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외상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험유형과 손상중증도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Services in Trauma Patients: Focused on Insurance Type and Injury Severity Score

김현주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외상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험유형과 손상중증도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Services in Trauma Patients: Focused on Insurance Type and Injury Severity Scor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의료과학 약
  • iss
  • 보험
  • 외상
  • 의료서비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95 0

0.0%

' 외상환자의 의료서비스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 보험유형과 손상중증도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Services in Trauma Patients: Focused on Insurance Type and Injury Severity Score' 의 참고문헌

  • 환자조사 자료를 이용한 자동차보험과 건겅보험 환자의 재원일수 분석
    오미애 진재현 한국자료분석학회, 15(5), 2457-2471 [2013]
  • 한국형 중증도 분류도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연구
    임태호 서울: 대한 응급의학회 [2014]
  • 한국형 중중도 분류도구(KTAS) 결과별 의료비 비교, 2017-20-023
    강민진 송복희 장재혁 정상원 최종남 고양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2017]
  •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타당도 분석
  • 한국 권역외상센터의 현황과 과제. 대한의사협회지, 59(12), 917-918. https://doi.org/10
    이강현 5124/jkma.2016.59.12.917 [2016]
  • 한국 국민의료비 관리의 문제점 분석: 건강보험, 산재보험, 자동 차보험을 중심으로
    이용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4), 263-272 [2011]
  • 패널분석을 이용한 가계 보건의료비 지출 및 의료이용의 결정요 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강윤진 서울 [2014]
  • 통계청 2017 사망원인통계
    Retrieved from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01054&inputYe ar=2017 [2018]
  • 창상유합에 대한 Dermabond (2-Octyl Cyanoacrylate)의 임상적 이용
    윤정수 장정우 최승석 대한창상학회지, 12(1), 9-12 [2016]
  • 중증 외상 특성화 센터에서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 중고령자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소득과 자산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정우 서울 [2012]
  • 주간이슈:자동차보험 위장환자 유발요인 및 대응방안
    송윤아 KiRi Weekly(이슈), 9(0)1, 1-12 [2010]
  • 재가독거노인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ndersen 행동모형(Andersen Model)의 적용
    박종두 이동영 사회복지정 책, 38(4), 1-23 [2011]
  • 장애인 만성질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보 험 지역가입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오정숙 서울 [2005]
  • 장기입원환자의 의료급여 사례관리와 심사연계를 통한 의료급여 의 합리적 이용과 제정안정화를 위한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배영덕 서울 [2018]
  • 자동차보험의 심평원 위탁심사를 통해 살펴본 실손보험심사 심평 원 이관의 문제점
    서인석 의료정책포럼, 13(1), 76-81 [2015]
  • 자동차보험과 건강보험의 의료기관 종별가산율 일원화 논리에 대한 고찰
    김정덕 이종훈 정은욱 의료경영학연구, 6(4), 25-35 [2012]
  • 자동차보험 환자와 건강보험 환자의 의료 이용양상 분석-일개 대 학병원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태섭 서울 [2005]
  • 자동차보험 진료비심사 일원화 이후의 의료공급자 진료행태 분석.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재선 성남 [2016]
  • 자동차보험 경추간판제거술 환자에서 의료기관 특성에 따른 재원 일수 차이.
    신경원 서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입원 손상 노인환자의 타지역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 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주희 성남 [2013]
  • 일반층과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태진 이혜재 전보영 정영일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5(1), 79-106 [2009]
  •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차이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의료서비스 이용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진현 한국사회복지조사 연구, 46, 1-24 [2015]
  •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에 대한 세 가지 에세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강기준 서울 [2014]
  • 의료보장제도별 노인의료비 증가에 관한 연구
    남궁은하 보건사회연구, 30(2), 519-556 [2010]
  •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Percutaneous transliminal coronary angioplasty 입원 환자의 의료이용 차이 분석: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이용하여
    서은원 이광수 보건행정학회지, 25(1), 3-10 [2015]
  • 의료보장유형과 재원일수 관련성 연구 ; 공공병원 의무기록자료를 이용하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유림 서울 [2013]
  • 의료보장 형태변화에 따른 의료이용.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정 서울 [2015]
  • 의료급여1종 외래본인부담 대상자의 의료수요의 변화에 관한 연 구
    최지숙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6(3), 91-114 [2010]
  • 응급환자 분류도구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KTAS)
    한국형 Retrieved from http://www.ktas.org/about/ktas.php [2017]
  • 응급의료센터 한국형 중증도 분류 도구(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의 적절성 평가.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용희 서울 [2017]
  • 응급센터를 방문 한 성인 환자의 중증도 분류 지표로서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의 신뢰도 분석: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예비연구
    김신영 김종원 김진영 박상오 백광제 이경룡 홍대영 대한응급의학회지, 28(6), 552-556 [2017]
  • 응급센터를 내원 한 성인 환자의 중증도 분류 지표로서 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 (KTAS)의 타당도 분석: 일개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예비연구
