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교과교실제 정책과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현 분석 연구 = An analysis on Teaching Quality in Subject Classroom System and Ability Grouping

이재홍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교과교실제 정책과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현 분석 연구 = An analysis on Teaching Quality in Subject Classroom System and Ability Groupi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ICALT
  • 교과교실제
  • 수업전문성
  • 수준별 수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3 0

0.0%

' 교과교실제 정책과 수준별 수업에서의 교사의 수업전문성 발현 분석 연구 = An analysis on Teaching Quality in Subject Classroom System and Ability Grouping' 의 참고문헌

  • 한국형 교과교실제 효율적인 도입 방안 연구
    김재춘 박경미 이경애 이화룡 진동섭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보고서 [2009]
  • 한국신교육사
    오천석 서울: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4]
  • 한국교육의 발전 전략과 새로운 과제
    김영식 이종재 정성수 교육행정학연 구, 24(4), 1-26 [2006]
  • 한국교육기본법제 성립사
    정태수 서울; 예지각. p.12~15 [1996]
  • 한국교육개발원(역), 세계화와 중등교육의 새로운 아젠다
    세계은행 [2005]
  • 한국교육 100년: 학제 및 인구통계적 변천
    김기석 류방란 류한구 오성철 이향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고. 130-168 [1996]
  • 한국 중등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의 조화를 위한 과제
    김경근 교육학연구, 44(1), 1-21 [2006]
  • 학생에게 즐거움, 교사에게 보람, 국민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교과교실제』 추진 기본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 학생들이 지각한 ‘잘 가르치는 교사’의 수업행동
    김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 학급경영
    박병량 서울: 학지사 [2003]
  • 학교제도 발전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영철 RR-141 [1981]
  •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민구 한 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 학교장의 수업지도성, 교사의 수업전문성,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효 과성 간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김종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 학교교육제도
    장기옥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8 [1991]
  • 중학교 수학교과교실제 수업의 운영에 대한 사례분석. 석사학위논문
    손웅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 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교과교실제의 영향분 석. 석사학위논문
    이상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중학교 교과교실제의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유재영 조선대학교 교육대 학원 [2014]
  • 중등학교 교과교실제의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임완진 전주대학교 교육 대학원 [2012]
  • 조선교육사(하) -신교육편
    이만규 서울: 을유문화사. p.153 [1947]
  • 제7차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연구. 한국 교육개발원
    김재춘 박순경 조난심 홍후조 연구보고 CR 97-3 [1997]
  •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과교실 운영 효과
    박경인 상경아 교육평가연구, 26(5), 1165-1185 [2013]
  • 인천교육대학교 2001학년도 신입생 선발 전형자료의 분석적 연구
    고대혁 최유현 허숙 교육논총, 19 [2002]
  • 이성은, 양민석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교과교실제의 시행이 교수․학습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영식 정동욱 교육행정학연구, 31(4). 259-282 [2013]
  • 영어교과교실제 운영사례 및 만족도 분석
    조아라 한국외국어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수학수업에서 교과교실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 강원지역 중학교를 중 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은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수학교과교실을 활용한 수업 실태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재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수준별 이동식 수업을 위한 교과교실형 교사 도입의 가능성과 한계: 일본 교과교실형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박영숙 한국교육시설학회지, 5(4), 78-94 [1998]
  • 수준별 이동수업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평가 방안 연구 - 수학,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고성희 김화경 송미영 진경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PRE 2009-5 [2009]
  •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김재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수준별 교육과정의 감환된 의미로서 영어, 수학 이동수업의 효과성 검토
    성열관 교육과정연구 26(2), 167-189 [2008]
  •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조은진 교육과정연구, 16(1), 470-476 [1998]
  • 수준별 교육과정 담론의 분석
    조대훈 시민교육연구, 34(2), 199~234 [2002]
  • 수업컨설팅지원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이화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6-1 [2006]
  • 수업컨설팅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조난심 경인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및 서울대학교 학교컨설팅연구회 공동세미나. 43-71 [2007]
  • 수업전문성의 두 측면: 기술과 이해
    유한구 한국교사교육, 18(1), 69-84 [2001]
  • 수업관찰분석과 수업연구
    김홍운 이금화 이석열 주삼환 파주: 한국학술정 보 [2009]
  • 수업과 학교장 지도성
    허병기 교육행정학 연구, 19(3), 53-77 [2001]
  • 수업 개선의 대안적 방안 탐색: 교육인류학의 수업대화
    서근원 아시아교육연 구, 9(1), 95-132 [2008]
  • 세계교육의 개혁동향
    유인종 서울: 교육과학사 [1980]
  • 선진형(A형) 교과교실제 운영가이드
    한국교육개발원 [2009]
  • 블록타임제 중학교 사회수업의 구성형태에 대한 질적사례 연 구-"일상의 최적화론"과 수업정책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박선운 조영달 시민교육연구, 43(2), 149-185 [2011]
