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후경사주거지의 도시조직과 유휴공간 발생패턴 분석 : 부산 원도심 배후의 노후경사주거지를 중심으로 = Urban Tissue and Vacant Spaces‘ Occurrence Pattern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ocused on hillside residential area surrounding old downtown in Busan

정인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노후경사주거지의 도시조직과 유휴공간 발생패턴 분석 : 부산 원도심 배후의 노후경사주거지를 중심으로 = Urban Tissue and Vacant Spaces‘ Occurrence Pattern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ocused on hillside residential area surrounding old downtown in Busa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노후경사주거지
  • 도시조직
  • 발생패턴
  • 수직통과골목
  • 유휴공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8 0

0.0%

' 노후경사주거지의 도시조직과 유휴공간 발생패턴 분석 : 부산 원도심 배후의 노후경사주거지를 중심으로 = Urban Tissue and Vacant Spaces‘ Occurrence Pattern in Old Hillside Residential Area: Focused on hillside residential area surrounding old downtown in Busan' 의 참고문헌

  • 확률선택모형을 활용한 농촌 빈집의 공간적 패턴 예측
    김현중 이종길 정일훈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14(3), 15-27 [2016]
  •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의 지방소멸 2018 :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고용동향브리 프, 2018년8월)
    이성호 한국고용정보원 [2018]
  • 한국 주거의 공간사
    전남일 돌베개 [2010]
  •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김광중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43-58 [2010]
  • 학교 이전적지의 장소성 회복에 관한 연구
    이상진 임영환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계획계)), 19-20 [2010]
  • 필지체계를 통해서 본 도시공간구조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이경찬 『국토계획』, 27(4), 273-274 [1992]
  • 필지의 본질 연구
    이현준 『한국지적학회지』, 24(1), 121-135 [2008]
  • 플레이스 브랜딩 방법 적용에 의한 재생 유휴산업시설의 활성 화 방안
    조연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특집 :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도시발전 ; 공공기관 이전적지의 활용방안
    민범식 『도시문제』, 39(429), 47-55 [2004]
  • 통계로 보는 국제 주택시장 비교 : 미국 영국 일본 한국을 대상으로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이슈포커스』, 2014, 4-26 [2014]
  • 충청남도 도청의 이전에 따른 영향예측과 이전 후 활용방안 연구
    최봉문 『논문집 - 목원대학교』, 42(-), 167-181 [2003]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도청 이전적지 분석
    구자문 기정훈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7(6), 293-308 [2007]
  • 지남석.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빈집 활용방안 연구"
    이창우 『농촌계획』, 19(3), 169-182 [2013]
  • 주거지 공ㆍ폐가 정비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이재우 이창우 『주거환경』, 13, 67-79 [2015]
  • 조선후기 서울도심부 필지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승우 주종원 『국토계획』, 30(4), 75-92 [1995]
  • 조선시대 전통마을의 입지와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신진동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전국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2017년 12월 기준)
    국토교통부 [2018]
  • 전국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 현황 (2009년 12월 기준)
    국토해양부 [2010]
  •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부동산 시장구조 변화
    조주현 『부동산연구』, 21(2), 5-26 [2011]
  • 일본의 ‘少子化’ 현상의 진행양상과 사회ㆍ문화적 배경
    황달기 『일본어문학』, 38, 575-598 [2007]
  • 일본에서는 빈집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나
    남지현 세계와도시, 22호, 12-25 [2018]
  • 일본산사태학회 https://japan.landslide-soc.org/overview_index.htm
  • 일본 통계국
    https://www.e-stat.go.jp
  • 일본 구릉지 정비방식에 관한 고찰
    최정민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2(2), 117-138 [2011]
  • 일반주택지역 정비모델 개발
    김광중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 이전적지의 유형별 활용 사례 및 활용촉진방안 연구
    김형주 지준만 『도시 행정 학보』, 28(2), 145-169 [2015]
  • 이전적지의 개발이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문현석 이주형 『환경과학논문집』, 16(-), 33-45 [1995]
  • 이전적지 개발의 정책방향
    임두택 정민석 『법학논총』, 22(2), 317-342 [2002]
  • 이전적지 개발에 따른 주변지역의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기초적 연구
    윤병구 한정호 『산업기술연구소 논문보고집』, 16(2), 195-207 [1993]
  • 이전적지 개발과 지속가능한 도시 만들기
    손상락 『경남발전』, -(70), 3-13 [2004]
  • 이왕건 임상연, et al. 『도시 내 국 공유 유휴재산 활용을 위한 공공분야 협력방안』
    박소영 국토연구원 [2016]
  • 유휴공간의 유형별 재생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주형 최진욱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5), 478-489 [2016]
  • 유휴공간 분석을 위한 오픈소스 GIS 기반의 계획지원체계
    김동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9, 1-16 [2016]
  • 유휴공간 관점의 디트로이트 빈집정비 방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오준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 475-480 [2016]
  • 유휴,방치 부동산의 공간분포 및 특성 분석: 익산시를 사례로
    이희연 한수경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 1-16 [2016]
  • 유휴 입체공간의 개념과 ‘공간재생’ 계획특성 연구
    김광현 오준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7), 87-95 [2011]
  • 유형적 형태학의 연구방법에 관한 연구
