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위한 이중 척도 모델의 활용 방안 탐색

서은미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위한 이중 척도 모델의 활용 방안 탐색'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곱셈적구조
  • 내포량
  • 이중 척도 모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 0

0.0%

' 초등학교 수학 수업을 위한 이중 척도 모델의 활용 방안 탐색' 의 참고문헌

  •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 과서에 제시된 분수의 덧셈 관련 시각적 표현에 대한 비교 분석
    김경훈 방정숙 서은미 이지영 수학교 육학연구, 27(3), 537-555 [2017]
  • 초등학교에서 비례 추론 지도에 관한 논의
    정영옥 수학교육학연구, 25(1), 21-58 [2015]
  • 초등학교 학생들의 단위 추론을 기반으로 한 분수 나눗셈의 학 습경로 개발
    이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초등학교 수학에서 다루는 곱셈적 구조에서 내포량에 대한 고 찰
    이지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 725-748 [2018]
  • 초등학교 수학 지도를 위한 이중수직선의 활용 방안 탐색
  • 초등학교 교과서의 분수 곱셈 알고리즘 구성 활동 분석: 모델 과 알고리즘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임재훈 학교수학, 14(1), 135-150 [2012]
  • 초등수학에서 자연수 곱셈 지도
    정영옥 학교수학, 15(4), 889-920 [2013]
  • 일본 교과서에 제시된 이중 척도 모델에 관한 분석
    방정숙 서은미 조선미 초등수학교육, 22(1), 29-48 [2019]
  • 싱가포르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모델 메소드 (model method)를 중심으로
    김은경 방정숙 초등수학교육, 20(3), 205-224 [2017]
  •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비례 추론 수업 분석
    방정숙 서은미 이지영 수학교육학연구, 27(4), 791-810 [2017]
  • 수학의 내적 연결성을 강조한 5학년 분수 나눗셈과 소수 나눗 셈 수업의 실행 연구
    김정원 수학교육학연구, 27(3), 351-373 [2017]
  • 수학 교수-학습에서 생성 모델의 역할: 비와 비율 지도를 중심 으로
    정영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9, 17-40 [2009]
  • 수학 6-2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5]
  • 수학 6-1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5]
  • 수학 5-2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5]
  • 수학 5-1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5]
  • 수학 4-1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8]
  • 수학 3-2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8]
  •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8]
  • 수학 3-1
    교육부 서울: 천재교육 [2018]
  •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김양권 홍진곤 한국초등수학 교육학회지, 20(3), 431-456 [2016]
  • 비의 값과 비율 용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임재훈 한국초등수학교육 학회지, 19(3), 371-386 [2015]
  • 비와 비율에 대한 초 등 수학 교과서 분석
    김주숙 박혜민 유미경 이화영 임미인 장혜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35-160 [2017]
  • 비와 비례 과제에서 가법적 전략을 사용하는 학생의 문제해결 특징
    박정숙 학교수학, 10(4), 603-623 [2008]
  •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이형숙 임재훈 수학교육학연 구, 25(2), 189-206 [2015]
  • 분수 포함제와 제수의 역수 곱하기 알고리즘의 연결성
    임재훈 한국초 등수학교육학회지, 20(4), 521-539 [2016]
  • 배 개념에 기초한 자연수 곱셈 개념의 지도 방안
    강흥규 학교수학, 11(1), 17-37 [2009]
  • 두 가지 비례 관점에 입각한 초등학교 6학년 수업 개발 및 실 행 연구
    김가영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곱셈적 구조에 대한 2, 4, 6 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사 고의 연결성 분석
    김유경 방정숙 수학교육, 53(1), 57-73 [2014]
  • 新しい算數6下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6上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5下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5上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4下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4上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3下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新しい算數3上
    藤井斉亮 東京: 東京書籍 [2013]
  •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3). The didactical use of model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n example from a longitudinal trajectory on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1), 9-35.
  • Sinicrope, R., Mick, H., & Kolb, J. (2002). Fraction division interpretations. In B. Litwiller, & G. Bright (Eds.), Making sense of fractions, ratios, and proportions: 2002 Year Book (pp. 153–16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Schwartz, J. L. (1988). Intensive quantity and referent transforming arithmetic operations. In J. Hiebert, & M. Behr (Eds.),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the middle grades (Vol. 2, pp. 41-52). Reston, VA: Erlbaum.
  • Orrill, C. H., & Brown, R. E. (2012). Making sense of double number lines in professional development: exploring teachers’ understandings of proportional relationship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5(5), 381-403.
  • Ng, S. F., & Lee, K. (2009). The model method: Singapore children's tool for representing and solving algebraic word problem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0(3), 282-313.
  • Murata, A. (2008).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s a mediating process: The case of tape diagram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0(4), 374-406.
  • Middleton, J. A., van den Heuvel-Panhuizen, M., & Shew, J. A. (1998). Using Bar Representations as a Model for Connecting Concepts of Rational Number.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4), 302-311.
  • Lesh, R., Post, T.,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33-40).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Lamon, S. J. (2007). Rational number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F. K. J.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29–667).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 Kaput, J. (1985). Multiplicative Word Problems and Intensive Quantities: An Integrated Software Response (Technical Report 85-19). Cambridge, MA: Educational Technology Center.
  • K 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4). The use of alternative double number lines as models of ratio tasks and as models for ratio relations and scaling. In S. Pope (Ed.), Proceedings of the 8th British Congress of Mathematics Education (BCME8) (pp. 231-238). BSRLM: University of Nottingham.
  • K 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1). Using the double number line to model multiplication. Paper presented at Seventh Annual Congress of the European Society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Rzesz w, Poland.
  •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volum Ⅱ: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최욱, 박인우, 변호승, 양영선, 왕경수, 이상수 외 3인 공역 (2005).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Reigeluth, C. M.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 [1999]
  •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9th Ed.). New York: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 과 교수법
  •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Reidel Publishing Company.
  •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ratios, proportions, and proportional reason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6–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박정숙,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공역(2016). 비, 비례, 비례 추론의 필수 이해
  •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functions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9-1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조완영, 권나영, 이동흔 공역(2017). 함수의 필수 이해
  •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Retrieved from http://www. corestandards.org/assets/CCSSI_Math%20Standards.pdf
  • Children's mathematics: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김수환, 박영희, 백선수, 이경화, 한대희 공역(2006). 어떻게 수학을 배우지?
  • Beckmann, S., & Izs k, A. (2015). Two perspectives on proportional relationships: Extending complementary origins of multiplication in terms of quantitie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17-38.
  • Beck, P. S., Eames, C. L., Cullen, C. J., Barrett, J. E., Clements, D. H., & Sarama, J. (2014). Linking children’s knowledge of length measurement to their use of double number lines. Proceedings of PME 38 and PME-NA 36, 2, 105-112.
  • 4학년 아동의 비와 비례 개념 분석
    이종욱 수학교육학연구, 16(2), 157-17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