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 실행형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Antecedents for STEAM Education

이진숙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 실행형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Antecedents for STEAM Educ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초등교육( 국민학교 교육 )
  • steam 교육
  • 실행형태
  • 영향요인
  • 초등학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31 0

0.0%

' 초등학교 교사들의 STEAM 교육 실행형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Antecedents for STEAM Education' 의 참고문헌

  • 교육부 STEAM으로 꿈과 끼를 키우다: STEAM 교육 현황 및 정책방향 [2013]
  • 현장 평가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 국교육개발원
    김훈 조향숙 허준영 현장보고 OR 2012-02-02 [2012]
  • 한국의 융합인재교육(STEAM): 우리나라 STEAM 교육을 위한 고려사 항
    박현주 제 61차 한국과학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2012]
  • 한국의 다빈치 교육. 융합인재교육(STEAM) 추진성과 보고 (2011.12.20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창의과 학재단. 융합인재교육(STEAM) 2011년도 성과발표회 자료집 [2011]
  • 한국과학창의재단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김종욱 김준수 김진수 실과 교육연구, 21(2), 25-44 [2015]
  •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 실천적 변화 모색
    노상우 안동순 교육종합연구, 10(1), 67-88 [2012]
  • 학교내 무한상상실 기반의 STEAM 교육에 대한 학교구 성원원의 인식 변화
    김기수 김기열 함형인 실과교육연구, 23(2), 127-145 [2017]
  • 통합적 STEM 교육: 최근 동향 및 쟁점
    권혁수 박경숙 이효녕 중등교육연구, 59(3), 729-762 [2011]
  • 통합교육과정의 재음미
    권낙원 교원교육, 19(1), 308-328 [2003]
  •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김경자 이경진 초등교육연구, 25(3), 55-81 [2012]
  • 통합교육과정 실행정도와 관련변인 분석
    이미숙 이화여자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통합교육과정
    김재복 서울: 교육과학사 [2000]
  • 통합교과적 접근에 의한 현대음악 학습 지도연구: 바르톡의 연 가곡 ‘ 시골 풍경(Dorfszenen)’을 중심으로
    유정은 장근주 음악교육공학, 9, 171-189 [2009]
  • 통합 교육과정에 근거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임유나 초등교육연구, 25(4), 53-80 [2012]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서주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초등학교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형태 및 영향요인 분석
    양무열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초등학교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실행형태 분석
    김대현 김은주 김혜나 양무열 수산해양교육연구, 25(2), 321-340 [2013]
  • 초등학교 교육과정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에 대한 요인분석
    김정란 부산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Ⅰ: 총론, 재량활동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미래엔 컬쳐 그룹 [2009]
  •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신영준 한선관 초등과학연구, 30(4), 514-523 [2011]
  •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 발
    오미옥 중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초등영재 담당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영재교육 전문성 비교 분 석
    여상인 최남구 과학교육연구지, 38(1), 15-28 [2014]
  •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정광순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2004]
  •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신재한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81-106 [2013]
  •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우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교육부 [2015]
  • 초 중등학교 학생의 STEAM 문제해결력 평가 도구의 개발
    박현주 백윤수 변수용 심재호 교사교육연구, 56(2), 190-210 [2017]
  •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적 의미와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
    나지연 송진웅 교과교육 학연구, 18(3), 827-845 [2014]
  •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에 관한 연구
    김찬호 민귀영 문화와융합, 38(3), 99-118 [2016]
  • 창의 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강정찬 교육방법연구, 27(3), 한 국교육방법학회, 275-305 [2015]
  •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김영석 김한별 유기웅 정종원 서울: ㈜ 박영사 [2012]
  • 질적 연구방법론 Ⅰ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06]
  • 중학생들의 방과 후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강화 STEAM 지향 과학 교수 전략
    강순회 이우정 교과교육학연구, 18(2), 321-342 [2014]
  • 조정수 역. 교육의 질적 연구 방법론
    Bacon. 서울: 경문사 [2006]
  • 제2차 과학기술인력 육성 지원 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0]