    손세관 한기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6), 73-82 [1996]
  • 영국 도시재생 정책의 실체
    양도식 국토연구원 [2013]
  • 시설 이전적지 공원화 사업의 공간 재해석 유형 연구
    강효정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4), 141-152 [2014]
  • 수변공간과 공장이전적지를 활용한 복합문화시설 개발 계획
    박세창 이창재 최일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29(1(계획계)), 105-108 [2009]
  • 쇠퇴지역 빈집 특성 및 빈집 재생 시사점
    박성남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9(1), 5-20 [2018]
  • 선진사례에서 본 농촌빈집정비사업의 발전방향
    최수명 한경수 『농촌계획』, 8(1), 85-93 [2002]
  • 서울시 역세권의 혼성적 도시조직 특성 연구
    김영환 임희지 『환경논총』, 50(-), 47-61 [2011]
  • 서울시 도심부 도시형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Ⅱ)
    양승우 주종원 『국토계획』, 27(3), 209-222 [1992]
  • 서울시 도심부 도시형태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Ⅰ)
    양승우 주종원 『국토계획』, 26(4), 5-20 [1991]
  • 서울시 관수동 도심블록의 10년간 도시형태 변화 특성 분석
    김도년 배웅규 성진욱 『서울도시연구』, 11(2), 99-117 [2010]
  • 서울 사대문안의 역사적 도시조직의 변화 연구
    민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1(3), 35-48 [2010]
  • 빈집실태조사지침서 (空き家実態調査の手引き)
    일본 후쿠오카현 http://www.pref.fukuoka.lg.jp/uploaded/life/319864_53395199_misc.pdf [2015]
  • 빈집 현황 및 공간 패턴 변화 연구
    노민지 유선종 『부동산연구』, 27(4), 21-34 [2017]
  • 빈집 실태조사에 따른 농촌주거복지의 활용방안 연구
    오승하 조원섭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8(3), 214-223 [2015]
  •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노민지 유선종 『부동산연구』, 26(2), 7-21 [2016]
  • 부산도시공사 http://www.bmc.busan.kr/
  • 부산광역시 정비사업 통합홈페이지
    http://dynamice.busan.go.kr/total/main.do
  • 법제처: http://www.moleg.go.kr/main.html
  • 발표논문 : 행정학 교육,연구 공동체의 미래와 정책 재창조 ;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도청 이전적지 분 석: 경상북도 도청이전을 중심으로
    구자문 기정훈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2007(5), 293-308 [2007]
  • 미국의 브라운필드 문제와 그에 대한 법적 대응-브라운필드법을 중심으로
    박종원 『환경법연구』, 29(4), 227-257 [2007]
  • 미국 통계국 홈페이지
    https://www.census.gov/housing/hvs/data/histtabs.html
  • 매일경제 9면 신문기사
  • 독일의 도시형태학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Ⅱ = A study on the German Urban Morphology Ⅱ
    양승우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8(3), 5-16 [2002]
  • 독일의 도시형태학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Ⅰ = A Study on the German Urban Morphology Ⅰ
    양승우 『국토계획』, 35(3), 7-19 [2000]
  • 도심의 이전적지 활용에 의한 도시재생의 수법-경상북도 도청 청사를 중심으로
    김영훈 이영창 『한국디자인포럼』, 32(-), 307-316 [2011]
  • 도심내 이전적지를 이용한 도시형 리서치파크 개발사례
    장철순 『도시문제』, 29(311), 112-115 [1994]
  • 도시형태학 연구의 계보에 관한 시론적 연구
    양승우 『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31(-), 387-407 [1997]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김성길 이진덕 이현화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 29-38 [2001]
  • 도시조직에 대한 형태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손세관 한기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15(1), 221-441 [1995]
  •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http://www.city.go.kr/
  • 도시재생 맥락에서의 유휴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 방법 연구
    김현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도시공간구조변화와 도시재생을 위한 공 폐가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나주몽 손영옥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2017(1), 1-11 [2017]
  • 도시계획사를 통하여 본 부산시 공간구조의 변천과정
    이성호 『지리학논총 별호』, 34(-), 1-323 [2000]
  • 도시 주거지역에 있어서 주거와 가로의 접합방식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손세관 이동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 계』, 16(12), 159-166 [2000]
  • 도시 군부대 이전 적지의 공원화 방향에 대한 시민인식 분석 - 의정부시 사례연구
    맹치영 조세환 『한국조경학회지』, 37(2), 62-69 [2009]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개발자 센터
    행정안전부, https://www.juso.go.kr/addrlink/devLayerRequestWrite.do
  • 대도시 대규모시설 이전적지 적정활용 방안 연구
    윤병국 임성호 『한국도시행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11), 157-179 [2011]
  • 대규모 이전적지 도시재개발사업 계획과정에서의 협상사례 연구
    오종열 『한국지적학회지』, 31(3), 21-35 [2015]
  • 농촌지역 빈집정비 실태와 정책방향
    강미나 김진범 국토정책 Brief, -, 1-6 [2013]
  • 농촌지역 빈집 활용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에서 NPO의 역할
    손용훈 우정범 『농촌계획』, 20(4), 1-12 [2014]
  • 농촌빈집의 효율적 정비와 활용에 관한 연구
    김승근 박헌춘 송준숙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7(4), 17-24 [2015]
  • 농촌 빈집 소유자들의 빈집 관리,활용 실태 및 인식 분석
    김효정 최윤지 황정임 『농촌지도와 개발』, 19(4), 989-1020 [2012]
  • 노후주거지 정비체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정비체계 및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청원 장희순 『주택연구』, 14(3), 183-212 [2006]
  • 노후산업단지의 쇠퇴 영향요인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박지호 박환용 『부동산연구』, 27(4), 7-20 [2017]
  • 근현대건축의 모폴로지 이론과 건축설계
    김성홍 『건축역사연구』, 13(4), 89-105 [2004]
