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해조류 포자방출과 실해역 흐름을 고려한 해중림초 최적배치

김용관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해조류 포자방출과 실해역 흐름을 고려한 해중림초 최적배치'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술과 연합작용
  • 전산유체역학
  • 최적 배치
  • 포자이동
  • 해조류 포자
  • 해중림초
  • 후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27 0

0.0%

' 해조류 포자방출과 실해역 흐름을 고려한 해중림초 최적배치' 의 참고문헌

  • 후류역 효율성 증대를 위한 해중림초 배치 모델, 수산해 양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나원배 정소미 통권91호., pp. 132-143 [2018]
  • 해수중의 철근 콘크리트 어초의 열화특성에 관한 연구
    김호상 공학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004]
  • 한국남해안 동부해역 해조군집 구조 및 변동의 정량적 분석 1. 연화도
    강제원 손철현 이인규 한국수산학회지, 19: 265-273 [1986]
  • 퇴적물의 입도 및 전단강도를 이용한 인 공어초 침하특성
    김길영 김창길 김호상 서영교 한국어업기술학회지, 제 41권, 제 1호, pp. 46-53 [2005]
  • 침선어초 주위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김현주 양찬규 한국해양공학회 지, 제 14권, 제 4호, pp. 9-16 [2000]
  • 착저식 인공어초에 작용하는 파력특성에 관한 연구
    김현주 류청로 한 국수산학회지, 27권 5호, pp. 605-612 [1994]
  • 전남 다도해형 바다목장화 개발연구 용역보고서 (해중림 조성기술)
    강래선 pp. 369-403 [2005]
  • 인공어초시설 사업집행 및 관리규정
    농림수산 식품부 [2017]
  • 인공어초 후류역에서의 유체역학적 특성과 물질 교환율에 관한 기초적 연구, 여수대학교
    오태건 공학석사학위논문, pp. 17-20 [2004]
  • 인공어초 주변의 흐름장에 관한 수치해석
    정칠훈 부경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2006]
  • 인공어초 주변의 흐름장에 관한 수치해석
    김헌태 정칠훈 한국수산학회 지, 제 40권, 제 1호, pp. 31-38 [2007]
  • 인공어초 시설지반의 지반공학적 세굴특성
    서성호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인공어초 세굴 모니터링에 관한 기초 연구
    김용관 김종규 서성호 수 산과학연구소논문집, 19, pp. 44-49 [2011]
  • 이문옥 역, 해양생태환경공학
    [2004]
  • 연안 생태계제어 구조물의 안정성과 기능 극대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김현주 부산수산대학교 공학박사학위 논문 [1995]
  • 여수 주변해역의 인공어초 사후관리 현황과 발 전방향
    김동선 안승환 추효상 수산과학연소논문집, 17(2), pp. 77-81 [2008]
  • 수중수산시설물에 작용하는 유체력 및 지반거동의 동적해석
    김현주 류청로 이익효 정진호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학술발표논문 초록집, pp. 101-105 [1993]
  • 수산자원회복사업 워크숍 및 연찬회 보고서
    해양수산부 [2007]
  • 생태계 제어 시설물의 설계 및 배치 최 적화 (2) - 흐름장에서의 인공어초의 침하 및 매몰 특성
    김현주 류청로 신동일 이한수 한국수산학회지, 제 30권, 제1호, pp. 139-147 [1997]
  • 비정상 흐름-공존장의 인공어초 침하특성에 관한 연구
    김헌태 윤상준 한국해양공학회지,제 15권, 제 3호, pp. 28-34 [2001]
  • 바다숲 조성해역의 해조류 포자 확산모 델링
    김종규 임영수 조제권 홍도웅 해양환경 에너지학회, 15(1), pp. 1-8 [2012]
  • 바다숲 조성을 위한 적지선정기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오태건 공학 박사학위논문, pp. 45-80 [2010]
  • 남해도 돌산도의 해조 Ⅱ.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 조
    강제원 손철현 이인규 한국수산학회지, 16 (4): 379-388 [1982]
  • 강제어초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서성호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遠藤吉三郞(1903), 海藻磯燒け調査報告. 水産調査報告, 12: pp. 1-47.
  • 椹木 亭(1984), 魚礁周辺の局所洗掘とその對策工法について, 第31回海岸工學講 演會文集, 30, pp. 345-349
  • 左藤 修(1967), 人工魚礁硏究に關する若干の問題點(批判討論), 水産增殖臨時号, 7 pp. 43-62.
  • 岡村金太郞(1915), 靑森懸下北郡磯燒調査,靑森懸內務部調査報告書, pp. 1-11.
  • Thiel M., Gutow L. (2005). The ecology of rafting in the marine environment. II. the rafting organisms and community,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An Annual Review, 43, pp. 279-418.
