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교권의 개념과 보호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tection Methods of Teachers’ Authority

조기성 2019년
논문상세정보
' 교권의 개념과 보호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tection Methods of Teachers’ Author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권 침해
  • 교권보호
  • 교권보호위원회. 시민교육
  • 교원지위법
  • 주요어 : 교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4 0

0.0%

' 교권의 개념과 보호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s and Protection Methods of Teachers’ Authority' 의 참고문헌

  • 훌륭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토드 휘태커 서울: 지식의 날개 [2010]
  • 헌법학원론
    권영성 서울: 법문사 [1995]
  • 헌법상 교원지위 법정주의(제31조 제6항)에 관한 비판적 연 구
    김재윤 울산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논문 [2018]
  • 헌법과 교육
    김철수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행정실무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탐구
    이혜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8), 250-262 [2017]
  • 학습자, 학부모 및 교사가 기대하는 교사상 분석
    강성빈 한국교원교 육연구, 26(3), 417-437 [2009]
  • 학생체벌을 둘러싼 학생의 인권과 교권과의 관계
    정순원 법과인권 교육 연구, 3(3), 65-87 [2010]
  • 학생인권은 교권에 대립하는가?: 교권 대 학생인권 프레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성열관 이기일 교육사회학연구, 22(4), 171-197 [2012]
  • 학생인권보호와 교권의 존중
    정순원 교육비평, 28, 10-25 [2011]
  • 학생의 인권보장 정도와 교권 존중과의 관련성
    구정화 법과인권교 육연구, 7(3), 1-19 [2014]
  •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실붕괴의 원인과 대책
    김은주 인문사회교육연 구, 6, 139-163 [2003]
  • 학교폭력예방 및 효율적 대처방안 – 정부의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허종렬 저스티스, 134(3), 118-140 [2013]
  • 학교폭력 거버넌스 분석에 관한 연구
    김영재 정상완 한국위기관리 논집, 9(6), 183-200 [2013]
  • 학교의 민주적 운영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 는 영향 연구: 학생회의 민주적 운영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 으로
    모상현 이중섭 청소년학연구, 19(9), 281-308 [2012]
  • 학교의 민주시민교육
  • 학교안전사고의 법적 책임과 교권보호
    하윤수 교육법학연구, 9, 97-132 [1997]
  • 학교안전사고에 따른 교원의 책임범위와 교권 침해
    김태완 교육 법학연구, 16(2), 27-54 [2004]
  •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교원의 책임과 교권의 보장에 관한 연 구
    주성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학교생활에서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부모역할
    최혜영 국민윤리연구, 48(1), 85-102 [2001]
  • 학교부적응과 중도탈락: 현황 및 대처방안
    한상철 청소년행동연구, 16, 39-65 [2011]
  • 학교란 무엇인가
    정성욱 서울: 중앙북스 [2011]
  • 학교교육에서 학생의 인권과 교권에 관한 연구 – H. Nohl의 “교육적 관계론”의 관점에서
    김철 교육사상연구, 26(2), 1-19 [2012]
  • 학교교육에 대한 인식수준이 사교육 수요에 미치는 영향 탐색
    송경오 정성수 교육행정학연구, 28(3), 275-299 [2010]
  • 학교교권보호위원회 운영 및 절차에 관한 실무적 문제와 개 선점
    이상훈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발표문, 15-26 [2016]
  • 학교공동체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교원단체의 역할과 과제
    강인수 교육법학연구, 16(1), 1-36 [2004]
  • 핀란드 교육자치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
    김병찬 교육행정학연구, 30(3), 95-124 [2012]
  • 핀란드 교육의 성공
    후쿠다 세이지 서울: 북스힐 [2009]
  •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 동향 고찰
    김병찬 한국교육학연구, 21(2), 93-121 [2015]
  • 코칭학 개론
    길영환 김혜연 도미향 이소희 서울: 도서출판 신정 [2016]
  • 초등학교 조직풍토와 교사 자기개발욕구에 관한 연구
    김성희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연구
    조수현 서울교대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초 중등 교원의 명예퇴직 사유 분석
    김성기 황준성 한국교원교육 연구, 29(4), 109-127 [2012]
  • 초 중 고 학부모의 학부모교육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김은영 이강이 정정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161-182 [2015]
  • 중등교사의 교권상실감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 -사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필수 엄준용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127-155 [2016]
  •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이 학생의 정신건강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희수 윤은종 미래교육연구, 18(2), 44-63 [2005]
  • 정서적 문제, 비행, 학업스트레스 및 진로성숙도가 고등학생 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배성만 청소년학연구, 23(6), 317-332 [2016]
  • 인문계 고등학교 담임교사 기피요인 분석
    권지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인권법
    곽노현 류은숙 염형국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8]
  • 유리야 핀란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마스다 서울: 시대의 창 [2011]
  • 왜 핀란드교육인가?