  • 근대산업시설 이전적지의 리모델링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적 추진방안
    김항집 조성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1), 117-125 [2017]
  • 귀농 귀촌인 중심의 빈집관리방안 연구
    김재환 백민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1), 803-811 [2017]
  • 군부대 이전적지가 주변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
    이성호 황재남 『都市硏究報』, 16(-), 59-64 [2004]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 국내 외 이전적지 활용 사례에 관한 비교연구
    김진수 동재욱 이화룡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11(4), 47-56 [2011]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679
  •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김세훈 전영미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7(1), 83-100 [2016]
  • 구릉지 주거지역 공간구조에 관한 비교연구
    손세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6(5), 51-61 [1990]
  • 괴테의 자연탐구
    강두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일학연구소 [1994]
  •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김화환 이민석 최형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118-135 [2017]
  • 공폐가 밀집지역의 시 ・ 공간 패턴과 근린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맹희영 손은정 이희연 『부동산분석』, Vol.1(No.1), 20 [2015]
  • 공장이전적지의 근린공원 조성이 지역경제 및 주민복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홍배 박정환 박진택 『국토계획』, 39(3), 145-150 [2004]
  • 공공청사 종전대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비교연구
    강중용 동재욱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지』, 33(1), 167-187 [2016]
  • 공공청사 이전에 따른 활성화 방안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29(2D), 275-286 [2009]
  • 공공시설의 복합화를 통한 학교이전적지 재생 방안에 관한 계획연구
    김다래 김일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 집 - 계획계/구조계』, 31(2(계획계)), 41-42 [2011]
  • 공공기관 이전적지 활용, 여러가지 딜레마를 넘어야
    김광남 『도시문제』, 40(437), 71-73 [2005]
  •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이전지 기념공간 설계
    박노천 안승홍 『한국조경학회지』, 40(4), 51-61 [2012]
  • 경상북도 도청이전의 최적입지 분석에 관한 연구
    구자문 기정훈 『한국행정학보』, 41(4), 335-356 [2007]
  • 경사지주택계획에 있어서 지형유형과 주동형식의 상관성 연구
    현택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1), 73-83 [1994]
  • 경사지의 환경친화적 집합주택 개발방안
    서정무 현택수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3(2), 55-64 [2002]
  • 경사지의 지형특성에 적합한 경사지주택 개발 계획
    현택수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4(1), 57-66 [2012]
  • 경사지 주택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현택수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4(4), 93-102 [1988]
  • 격자형 주거블록의 물리적 변화특성 연구
    여혜진 조윤이 『서울도시연구』, 11(4), 91-110 [2010]
  • 강구 최수명. "농촌마을 빈집,빈터의 입지특성 분석 및 활용방안"
    황한철 『농촌계획』, 13(1), 19-31 [2007]
  • 齊木崇人. (1986). "集落空間の構成原理と地形立地". 『農村計画学会誌』, 4(4), 19-32, 86.
  • 鮫島, 和. (2004). "斜面居住地の形成・課題・再生/長崎(". 『都市住宅学』, 2004(46), 38-44.
  • 鈴木健二. (2013). "長崎市の老朽危険空き家対策事業と 地域住民による防災の取組み". 『都市住宅学』, 2013(83), 39-41.
  • 金ドン均. (2017). 『 斜面市街地における居住環境の改善に関する研究: 長崎市の事例を対象として 』. 九州大学.
  • 金ドン均 有馬隆文 坂井猛. (2016). "歩行消費エネルギーからみた斜面市街地における空き家・空き地の発生要因に関する研究". 『日 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81(726), 1715-1722.
  • 西沢明. 日本の斜面都市. In: 般財団法人 日本開発構想研究所.
  • 若林芳樹. (2015). " 東京大都市圏における空き家の空間的パターンとその規定因". 『日本地理学会発表要旨集』, 2015, 100114.
  • 渡邊享子. (2009). " 斜面市街地における防災と都市開発―長崎市立山地区を事例に―.
  • 河建佑 三輪康一 栗山尚子. (2017). "空き家・空き地の活用が山麓密集市街地の住環境に与える影響に関する研究-神戸市の東垂水地区 のまちなか防災空地によるコミュニティ形成について". 『神戸大学大学院工学研究科・システム情報学研究科紀要』, 9.
  • 榊原洋平. (2004). "山麓密集市街地における共用的利用に着目した領域構成に関する研究-神戸市長田区上池田地区における事例調査 を通して". 『日本建築学会近畿支部研究報告集』, 6, 717-720.
  • 松本泰生 戸沼幸市. (2004). "東京都心部における斜面地景観の変容: 江戸東京の土地利用の変遷とその景観変化". 『日本建築学会計画 系論文集』, 69(577), 119-126.
  • 松本泰生 戸沼幸市. (2003). "東京都心部における斜面地の現況と特質: 崖と階段の分布及び斜面地の空間類型". 『日本建築学会計画系 論文集』, 68(573), 109-115.
  • 杉山和一 全炳徳. (2001). "長崎県における高密度斜面市街地の抽出 : 長崎市および佐世保市を中心に". 『GIS-理論と応用』, 9(2), 75-82.
  • 曹弼奎 澤木昌典 鳴海邦碩. (2007). "韓国釜山市の斜面密集市街地の住居環境改善事業地区における共空間の特性とその役割に関する 研究".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72(614), 175-182.
  • 曹弼奎 澤木昌典 鳴海那碩. (2008). "斜面密集市街地における個別建て替えによる空地の変化に関する研究".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 文集』, 73(623), 145-151.
  • 斜面市街地における取り組みからみた 居住地としての持続可能性に関する研究
    島有紀 『주거환경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 집)』, 12, 197-207 [2014]
  • 山下努. (2010). "不動産絶望未来".
  • 安田王作 三輪康一 末包伸吾, et al. (2004). "山麓密集住宅市街地におけるアクセシビリティの評価に関する研究(". 『神戸大学都市安 全研究センター研究報告』, 8277, 284.
  • 天野充. (2009). "傾斜度に着目した都市の住環境分析". 『長崎大学大学院生産科学研究科』.
  • 天野充 杉山和一 全炳徳. (2004). "全国斜面都市の比較分析". 『土木計画学研究・講演集』, 30.
  • 坂本, 真. 飯田, 晶. 渡辺, 貴., et al. (2016). "長崎市における斜面市街地の人口減少が俯瞰夜景にもたらす影響". 『ランドスケープ研 究』, 79(5), 585-588.
  • 全聖民 大原一興 李鎔根, et al. (2016). "丘陵住宅地における高齢者の社会活動と環境条件に関する研究:K市I住宅団地における地域資 源活用と高齢者の社会活動".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81(726), 1621-1629.