  • 인형극을 통한 예술 중심 STEAM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유 남궁정도 박성수 신재한 이영미 조준범 한주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1), 215-240 [2013]
  •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IT 기반 STEAM 교 수 학습 방안
    김병수 김정아 김종훈 이지훤 수산해양교육연구, 23(3), 445-460 [2011]
  • 융합인재교육(STEAM)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 교사들 의 인식조사
    김영신 이태상 임수민 과학교육연구지, 38(1), 133-143 [2014]
  •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과 실행 방향에 대한 국 내외 전문가들의 인식
    이효녕 전재돈 정재화 과학교육연구지, 39(3), 358-375 [2015]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과학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진수 배진호 윤봉희 초등과학교육, 32(4), 557-566 [2013]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과학 학습 동기, 흥 미 및 과학적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성진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시예 이형철 초등과학교육, 32(1), 60-70 [2013]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태도 에 미치는 영향
    박혜원 신영준 생물교육, 40(1), 132-146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자기효능감, 흥미 및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혜원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김성원 우애자 이현주 정영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행한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이화정 한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3), 573-603 [2012]
  •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형태 분석
    노석구 채희인 과학교육연구지, 39(1), 44-57 [2015]
  • 융합인재교육(STEAM) 활성화 방안. 융합인재교육(STEAM) 수도권 설명회(2011.7.11.)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창의과학재단 [2011]
  •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의도한 융합요소 와 학습자가 인지한 융합요소 간의 일치도 및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주은정 홍준의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301-321 [2014]
  •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곽혜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융합인재교육(STEAM) 심화과정 연수에 대한 초 중등교 사의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기수 김영민 이영주 실과교육연구, 22(2), 51-70 [2016]
  • 융합인재교육(STEAM)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교육 고찰. 월간과학 창의 2월호
    이효녕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신영준 이정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3), 588-596 [2014]
  • 융합인재교육 모델로서 과학인형극 프로그램의 과학선호도와 자 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효과
    김경수 하주일 한국과학예술포럼, 21, 437-449 [2014]
  • 융합인재교육 교사 연수 개선 방안
    이영준 최정원 융합교육연구, 2, 83-91 [2016]
  • 융합은 얼마나: 이론상의 가능성과 실천상의 장벽에 관하여. 홍성욱 편. 융합이란 무엇인가: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21-40
    박상욱 서울: 사이언스 북스 [2012]
  • 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숙의: 과학예술영재학교 교 육과정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김영민 김주아 이미경 교육과정연구, 32(4), 47-75 [2014]
  • 융합교육(STEAM)을 활용한 고등학교 물리수업방법 연구
    이학용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융합교육 연수경험과 수업적용 여부가 STEAM 관심단계에 미치는 영 향
    이미순 교육학연구, 52(1), 251-271 [2014]
  • 융합 인재교육(STEAM) 실행 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 융합 인재 교육(STEAM) 연수를 통해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수업실행을 경험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조사
    김중복 박혜정 이지원 초등과학교육, 32(1), 47-59 [2013]
  •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권난주 안재홍 한국과학교 육학회지, 32(2), 265-278 [2012]
  • 유아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을 통한 STEAM 교 육 현장적용방안 탐색
    김현수 안효진 유지영 유아교육학논집, 20, 71-96 [2016]
  •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STEAM 교 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박현주 백윤수 변수용 심재호 정진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69-679 [2016]
  •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 예비과학교사와 현직과학교사의 STEAM 수업 실행에서 나타나는 전문 성 탐색
    최숙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예비 과학 교사의 과학, 과학 학습, 과학 교수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 인식론적 신념의 맥락 의존성
    강남화 김병석 윤혜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1), 15-25 [2015]
  •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안혜란 유미현 영재교 육연구, 25(3), 401-420 [2015]
