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브루너의 내러티브이론의 교육학적 함의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runer’s theory of narrative

최향미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브루너의 내러티브이론의 교육학적 함의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runer’s theory of narrativ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내러티브
  • 매체이론
  • 문화
  • 수사학
  • 언어이론
  • 지식의 구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02 0

0.0%

' 브루너의 내러티브이론의 교육학적 함의 =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runer’s theory of narrative' 의 참고문헌

  • 피아제의 놀이 이론의 교육학적 해석
    김덕영 울산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피네간의 경야 역자 서문: 새 복원판에 부쳐
    김종건 James [2018]
  •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참된 수사학과 심성함양. 도덕교 육연구 24(3)
    정혜진 한국도덕교육학회. 113-132 [2012]
  • 플라톤의 ‘파이드로스’: ‘프쉬카고기아’로서의 교육. 도덕 교육연구 26(3)
    박상철 한국도덕교육학회. 43-67 [2014]
  • 지식의 구조와 구조주의
    박재문 성경재 [2003]
  • 지식의 구조와 교과(개정‧증보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006]
  • 지식구조론의 재구성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원리의 구성. 교육과정연구 22(2)
    강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55-85 [2004]
  • 중용의 교육이론
    박종덕 교육과학사 [2010]
  • 임상원(2001)(역). 구텐베르크 은하계-활자인간 의 형성
    McLuhan 커뮤니케이션북스. 546-77 [1962]
  • 인지학습의 이론(개정증보판, 박종덕(편))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5]
  • 인재교육과 교과교육: 브루너 교육과정론을 중심으로. 도 덕교육연구 25(3)
    지정민 한국도덕교육학회. 169-192 [2013]
  • 인성교육과 교과교육: 인성교육은 가능하고 필요한가?. 도덕교육연구 26(1)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177-194 [2014]
  • 인성교육과 가정교육. 도덕교육연구 24(3)
    박종덕 한국도덕교육 학회. 153-174 [2012]
  • 이소크라테스: 소피스트들에 대하여, 안티도시스, 니코클 레스에게
    한기철 한국문화사 [2016]
  • 의미 생성활동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함 의. 초등교육연구 22(1)
    김재춘 배지현 한국초등교육학회. 61-82 [2009]
  • 의례를 통한 심성함양-퐁티의 관점을 중심으로. 도덕교육 연구 30(3)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1-21 [2018]
  • 영혼심리학 서설: 융의 분석심리학의 한 해석. 도덕교육 연구 28(2)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3-48 [2016]
  • 언어와 사고의 관련에 비추어 본 내러티브이론의 교육학 적 의의. 도덕교육연구 30(3)
    최향미 한국도덕교육학회. 105-130 [2018]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의 철학적 기초. 철학 74
    한석환 한국철 학회. 25-51 [2003]
  • 심성과 방편. 강의록
    이홍우 성경재 [2004]
  • 심리학사
    이의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8]
  • 실존주의 전통에서 본 인격 확립의 초월적 성격. 이계학 외. 인격 확립의 초월성
    임병덕 청계. 295-336 [2001]
  • 신수 교육과정이론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7]
  • 수사학과 교육: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라무스. 도덕 교육연구 29(4)
    최향미 한국도덕교육학회. 95-120 [2017]
  • 소르본 대학, 프랑스 지성의 산실
    서정복 살림출판사 [2005]
  • 성리학의 교육이론. 증보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4]
  • 브루너와 지식의 구조. 문학과 교육
    임병덕 2001 가을. 211-222 [2001]
  • 브루너 교육의 과정 역자해설. 지식의 구조와 교과. 개 정증보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69-284 [2006]
  • 미국 교육학의 정체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8]
  • 맥루한의 사상과 철학-「구텐베르크 은하계」 이야기
    임상원 M [2001]
  • 맥루언을 읽는다
    김균 정연교 궁리 [2006]
  • 마음과 내러티브와 교과. 도덕교육연구 23(1)
    박종덕 한국도덕 교육학회. 55-76 [2011]
  • 라무스를 위한 변명: ‘줄어든 수사학 rh torique restreinte’ 논쟁 재고. 불어불문학연구 59
    이영훈 한국불어불문학회. 181-203 [2004]
  •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 문화심리학. 최상진 외. 동양심리학
    최상진 지식산업사. 9-30 [1999]
  • 내러티브 사고의 의미 구성. 공주교대논총 36(1)
    한승희 공주교 육대학교. 163-176 [1999]
  •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 교육과정연구 15(1)
    한승희 교육과정학회. 400-423 [1997]
  • 김종건(2018)(역). 복원된 피네간의 경야
    Joyce 어문학사. 11-4 [1939]
  •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과정 연구
    배수찬 소명출판 [2008]