  • 『환경친화적인 산지 구릉지의 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연구』
    박재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한국 주거의 미시사』
  • 『한국 일본 영국의 빈집정책 비교연구』
    이희봉 한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도시화의 특성과 발전적 국토 도시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이원복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폐산업시설의 지속가능한 장소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한보람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지역성을 고려한 구릉지 저층형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
    이계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지역 산업 유휴시설의 창작 문화 공간 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홍분선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15]
  • 『지역 공공성을 고려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임형준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지속가능한 구릉지형 주거지 소규모 정비계획안』
    박미경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지도로본서울2013』
    서울특별시 [2013]
  • 『지도로본부산2015』
    부산발전연구원 [2015]
  • 『주택정책 반세기: 정치경제환경 변화와 주택정책의 전개과정, 주공창립40주년 기념 주거문화총서 1』
    임서환 대한주택공사 [2005]
  • 『주택재개발의 이론과 실제』
    김용호 사법행정문화원 [1995]
  • 『주거환경 개선지구 슬럼화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
    김우섭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조직 유형연구』
    양승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조망경관에서 구릉지의 역할에 따른 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모수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제1종 일반주거지역내의 노후주거지 실태분석 및 정비방향에 관한 연구』
    김광중 김인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 『전주시 빈집 발생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신문수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전라북도 빈집 실태분석 및 활용방안 연구』
    오병록 전북연구원 [2017]
  • 『저층 노후주거지의 건강친화적 주거환경 정비전략』
    강선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장소성 구축에 의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민연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자연발생적 경사지주거의 공간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진혁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일제시대 서울 도성내 대규모 필지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황희정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인구대사전』
    계봉오 김중백 통계청, 한국인구학회 [2016]
  • 『인구감소시대 빈집 문제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안 연구』
    강미나 김근용 김혜승 국토연구원 [2017]
  • 『익산시 구도심의 빈집 형성에 관한 연구』
    오승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이전적지 개발이 주변지역 공간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영곤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김현정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국내 외 전시관의 재생특성 연구』
    김인호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유휴 산업시설 컨버전의 장소성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
    문경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유휴 산업시설 리모델링을 통한 문화시설 계획』
    임인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유휴 방치부동산의 유형별 발생 특성과 고착화에 관한 연구』
    한수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우리나라 도시정비관련 법제의 변천과 해석에 관한 연구』
    고산화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오래된 집 무너지는 거리』. 이연희(Trans.)
    노자와 치에 흐름출판 [2018]
  • 『역사로 본 도시의 형태(The City Assembled: The Elements of Urban Form Through History)』
    Castillo, G. Kostof, S. 양윤재(Trans.). 공간사 [2011]
  • 『역사로 본 도시의 모습(The City Shaped: Urban Patterns and Meanings Through History)』
    Kostof, S. 양윤재(Trans.). 공간사 [2009]
  • 『실향민 정착지로서의 부산 구릉지 주거 경관』
    김성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수복형 도심 재생 방안으로서 지형 순응형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안』
    김미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쇠퇴지역 공 폐가 재생 및 활용 정책방안 연구』
    김승남 박성남 윤주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6]
  • 『서울의 도시형태 연구』
    박현찬 임희지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9]
  • 『서울시 주택개량 재개발 연혁연구』
    김광중 이인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 『서울시 빈집현황과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나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서울시 무허가정착지의 건축적 성격과 개선방향 연구』
    조용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서울시 단독주택 밀집지구의 공간 분포 변화와 유형별 특성 분석』
    성은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서울시 구릉지 개발정책에 관한 연구』
    장문준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서울 주거지역내 주거블록의 공간구조에 관한 시대적 비교연구』
    신진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서울 도심부 주거실태와 주거확보방향 연구』
    양재섭 이재수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 『서울 도심부 도시형태 및 생산활동의 변화에 대한 제도주의적 해석』
    심한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3]
  • 『서울 도심 구릉지 재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이지연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문화 공간 계획』
    곽원철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빈집의 공간분포와 빈집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분석』
    노민지 건국대학교 [2017]
  • 『빈집비축을 통한 토지은행 기능확대 방안 연구』
    이원영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요인 분석』
    이희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빈집 발생 영향요인과 지역적 입지특성』
    김선덕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불량촌과 재개발』
    김형국 나남 [1989]
  • 『불량주거지의 형성배경과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상훈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부산시의 사면 실태분석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이동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베네치아』
    손세관 열화당 [2007]
  • 『밀도 관리를 통한 구릉지 주거지 정비 방안 연구』
    조기연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Jacobs, J. 유강은(Trans.). 그린비 [2010]
  • 『리노베이션을 통한 유휴산업시설 재생 사례에 대한 연구』
    손기준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돈의문 밖 교남동의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이고운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도쿄는 교외 지역부터 사라져간다!』
    미우라 아쓰시(三浦展) 국토연구원 [2016]
  • 『도심산업유산의 활용에 관한 연구』
    이지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도시형태학의 비교해석 연구』
    이민섭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도시주거형성의 역사』
    손세관 열화당 [2004]
  • 『도시조직을 고려한 도시건축의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한중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도시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계획방안 연구』
    권혁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컨버전 방법에 관한 연구』
    조연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도시에 있어서 주거와 가로의 접합방식에 관한 유형학적 연구』
    이동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도시내 자연발생적 주거지의 정주패턴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상도동을 중심으로』
    김성일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도시공간조직에 대응하는 주거지 정비방안 연구』