  • Ryu, C.R., S.D. Chang and K.B. Lim. (198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ve forces on artificial reefs, Bull, fish. Res. Dev. Agency, 38, pp 1-24.
  • Matthew A. Trammell. (2004), Laboratory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determining water erosion rates of erodible rock and cohesive sediments, University of Florida. Master of Engineering thesis.
  • Koyama H. and K. Iwata (1985), Estimation of water particle velocities by a modified transfer function method. Coastal Engineering in Japan, 28, pp. 1-13.
  • Kimura, H., V. Ingsrisawang, M. Ban (1994), A study on the local scour of cylinder artificial fish reefs, Fisheries Engineering, 31(1), pp. 33-40.
  • Kim, D.S., Hong, J.P., Kim, Y.D., Song, H.I., Kim, H.G. 2007. Seed production and cultiva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Phaeophyta. J. Kor. Fish Soc., 20(1). pp. 7-13.
  • Kim, D.,Woo, J., Na, W.B., Yoon, H.S. (2014), Flow and structural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box-type artificial ree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6(3), pp. 113-119.
  • Kim J.Q, N. Mizutani and K. Iwata (1995), Experimental study on the local scour and embedment of fish reef by wave action in shallow water depth, Proc. of ECOSET'95, pp. 168-173.
  • Kennelly S.J., Larkum A.W.D. (1983), A preliminary study of temporal variation in the colonization of subtidal algae in an Ecklonia radiata community. J. Aqu. Bot., 17, pp. 275-282
  • Kendrick G.A., Waycott M., Carruthers T.J.B., Cambridge M.L., Hovey R., Krauss S.L., Paul S., Lavery, Les D.H., Lowe R.J., Vidal O.M., Ooi J.L.S., Orth R.J, Rivers D.O., Ruiz-Montoya L., Sinclair E.A., Statton J., van Dijk J.K., Verduin JJ. (2012), The Central Role of Dispersal in the Maintenance and Persistence of Seagrass Populations. BioScience, 62(1), pp. 56–65.
  • Kendrick G.A., Walker D.I. (1995), Dispersal of propagules of Sargassum spp. (Sargassaceae: Phaeophyta): Observations of local patterns of dispersal and consequences for recruitment and population structure. J. Exp. Mar. Biol. Ecol., 192, pp. 273-288.
  • Kendrick G.A., Walker D.I. (1991), Dispersal distances for propagules of Sargassum spinuligerum (Sargassaceae, Phaeophyta) measured directly by vital staining and venturi suction sampling.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79, pp. 133-138.
  • Ingsrisawang, V., M. Ban, H. Kimura. (1995), Comparative study on the sinking of artificial reefs by local scour between laboratory and field experiments, Fisheries Engineering, 32(2), pp. 95~103.
  • Hu Z.M., Zhang J., Lopez-Bautista J., Duan D.L. (2013), Asymmetric genetic exchange in the brown seaweed Sargassum fusiforme (Phaeophyceae) driven by oceanic currents. Mar Biol, 160, 1407–1414.
  • Flow-3D를 이용한 구조물 주변의 수리특성 검토
    이광호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80 [2011]
  • Flow Science (2014), Flow-3D Use’s Manual, version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