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청각장애학생의 인지기능 활성화 미술치료 단일사례분석 = Cognitive Ability Activation Analysi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Art

홍승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청각장애학생의 인지기능 활성화 미술치료 단일사례분석 = Cognitive Ability Activation Analysi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Ar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미술치료
  • 의사소통양식
  • 인지영역
  • 청각장애 학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7 0

0.0%

' 청각장애학생의 인지기능 활성화 미술치료 단일사례분석 = Cognitive Ability Activation Analysis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Using Art' 의 참고문헌

  •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가정 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 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은주 최외선 미술치료연구 ;12(4):899-929 [2005]
  • 현대의 사회과교육
    차경수 서울: 학문사; [1996]
  • 한국판 실버그림검사에 나타난 피학대 아동의 특성
    백현순 대 진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학위논문] [2007]
  • 한국아동의 공간개념발달에 관한 실험연구[학위논문]
    이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1981]
  • 학습부진아동의 인지특성 연구
    남궁지원 창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학위논문] [2011]
  • 특수학생의 치료적 미술교육
    심상욱 파주: 양서원; [2011]
  • 특수아동 미술교육과 통합의 실제
    이혜숙 파주: 양서원; [2009]
  •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따른 청각장애아의 언어 수용 능력에 관한 연구
    박춘배 특수교육학회지 ;10:29-46 [1989]
  • 초등학생의 성과 학년에 따른 실버그림검사 반응특성의 차이[학위 논문]
    김은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미술치료학과 [2008]
  • 초등학교 학습우수아와 학습부진아의 시지각 능력 비교 연구 : 초 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K-DTVP-2를 활용하여[학위논문]
    유경숙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학과 [2008]
  • 초등학교 아동의 미술영재성 판별에 따른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박명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등미술교육학과 [2009]
  • 청각장애아동의 도덕성 발달에 기초한 생활지도 방안
    최성규 난청과 언 어장애 ;21(2):3-20 [1998]
  • 청각장애아동 부모의 청력상태에 따른 청각장애학생과의 의사소통양식 선호 성향
    김선희 최성규 특수아동교육연구 ;7(2):27-51 [2005]
  • 청각장애아동 교육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파주: 양서원; [2012]
  • 청각장애아 언어지도와 치료방법
    강창욱 국미경 석동일 이규식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8]
  • 청각장애아 교육
    김병하 석동일 원영조 이규식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 부; [2007]
  • 청각장애대학생의 수화통역서비스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학위논 문]
    정택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장애인복지학과 [2010]
  • 청각장애 학생 언어의 통사구조 분석[학위논문]
    강창욱 대구대학교 대학 원 특수교육학과 [1994]
  • 청각장애 학교 학생의 의사소통 양식 분석[학위논문]
    최성철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1998]
  • 청각장애 아동교육: 이론과 교과지도
  •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아동의 조작형태 특성에 기초한 인 지발달 비교연구
    윤은희 최성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4):147-163 [2001]
  • 청각장애 대학생의 문화 실태 연구
    김경진 언어치료연구 ;13(4):23-39 [2004]
  •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실태와 문제점 분석[학위논문]
    김영미 대구 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1999]
  • 청각장애 대학생의 경험에 기초한 독해력 및 문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권순우 언어치료연구 ;14(1):1-21 [2005]
  • 청각장애 대학생과 건청 대학생의 범주적 언어처리 정보 분석
    이동훈 허명진 언어치료연구 ;20(3):205-221 [2011]
  • 청각 장애 학생과 교사 및 부모의 수화에 대한 태 도 연구
    배둘련 백유순 안성우 특수아동교육연구 ;4(1):141-161 [2002]
  •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심리적증후 변화에 관 한 사례연구[학위논문]
    유성애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1]
  • 집단미술치료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아동의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학위논문]
    배혜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예 술치료학과 [2007]
  •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의 정서함양에 미치는 영향[학위논문]
    서동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1]
  •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주도성과 사고유연성에 미치는 영 향[학위논문]
    조지연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학과 [2011]
  • 집단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사회 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학위논문]
    최화현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예술치료학과 [2004]
  •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박영사; [2012]
  • 질적 연구 방법론
  • 정신지체아의 심 리학적 이해
  • 정보화 수준이 청각장애(농)인의 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학위논문]
    박종미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10]
  • 저널쓰기에 나타난 청각장애 유아의 쓰기 발달에 관한 연구
    이달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학위논문] [2000]
  • 장애인복지법
    (보건복지부 고시 제-174호) 2013 [2013]
  • 장애아동의 언어지도
    최성규 대구: 한국언어치료학회; [2001]