    김은희 서수정 오주형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 『도시 유휴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을 통한 ʻ제3의 장소(The Third Place)ʼ 창출에 관한 연구』
    김승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도시 경계의 비공식 건축』
    홍윤주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농촌지역의 빈집 실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나건우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농촌지역의 빈집 발생 공간패턴 분석 및 공간 계획적 관리방안 연구』
    이종길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농촌 빈집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노후경사주거지를 위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적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은미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기존 구릉지 개발의 비판적 재조명을 통한 대안적 개발 방안연구』
    김광호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
    임유경 임현성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2]
  •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 창작공간의 프로그램 특성 및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이다운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1]
  •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선우해봉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국내 중소도시 빈집 실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혁 세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구릉지를 활용한 테라스하우스 설계방안 연구』
    황인성 홍익대학교 . 석사학위논문 [2005]
  • 『구릉지 활용을 위한 테라스하우스의 계획과 적용 방안』
    윤용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구릉지 주거의 특성 및 가치도출에 관한 연구』
    임덕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구릉지 주거단지 개발 : 이론과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토지개발공사 기술연구소 [1988]
  • 『구릉지 주거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정비모델 연구』
    윤노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구릉지 저층집합주거의 특성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수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구릉지 재개발지역에 있어서 현주민의 주거향상을 위한 집합주택 설계에 관한 연구』
    윤동환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구릉지 재개발 아파트의 대안적 형태 개발』
    정석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정비 등을 위한 실태조사 방법론 연구』
    임유경 임현성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 『공공시설 이전적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수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공공성을 고려한 도심내 산업시설 재생』
    백민혁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공공성 증진을 위한 도심 내 구릉지 복합주거문화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강경덕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공공기관 이전적지 활용방안』
    박지은 이상규 경기연구원 [2006]
  • 『공간의 유형학2 (Ordering space :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
    Brill, M. Frank, K. A. Schneekloth, L. H. 한필원(Trans.). 나남 [2012]
  • 『공간의 유형학1 (Ordering space :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
    Brill, M. Frank, K. A. Schneekloth, L. H. 한필원(Trans.). 나남 [2012]
  • 『골목길을 활용한 노후불량 밀집주거지의 정비방식에 대한 연구』
    김용우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경사지집단주거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규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경사지의 특성을 고려한 주거지 계획에 관한 연구』
    이상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경사지의 친환경 주거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현택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2]
  • 『경사지 활용 저층 집합주택의 개발가능성과 경사도별 모델 제안』
    이현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경사지 특성을 고려한 불량주거지의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김민수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에 관한 연구 』
    황인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경사지 주거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건축계획적 연구』
    정철훈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경사지 주거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장성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경사지 불량주거지의 재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윤태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경사지 노후주택지의 소단위 집합주거 개발에 관한 연구』
    이경섭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경관을 고려한 구릉지의 건축물 정비방안 연구』
    박현찬 이성창 서울연구원 [2012]
  • 『20세기 종로의 도시계획과 도시조직 변화』
    심경미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박철수의) 거주 박물지』
    박철수 [2017]
  • “택지7천8만평 개발”
    12.09. 매일경제, 17면
  • “의류 섬유 신발 자동차등 유휴시설 많아 ”
    01.04. 매일경제 29면
  • “빈집의 발생 원인에 따른 지역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홍대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도시로...도시로...텅빈 농촌”
    03.16. 동아일보, 11면
  • “도시 농촌 격차 심화, 농촌소득 도시근로소득대비 67% 낮아”
    09.22. 매일경제, 1면
  • “농촌빈집 合宿(합숙) 폭력조직 적발”
    09.27. 동아일보 29면
  • “농촌불황, 이농... 빈집늘어”
    05.14. 동아일보, 1면
  • “농촌歸鄕(귀향) 주택구입 양도세 면제혜택”
    03.24. 동아일보 13면
  • “농촌廢家(폐가) 청소년 비행장소로 쓰여 단속 시급”
    06.22. 동아일보 19면
  • “농촌 빈집 투기회오리”
    09.09. 매일경제, 15면
  • “농촌 빈집 10만채 넘었다”
    10.12. 매일경제, 15면
  • “꿈에 그리던'전원주택' 빈집정보센터 활용하라”
    01.24. 경향신문 44면
  • “귀농 농촌투자 이렇게 (2) 농가주택”
    03.20. 매일경제 23면
  • “農村(농촌)빈집구입 산업쓰레기 버려”
    09.26. 동아일보 13면
  • “‘방치 공사장’ 전국 573곳… 시공사 부도나고, 경매도 유찰되고”
    09.14. 문화일보
  • “3중고 농촌(1) 이농가속 일손 없어 노는 땅 급증”
    06.01. 경향신문, 13면
  • “10년 이상 공사멈춘 건축물 전국 186개”
    10.11. 문화일보
  • “ 깨끗한 공기 푸른 숲 풋풋한 흙냄새 찾아 탈도시 바람“
    동아일보 34면
  • ‘상호적 공공성’에 의한 산업유휴지 공간재생 방식에 관한 연구
    오준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et al. 『한국 주거의 사회사』
  • et al.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 연구』
    김동한 서태성 이미영 국토연구원 [2015]
  • et al. "가로체계 및 필지조직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도시조직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손세관 양우현 하재명 『국토계획』, 31(3), 21-36 [1996]
  • do Eirado Amorim, L. M. Barros Filho, M. N. M. Cruz, D. (2014). "Urban texture and space configuration: an essay on integrating socio-spatial analytical techniques". 『Cities』, 39, 58-67.
  • Wohl, A. (2017). 『The eternal slum: housing and social policy in Victorian London』. Routledge.
  • Whitehand, J. W. (2001). "British urban morphology: the Conzenion tradition". 『Urban morphology』, 5(2), 103-109.
  • Whitehand, J. W. (1994). "Development cycles and urban landscapes". 『Geography』, 3-17.
  • Whitehand, J. Gu, K. (2007). "Extending the compass of plan analysis: a Chinese exploration". 『Urban morphology』, 11(2), 91-109.
  • U.N.Habitat. (2015). 『Slum almanac 2015–2016: Tracking improvement in the lives of slum dwellers』.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UN-Habitat) Nairobi, Kenya.
  • U.N.Habitat. (2013). 『State of the world's cities 2012/2013: Prosperity of cities』. Routledge.
  • U.N.Habitat. (2007b). 『What are slums and why do they exist』. U.N.Habitat.
