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김소월 시 중국어 번역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of Chinese in Kim So-wol`s Poetry

朴曙穎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김소월 시 중국어 번역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of Chinese in Kim So-wol`s Poet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 김소월 시 번역
  • 문학번역
  • 한국 문학 중국어 번역
  • 한국어문학 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3 0

0.0%

' 한국어문학 교육을 위한 김소월 시 중국어 번역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Translation of Chinese in Kim So-wol`s Poetry' 의 참고문헌

  • ,「도시민속학의 오락공간 시각으로 본 한중 여성 민속명절 연구, -‘삼짇 날’과 ‘칠석’을 중심으로」, 『중한언어문화연구』제10집
    등아남 천진사범대학 한국문화연구중심 [2016]
  • 『한국어교육론 2』
    민현식 외 한국문화사 [2005]
  • 『한국구전설화』전집3, 평안북도편Ⅲ,
    임재섭 평민사 [1986]
  • 『한국구전설화』전집2, 평안북도편Ⅱ
    임재섭 , 평민사 [1986]
  • 『한국구전설화』전집1, 평안북도편Ⅰ
    임재섭 , 평민사 [1986]
  • 『잃어진 진주』 서문
    김 억, 평문관 [1924]
  • 『詩論』
  • 『「진달래꽃」 어석』
    노 철 [출판예정]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학 교육 연구 : 연암소설과 <유림외사>의 비교 탐구를 중심으로」
    축취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요절한 박행시인 김소월에 대한 추억」
    김 억 『조선중앙일보』 [1935]
  • 「역번역이 중국인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의 조사 어미 감 소에 미치는 영향」
    XU MINGYUE,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소월의 생애와 시가」
    김 억 『삼천리』 [1935]
  • 「김소월의 추억」
    김 억, 『박문』 [1939]
  • 「김소월 시에 나타난 산의 장소체험과 공간의 의미」, 『현대문학이론 연구』 65집
    노 철,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 「思故友-소월의 예감」
    김 억, 『국도신문』 [1929]
  • 「『엄마를 부탁해』 한중 번역의 문제영역 고찰과 번역교육에서의 시사 점」, 『중국어교육과연구』 16
    홍경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2]
  • , 『한국민요의 전통과 시가율격』
    정 민 지식산업사 [1996]
  • , 『시 교육의 방법』
    노 철 태학사 [2010]
  • , 『번역의 오늘』
    전성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6]
  • , 「화자의 발화맥락을 고려한 김소월 시의 해석」, 『국제어문』 69호
    노 철 국제어문학회 [2016]
  • , 「한시 속의 두견이와 소쩍새」, 『한국한시연구』9권0호
    정 민 한국한시학회 [2001]
  • , 「역시론」
    김 억 『대조』 6호, [1930]
  • , 「시집살이 노래 구연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과 여성의식에 관한 연구」
    이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 「시 교육에서 해석의 방법 연구」, 『텍스트 읽기』
    노 철 역락 [2010]
  • , 「소월의 생애」
    김 억 『여성』 [1939]
  • , 「박행시인 소월」
    김 억 『삼천리』 [1939]
  • , 「기억에 남은 사람들」
    김 억 『조광』 [1939]
  • , 「韓 漢 기본 색채어의 의미 대조」, 『중국인문과학』제53집
    세연령 중국인문 학회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