    김병찬 서울: 박영스토리 [2017]
  • 왜 교사가 존경받지 못하는가? - 그 역사적, 사회적 배경
    안기성 사 학, 70, 24-33 [1994]
  • 영국, 미국, 노르웨이, 독일의 학교 폭력 예방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처방안 분석연구
    김상곤 김희영 배진형 한정숙 학교사회복지, 25, 333-364 [2013]
  • 안녕 헌법
    차병직 서울: 지안 [2010]
  • 아이의 미래를 바꾸는 학교혁명
    켄 로빈슨 경기도 파주: 21세기 북스 [2015]
  • 신자유주의 교육에 따른 학부모의 수요자 중심적 권리 인식 과 교사의 정체성 변화
    권미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신교육법
    김범주 서울: 지정 [2001]
  •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자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성열관 교육과정연구. 33(2), 157-178 [2015]
  • 세계의 고등학교 교육
    구자억 서울: 명문화사 [2009]
  • 선진각국의 교권보호방안 – 법적 측면에서의 고찰 -
    노기호 사학, 20-27 [2011]
  • 선생이 부서져 간다
    나카지마 가즈노리 서울: 글누림출판사 [2016]
  • 사회는 교사에게 어떤 역할을 기대하는가? : 2007~2016년 신문자료 내용분석을 통한 교사 역할기대 경향 연구
    김갑성 오희정 한국교원교육연구, 34(3), 139-166 [2017]
  •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 석
    구은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법제적 차원에서 본 교권의 의미
    황준성 교육철학연구, 52, 55-79 [2014]
  • 법과 사회
    김범주 서울: 형설출판사 [2006]
  •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이상오 교육의 이론 과 실천, 19(2), 23-52 [2014]
  • 독일의 대학입시와 고교교육과의 연계에 관한 연구
    김상무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1), 1-22 [2016]
  • 델파이 방법
    이종성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기본권으로서 교권에 대한 논의 – 교권보호의 출발점
    김언순 한국교 육 사학. 36, 79-114 [2014]
  • 기대하는 학교교사상과 학원강사상의 비교
    강성빈 인문학논총, 14(1), 229-253 [2006]
  • 교직 전문성은 교사들의 삶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 초등교사의 자기 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석례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령 개정방향
    이종근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발표문, 49-71 [2016]
  •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령 개정 방향과 과제
    이덕난 교육활동 보호 를 위한 법 개정 정책토론회, 7-20 [2016]
  • 교육학개론
    강선보 김정환 서울: 박영스토리 [2016]
  • 교육의 미래 티칭이 아니라 코칭이다
    폴 김 함돈균 서울: 세종서적 [2017]
  • 교육권을 둘러싼 법적 논의와 한계성에 관한 연구
    나달숙 법과인권 교육연구, 6(2), 23-41 [2013]
  • 교육권론
    노기호 서울: 집문당 [2008]
  • 교원지위법의 쟁점과 과제
    김성기 교육법학연구, 28(4). 1-22 [2016]
  •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 개정 방향
    이종근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법개정 토론회 발제문, 3-38 [2018]
  • 교원의 교육권의 법리
    손희권 교육행정학연구. 25(4), 47-72 [2007]
  • 교원의 교육권 보호법안 제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노기호 공법학연 구. 9(2), 257-285 [2008]
  • 교원의 교육권 보장과 그 한계
    최인화 미국헌법연구, 22(3), 433-462 [2011]
  • 교원의 교권상실 경험에 관한 연구
    이경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 교실속 자존감
    조세핀 김 서울: 비전과 리더십 [2017]
  • 교실 내 폭력의 현황과 대책: 교사의 폭력피해를 중심으로
    장준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03 [2012]
  • 교사의 학습된 무기력과 대처방안
    김영희 소년보호연구, 1, 135-153 [1999]
  • 교사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의한 교권 침해 실태 와 대처과정연구
    박경애 조현주 한국교원교육연구, 32(2), 93-122 [2015]
  • 교사의 수업권에 관한 연구
    송요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교사의 권리, 학생의 인권
    김진 하승수 서울: 사계절 출판사 [2003]
  • 교사의 교육활동보호를 위한 법제적 방안에 관한 연구
    이종근 법학 논고, 893-914 [2015]
  • 교사의 교육권과 학생의 권리간의 상충과 조화