  • U.N.Habitat. (2007a). 『Slums: Some Definitions』. U.N.Habitat
  • U.N.Habitat. (2004). 『The challenge of slums: global report on human settlements 2003』. U.N.Habitat.
  • U.N.Habitat. (2003). 『Slums of the world: the face of urban poverty in the new millennium』. U.N.Habitat.
  • TempleUniversityCenterforPublicPolicy&EasternPennsylvaniaOrganizingProject. (2001). 『Blight Free Philadelphia A Public-Private Strategy to Create and Enhance Neighborhood Value』. Eastern Pennsylvania Organizing Project.
  • Talen, E. Anselin, L. (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0(4), 595-613.
  • Steadman, P. (2014). 『Building Types and Built Forms』. Matador.
  • Stabin Nesmith, B. (2003). "Thinking about vacancy: Conceptual schemes for representing vacant properties in city planning".
  • Spengler, O. (1926). 『The Decline of the West : Form and actuality』. C. F. Atkinson(Trans.). A. A. Knopf.
  • Sobreira, F. (2005). Favelas, barriadas, bidonvilles: The universal morphology of poverty. In: Brasilia, Brasil.
  • Schuetz, J. Kolko, J. Meltzer, R. (2012). "Are poor neighborhoods “retail deserts”?".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42(1), 269-285.
  • Scheer, B. C. Petkov, M. (1998). "Edge City Morphology: A Comparison of Commercial Center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4(3), 298-310.
  • Rybczynski, W. Linneman, P. D. (1999). "How to save our shrinking cities". 『Public Interest』, 30-44.
  • Ryan, B. D. (2012c). Shrinking-city urban form as a determinant of urban policy: The case of flint, Michigan, USA. Paper presented at the Perm, Russia: 48 ISOCARP Congress,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City and Regional Planners.
  • Ryan, B. D. (2012b). "Rightsizing shrinking cities: The urban design dimension". 『The City After Abandonment; Dewar, M., Thomas, J., Eds』, 268-288.
  • Ryan, B. D. (2012a). 『Design after decline: How America rebuilds shrinking citi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Ryan, B. D. (2008). "The restructuring of Detroit: City block form change in a shrinking city, 1900–2000". 『Urban Design International』, 13(3), 156-168.
  • Rudofsky, B. (1964).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s: a short introduction to non-pedigreed architecture』. UNM Press.
  • Rowe, C. Koetter, F. (1983). 『Collage city』. MIT Press.
  • Rapoport, A. (1988). "Spontaneous settlements as vernacular design". 『Spontaneous shelter: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ospects』, 51-77.
  • Rapoport, A. (1969). 『House Form and Culture』. Prentice-Hall.
  • Pinto, S. Sablik, T. (2016). "Understanding Urban Decline". 『Annual Report』, 4-20.
  • Pinho, P. Oliveira, V. (2009). "Cartographic analysis in urban morphology".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 n』, 36(1), 107-127.
  • Paone, S. (2018). "The New Control of Territory and Urban Planning: the Eminent Domain in the US". 『Int'l J. Soc. Sci. Stu d.』, 6, 38.
  • Panerai, P. Castex, J. Depaule, J. C., et al. (2004). 『Urban Forms: The Death and Life of the Urban Block』. Architectural Press.
  • Panerai, P. Castex, J. Depaule, J. C. (1985). 『Vom Block zur Zeile』. Birkh user.
  • Oliveira, V. (2016). 『Urban Morpholog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he Physical Form of Citi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 Norton, C. A. (2016). 『The role of fine urban grain in securing the diversity of the urban centre』.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 Noizet, H. (2009). "Fabrique urbaine: a new concept in urban history and morphology". 『Urban morphology』, 13(1), 55-66.
  • Moudon, A. V. (1997). "Urban morphology as an emerging interdisciplinary field". 『Urban morphology』, 1(1), 3-10.
  • Moudon, A. V. (1994). "Getting to know the built landscape: typomorphology". 『Ordering space: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 289-311.
  • Morckel, V. C. (2015). "Does the house or neighborhood matter more? Predicting abandoned housing using multilevel models". 『Cityscape』, 17(1), 61.
  • Morckel, V. C. (2014b).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abandonment". 『Applied Geography』, 48, 8-16.
  • Morckel, V. C. (2014a). "Predicting abandoned housing: Does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abandonment matter?". 『Community Development』, 45(2), 122-134.
  • Morckel, V. C. (2013). "Empty neighborhoods: Using constructs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housing abandonment". 『Housing Policy Debate』, 23(3), 469-496.
  • Morckel, V. C. (2012).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Housing Abandonment Using Hierarchical and Spatial Models』. The Ohio State University.
  • Molloy, R. S. (2014). 『Long-Term Vacancy in the United States』.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US).
  • Mikelbank, B. A. (2008). "Spatial analysis of the impact of vacant, abandoned and foreclosed properties". 『Federal Reserve Bank of Cleveland』.
  • Marshall, S. (2016). "Line structure representation for roa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ransport and Land Use』, 9(1), 29-64.
  • Marshall, S. (2005). 『Streets & Patterns』. Spon.
  • Mardock, L. (1998). "Predicting housing abandonment in central: Creating an early warning system". 『Central Neighborhood Improvement Association, NPCR reports/npcr1089』.
  • Manda, P. (2015). "Preparing Our Housing for the Transition to a Post-Baby Boom World: Reflections on Japan's May 26, 2015 Vacant Housing Law".
  • Malfroy, S. (1998). 『Urban tissue and the idea of urban morphogenesis』. Cambridge, Mass., The Aga Khan Program for Islamic Architecture at Harvard University and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Lin, Z. Rosenblatt, E. Yao, V. W. (2009). "Spillover effects of foreclosures on neighborhood property values". 『The Journal of Real Estate Finance and Economics』, 38(4), 387-407.
  • Levy, A. (1999). "Urban morphology and the problem of the modern urban fabric: some questions for research". 『Urban morphology』, 3, 79-85.