  •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 대상자들의 관심도 분석 및 교사연 수 후 변화
    박선화 왕유진 영재교육연구, 24(6), 917-934 [2014]
  • 심층면담과 초상화 기법 중심의 질적 연구 방법론
    전영국 한국교육인류학회 학 술대회 발표자료집 [2011]
  • 실행의 깊이에 따른 교사신념 및 지식과 교육과정실행 간의 관 계: 초등 사회과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이경진 최진영 교육과정연구, 26(1), 103-126 [2008]
  •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기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김정아 김종훈 오정철 이지훤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3), 11-23 [2012]
  •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무엇이 아이들을 즐 겁게 하는가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 영향 변인과 교사의 인식 분석
    박선형 천일석 교육 과정연구, 25(1), 213-246 [2007]
  • 배선아 STEAM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금영충 대한공업교육학 회지, 37(2), 57-75 [2012]
  • 발명 기반 STEAM(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발명영재의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효과
    김민정 문대영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3), 77-93 [2016]
  • 미래 사회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 육과구상
    곽영순 이근호 이승미 최정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RRC 2012-4 [2012]
  • 미디어스토리텔링디자인 기반 STEAM 프로그램의 고등학교 화학교육 적용 효과
    현은령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3), 639-650 [2016]
  • 미국 STEM 교육의 최신 동향과 딜레마
    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01-122 [2012]
  • 물의 오염도 측정에 대한 STEAM 교육 교재개발
    최정훈 홍민아 황북기 한국 환경과학회지, 21(8), 909- 929 [2012]
  • 로봇을 활용한 STEAM기반 프로그래밍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 성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전석주 채수풍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59-166 [2015]
  •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 과정 실행양상 해석
    한광웅 사회과교육연구, 17(4), 145-167 [2010]
  •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대안 모색 -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융합교과목 개발
    홍병선 교양교육연구, 3(2), 51-78 [2009]
  • 다중메뉴모델에 기초한 학교 현장에서의 STEAM 교육과정 제 안
    이미순 조무정 교육과정연구, 32(1), 77-192 [2014]
  • 나노과학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개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극복 방안 사례 연구
    손미현 정대홍 최원호 현장과학교육, 10(1), 103-116 [2016]
  • 국어교육: 교육과정 실행 평가로서의 국어과 수업 평가
    정민주 새국어교육, 86, 329-351 [2010]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의 작용 양상에 대한 연구
    정혜승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2]
  •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 연구 현황 분석 을 통한유아교육에서의 방향 탐색
    김대욱 김민정 조형숙 유아교육연구, 34(4), 139-161 [2014]
  •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김영홍 김진수 한국공업교육학회 지, 42(1), 140-159 [2016]
  • 교장의 자율권과 그 행사방식에 대한 두 가지 시선: 교사와 관 리자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대현 김혜나 교육종합연구, 12(1), 71-97 [2014]
  • 교육과정의 이해
    김대현 서울: 학지사 [2017]
  • 교육과정의 운영. 한국교육과정 학회(편).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홍후조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 인식 실행 결정 요인분석
    추광재 한국교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김경배 김재건 이홍숙 서울: 학지사 [2005]
  • 교육과정 운영
    김두정 교육과정연구, 14(1), 106-125 [1996]
  •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 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탐구
    김두정 교육과정연구, 27(3), 127-157 [2009]
  •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30(3), 247-270 [2012]
  • 교육과정 실행 형태의 제 변이에 관한 연구 – 초등과학 탐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손승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권낙원 박승렬 추광재 교육과정연구, 24(2), 87-106 [2006]
  • 교육과정 실행 방안에 대한 연구
    윤광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1), 65-86 [2000]
  • 교육과정 변화기 사회과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변화지 향적인 교사의 교실 수업 변화에 대한 이해
    박윤경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자로서의 초등교사
    김경자 교육과학연구, 34(1), 145-161 [2003]
  • 교양 교육을 위한 과학기술과 인문예술의 융합 교육 (STEAM)의 이해
    이효녕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1 [2016]
  • 교실 수준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시각 에서의 분석
    김두정 교육과정연구, 24(1), 1-40 [2006]