    정현승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교사의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 및 직무 만족과의 상관관계 연 구 – 인천광역시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이찬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원정책전 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교사와 학생 모두를 존중하는 문화
    송경은 우리교육, 144-151 [2013]
  • 교사소진의 원인과 대안 모색
    김은주 교육의 이론과 실천, 22(1), 1-38 [2017]
  •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김범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
    엄기호 서울: 따비 [2016]
  • 교사 직무의 적정 범위와 법제화 방안
    노기호 한양법학. 24(3), 95-119 [2013]
  • 교권침해 실태와 요인에 대한 초 중 고등학교 교사의 인 식
    김은주 학습자중심교육연구, 18(17), 167-197 [2018]
  • 교권침해 실태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학부 모의 역할과 인식을 중심으로
    염보아 최선옥 황의갑 한국치안행정논집, 14(4), 165-190 [2018]
  • 교권조례 및 학생인권조례를 통해 본 교권의 의미 분석
    이덕난 교 육철학, 52, 29-53 [2014]
  • 교권의 범위와 한계에 관한 연구 –법률유보원칙을 중심으로-
    오승호 시민교육연구, 43(3), 75-100 [2011]
  • 교권의 개념적 구조와 교권 침해 사례 분석
    이명주 교육논총, 54(3), 1-28 [2017]
  • 교권의 개념과 침해 구제방안
    정상우 조기성 교육문화연구, 22(6), 33-57 [2016]
  • 교권보호조례를 통해서 본 교권의 재음미
    김운종 한국교원교육연구, 30(4), 117-138 [2013]
  • 교권보호를 위한 종합적 제도 개선방안
    신정기 사학, 28-35 [2011]
  • 교권과 학생인권의 법적 쟁점 분석
    김달영 교육법학연구, 26(2), 27-46 [2014]
  • 교권(敎權) 보호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고전 교육행정학연구, 30(4), 53-72 [2012]
  • 교권 침해를 둘러싼 법적쟁점 분석과 교권보호방안
    한정수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교권 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치유를 위한 예 방 및 개입 방향 탐색
    유형근 정연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9), 789-808 [2015]
  • 교권 침해 양상과 교사의 대응
    김여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교권 침해 실태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 조사
    주철안 최경실 교 육혁신연구, 25(1), 73-95 [2015]
  • 교권 바르게 찾아가기
    김성기 이덕난 황준성 서울: 가람문화사 [2017]
  • 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
    하윤수 교육법학연구, 30(2), 185-210 [2018]
  • 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연구
    김승희 김해경 이성주 복지상담교육연구, 5(2), 143-166 [2016]
  • 고등학생 인성교육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김장회 이현정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275-314 [2018]
  • 경쟁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안: 현장 사회과 교 육을 중심으로
    백승대 정용교 사회과교육연구, 18(2), 91-106 [2011]
  • 경남의 교권 침해 실태 및 시사점
    이자성 정책포커스 이슈 분석, 1-74 [2009]
  • 감성 사회성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
    김미진 홍후조 학습자 중심교육연구, 15(5), 95-117 [2015]
  • 『우리 아이들을 지키는 법』-아동학대신고자용-
    법무부 한국법교육센터 [2017]
  • 『미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의 교권보호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2014]
  • 『교육활동 보호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학교교권보호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6]
  •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안내 자료』 - 교권침해 사안별 대응방안 -
    인천광역시교육청 [2017]
  • 『교사의 행복을 위해 함께 떠나는 교권여행』
    한국교원연수원 [2016]
  • 『교권보호 길라잡이 2014』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3]
  • 『교권 침해 예방 및 대응 매뉴얼』
    대전광역시교육청 교권보호지원센터 [2013]
  • 『교권 침해 예방 및 교원을 위한 생활법률』