  • Legue, N. U. (1971). 『The National Survey of Housing Abandonment』. The Center for Community Change The National Urban League. Lynch, K. Lynch, K. R. Hack, G. (1984). 『Site Planning』. MIT Press.
  • Lee, J. Newman, G. (2017). "Forecasting urban vacancy dynamics in a shrinking city: A land transformation model". 『ISP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Information』, 6(4), 124.
  • Larkham, P. J. Whitehand, J. W. (2013). 『Urban landscapes: international perspectives』. Routledge.
  • Larkham, P. J. Conzen, M. P. (2014). 『Shapers of urban form: explorations in morphological agency』. Routledge.
  • LSE Cities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and; Deutsche Bank’S Alfred Herrhausen Society. (2013). City Transformations (Urban Age City Transformations Conferencerio De Janeiro24 – 25 October 2013).
  • Kropf, K. Ferguson, P. (2014). The City of Bath Morphological Study. In: Bath: Bath and North East Somerset Council. .
  • Kropf, K. (2017b). 『The Handbook of Urban Morphology』. Wiley.
  • Kropf, K. (2017a). "Bridging configurational and urban tissue analysis".
  • Kropf, K. (2014). "Ambiguity in the definition of built form". 『Urban morphology』, 18(1), 41-57.
  • Kropf, K. (2011).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Cutting into the substance of urban form".
  • Kropf, K. (1997). "Typological zoning". 『Typological process and design theory』, 127-140.
  • Kropf, K. (1996). "Urban tissue and the character of towns". 『Urban Design International』, 1(3), 247-263.
  • Kropf, K. (1993). 『The definition of built form in urban morphology』. University of Birmingham.
  • Kostof, S. Tobias, R. (1999). 『The City Shaped: Urban Patterns and Meanings Through History』. Thames & Hudson.
  • Kostof, S. Castillo, G. Tobias, R. (1999). 『The City Assembled: The Elements of Urban Form Through History』. Thames and Hudson.
  • Kostof, S. Castillo, G. Tobias, R. (1995). 『A History of Architecture: Settings and Rituals』. Oxford University Press.
  • Konkol, J. R. (2015). 『Urban Grain Fostering social and economic diversity through parcelization of large urban development sites. A test case in Seattle’s Central District』.
  • Kit, O. L deke, M. Reckien, D. (2012). "Texture-based identification of urban slums in Hyderabad, India using remote sensing data". 『Applied Geography』, 32(2), 660-667.
  • Kim, J. Zhou, X. (2012). "Landscape structure, zoning ordinance, and topography in hillside residential neighborhoods: A case study of Morgantown, WV".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8(1), 28-38.
  • Kim, G. Miller, P. A. Nowak, D. J. (2018). "Urban vacant land typology: A tool for managing urban vacant land".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36, 144-156.
  • Kellett, P. Napier, M. (1995). "Squatter architecture? A critical examination of vernacular theory and spontaneous settlement with reference to South America and South Africa".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7-24.
  • Karimi, K. Parham, E. (2012). An evidence informed approach to developing an adaptable regeneration programme for declining informal settlements.
  • Karimi, K. (2012). "A configurational approach to analytical urban design:‘Space syntax’methodology". 『Urban Design International』, 17(4), 297-318.
  • Immergluck, D. Smith, G. (2005). "Measuring the effect of subprime lending on neighborhood foreclosures: Evidence from Chicago". 『Urban Affairs Review』, 40(3), 362-389.
  • Hollander, J. B. Pallagst, K. Schwarz, T., et al. (2009). "Planning shrinking cities". 『Progress in planning』, 72(4), 223-232.
  • Hillier, A. E. Culhane, D. P. Smith, T. E., et al. (2003). "Predicting housing abandonment with the Philadelphia neighborhood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Urban Affairs』, 25(1), 91-106.
  • Helmholdt, N. (2009). "Neighborhood Effects of Physical Interventions to Abandoned Housing".
  • Harrison, P. (1980). 『The Third World tomorrow. A report from the battlefront in the war against poverty』. Penguin Books Ltd.
  • Han, H.-S. (2014). "The impact of abandoned properties on nearby property values". 『Housing Policy Debate』, 24(2), 311-334.
  • Habraken, N. J. Teicher, J. (1998). 『The Structure of the Ordinary: Form and Control in the Built Environment』. MIT Press.
  • Habraken, N. J. (1988). Type as a social agreement.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Asian Congress of Architects, Seoul.
  • Habraken, N. J. (1987). "The control of complexity". 『Places』, 4(2).
  • Habraken, N. J. (1981). 『The Grunsfeld variations: A report on the thematic development of an urban tissue』. Laboratory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MIT.
  • Habraken, N. J. (1976). 『Variations: the systematic design of supports』. Laboratory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at MIT.
  • Guerreiro, M. R. d. P. (2010). 『Urbanismo org nico e a ordem impl cita: uma leitura atrav s das geometrias da natureza』.
  • Guerreiro, M. R. (2000). "A l gica territorial na g nese e forma o das cidades brasileiras. O caso de Ouro Preto". 『Urbanismo de origem portuguesa』(3).
  • Gouverneur, D. (2014). 『Planning and design for future informal settlements: shaping the self-constructed city』. Routledge.
  • Gauthier, P. Gilliland, J. (2006). "Mapping urban morphology: a classification scheme for interpreting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urban form". 『Urban morphology』, 10(1), 41.
  • Garis, L. Thomas, L. Tyakoff, A. (2016). 『Distressed Properties: Pathways of Decline and the Emergence of Public Safety Risk』. University of the Fraser Valley.
  • G ney, Y. (2016). "Type and typology in architectural discourse". 『Balıkesir niversitesi Fen Bilimleri Enstit s Dergisi』, 9(1), 3-18.
  • Franck, K. A. Schneekloth, L. H. (1994). 『Ordering Space: Types in Architecture and Design』. Wiley.
  • Fernandez Rosa, F. (2011). "Phys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lum Territories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Les Cahiers d’Afrique de l’Est』, 5, 1-5.