  • 교육의 목적과 난점. 증보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6]
  • 교육과정이론
    유한구 이홍우 장성모 교육과학사 [2003]
  • 교육과정 담론
  • 교사의 해석적 실천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내러 티브적 관점. 교육과정연구 29(4)
    박종덕 한국교육과정학회. 113-135 [2011]
  •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있어서 내러티브 탐구의 의의
    소경희 교육 학연구 42(4). 189-211 [2004]
  • 교과의 내면화. 아시아교육연구 1(1)
    이홍우 아시아태평양교육 단. 249-271 [2000]
  • 교과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의미와 가치
    강현석 역사교육논집 46. 3-59 [2011]
  • 개념획득과 언어발달의 관련: 피아제와 비고츠키 심리 이론의 교육학적 해석
    이병숙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4]
  • 共通感覚論, 岩波書店, 양일모⋅고동호(역)(2003), 공통감각론
    中忖雄二郎 민음사 [1979]
  • Whitehead, A. N.(1978). Process and Reality. D. R. Griffin and D. W. Sherburne(eds.). N. Y.: Free Press.
  • Vygotsky, L. S.(1987). Thinking and Speech. N. Minick(trans.).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R. W. Rieber and A. S. Carton(eds.). vol. 1. N. Y.: Plenum Press. 39-285.
  •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M. Cole, et als.(eds.). Harvard University Press.
  • Vygotsky, L. S.(1962). Thought and Language. E. Hanfmann and G. Vakar(eds. & trans.). M. I. T. Press.
  • The Process of Education Reconsidered. Robert R. Leeper(ed.). Dare to Care/Dare to Act: Racism and Education. ASCD Annual Conference Report. 이홍우 (역)(2006). 「교육의 과정」의 재음미. 지식의 구조와 교과. 개정 증보판
    Bruner, J. S. 교육과학사 [1971]
  • The Process of Education
    Bruner, J. S. Harvard University Press. 이홍우(역)(2006). 브루너 교육의 과정. 지식 의 구조와 교과. 개정증보판. 교육과학사 [1960]
  • The 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Teaching a Subject, R. S. Peters(ed.). The Concept of Education.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성경재(편 역)(2009). 교육과정철학 독서자료. 성경재
    Hirst, P. H. 미발간 [1967]
  •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6th ed.). London: Adam & Charles Black. 이홍우, 박재문, 유한구 (역)(2008). 서양교육사. 개정증보판
    Boyd, W. 교육과학사 [1952]
  •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우찬제 외 3 (역)(2010). 서사학 강의: 이야기의 모든 것. 문학과 지성사
    Abbott, H. Po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 Spence, P. Donald(1982). Narrative Truth and Historical Truth: Meaning and Interpretation in Psychoanalysis. N. Y.: W. W. Norton & Company.
  • Socrates against Athens: Philosophy on Trial
    Colaiaco, James A. Taylor & Francis Books, Inc.. 김승욱(역)(2005). 소크라테스의 재판. 작가정신 [2001]
  • Schafer, R.(1981). Narration in the Psychoanalytic Dialogue. W. J. T. Mitchell(ed.). On Narrativ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49.
  • Riessman, C. K.(1993). Narrative Analys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Vol. 30. N. P.: Sage Publication, Inc..
  • Ricoeur, P.(1984, 1985, 1988). Time and Narrative. Kathleen McLaughlin & David Pellauer(trans.). Vol. 1-3.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rig. 1983, 1984, 1985.
  • Ricoeur, P.(1981). Narrative Time. W. J. T. Mitchell(ed.). On Narrativ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5-186.
  • Ramus, Petrus(1555). Dialectique. Edition Critique avec Introduction. Notes et Commemtaires de Michel Dassonville(1964). Geneve: Droz(Travaux d’Humanisme et Renaissance, 67).
  • Ramus, Petrus(1549). Argument in Rhetoric against Quintilian . Translation by Carole Newlands, Introduction by James J. Murphy(1986). Translation and Text of Peter Ramus’s Rhetoricae Distinctiones in Quintilianum.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 Prince, Gerald(2003). A Dictionary of Narratology. 2nd ed..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 Platon. Phaidros.
