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전기 장리 연구 = A study on Jang-Ri of Early Cho-sun

허은철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전기 장리 연구 = A study on Jang-Ri of Early Cho-su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농업재생산
  • 사채
  • 왕실재정
  • 장리
  • 진휼
  • 차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6 0

0.0%

' 조선전기 장리 연구 = A study on Jang-Ri of Early Cho-sun' 의 참고문헌

  • 􋺷栗谷全書􋺸
  • 􋺷한국사 중세편􋺸
    이병도 을유문화사 [1961]
  • 􋺷중국의 고리대금업􋺸
    이화승 책세상 [2000]
  • 􋺷중국사원경제사연구􋺸
    안순형 학고방 [2013]
  • 􋺷조선중기 전답매매 연구』
    이재수 법문사 [2003]
  • 􋺷조선전기 토지제도 연구(Ⅱ)􋺸
    이경식 일조각 [1998]
  • 􋺷조선전기 토지제도 연구(Ⅰ)􋺸
    이경식 일조각 [1986]
  • 􋺷조선전기 왕실재정 연구􋺸
    송수환 집문당 [2000]
  • 􋺷조선전기 상업사 연구􋺸
    박평식 지식산업사 [1999]
  • 􋺷조선전기 대외무역과 화폐 연구􋺸
    박평식 지식산업사 [2018]
  • 􋺷조선전기 노비신분연구􋺸
    지승종 일조각 [1995]
  • 􋺷조선전기 기호사림파 연구􋺸
    이병휴 일조각 [1984]
  • 􋺷조선전기 교환경제와 상인 연구􋺸
    박평식 지식산업사 [2009]
  • 􋺷조선봉건사회경제사􋺸上
    백남운 개조사 [1937]
  • 􋺷우리나라 화폐금융사 : 년 이전􋺸
    이석륜 박영사, 1994 [1910]
  • 􋺷고려시기 사원경제연구􋺸
    이병희 경인문화사 [2009]
  • 􋺷高麗史􋺸
  • 􋺷高麗史節要􋺸
  • 􋺷鎖尾錄􋺸
  • 􋺷退溪先生言行錄􋺸
  • 􋺷西岳書院立規􋺸
  • 􋺷芝峯類說􋺸
  • 􋺷經國大典􋺸
  • 􋺷紹修書院雜錄􋺸
  • 􋺷朝鮮王朝實錄􋺸
  • 􋺷慶北地方古文書集成􋺸
  • 􋺷增補文獻備考􋺸
  • 􋺷佛祖統記􋺸
  • 「현대법의 관점에서 본 조선조 채권법제도의 법사적 의의」, 􋺷인권과정의 􋺸 332
    이재목 대한변호사협회 [2004]
  • 「한국 중세사에서의 국가체제와 농민」, 􋺷인문학연구􋺸 1
    김태영 경희대학교인문 학연구소 [1996]
  • 「한국 전통사회의 기근과 그 대응 : 1392 - 」, 􋺷경제사학􋺸 30-1
    김재호 경제 사학회, 2001 [1910]
  • 「한국 재래금융기관의 제양상(上)」, 􋺷부산교육대학논문집􋺸 8-1
    정원규 부산교 대 [1972]
  • 「좌관대식기에 나타난 백제의 양제와 식화제」, 􋺷목간과 문자􋺸 4
    홍승우 한국목 간학회 [2009]
  • 「조선후기의 권분과 부민의 실태」, 􋺷역사문화연구􋺸 34
    이세영 역사문화연구소 [2009]
  • 「조선후기 서원의 경제기반(Ⅱ)」, 􋺷역사학연구􋺸 19
    윤희면 전남사학회 [2002]
  • 「조선후기 고문서를 통해 본 고리대의 실태」, 􋺷한국문화􋺸 19
    최승희 한국문화연 구소 [1997]
  • 「조선초기의 장시의 성립과 그 기반」, 􋺷조선전기 토지제도 연구:농업경영 과 지주제 2􋺸
    이경식 일조각 [1986]
  • 「조선초기 의창제도 연구」
    김훈식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3]
  • 「조선초기 세조왕권의 전제성에 대한 일고찰」, 􋺷한국사연구􋺸 87
    김태영 한국사 연구회 [1994]
