation in the 20th century]. Vrouwen. Leven en werk in de twintigste eeuw, 1998: 13-32.
  • Torr, B. M., & Short, S. E., Second births and the second shift: A research note on gender equity and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0(1), 2004: 109-130.
  • Thornton, A., Marital dissolution, remarriage, and childbearing. Demography, 15. 1978:361-380.
  • Thomson, E., “Couple Childbearing Desires, Intensions, and Births” Demography 34(3), 1997: 343-354.
  • Sleebos, J.,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OECD Labor Market and Social Policy Responses No. 15., 2003, Paris: OECD Publishing
  • Schoen, R., Astone, N. M., Kim, Y. J., Nathanson, C. A., & Fields, J. M., Do fertility intentions affect fertility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9: 790-799.
  • Roussel, L., Fertility and family, 1994, popline.org
  • Rijken, A. J., & Thomson, E., Partners’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bearing. Social science research, 40(2), 2011:485-497.
  • Ol h, L. S.,Gendering fertility: Second births in Sweden and Hungary.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2(2), 2003, 171-200.
  • OECD. (2016). Society at a Glance.
  • Myers, S. M., Marital uncertainty and childbearing. Social Forces, 75, 1997: 1271-1989.
  • Mulder, C. H., & Billari, F. C., Lowest-low fertility and home-ownership regimes. In European Population Conference, 2006, Liverpool, UK.
  • Mills, M., Mencarini, L., Tanturri, M. L., & Begall, K., Gender equity and fertility intentions in Italy and the Netherlands. Demographic research, 18, 2008: 1-26.
  • McDonald, P., “Gender equality, social institutions and the future of fertility”,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000, 17, 1-16.
  • McDonald, P.,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3), 2000: 427-439.
  • Matthews, B. J., The gender system and fertility: An exploration of the hidden links. Canadian Studies in Population, 26(1), 1999: 21-38.
  • Lee, R., & Mason, A., Fertility, human capital, and economic growth over the demographic transition.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Revue europ enne de D mographie, 26(2), 2010: 159-182.
  • Landais,C., Le quotient familiale a-t-il stimule la natalite francaise, 2003, DEA Thesis.
  • Hochschild, A., The second shift, 1989, New York: Viking.
  • Hakim, C., Work-lifestyle choices in the 21st century: Preference theory. 2000, OUp Oxford.
  • Hakim, C., A New Approach to Explaining Fertility Patterns: Preference Theor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9, 3, 2003: 349-374.
  • Gauthier, A. H.& J. Hatzius,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An Econometric Analysis. Population Studies, 51(3), 1997: 295-306.
  • Esping‐Andersen, G., & Billari, F. C., Re‐theorizing family demographic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41(1), 2015: 1-31.
  • Esping-Andersen, G.,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1999, OUP Oxford.
  • Donaldson, P. J., & Nichols, D. J. (1978). The changing tempo of fertility in Korea. Population Studies, 32(2), 231-249.
  • Cooke, L. P., The gendered division of labor and family outcomes in Germany.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5), 2004: 1246-1259.
  • Cooke, L. P., Gender equity and fertility in Italy and Spain. Journal of Social Policy, 38(1), 2009: 123-140.
  • Chesnais, J. C., Fertility, family, and social policy in contemporary Western Europ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96: 729-739.
  • Caldwell, J. C.,Mass education as a determinant of the timing of fertility decline.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980:225-255.
  • Belanger, A., Lachapelle, R., Harrison B., D'oust, C. & Dumas, Report on the demographic situation in Canada 1997. catalogue No. 91-209-XPE, 1998,Statistics Canada Ottawa
  •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991: 179-211.
  •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정혜은 진미정 「한 국인구학」, 31(1), : 151-16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