  • 장애 대학생의 효과적 학습 지원을 위한 e-러닝 설계 전 략 연구
    김동일 손지영 특수교육학연구 ;42(4):293-312 [2008]
  • 장애 대학생 학업성취 실태 및 대학생활 욕구분 석
    김성애 박찬웅 이해균 특수교육학연구 ;37(4):335-337 [2003]
  • 자기효능감: 이론과 현장연구
    김아영 학업적 서울: 학지사; [2008]
  • 자기표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인공와우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학위논문]
    김정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재활심리학과 [2008]
  • 자기주도학습력의 이해. 부산: 동아대학교 출판부; 박원진
    박영태 현정숙 쉐어타이핑; 2014. http://www.sharetyping.com/ [2002]
  • 일기에 나타난 청각장애학생의 문장분석
    손일수 이규식 난청과 언어장애 ;12(1):49-65 [1989]
  •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효능과 유효성
    김원 유태열 채정호 인지행동치 료 ;3(1):9-26 [2003]
  • 인지행동치료의 제3동향
    문현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15-33 [2005]
  • 인지-행동적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 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이경나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학위논문] [1997]
  • 유아 및 아동의 한국판 실버 그림검사 타당성 연구[학위논문]
    문명혜 동 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01]
  • 우울 및 공격성향 아동의 실버그림검사 반응특징 연구
    송신선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치료학과 [학위논문] [2009]
  • 영유아발달의 이해
    정옥분 서울: 학지사; [2005]
  • 영상관법이 신체변형장애에 미친 효과: 단일사례연구 중심으로[학 위논문]
    한경옥 동방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2013]
  • 영남대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연구
    박순권 윤병수 장경희 장현갑 경 산: 영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1]
  • 시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상호작용, 학습지원서비스 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학업 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오윤진 이순민 시각장애연구 ;29(1):69-95 [2013]
  •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원호택 정신건강연구 ;10:37-50 [1991]
  • 스트레스 반응과 역기능적 태도 개선을 위한 대학생 대상 인지재구조화 훈련의 효과
    박중규 최란 인지행동치료 ;10(2):27-42 [2010]
  • 수화의 구조와 청각장애학생의 문장력에 관한 연구
    김삼찬 현장특수교육 ;2(2):120-127 [1994]
  • 수화 이야기에 나타나는 유형과 농문화 특성-대구지역을 중심으 로[학위논문]
    류정은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국제수화통역학과 [2010]
  • 사회과에서의 메타인지 함양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 학업 성적, 과 제 성취도 에 미치는 효과[학위논문]
    유인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과 [1996]
  • 사회과 동위개념의 효과적인 학습방법 연구[학위논문]
    구정화 서울대학 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1995]
  • 비언어적 미술치료가 청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추현주 순 천향대학교 건강과학대학원 미술치료학과 [2008]
  • 부적응 도식, 스트레스, 자동적 사고와 편집성향 및 우울 증상의 관계
    이영호 한일지 인지행동치료 ;10(1):57-74 [2010]
  • 발달장애아를 둔 초등학교 형제자매의 미술치료활동에 관한 경험: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
    윤혜원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표현예술 치료학과; [2003]
  • 미술활동에 내재된 심리치료 요인에 대한 연구
    권준범 사향미술논총 ;10:21-42 [2003]
  • 미술표현활동이 뇌성마비학생의 어휘표현력에 미치는 효과[학위논 문]
    양미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2005]
  •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미술치료학회 서울: 동아문화사; [1994]
  • 문장제시수단에 따른 청각장애대학생의 독해능력에 관한 연구
    옥정달 특 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4):397-413 [2008]
  • 멀티미디어 언어 학습프로그램이 청각장애 학생의 읽기 쓰기능력 에 미치는 효과[학위논문]
    이길용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학과 [2002]
  • 대학생의 자기존중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 숙도가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김정화 김지심 정애경 공학교육연구 ;16(6):11-18 [2013]
  • 대학생의 우울정도에 따른 Draw-a-Story 검사의 반응 차이 연 구[학위논문]
    임윤희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재활치료학과 [2011]
  • 단일대상연구
    김영태 박은혜 이소현 서울: 학지사; [2000]
  • 농학생 문장의 문법적 특징 연구
    강창욱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55:17-31 [1991]
  • 농문화 접근 태도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언어선호도 연구[학위논 문]
    권순황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2001]
  • 노인문해교육: 세상과 소통하는 힘
    백승영 이준우 임은화 서울: 파란마 을; [2011]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HTP와 KFD를 중심으로
  • 그림 카드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및 그림 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학위논문]
    이정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02]
  •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 양식, 자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오수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481-496 [2001]
  • 고학력 농자의 의사소통 양식에 대한 인식연구[학위논문]
    안태희 대구대 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1995]
  •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정여주 서울: 학지사; [2003]
  • Yin, R.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New York: Sage publications; 1984.