  • 미국교육사
    채규철 서울; 탐구신서 219, p.9, p.60-63 [1979]
  • 문교부 한국교육 30년
    한국교육30년편찬위원회. 37 [1980]
  •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
    김경자 국가교육과정개정 연구위원회 [2015]
  • 근대 한국교육의 역사적 맥락. 한국교육 60년 –성취와 과제-
    최광만 한국교 육과정평가원. 9-34 [2009]
  • 교육행정 및 경영
    김명한 박병량 박종렬 서울 : 형설출판사. p.26 [1988]
  • 교육정책
    김종철 진동섭 허병기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5 [1998]
  • 교육적 관점에서 본 평등성과 수월성에 대한 고찰
    류지은 교육연구논총, 28(2). 1-16 [2007]
  • 교육인적자원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관계 논의
    고경화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2). 1-22 [2007]
  • 교육사회학
    김신일 서울 : 교육과학사 [1994]
  •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적 교과수업 구현을 위한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기본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
  • 교육과학기술부 교과교실제의 이해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0]
  • 교육과정 혁신학교의 교무분장 조직과 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 문
    김경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교수 학습변인에 비추어 본 교과교실제 도입 효과 분석 : A형과 B-1 형 교과교실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안상훈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 교사의 수업행동 진단 척도 개발과 그 타당화 연구
    손충기 인하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1994]
  •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균열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손승남 교육행정학연 구, 22(1), 89-108 [2005]
  • 교과교실형 운영 학교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민서 최병관 대한건축학 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1), 453-460 [2011]
  • 교과교실제의 추진과 전망
    박영숙 교육개발, 36(2), 18-23 [2009]
  • 교과교실제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백종면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제14권, 제7호. pp.255-279 [2014]
  • 교과교실제를 통한 맞춤형 교육 구현
    김동원 건축, 53(7), 12-14 [2009]
  • 교과교실제 확대에 따른 선결과제와 내실화 방안
    김재춘 서울: 한국교육개 발원 [2011]
  • 교과교실제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교육종단연구 정책 연구과제 보고서
    권용웅 김현철 서교연 2012-16 [2012]
  • 교과교실제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서교연 2012-16 [2012]
  • 교과교실제 컨설팅 가이드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CRM 2014-42 [2014]
  • 교과교실제 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김재춘 교육과정연구, 28(4). 29-55 [2010]
  • 교과교실제 운영의 효율화 방안 탐색: 일반 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및 수업・생활지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 원
    김종수 문성윤 이재홍 천세영 2013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지원연구 [2013]
  • 교과교실제 운영의 특징
    이화룡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16(4), 18-20 [2009]
  • 교과교실제 운영의 주요 쟁점 및 개선방안
    권용웅 김규식 김평화 박진아 정은하 조옥경 황준성 2016년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 지원연구 [2016]
  • 교과교실제 운영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교과교실제 적용 유형을 중심으로
    이경아 홍창남 교육혁신연구, 23(1) 21-44 [2013]
  • 교과교실제 운영실태 및 발전방향. 2012. Position Paper. 9(20-4)
    김홍원 오병욱 한국교육개발원 [2012]
  • 교과교실제 운영실태 및 발전방향
    조진일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1]
  • 교과교실제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모색. (정 책연구 2015-34)
  • 교과교실제 도입으로 인한 사회과 교실환경과 수업의 변화
    김혜숙 박선미 사회과교육, 50(4), 43-62 [2011]
  • 교과교실제 내실화 방안 연구
    오병욱 한국교육개발원 [2013]
  • 교과교실을 활용한 수업 개선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 발원
    민부자 박하식 홍후조 연구자료 CRM 2015-180 [2015]
  • 교과교실 운영의 핵심요소 규명과 발전단계별 교과교실제 유형 구분 연구
    김대석 민부자 장소영 조호제 홍후조 교원교육, 29(3), 249-271 [2013]
  • 교과교실 개선이 교수․학습활동과 학 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사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경호 정호근 조진일 최병관 최형주 연구보고 RR 2009-35-3 [2009]
  • 광주교육청 2016년 교과교실제 세부 운영 계획(안)
    광주교육청 [2016]
  • 과학, 수학 특성화 교과교실제의 도입에 따른 과학재량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전화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557-566 [2011]
  • 고등학교 수학과 교과교실제 운영을 통한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대승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고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사례연구: 학급간 집단편성을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김영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 고등학교 교육에서의 평등성과 수월성 : 수요와 결정요인 분석, 박사 학위논문
    송채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 고등학교 교과교실제 운영 과정에 대한 사례 분석 연구
    강휘석 김병찬 한 국교육학연구, 19(3), 5-43 [2013]
  • 강석 교과교실제 운영학교의 실태조사(Ⅲ) 및 효과 분석 (Ⅱ) 연구
    김인숙 박인우 신원석 한국교육개발원 [2012]
  • 「OECD 교육지표 2018」
    교육부 결과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18]
  • van der Lans, R.(2017). Teacher evaluation through observation: Application of classroom observation and student ratings to improve teaching effectiveness in classrooms, ico [Groningen]: University of Groningen. 118.
