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하수오를 주 원료로한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촉진 및 흑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mixture and pigmentation of hair

김지윤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하수오를 주 원료로한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촉진 및 흑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mixture and pigmentation of hai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igf1
  • tgfβ
  • tyrosinase
  • vegf
  • 멜라닌
  • 하수오를 주원료로한 복합추출물(SHJ)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4 0

0.0%

' 하수오를 주 원료로한 추출물이 모발의 성장촉진 및 흑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mixture and pigmentation of hair' 의 참고문헌

  • 화장품 산업과 화학공학 : 기능성 화장품 - 미백
    김은기 이향복 한국화학 공학회, 25(2) [2007]
  • 한방피부미용과 경락 훈민사
  • 한방모발관리 제품을 이용한 광범위한 원형 탈모증 치험1례
    강여름 안택원 이정환 정연호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2(2) : 269-280 [2009]
  • 탈모관리에 있어서 검은콩의 효능연구
  • 임상본초학
    신민교 서울 : 영림사. 279 [1991]
  • 염색후 경시적인 모발의 형태변화와 염색 영향 인식
    이주영 이진옥 한국미용학회지. 14(2) : 524-534 [2008]
  • 여성들의 두피관리실 이용과 관련되는 요인
    박현숙 윤복연 한국미용학회. 16 : 1-14 [2010]
  • 야생백하수오, 구기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모발성장 효과
    이준환 경희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아로마테라피
  • 생지황 약침이 정상인의 심박변이도(HRV) 에 미치는 영향
    김락형 송범용 신진철 육태한 대한약침학회지. 11(1) : 83-97 [2008]
  • 삼황사심탕의 항산화능 및 C57BL/6 마우 스 모델에서의 발모 촉진효과
    김민지 김배환 박교현 이인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8(2) : 154-161 [2014]
  • 본초학.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서울 대한약사회. 785-786 [1995]
  • 백모에 관한 통계적 및 임상적 관찰
    김도원 김정철 신동주 이석종 정상립 대한피부과학회지. 37(11) : 1567-1575 [1999]
  • 발효 맥문동의 항염증 및 발모촉진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현아 부산 [2011]
  • 발모효과를 가지는 한방복합처방단
    윤경섭 이명희 이준영 임경란 정택규 대한화장품학회지. 38 : 277-287 [2012]
  • 미용해부 생리학
  • 모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천연물 검색
    최병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모발 건강과 관련된 한국의 최신 특허 동향
    이남지 조홍범 대한피부미용 학회지. 12(1) : 133-138 [2014]
  • 당귀류가 혈관 신생에 미치는 비교연구
  • 노란콩 및 검정콩섭취가 흰쥐의 항산화 항산화 및 항노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류승희 문갑순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2(4) : 591-597 [2003]
  • 경옥고가미방 추출 물이 생쥐의 양모 및 발모 관련 단백 발현에 미치는 영향
  • 天花粉이 멜라닌형성에 미치는 影 響
    김재주 송채석 오춘근 이관순 임규상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14(1) : 209-25 [2001]
  • 何首烏가 高脂血症흰쥐의 혈중지질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손영종 이영종 대한본초학회. 14(1) : 69-77 [1999]
  • Scalp care & Medical Treatment
    김석주 이황희 정미영 서울 : 청란 [2005]
  • Dulak J. Nutraceuticals as anti-angiogenic agents: hopes and reality. J Physiol Pharmacol. 56(1) : 51-69, 2005.
  • Dawber R and Neste DV. Hair and scalp disorders. 1st ed. London, Martin Dunitz. 236-238, 1995.
  • Cyclophosphamide로 유도된 빈혈 흰쥐에 서 참당귀 열수추출물이 혈액학적 빈혈지표에 미치는 영향
    강순아 장기효 조여원 한진아 한국영양학회지. 36(10) : 1013-1021 [2003]
  • Cui R, Widlund HR, Feige E, Lin JY, Wilensky DL, Igras VE, Orazio JD, Fung CY, Schanbacher CF, Granter SR, Fisher DE. Central role of p53 in the suntan response and pathologic hyperpigmentation. Cell. 128(5) : 853, 2007.
  • Cotsarelis G, Millar SE. Towards a molecular understanding of hair loss and its treatment. Trends Mol. Med. 7 : 293-301, 2001.
  • Cline DJ. Changes in hair color. Dermatol. Clin. 6(2) : 295-303, 1998.
  • Chu J, Ye CF, Liu L. Effects of stilbene-glycoside on lcarning and memory function and free radicals metabolism in dementia model mice. Chinese Medical Journal. 9 : 643-645, 2003.
  • Choi YJ, Yoon TJ, Lee YH. Changing expression of the genes related to human hair graying. J. Dermatol. 18(4) : 397-399, 2008.
  • Chaudhary UB, Turner JS. Finasteride. Expert Opin Drug Metab Toxicol. 6 : 873-881, 2010.
  • C57BL/6 마우스에서 신선육자환이 모발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Busca R, Ballotti R: Cyclic AMP: a key messenger in the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Pigment Cell Research 13(2) : 60-69, 2000.
  • Botchkarev BO, Kishimoto J. Molecular control of epithelial mesenchymal interactions during hair follicle cycling. J. Invest. Dermatol. Symp. Proc. 8 : 46-53, 2003.Botchkareva NV, Khlgatian M, Longley BJ, Botchkarev VA, Gilchrest BA: SCF/c-kit signaling is required for cyclic regeneration of the hair pigmentation unit. FASEB Journal 15(3) : 645-658, 2001.
  • Amaro-Ortiz A, Yan B, D'Orazio JA. Ultraviolet radiation, aging and the skin: prevention of damage by topical cAMP manipulation. Molecules. 19(5) : 6202-6219, 2014.
  • Abdel-Malek ZA, Swope VB, Suzuki I, Harriger D, Boyce ST, Urabe K, Hearing VJ. Mitogenic and melanogenic stimulation of normal human melanocytes by melanotropic peptides. Proc. Natl. Acad. Sci. USA. 92 : 1789-1793, 1995.
  • <규합총서>에 기록된 우리나라 전통 피부미용
    우미옥 이애련 전혜숙 한 복문화학회. 16(1) : 151-165 [2013]
  • & 탈모관리학 : 모발 두피 탈모의 상담과 진단
    두피 조성일 최주미 서울 :  리그라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