  • Wolf Singer의 뇌 이론 탐색과 뇌기능 중심 (특수)교육의 가능성 모색
    채희태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6(1):425-444 [2005]
  • Winter, R. (1989). Learning from experience: Principles and practice in action-research. London: Falmer Press; 1989.
  • Wheatley, C.J. Evalua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ysfunction.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4th ed), Missouri: Mosby; 1995, pp.241-252.
  • Ulrich, R.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Science 1984;224(4647):224-225.
  • Sutton-Spence, R., Napoli, D.J. Deaf jokes and sign language humo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or Research 2012;25(3):311-337.
  • Sutton-Spence, R. The role of sign language narratives in developing identity for deaf children. Journal of Folklore Research 2010;47(3):265-305.
  • Stein, L., Jabaley, T. Early identification and parent counseling. In: Deafness and Mental Health. New York: Grune and Stratton; 1981.
  • Stake, R.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New York: SAGE; 1995.
  • Singer, W. Uber Bewusstsein und unsere Grenzen: Ein neurobiologischer Erklarungsversuch; 2003.
  • Silver, R.A. Silver drawing rest of cognitive and creative skills. Seattle: J. B. Preston; 1983.
  • Silver, R.A. Shout in silence: Visual arts and the deaf.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6.
  • Silver, R.A. Screening children and adolescents for depression through draw-a-story. American Journal of Art Therapy 1988;26:119-124.
  • Silver, R.A. Gend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Spatial Ability of Adolescents. Art Therapy 1996;13(2):118-120.
  • Silver, R.A. Draw a story. New York: Ablin Press; 1988.
  • Silver, R.A. Developing Cognitive and Creative Skills through Art: Programs for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or Learning Disabilities. Revised. Indiana: iUniverse; 1989.
  • Silver, R.A. Developing Cognitive and Creative Skills through Art.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1978.
  • Silver, R.A. Art and the deaf. American Journal of Art Therapy 1970;9(2):63-77.
  • Silver, R. A. A Demonstration Project in Art Education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Children and Adults. New York society for the Deaf, Report number BR-6-8598, Project No. 6-8598; 1967.
  • Shapiro, R.J., Harris, R.I. Family therapy in treatment of the deaf: A case report. Family Process 1976;15(1):83-96.
  • Scaffolding이론을 통한 미술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적응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혜숙 지적장애연구 ;12(3):141-169 [2010]
  • Rutter, M. Prevention of children's psychosocial disorders: Myth and substance. Pediatrics 1982;70(6):883-894.
  • Rubin, J.A. Child art therapy. Hoboken: John Wiley & Sons; 2005.
  • Rubin, J.A. Artful Therap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2005.
  • Rubin, J.A. Art therapy: An introduction. Hove: Psychology Press; 1999.
  • Rosenstein, J. Perception, Cognition and Language in Deaf Children: (A C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xceptional Children 1961;27(5):276-284.
  • Rogers, C.R. Freedom to learn: A view of what education might become. Columbus: Charles E. Merrill; 1969.
  • Rogers, C.R. Client-centered therapy: Its current practice, implications, and theory, with chapters. Boston: Houghton Mifflin; 1951.
  • Rogers, C.R. A way of being. Boston: Houghton Mifflin Harcourt; 1995.
  • Robinson, K.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plasticity for the language acquisition of dea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1998;46(1):71-80.
  • Reason, P., Bradbury, H.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New York: Sage Publicatios; 2001.
  • Piaget, J., Inhelder, B. The child's concept of space. Abingdon: Routledge & Paul; 1956.
  • Pesut, D.J. Creative Thinking as a Self‐Regulatory Metacognitive Process-A Model for Education, Training and Further Research.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990;24(2):105-110.
  • Padden, C.A., Humphries, T. Deaf in Americ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 Owens, R.E. Language development: An introduction. New York: Instructor; 1984.
  • Nikolopoulos, T.P., Mason, S.M., O'Donoghue, G.M., Gibbin, K.P. Integrity of the auditory pathway in young children with congenital and postmeningitic deafness. Annals of Otology, Rhinology & Laryngology 1999;108(4):327-330.
  • Naumburg, M. Art therapy: Its scope and function. In: The clinical application of projective drawings, edited by Hammer.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1980, pp.511–517.