  • de Koning, P.(1973). Interne differentiatie. Amsterdam: APS/RITP.
  • Walberg, H. J., & Haertel, G. D. (1992). Educational psychology's first centu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1), 6-29.
  • Vaughan, V. L.(1990). Meta-analysis of pull-out programs in gifted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 Children, little Rock, AR.
  • Van de Grift, W., Maulana, R, Helms-Lorenz, M., Houtveen, A., Chun, S., Lee, O.(2016). "Measuring teaching quality in South Korea and the Netherland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submitted).
  • Van de Grift, W., Helms-Lorenz, M., & Maulana, R.(2014). Teaching skills of student teachers: Calibration of an evaluation instrument and its value in predicting student academic engagement.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43, 150-159.
  • Van de Grift, W.(2014). Measuring teaching quality in several European countrie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5(3), 295-311.
  • Tomlinson, C. A.(2013).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C. M. Callahan & H. L. Hertberg-Davis (Eds.), Fundamentals of gifted education: Considering multiple perspectives (287-300). New York: Routledge.
  • Tieso, C. (2003). Ability grouping is not just tracking anymore. Roper Review, 26, 29-36.
  •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Korea: Past Achievement and Current
    이종재 [2006]
  • Slavin, R. E.(1990). Achievement effects of ability grouping in secondary schools: A bestevidence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3), 471-499.
  • Slavin, R. E.(1987b). Mastery learning reconsidered.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7(2), 175-213.
  • Slavin, R. E.(1987a). Ability group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A best-evidence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7(3), 293-336.
  • Shanker, A.(1993). Public vs. private schools. National Journal: Phi Kappan Phi Journal, 73(4), 14-17.
  • Schalock, H. D., & Schalock, M. D.(1993). Student learning in teacher evaluation and school improvement.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7(2). 103-104.
  • Sammons, P., Hillman, J. & Mortimore, P.(1995). Key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schools: a review of school effectiveness research. London: Office for Standards in Education.
  • Reezigt, G. J.(1993). Effecten van differentiatie op de basisschool. Groningen: RION.
  • Pianta, R. C., & Hamre, B. K.(2009).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improvement of classroom processes: Standardized observation can leverage capacity. Educational Researcher, 38, 109–119.
  • Ormrod, J. E. (2014). Educational Psychology: Developing learners, 8E., Cambridge: Pearson
  • Oakes, J., Gamoran, A. & Page, R. N.(1992). Curriculum Differentiation: Opportunities, Outcomes, and Meanings. P. W. Jackson(ed.), Handbook of Research on Cueeiculum. New York: Macmillan.
  • Oakes, J., & Lipton, M. (1990). Tracking and ability grouping: A structural barrier to access and achievement. In J. I. Goodlad & P. Keating (Eds.), Access to knowledge: An agenda for our nation's schools(pp. 187-204). New York, NY, U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 Oakes, J.(1985). Keeping track: How school structure inequality.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2E, (2007)/교육목 표 설계와 평가, 박선희, 노혜란, 변지현, 강상희 번역
    Marzano, R. J. 파주: 아카데미 프레 스 [2015]
  • Neel, J. L.(2008).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struction of first grade learners. ProQuest,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68(7). (2008-99011-064).
  • McTighe, J., & Brown, J.(2005).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educational standards: Is de’tente possible? Theory Into Practice, 44, 234-244.
  • Maulana, R., Helms-Lorenza, M. & Van de Grift, W.(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questionnaire measuring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haviour: a Rasch modelling approach“,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6(2), 169-194.
  • Luyten, H.(2008). Empirische evidentie voor effecten van vroegtijdige selectie in het onderwijs, literatuurstudie in opdracht van het Ministerie van OCW. Enschede: Universiteit Twente.
  • Lou, Y., Abrami, P. C., Spence, J. C., Poulsen, C., Chambers, B., & d'Appolonia, S.(1996). Within-class grouping: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6(4), 423-458.
  • Leonard, J.(2001). How group composition influenced the achievement of sixth-grade mathematics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3(2-3), 175-200.