  • 「조선초기 불교계의 보 운영과 그 의미」, 『동국사학』61
    이병희 동국사학회 [2016]
  • 「조선초기 구휼제도 및 구황정책에 관한 연구」, 􋺷국사관논총􋺸 76
    이민수 국사편 찬위원회 [1997]
  • 「조선중기의 무곡선상」, 􋺷한국학보􋺸 30
    최완기 일지사 [1983]
  • 「조선중기의 곡물거래와 그 유형」, 􋺷한국사연구􋺸 76
    최완기 한국사연구회 [1992]
  • 「조선중기 진휼정책과 지방지배」, 􋺷중앙사론􋺸 10․11합집
    박경하 한국중앙사학 회 [1998]
  • 「조선중기 양반의 경제생활과 재부관」, 􋺷한국시민강좌􋺸 29
    이성임 일조각 [2001]
  • 「조선조 위민정치와 복지사상의 탐색」,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3-2
    권정호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4]
  • 「조선전기의 향촌질서」, 􋺷동서문화􋺸 13
    이태진 동아문화연구소 [1976]
  • 「조선전기의 토지개혁 논의」, 􋺷한국사연구􋺸 61․62합집
    이경식 한국사연구회 [1988]
  • 「조선전기의 왕실 사유지」, 􋺷사총􋺸 37
    송수환 고대사학회 [1990]
  • 「조선전기의 미가변동」, 􋺷역사와 세계􋺸 17
    이정수 효원사학회 [1993]
  • 「조선전기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논문집􋺸 10
    서길수 인문 과학연구소 [1982]
  • 「조선전기의 ‘농장적 지주제’」, 􋺷역사문화연구􋺸 45
    이세영 역사문화연구소 [2013]
  • 「조선전기 장리 대여자와 장리 논쟁」, 􋺷청람사학􋺸 25
    허은철 청람사학회 [2016]
  • 「조선전기 왕실의 토지소유와 경영」, 􋺷한국사론􋺸 53
    양택관 서울대 국사학과 [2007]
  • 「조선전기 왕비 대비의 본궁과 사장」, 􋺷역사와 경계􋺸 89
    신명호 부산경남사학 회 [2013]
  • 「조선전기 양계지방의 ‘회환제’와 곡물유통」, 􋺷학림􋺸 14
    박평식 사학연구회 [1992]
  • 「조선전기 녹봉의 분급과 관료가계」
    신유아 역사교육연구회, 􋺷역사교육􋺸 114 [2010]
  • 「조선전기 내수사서제에 대한 소고」
    신해순 􋺷溪村閔丙河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88]
  • 「조선전기 내수사 폐지 논쟁과 군주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윤인숙 성균관 대 대동문화연구원 [2013]
  • 「조선전기 내수사 장리제 연구」
    김종문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01]
  • 「조선전기 ‘훈구’ ‘사림’의 출처론과 공신관」, 􋺷한국사상사학􋺸 37
    김정신 한국사 상사학회 [2011]
  • 「조선왕조의 담보제도에 관한 연구」
    김재문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83]
  • 「조선왕조의 구황제도」, 􋺷일본연구􋺸 9
    박용숙 부산대 일본연구소 [1991]
  • 「조선왕조의 건국이념과 초기 구휼정책의 전개」, 􋺷제주한라대학논문집􋺸 34
    박인순 제주한라대 [2011]
  • 「조선시대의 이자부소비대차에 관한 법적 고찰」
    어인의 청주대 법학회, 􋺷법학논고􋺸 15 [1983]
  • 「조선시대의 공사채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상학연구􋺸 12-2
    김홍기 한국전 통상학회 [1998]
  • 「조선시대 향촌 양반들의 경제생활」, 􋺷고문서연구􋺸 50