  • Myklebust, H.R. Towards a new understanding of the deaf child. American Annals of the Deaf 1953;98:345-357.
  • Muller, R. New genesis: Shaping a global spirituality. New York: Doubleday; 1982.
  • Moustakas, C.E. Creative life.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77.
  • Mosher, F.A., Hornsby, J.R. On asking questions. In: Studies in cognitive growth (Bruner, J.S., Olver, R.R., Greenfield, P.M. Eds), New York: Wiley; 1966.
  • Moser, J. Drawing and painting and learning disabilitie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1980.
  • Morgan, A. What is narrative therapy?: An easy-to-read introduction. Adelaide: Dulwich Centre Publications; 2000.
  • Moores, D.F., Martin, D.S. Deaf learners: Development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Press; 2006.
  • Moores, D. Educating the deaf: Psych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87.
  • Moon, B.L. Existential art therapy: The canvas mirror.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90.
  • Miller, R.J. Preparing for adult life: Teaching students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CEC Today 1995;1(7):12.
  • Miki, K., Watanabe, S., Kakigi, R. Interaction between auditory and visual stimulus relating to the vowel sounds in the auditory cortex in humans: A magnetoencephalographic study. Neuroscience letters 2004;357(3):199-202.
  • Meichenbaum, D. Cognitive behaviour modification. Cognitive Behaviour Therapy 1977;6(4):185-192.
  • Meadow-Orlans, K.P. Deafness and child development. Buck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 McLeod, J. Case study research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London: Sage Publications; 2010.
  • Marshall, S.B. The use of art therapy to foster cognitive skills with learning disabled children[Unpublished master thesis]. Pratt Institute 1988.
  • Malchiodi, C.A. Understanding children's drawings.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 Malchiodi, C.A. Medical art therapy with children.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9.
  • Malchiodi, C.A. Art therapy and the brain. In: Handbook of art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2003, pp.16-24.
  • Mahoney, M. J. Cognition and behavior modification. Pensacola: Ballinger; 1974.
  • Lusebrink, V.B. (1990). Imagery and visual expression in therapy. New York: Plenum Press; 1990.
  • Luria, A.R. An introduction to neuro-psychology. In: The working brain. London: Penguin Books; 1973.
  • Lowenfeld, V., Brittain, W.L. Creative and Mental Growth. New Jersey: Prentice Hall; 1952.
  • Kris, E. Psychoanalytic explorations in ar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52.
  • Kramer, E. The problem of quality in art. In: Art therapy in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Schocken New York; 1975, pp.43-59.
  • Kramer, E. Art as therapy: Collected papers.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01.
  • Koppitz, E.M. Psychological evaluation of human figure drawings by middle school pupils. New York: Grune & Stratton; 1984.
  • Khatena, J. Analogy imagery and the creative imagination. Journal of Mental Imagery 1983;7(1):127-134.
  • Kendall, P.C., Hollon, S.D.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New York: Academic Press; 1979.
  • Kelly, E.L. Clinical psychology—1960: Report of survey findings. Newsletter: Division of Clinical Psychology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61;14(1):1-11.
  • Kelly, D., Brown, C.C., Shaffer, J.W. A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s on anxiou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Psychophysiology 1970;6(4):429-441.
  • Kaplan, H.I., Sadock, B.J.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 clinical psychiatry. Philadelphia: Williams & Wilkins Company; 1988.
  • Kang, E., Lee, D.S., Kang, H., Lee, J.S., Oh, S.H., Lee, M.C., Kim, C.S. Neural changes associated with speech learning in deaf children following cochlear implantation. Neuroimage 2004;22(3):1173-1181.
  • K-ABC 검사에 나타난 수학학습장애아동, 학습부진아동, 일반아 동의 인지처리특성 비교연구[학위논문]
    남현화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학과 [2009]
  • Jourard, S.M. Self-disclosure: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transparent self. New York: Iohn Wiley; 1971.
  • Itzkovich, M., Elazar, B., Averbuch, S.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LOTCA) manual. New Jersey: Maddak Incorporated; 1993.
  • Inscoe, J. Communication outcomes after paediatric cochlear impla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torhinolaryngology 1999;47(2):195-200.
  • Houston, J.P. The pursuit of happiness. Glenview: Scott Foresman; 1981.
  • Horovitz-Darby, E.G. Spiritual art therapy. Psyccritiques 1995;40(8):810.
  • Horovitz-Darby, E.G. Family art therapy within a deaf system. The Arts in Psychotherapy 1991;18(3):251-261.
  • Horovitz-Darby, E.G. Diagnosis and assessment: Impact on art therapy. Art Therapy 1987;4(3):127-137.