  •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박홍희 교육연구논총, 30(2), 1-25 [2009]
  • 교사의 교육과정 인식과 실천에 대한 연구
    김민환 교육과정연구, 17(1), 219-247 [1999]
  •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박승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8]
  • 교사들의 아이디어 융합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역지 대 의 진화과정탐색: 자율적 학습공동체 “STEAM 교사 연구회” 사례연구
    이준기 이태경 하민수 한국과 학교육학회지, 33(5), 1055-1086 [2013]
  • 교과대체형 STEAM(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후 학생들의 인식 분석: 6학년 에너지 관련 단원 을 중심으로
    김오범 김은정 임성만 채동현 한제준 현동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19-132 [2014]
  • 과학창의재단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김준수 실과교육연구, 21(2), 25-44 [2015]
  •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적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박상우 박영관 정원우 과학교육연구지, 40(2), 166-188 [2016]
  • 과학사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의 설계 및 효과분석
    박영관 경북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7]
  • 과학기술예술 융합 STEAM교육 활성화 방안 발표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2011]
  •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 과 학교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이선경 황세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74-990 [2012]
  • 과학교사의 STEM 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STEM-PCK 변화 분석
    오희진 경북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과학-예술 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김성원 문지영 송주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1007-1020 [2013]
  •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 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이영은 이효녕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2014]
  •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 전자 통신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배선아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플립러닝 수업설계원리 개발 연 구』
    홍현미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융복합교육”의 개념화: 융(복)합적 교육 관련 담론과 현장 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김경자 이경진 교육과정 연구, 23(3), 57-80 [2005]
  •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 의미와 교사의 역할
    이경진 최진영 교육과정연 구, 23(3), 57-80 [2005]
  • ‘교육과학기술부 u-러닝 연구학교’ 교원의 관심도 분석
    이경순 교과교육학연 구, 13(4), 820-850 [2009]
  • Yakman. G.(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upils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2008 Annual Proceedings. Netherlands.
  • Yakman, G. & Kim, J.(2007). Using BADUK to Teach Purposefully Integrated STEM/STEAM Education. In 37th Annual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for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tlanta, USA.
  • Wagner, D.(1983). The Seven Liberal Arts in the Middle Ages. Indiana University Press.
  • Tyler, R. W.(195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Syllabus for Education 305.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Taking Charge of Change. 김경자 역(1993). 교육과정혁신 :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실행 모형 (CBAM)
  • Stigler, J., & Hiebert, J.(1999). The teaching gap. NY: The Free Press.
  • Soloway, E., Guzdial, M., & Hay, K.(1994). Learner-centered design: The challenge for HCI in the 21st century. Interactions, 1(22), 36–48.
  • Snyder, J., Bolin, F., & Zumwalt, K. (1992). Curriculum implementation. Handbook of research on curriculum, 40(4), 402-435.
  • Short, E. C.(1993).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curriculum supervision, 9(1), 77-87.
  •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 27(2), 4-13.
  • Schwab, J. J.(1978). Science, Curriculum, and Liberal Education: Selected Essay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anders, M., Kwon, H. S., Park, K. S., & Lee, H.(2011). Integrativ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 (3), 729-762.
  • Sanders, M.(2006). A Rationale for New Approaches to STEM Education and STEM Education Graduate Programs. In 93rd Mississippi Valley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Nashville, YN.