  • Eskemose Andersen, J. (2013). "Urban morphology, urban transformations and conservation in Maputo, Mozambique. Lessons learnt and transfer of knowledge to other regions.: lessons learnt and transfer of knowledge to other regions".
  • Dyos, H. J. Dyos, H. (1982). 『Exploring the Urban Past: Essays in Urban History by HJ Dy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ovey, K. King, R. (2011). "Forms of informality: Morphology and visibility of informal settlements". 『Built Environment』, 37(1), 11-29.
  • Dovey, K. (2013). "Informalising Architecture: The Challenge of Informal Settlements". 『Architectural Design』, 83(6), 82-89.
  • Dovey, K. (2009). 『Becoming places: urbanism/architecture/identity/power』. Routledge.
  • DetroitFutureCity. (2012). 『2012 Detroit Strategic Framework Plan』. Brandon List.
  • De Leon, E. Schilling, J. (2017). "Urban blight and public health: addressing the impact of substandard housing, abandoned buildings, and vacant lots". 『The Urban Institute』.
  • Cui, L. Walsh, R. (2015). "Foreclosure, vacancy and crimeq". 『Journal of Urban Economics』, 87, 72-84.
  • Conzen, M. R. G. Whitehand, J. W. R. Geographers, I. o. B. (1981). 『The Urban Landscape: Historic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Academic Press.
  • Comptroller General. (1978). 『Housing Abandonment: A National Problem Needing New Approach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of the United States.
  • Cataldi, G. Maffei, G. L. Vaccaro, P. (2002). "Saverio Muratori and the Italian school of planning typology". 『Urban morpholog y』, 6(1), 3-14.
  • Carter, T. Jackson, C. R. Rosemond, A., et al. (2009). "Beyond the urban gradient: barriers and opportunities for timely studies of urbanization effects on aquatic ecosystems". 『Journal of the North American Benthological Society』, 28(4), 1038-1050.
  • Carter, H. (1995). 『The Study of Urban Geography』. Arnold.
  • Bradbury, K. L. Downs, A. Small, K. A. (1982). 『Urban Decline and the Future of American Cities (Paperback)』. Brookings Institution.
  • Bowman, A. O. M. (2004). 『Terra incognita: Vacant land and urban strategi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 Beske, J. L. (2007). 『How urban form effects sense of community: A comparative case study of a traditional neighborhood and conventional suburban development in Northern Virginia』. Iowa State University.
  • Bender, B. (1979). "The determinants of housing demolition and abandonment". 『Southern Economic Journal』, 131-144.
  • Batty, M. Xie, Y. Sun, Z. (1999). "Modeling urban dynamics through GIS-based cellular automata".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3(3), 205-233.
  • Batty, M. Marshall, S. (2017). "Thinking organic, acting civic: The paradox of planning for Cities in Evolu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66, 4-14.
  • Batty, M. Cole, S. (1997). "Time and space: Geographic perspectives on the future". 『Futures』, 29(4), 277-289.
  • Batty, M. (2008). "The size, scale, and shape of cities". 『science』, 319(5864), 769-771.
  • Bassett, E. M. Schweitzer, J. Panken, S. (2006). "Understanding housing abandonment and owner decision-making in Flint, Michigan: An exploratory analysis". 『Genesee Institute』.
  • Barnett, J. (2003). "Redesigning Cities: Principles". 『Practice, Implementation』.
  • Appleyard, D. Gerson, M. S. Lintell, M. (1981). 『Livable Stree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Apgar, W. C. Duda, M. Gorey, R. N., et al. (2005). "The municipal cost of foreclosures: A Chicago case study". 『Homeownership Preservation Foundation Housing Finance Policy Research Paper』, 1.
  • Anderson Stanford Institute for Architecture Urban Studies. (1978). 『On Streets』. MIT Press.
  • Amorim, L. Barros Filho, M. Cruz, D. (2009). Urban texture and space configuration. Paper presented at the 7th International space syntax symposium.
  • 20세기 초 서울 필지분할의 과정과 물리적 특성
    백선영 안건혁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7(1), 157-164 [2011]
  • 07.02. Mintpressnews, “Empty Homes Outnumber The Homeless 6 To 1, So Why Not Give Them Homes?”
  • "학교 이전적지의 적정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수 김창신 김현호 『교육시설 논문지』, 18(1), 29-38 [2011]
  • "유휴공간 유형별 특성 분석과 도시재생을 위한 복합적 토지이용 기법에 관한 연구"
    김상훈 남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 45-66 [2016]
  • "대구시 대규모시설 이전적지의 개발에 관한 연구"
    이지은 최영은 최판길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 획계/구조계』, 23(1), 533-538 [2003]
  • "농촌 빈집 정비 사업의 현황과 개선 방향"
    조영재 최동진 최수명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2001(-), 252-255 [2001]
  • "노후경사주거지 유휴공간 발생특성에 관한 연구"
    우신구 정인아 2017 하반기종합학술대회. 『한국도시재생학회』 [2017]
  • "노후경사주거지 유휴공간 발생과 지역특성 분석"
    우신구 정인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5(2) [2019]
  • "노후 경사주거지 쇠퇴지표로서의 유휴공간 발생패턴 연구"
    우신구 정인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34(3), 93-104 [2018]
  • "군기지 이전지 활용에 관한 참여설계과정 - 요코하마 후카야 통신소 이전지 아이디어 공모사업 사례"
    박지현 손용훈 츠게, 키 『한국조경학회지』, 39(3), 10-25 [2011]
  • "군 이전적지 재개발 사업추진을 위한 기초연구"
    임창호 조경훈 조명호 『국토계획』, 39(4), 81-92 [2004]
  • "공가 실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남원석 박은숙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4(2), 325-346 [2014]
  • "斜面市街地の移動手段の開発(사면시가지의 이동수단의 개발)"
    扇谷保彦 石松隆和 茂地徹 『日本ロボット学会誌』, 21(4), 374-377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