  • Horovitz, E.G. Spiritual art therapy: An alternate path.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Publisher; 2004.
  • Horovitz, E.G. Short-term family art therapy: A case study. In: Two decades of excellence: A foundation for the future (Watson, D., Long, D., Taff-Watson, Harvey, M. Eds). Arkansas: American Deafness and Rehabilitation Association; 1988.
  • Horovitz, E.G. Art therapy as witness: A sacred guide.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Publisher; 2005.
  • Horovitz, E.G. A leap of faith: The call to art.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Publisher; 1999.
  • Heron, J., and Reason, P. (2001). The practice of co-operative inquiry: Research with rather than on people. In: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Reason, P., & Bradbury, H. Eds). London: Sage, London; 2001, pp.179 –188.
  • Henley, D.R. Exceptional children, Exceptional Art: Teaching art to special needs. Massachusetts: Davis Publications; 1992.
  • Hayes, S.C., Masuda, A., De Mey, H.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Een derde-generatie gedragstherapie. In: Gedragstherapie; 2003.
  • Hayes, P.J. Cognitivism as a paradigm.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1978;1(2):238-239.
  • Harvey, M.A. Family therapy with deaf persons: The systemic utilization of an interpreter. Family Process 1984;23(2):205-213.
  • Gulas, I. Client-therapist congruence in prognostic and role expectations as related to client's improvement in short-term psychotherapy[Doctoral dissertation]. Ohio University 1974.
  • Guba, E.G., Lincoln, Y.S. (1998)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Landscape of Qualitative Research (Denzin, N.K. & Lincoln, Y.S., eds), New York: Sage Publications; 1998, pp.195–222.
  • Grabe, M., Holfeld, B. Estimating the degree of failed understanding: a possible role for online technology.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014;30(2):173-186.
  • Goldfried, M.R., Davison, G.C. Clinical behavior therapy, Exp. Oxford: John Wiley & Sons; 1994.
  • Gardner, H. Multiple intelligences: New horizons (Rev. ed.). New York: A Member of the Perseus Books Group; 2006.
  • Fusick, L.(2008). Serving clients with hearing loss: Best practices in mental health counseling.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2008;86:102-111.
  • Friedman, V.J. Designed blindness: An action science perspective on program theory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2001;22(2):161-181.
  • Frankl, V.E. The will to meaning: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of logotherapy. New York: World Publishing; 1969.
  • Feldhusen, J.F. Creativity: A knowledge base, metacognitive skills, and personality factor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995;29(4):255-268.
  • Fastame, M.C., Penna, M.P., Rossetti, E.S., Agus, M. Perceived well-being and metacognitive efficiency in life course: a developmental perspective. Research on Aging 2013;35(6):736-749.
  • Ellis, A.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New Jersey: Carol Publishing Group; 1962.
  • Earwood, C., Fedorko, M., Holzman, E., Montanari, L., Silver, R. Screening for aggression using the draw a story assessment. Art Therapy 2004;21(3):156-162.
  • Denzin, N.K. Toward a phenomenology of domestic, family violenc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984;90(3):483-513.
  • Denzin, N.K. Interpretive interactionism. New York: SAGE Publications; 1989.
  • Damasio, A.R. Descartes' error: Emotion, reason, and the human brain. New York: GP Putnam’s Sons; 1994.
  • Creswell, J.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New York: SAGE Publications; 2009.
  • Creswell, J.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New York: Sage Publications; 1998.
  • Creswell, J. W. Five qualitative approaches to inquiry. In: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New York: Sage Publications; 2007, pp.53-80.
  • Collie, K., Čubranić, D. An art therapy solution to a telehealth problem. Art Therapy 1999;16(4):186-193.
  • Chermet-Carroy, S. Comprenez votre enfant par ses dessins. London: Menges; 1986.
  • Billings, A.G., Moos, R.H.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4;46(4):877.
  • Benson, H.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Avon; 1975.
  • Bedesem, P. Self-monitoring with at wist: Using cell phones to cellf-monitor on-task behavior. Journal of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s 2014;16(4):246-254.
  • Beck, A.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London: Penguin Books; 1976.
  • Beck, A. T. Thinking and depression: Idiosyncratic content and cognitive distorti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63;9(4):324-333.
  • Baron, P. Fighting cancer with images. In: Advances in art therap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1989, pp.148-168.
  •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
  • Argyris, C. Schon, D.A. Theory in practice: Increasing professional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4.
  • Anderson, F. E. Benefits of conducting research. Art Therapy 2001;18(3):134-141.
  • 2014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