  •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 와 해결과제
    김현경 심재호 이양락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709-723 [2015]
  •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문대영 공학교육연구 학회지, 11(2), 90-101 [2008]
  • STEM 교육을 위한 기술 수업 설계 모형
    노태천 이소이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3), 1-20 [2011]
  • STEM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김기수 이동윤 이창훈 한국기술 교육학회지, 11(2), 159-180 [2011]
  •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노희진 백성혜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0), 375-402 [2014]
  •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 에 미치는 영향
    노석구 채희인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2013]
  • STEAM 학습 준거의 창의적 설계 단계에 대한 절차 모형 개발
    이동희 한국교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 생의 창의성과 과학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고동국 김덕호 한명재 홍승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43-54 [2014]
  •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개발 및 프로그램 분석
    박현주 한혜숙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5(6), 41-64 [2015]
  •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예비교 사와 현직교사의 인식분석
    권슬기 김동렬 김희원 손연아 정시인 인문사회과학연구, 13(1), 255-284 [2012]
  • STEAM 심화과정 교사연수에 참여한 초 중등교사들의 STEAM에 대한 인식 비교
    유정숙 한인식 황신영 교과교육학연구, 20(1), 50-58 [2016]
  • STEAM 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소양에 미치는 영 향
    이성희 환경교육, 25(1), 66-76 [2012]
  •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김효남 조순자 초등교과교육연구, 18, 19-32 [2013]
  • STEAM 교육의 실태조사 및 효과성 심층분석 연구 결과 보고서
    박현주 한국 과학창의재단 [2016]
  •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2011]
  • STEAM 교육에서의 PCK 유형 분석을 한 STEAM-PCK 분석틀 개발
    김방희 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63-85 [2013]
  •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
    금영충 배선아 대한공업교육학 회지, 37(2), 57-75 [2012]
  • STEAM 교육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연수 만족도
    강경희 강창익 이상칠 교육과학연구, 15(2), 1-12 [2013]
  • STEAM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허진영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STEAM 교육론
    김진수 서울: 양서원 [2012]
  • STEAM 교육 정책 운영 초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융헙) 교육에 대한 함의
    권순희 이만재 교육연구, 69, 121-161 [2017]
  • STEAM 교육 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백윤수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2(4), 533-557 [2012]
  •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동향 분석 및 수학교과 중심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한혜숙 수학교육논문집, 27(4), 523-545 [2013]
  •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 STEAM 가이드북 개정판: 눈에 보이는 STEAM 교육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 Roth, M.(2013). An Anti-traditional Tradition: The American Idea of Liberal Education. Social Sciences in China, 34(2), 96–104.
  • Roco MC, Bainbridge WS, Tonn B, Whitesides G.(2013). Convergence of Knowledge, Technology, and Society: Beyond Convergence of Nano-Bio-Info-Cognitive Technologies. New York: Springer.
  • Radloff, J. & Guzey, S.(2017). Investigating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STEM Education Following Video Analysis and Reflec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7(3-4), 158-167.
  •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강윤수 외 역(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Merriam, S. B. 서울: 교우사 [1998]
  •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이명선 외 역(2004). 질적 연구 설계: 상호작용적 접근
    Maxwell, J. A. 서울: 군자출판사 [1996]
  •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역, 2010). 질적 연구방법 론: 다섯가지 접근
    Creswell. J. W. 서울: 학지사 [2007]
  • Parke, H. M. & Coble, C. R. (1997). Teachers designing curriculum as professional development: A model for transformationa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8), 773-789.
  • National Research Council(2014). Convergence: Facilitating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of Life Sciences, Physical Sciences, Engineering, and Beyond. Washington(DC): National Academies Press(US).
  • Merriam, S. B.(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 Mayer, R. E., & Moreno, R.(2010).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s. 38(1), 43-52.
  • Marsh, C. J., & Willis, G.(2007).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 Maes, B. (2010). Stop Talking about “STEAM” Education! “TEAMS” Is Way Cooler! Retrieved from http://bertmaes. word press.com/2010/10/21/teams
  • Maeda, J.(2012). STEM to STEAM: Art in K-12 is Key to Building a Strong Economy. Edutopia: What Works in Education.
  • Madden, M. E., Baxter, M., Beauchamp, H., Bouchard, K., Habermas, D., Huff, M., Ladd, B., Pearon, J., & Plague, G.(2013). Rethinking STEM Education: An Interdisciplinary STEAM Curriculum. Procedia Computer Science, 20, 541–546.
  • Loucks, S. F., Newlove, B. W., & Hall, G.(1975). Measuring Levels of Use of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rainers, Interviewers, and Rater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Lewicki, R. J.(2003). Making Sense of Intractable Environmental Conflicts: Concepts and Cases. Island Press, Washington D. C. USA.