    한국교총 종합교육연수원 서울: 고흥기획 [2016]
  • 『교권 침해 대응요령』
    부산광역시교육청 [2012]
  • 『교권 침해 대응 매뉴얼』
    전라북도교육청 [2015]
  • 『교권 보호 종합 대책(2012. 8. 28)』
    교육과학기술부 [2012]
  • 『교권 보호 종합 대책 보도자료(2012. 8. 28)』
    교육과학기술부 [2012]
  • 『2018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가이드북』
    인천광역시교육청 [2018]
  • 『2018년 교육활동 보호 매뉴얼』
    인천광역시교육청 [2018]
  • 『2017해외교육동향』
    한국교육개발원 [2017]
  • 『2017년도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실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8]
  • 『2017년 교육활동 보호 매뉴얼』
    인천광역시교육청 [2017]
  • 『2016년도 교권회복 및 교직상담 활동실적』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7]
  • 『2015 교권교직상담실적보고서』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16]
  • 『2013 교권보호 길라잡이 이럴 땐 어떻게?』
    경기도교육청 [2013]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전종익 정상우 개선 방안 연구 : 교육과 예방 및 회복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25(1), 205-229 [2013]
  • “교원소청심사제도에 관한 연구”
    이동찬 한양법학, 369-384 [2008]
  • Ulich, Robert(2009). Crisis and Hope in American Education. Boston: Beacon Press.
  • Shotaro, Takshashi(1998). When student violence erupts: Japan Quarterly; Tokyo 45(3)
  • Sachs, J. (2003). teacher professional standards: Controlling and developing teaching.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9(2), 175-185.
  • Littleton public school(2015-2016). Student Code of Conduct, 1-69.
  • LaVan, H., & Martin, M. (2008). Bullying in the U.S. workplace: Normative and process-oriented ethical approach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83, 147–165.
  • Kirsi Tirri & Tapio Puolimatka(2000). Teacher Authority in Socials: a case study from Finland.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26(2). 157-165.
  • Kerry J. Kennedy(1997).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Modern State(1st ed.). London: Falmer Press.
  • Julian G. Elliott(2009). The nature of teacher authority and teacher expertise. Support for Learning, 24. 197-204.
  • John Dewey(1944). Democracy and Education. NY: Macmillan Company.
  • Galand, B., Lecocq, C., & Philippot, P. (2007). School violence and teacher professional disengagement.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465–477.
  • GRIT
    엔젤라 더크워스 서울: 비즈니스북스 [2016]
  • Dianne L. Common(1985). Teacher Authority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Erosion of a Barren Ground.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7(4), 25-38.
  • David Schimmel. The Federal Teacher Protection Act at Ten: The Goals, The Critics, the Cause, and The Consequnces. West’s Education Law Reporter. January 5, 2012.
  • Chris Kyriacou & Antonio Zuin(2016). Cyberbulling of teachers by students on Youtube: challenging the image of teacher authority in the digital ag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31(3). 255-273.
  •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Education(2011). New Program Help Students Keep Violence-Free. Retrieved July 9, 2011,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 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