    정진영 한국고문서학회 [2017]
  • 「조선시대 재해행정과 17세기 후반 진휼청의 상설화」, 􋺷동방학지􋺸 172
    원재영 연세대 국학연구원 [2015]
  • 「조선시대 재지사족의 재산소유형태」, 『대구사학』27
    김용만 대구사학회 [1985]
  • 「조선시대 사창연구」
    오환일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990]
  • 「조선시대 납속제에 관한 연구」
    문홍수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85]
  • 「조선시대 계의 조직과 그 성격변화에 대한 소고」, 􋺷역사교육논집􋺸 1 3․14합집
    신정희 역사교육학회 [1990]
  • 「조선시기의 주자학과 양반정치」, 􋺷역사와 실학􋺸 17․18합집
    김준석 역사실학 회 [2000]
  • 「조선시기의 관료제도 및 그 운영의 특성」, 􋺷한국사연구􋺸 130
    오종록 한국사연 구회 [2005]
  • 「조선 초기의 사원경제」, 􋺷대구사학􋺸 60
    하종목 대구사학회 [2000]
  • 「조선 중종초 권력구조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25
    정두희 성곡언론문화재단 [1994]
  • 「조선 중종대 역사상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사학보􋺸 17
    김범 고려사학회 [2004]
  • 「조선 전기 가족 인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향」, 􋺷한국여성철학􋺸 11
    김세서리아 한국여성철학회 [2009]
  • 「조선 왕실의 기신재 설행과 변천」, 􋺷조선시대사학보􋺸 46
    이현진 조선시대사학 회 [2008]
  • 「조선 성종대 정희왕후의 수렴청정」, 􋺷조선사연구􋺸 10
    김우기 조선사연구회 [2001]
  • 「조선 명종대의 구언과 민본이념의 변질」, 􋺷조선시대사학보􋺸 51
    이석규 조선시 대사학회 [2009]
  • 「조선 명종대 척신세력의 경제적 기반」, 􋺷역사교육논집􋺸 20
    김우기 역사교육학 회 [1995]
  • 「조선 명종대 군도의 발생배경과 활동의 특징」, 􋺷조선시대사학보􋺸 10
    한희숙 조 선시대사학회 [1999]
  • 「전근대사회에 있어서 서민 공동체로서의 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 교논문집􋺸 15
    장동섭 전남대 [1969]
  • 「전근대 사회보장제도 연구」
    최화인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7]
  • 「이조시대의 장리」, 􋺷경희대학교논문집􋺸 10
    이석륜 경희대 [1980]
  • 「율곡의 향약관과 사창계약속의 성격」, 􋺷중앙사론􋺸 6
    오환일 중앙사학연구소 [1989]
  • 「율곡 이이의 향약관」, 􋺷율곡사상연구􋺸 4
    오환일 율곡학회 [2001]
  • 「왕안석 신법의 시행과 당쟁의 발생」, 􋺷역사문화연구􋺸 46
    이근명 역사문화연구 소 [2013]
  • 「여말선초의 민본 사상과 명분론」, 􋺷애산학보􋺸 4
    김훈식 애산학회 [1986]
  • 「신라의 역록과 직전」, 􋺷한국고대사연구􋺸 13
    윤선태 한국고대사학회 [1998]
  • 「백제의 구휼․진대 정책과 ‘좌관대식기’목간」, 􋺷백산학보􋺸 83
    노중국 백산학회 [2009]
  • 「백제 대식제의 실상과 한계」, 􋺷역사와 현실􋺸 91
    정동준 한국역사연구회 [2014]
  • 「대차법의 발달」
    어인의 청주대 사회과학연구소, 􋺷한국사회과학연구􋺸 1 [1983]
  • 「고려후기 왕실재정의 이중적 구조」, 􋺷진단학보􋺸 89