  • Lee-Kang, D. E.(1993). Factors Affecting the Adoption of Instructional Use of Computers in Undergraduate Textiles, Clothing, and Merchandising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 Knobel, M., & Lankshear, C. (Eds.). (2010). DIY Media: Creating, Sharing and Learning with New Technologies (Vo1 44). New York: Peter Lang.
  • Jewitt, C., & Kress, G.(2003). Multimodal Literacy: New Literacies and Digital Epistemologies. New York: Peter Lang
  • Jacobs, H. H.(1991). Planning for Curriculum Integration. Educational Leadership, 49(2), 27-28.
  •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Seidman, I. NY: Teachers College Press. 박혜준, 이승연 역(2013).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 지사 [2006]
  •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양성관 외 역(2011). 학교 변화와 혁신
    Hall, G. E. Hord, S. M. 학지사 [2006]
  • Hord, S., Stiegelbauer, S, M., Hall, G. E., & Georgy, A. A.(2006).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Innovation Configuration. Aust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Education.
  • Hiebowitsh, P. S.(2005). Designing the School Curriculum. Pearson/A and B.
  • Hall, G. E., & George, A. A.(1979).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The Concept, Initial Verification and Some Implications. 1st Draft.
  • Hall, G. E. & Loucks, S. F.(1981). The Concept of Innovation Configurations: An Approach to Addressing Program Adaption. Research on Concerns-Based Adoption.
  • Hall, G. E. & Hord, S. M. (2011).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3rd ed.). Boston, MA: Pearson.
  • Fullan, M. G.(2007).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Published by Teachers College Press.
  • Fullan, M. G.(2000). The Return of Large-scale Reform.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1(1), 5-27.
  • Fullan, M. G.(199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Forman, J. & Damschroder, L.(2007).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Empirical Methods for Bioethics: A Primer(pp. 39-62).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 Elementary Method: An Integrated Curriculum. 강현석 외 역(2003).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Stockard Jr, J. W Wolfinger, D. M. 서 울: 양서원 [2003]
  • Drake, S. M., & Burns, R. C.(200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CD.
  • Chopp, R.(2014). Remaking, Renewing, Reimagining: The Liberal Arts College Takes Advantage of Change. Remaking college: Innovation and the Liberal Arts, 13–24.
  • CBAM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에 관한 연구
    차민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CBAM 실행수준에 관한 국내 연구물들의 성격 분석
    김대현 김혜나 교육사상 연구, 24(2), 1-22 [2010]
  • Bogdan, R., & Biklen, S. (2007).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Practice.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 Berman, P., & Mclaughlin, M.(1977). Federal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al Change, vol. Ⅶ: Factors Affecting Implementation and Continuation. Santa Monica, CA: Rand Corporation.
  • Bazler, J., & Meta V. S.(2017). Cases on STEAM Education in Practice. IGI Global.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Inc. 김수지․신경림 역(1996). 근거이론의 이해
    Corbin, J. Strauss, A.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8]
  • APEID(1982). Integration Subject Areas in the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A Joint Innovate Project. Bangkok: UNSCO Regional for Education in Asia and the Pacific.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전한 생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형태에 관한 연구
    김은주 이진숙 교육학연구, 56(1), 155-186 [2018]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방향
    서울: 한국과학 창의재단 [2015]
  • 2009 개정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
    김대현 김은주 통 합교육과정연구, 8(3), 73-92 [2014]
  •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분석
    노석구 채희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3(4), 634-645 [2014]
  • 2009 개정 고등학교 융합과학의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심재호 교육과정평 가연구, 17(1), 53-76 [2014]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이창근 국어교육연구, 43, 185-202 [2008]
  • 2007 개정교육과정 통합교과의「통합단원」 실행에 관한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김대현 김은주 양무열 수산해양교육연구, 22(2), 287-302 [2010]
  • "학습준거" 융합인재교육 STEAM.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steam.kofac.re.k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