  • Platon. Gorgias.
  • Piaget, J.(1972). The Principles of Genetic Epistemology. Wolfe Mays(Trans.). N. Y.: Basic Books. orig. 1970.
  • Piaget, J.(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C. Gattegno and F. M. Hodgson(trans.). N. Y.: W. W. Norton.
  • Piaget, J.(1959).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 M. Gabain(trans.).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 Ong, Walter J.(1983).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 Chicago University Press. orig. 1958.
  • Ong, Walter J.(1982).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Word. London: Routledge.
  • Ong, Walter J.(1967). The Presence of the Word. Yale University Press.
  • Narratology: The Form and Function of Narrative. The Hague: Mouton. 최상규(역)(1999). 서사학이란 무엇인가-서사물의 형식과 기능
    Prince, Gerald 예림기획 [1982]
  • Minick, N.(1987). The Development of Vygotsky’s Thought: An introduction. in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 Plenum Press. 17-36.
  • McLuhan, M., Fiore, Q.(1967). The Medium is the Massage: An Inventory of Effects. N. Y.: Gingko Press.
  •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 of Man. W. Terrence Gordon(ed.)(2003). Ginko Press.
  • McLuhan, M.(1962). The Gutenberg Galaxy: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Marchand, P.(1998). Marshall McLuhan: The Medium and the Messenger. The MIT Press.
  • Luria, A. R.(1976). Cognitive Development: Its Cultural and Social Foundations. M. Cole(ed.). M. L. Morillas and L. Solotaroff(trans.). Harvard University.
  • L vi-Strauss, C.(1963). Structural Anthropology. N. Y.: Basic Books.
  • Knowledge of Language: Its Nature, Origin, and Use. N. Y.: Praeger. 이선우(역)(1990). 언어에 대한 지식: 그 본질, 근원 및 사용
    Chomsky, Noam 민음사 [1986]
  • Kitto, H. D. F.(1951). The Greeks. Penguin Books Ltd..
  • Kahler, Erich(1973). The Inward Turn of Narrative. Richard & Clara Winston(tra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 1970.
  • Jung, C. G.(1928). Contibutions to Analytical Psychology. N. Y.: Harcourt Brace.
  • Finnegans Wake. N. Y.: Penguin Classics. 김 종건(2018)(역). 복원된 피네간의 경야
    Joyce, James 어문학사 [1939]
  • Experience and the Growth of Understanding.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이홍 우(역)(2010). 교육인식론: 경험과 이해의 성장. 개정증보판
    Hamlyn, D. W. 교육 과학사 [1978]
  • Egan, Kieran(1989). Teaching as Story Tell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Dewey, J.(1956).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 School and Socie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orig. 1902, 1915.
  • Dewey, J.(1910). How We Think. Chicago: Henry Regnery.
  • Democracy and Education. N. Y.: Macmillan. 이 홍우(역)(2007). 민주주의와 교육. 개정증보판
    Dewey, J. 교육과학사 [1916]
  • Cours de Linguistique G n rale. C. Bally and A. Sechehaye( ds.). Paris: Payot. 김현권(역)(2012). 일 반 언어학 강의
    Saussure, F. de 지식을 만드는 지식 [1916]
  • Chomsky, Noam(2002). On Nature and Language. A. Belletti and L. Rizzi(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homsky, Noam(1968). Language and Mind. N. Y.: Harcourt Brace.
  • Bruner, J. S.(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 Bruner, J. S.(1990). Acts of Mea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 Bruner, J. S.(1987). Prologue to the English Edition. in The Collected Works of L. S. Vygotsky. Plenum Press. 1-16.
  • Bruner, J. S.(1986). Actual Minds, Possible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 Bruner, J. S.(1985).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s of Thought. Eisner(ed.). Learning and Teaching: The Ways of Knowing . Eighty-Four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7-115.
  • Brett, G. S.(1912). A History of Psychology. vol. Ⅰ. N. Y.: Macmillan.
  • Boorstin, Daniel J.(1993). The Creators: A History of Heroes of the Imagination. N. Y.: Vintage.
  • Aristoteles. On Rhetoric.
  • (1762). mile ou de l’ ducation. 김중현(역) 에밀
    Rousseau, J. J. 한길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