  • Kulik, C. C., & Kulik, J. A.(1990). Ability grouping and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A.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1778-1796). Boston: Allyn & Bacon.
  • Kulik, C. C., & Kulik, J. A.(1984).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elementary school pupils: a meta-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ed.)
  • Kulik, C. C., & Kulik, J. A.(1982). Effects of ability grouping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 meta-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9(3), 415-428.
  •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연구 (Ⅱ): 가정특성과 학교특성을 중심으로
    강주연 박현정 이수진 한국교육개발원 [2006]
  • Jakubowski, M., Patrinos, H. A., Porta, E. E., & Wisniewski, J.(2010). The impact of the 1999 education reform in Poland. World Bank: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5263.
  • Inspectorate of Education.(2013). De staat van het onderwijs. Onderwijsverslag 2011/2012. Utrecht: Inspectie van het Onderwijs.
  • ICALT 관찰도구를 활용한 교사의 교실수업전문성 분석 연구
    이옥화 전미애 천세영 교육공학회, 33(2), 517-536 [2017]
  • Houtveen, T., & Van de Grift, W., & Brokamp, S.K.(2014). Fluent Reading in Special Primary Educatio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5(4), 555-569.
  • Houtveen, A.A.M. & Van de Grift, W. J. C. M.(2001). Inclusion and Adaptive Instruction in Elementary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Students Placed At Risk, 6 (4), 389-411.
  • Houtveen, A.A.M. & Van de Grift, W. (2012). Improving Reading Achievements of Struggling Learners.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23(1), 71-93.
  • Hopper, E.(1971). Readings in the Theory of Educational Systems. London: Hutchinson & Co., Ltd.,
  • Hanushek, E. A., & Woessmann, L.(2006). Does educational tracking affect performance and inequality? Differences-in-differences evidence across countries. The Economic Journal, 116(510), 63-76.
  • Goldin, Claudia.(2001). The Human Capital Century and American Leadership: Virtues of the Past. Journal of Economic History, 61(2): 263-92.
  • Glickman, C. D. (2002). Leadrship for Learning: How to Help Teachers Succeed, ASCD.
  • George, P. S.(2005). A rationale for differentiating instruction in the regular classroom. Theory into Practice, 44(3), 185-193.
  • Gardner, H.(1984).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London: Heinemann.
  • Gamoran & Berends, M.(1987). The effects of stratification in secondary schools: Synthesis of survey and ethnographic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rch, 57, 415-435.
  • G. Baron.(1965). Society, Schools and Progress in England, Oxford: Pergamon Press, pp.1-2.
  • Friend, M., & Bursick, W.(1999).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 (2nd ed). Upper Saddle River, NJ:Allyn & Bacon.
  • Deunk, M. I., Doolaard, S., Smalle-Jacobse, A., Bosker, R. J.(2015). Differentiation within and across classrooms: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into the cognitive effects of differentiation practices. Groningen: Rijksuniversiteit Groningen.
  • Danielson, C.(2013). The framework for teaching: Evaluation instrument. Princeton: The Danielson Group.
  • Coleman, J.S., Campbell, E., Hobson, C., McPartland, J., Mood, A., Weinfeld, F., & York, R.(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 Chorzempa, B. F., & Graham, S.(2006). Primary-grade teachers' use of within-class ability grouping in read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3), 529-541.
  • Brown, P. & Goren, P.(1993). Ability grouping and tracking: Current issues and concerns.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 Bosker, R. J.(2005). De grenzen van gedifferentieerd onderwijs (inaugurele rede). Groningen: Rijksuniversiteit Groningen.
  • Blok, H.(2004). Adaptief onderwijs: betekenis en effectiviteit. Pedagogische Studi n, 81(1), 5-27.
  • Anderson, R. C., Hiebert, E, H., Scott, J. A., & Wilkinson, I. A. G.(1985).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 Champaign, IL:The Center for the Reading.
  • Anderson, K. M., & Algozzine, B.(2007). Tips for teaching: Differentiating instruction to include all students. Preventing School Failure, 51(3), 49-54.
  • 7차 교육과정과 방과후 활용을 고려한 고등학교 시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이재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2017 교과교실제 가이드북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7]
  • 2015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5]
  • 2014년도 교과교실제 추진계획(안). 2014. 2
    교육부 교육부 창의교수 학습 과 [2014]
  • 2013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과학기술부 [2013]
  • 2013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부 [2014]
  • 2012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
  • 2011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
  • 2010년도 지방교육재정 보통교부금 확정 교부
    교육과학기술부 [2010]
  • 19세기말 조선교육-서광범의 “조선의 교육” 소개. 개항이후 한국교육 의 변천-비장자료 집성과 서지 연구-. 한국교육사고 연구보고
    류방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고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