    김재명 진단학회 [2000]
  • 「고려전기 사원전의 분급과 경영」, 『한국사론』18
    이병희 서울대 국사학과 [1988]
  • 「고려시대의 화폐 유통」, 􋺷경희사학􋺸 3
    김병하 경희사학회 [1972]
  • 「고려시대의 대차관계 및 이자에 관한 연구」, 􋺷국제대학논문집􋺸 9
    서길수 인문 과학연구소 [1981]
  •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숙명여대논문집􋺸 13
    김삼수 숙명여대 [1973]
  • 「고려시대 사원보의 설치와 운영」, 『역사교육논집』13 14합집
    한기문 역사교육 학회 [1990]
  • 「고려 무인집권기 수선사의 농장경영」, 『典農史論』1
    이병희 서울시립대 국사 학과 [1995]
  • 「개항후 이자자본에 관한 법적 고찰」, 􋺷국제대학논문집􋺸 7
    서길수 인문과학연구 소 [1979]
  • 「〈忠州救荒切要〉의 내용과 해제」, 􋺷한국역사연구회회보􋺸 2
    조규환 한국역사연 구회 [1997]
  • 「17, 8세기의 고리대활동에 대하여」, 􋺷경주사학􋺸 8
    마석한 경주사학회 [1989]
  • 「16세기 환자제 연구」
    조세열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1998]
  • 「16세기 환곡 운영과 진자조달방식의 변화」, 􋺷한국사론􋺸 37
    조규환 서울대 국사 학과 [1997]
  • 「16세기 지주층의 동향」, 􋺷역사교육􋺸 19
    이경식 역사교육연구회 [1976]
  • 「16세기 전답매매의 실태」, 『역사교육논집』1
    이재수 역사교육학회 [1986]
  • 「16세기 양반지주층의 경제활동」, 􋺷역사와 현실􋺸 16
    김건태 한국역사연구회 [1995]
  • 「16세기 양반사족의 수입과 경제생활」, 􋺷숭실사학􋺸 15
    김소은 숭실사학회 [2002]
  • 「16세기 시장의 성립과 그 기반」, 􋺷한국사연구􋺸 57
    이경식 한국사연구회 [1987]
  • 「16세기 농장의 발달과 사족층의 성장」, 􋺷대구사학􋺸 54
    김성우 대구사학회 [1997]
  • 「16세기 국가재정의 위기와 신분제의 변화」, 􋺷역사와 현실􋺸 16
    김성우 한국역 사연구회 [1995]
  • 「16세기 경북지역 전답매매의 실태」,『조선중기 전답매매 연구』
    이재수 법문 사 [2003]
  • 「16․7세기 전세의 정액화 과정」, 􋺷한국사론􋺸 30
    박종수 서울대 국사학과 [1993]
  • 「15세기 후반 대외무역의 확대」, 􋺷한국사연구􋺸 181
    박평식 한국사연구회 [2018]
  • 「14세기 전반 ‘개혁정치’의 내용과 그 성격」, 􋺷역사와 현실􋺸 7
    권영국 한국역사 연구회 [1992]
  • 한국사 조선전기편􋺸
    이상백 을유문화사 [1965]
  • 菅野修一, 「朝鮮世宗代の賑恤政策に關する一考察- 制度 對象 支給量 政策變化- 」, 􋺷朝鮮學報􋺸 178, 朝鮮學會, 2001.
  • 周藤吉之, 「高麗朝より朝鮮初期に至る王室財政: 特に私藏庫の硏究」, 􋺷東方學報􋺸 第十冊之一, 東方文化學園, 1939
  • 「조선전기의 ‘농장적 지주제’ - ‘사채형’ ‘권력형’ 농장 형성을 중심으로 -」
    이세영 􋺷한국문화􋺸 6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 「조선시대 향도의 변화양상과 촌계류 촌락조직」
    이해준 􋺷성곡논총􋺸 21, 성곡 언론문화재단 [1990]
  • 「조선 중종 19~20년의 전염병 창궐과 그 대응」
    이경록 􋺷중앙사론􋺸 39, 한국 중앙사학회 [2014]
  • 「공노비제도의 구조와 변화」
    지승종 􋺷조선전기 노비신분연구􋺸, 일조각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