    김신영 김종원 김지혁 박상오 백광제 이경룡 홍대영 대한응급의학회지, 27(5), 436-441 [2016]
  • 우리나라 골관절염 환자의 의료이용와 관 련된 요인: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고상백 김민영 김춘배 박종구 예방의학회지, 43(6), 513-522 [2010]
  • 외상환자에 대한 손상 중증도 점수체계와 국내 외상성과 연구
    김지영 이국종 정경원 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 6(1), 11-17 [2016]
  • 외상환 자의 보험체계에 따른 진료비 분석
  • 외상 환자에서의 한국형 응급실 중증도 분류 체계(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의 유효성
    강경식 김기영 김오현 이강현 차경철 차용성 황성오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2013(2), 343-344 [2013]
  • 외상 센터에서의 외상 진료 시 스템 도입에 따른 변화: 단일 외상 센터에서의 초기 경험
    김형원 이승환 이재길 정명재 홍태화 대한외상학회 지, 28(4), 241-247 [2015]
  • 외래 의료이용에서 종별 의료기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영대 유창훈 대한의사협회지, 55(9), 898-910 [2012]
  • 예방 가능한 외상사망률 평가 및 외상센터 운영활성화, 서울
    김윤 서울 대학교 산학협력단 [2017]
  • 여성운전자 교통사고 특성 및 사고 심각도 분석. 전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안성민 전주 [2015]
  • 실손형 민간의료보험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오향숙 대구 [2014]
  • 실손형 민간의료보험 보장범위 변화가 의료서비스 이용행태에 미 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혜 서울 [2017]
  • 수부손상환자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요인-서울시 소재 S 병원의 환례를 대상으로-
    서원식 양재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380-389 [2012]
  • 손상환자의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른 의료이용의 형평성
    김창엽 전영숙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18(2), 21-45 [2012]
  • 손상입원환자의 중증도 보정 재원일수의 변이에 관한 연구
    강성홍 김성수 김원중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6), 2668-2676 [2011]
  • 소득수준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형평성 변화 분석
    김도영 사회과학연구, 23(3), 105-125 [2012]
  • 성향점수매칭으로 살펴본 의료급여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의 본인부담 의 료비 지출과 의료이용
    이혜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2(2), 29-49 [2016]
  • 상급종합병원 진료의뢰 요인별 의료이용양상-S상급종합병원을 중 심으로.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정영권 성남 [2016]
  •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김도영 인문사회과학연구, 16(4), 329-369 [2015]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Retrirved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
    PAR_MENU_ID=04& MENU_ID=0403&page=1&CONT_SEQ=346131&SEARCHKEY=TITLE &SEARCHVALUE=%EC%99%B8%EC%83%81 [2018]
  • 보건복지부 법률/시행령/시행규칙. Retrirved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401ls.jsp?
    PAR_MENU_ID=03&M ENU_ID=030401 [2018]
  • 병원 재원기간 및 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우현 서울 [1986]
  • 대한외상학회 Text of TRAUMA 외상의학
    서울: 범문에듀케이션 [2018]
  • 뇌졸중 환자의 급성기 의료이용 분석을 총한 효율적 재활이용 근거 생성 연구(2015-20-023)
    권준범 김종문 김형섭 임현선 하다솔 홍지성 고양: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2015]
  • 노인의 의료이용과 영향 요인 분석
    김진구 노인복지연구, 39, 273-302 [2008]
  •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병란 서울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및 건강성과에 관한 종단적 연구: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한 잠재성장모형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이현숙 서울 [2016]
  • 노인과 비노인 외상환자의 손상중증도에 따른 특성 비교
    김윤경 김현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2), 304-318 [2018]
  • 노인 암환자의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이용차이 분석
    이용재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1(5), 270-279 [2011]
  • 노년기 외래이용서비스 이용 궤적 및 예측요인: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강상경 한국사회복지학, 62(3), 83-108 [2010]
  • 근거중심 보건의료의 시행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대한의 사협회지. 57(5), 413-418. https://doi.org/10
    고민정 임태환 5124/jkma.2014.57.5.413 [2014]
  • 권역외상센터의 중증외상환자 수가 개선방안. 수원
    허윤정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 권역외상센터 설치 지원사업 시행의 결과. 대한의사협회지, 59(12), 923-930. https://doi.org/10
    박종민 5124/jkma.2016.59.12.923 [2016]
  • 국민 건강의 결정 요인 3 : 질병예방 및 의료이용행태
    배상수 예방의학 회지, 26(4), 508-533 [1993]
  •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건강보험법
    Retrirved from h t t p : / / w w w . l a w . g o . k r / l s O r d i n A s t S c . d o ? m e n uId=9&p1=&subMenu=1&nwYn=1§ion=&tabNo=10&query=%EA %B5%AD%EB%AF%BC%EA%B1%B4%EA%B0%95%EB%B3%B4%ED %97%98%EB%B2%95&x=0&y=0# [2018]
  • 교통사고분석시스템 Retrirved from http://taas
    koroad.or.kr/sta/acs/exs/typical.do?menuId=WEB_KMP_O VT_UAS_ONT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도‧정책
    Retrirved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07000000&cmsur l=/cms/policy/02/01/1341869_27024.html&subject=%ec%82%ac%ed %9a%8c%eb%b3%b4%ec%9e%a5%ec%a0%9c%eb%8f%84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동차보험진료수가 심사업무처리에 관한규정
    청구 서 명세서 세부작성요령(2017, e-book). http://www.hira.or.kr/co/ebook/list.do?pgmid=HIRAA030402000000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동차보험심사제도
    Retrirved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19000000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정보
    Retrirved from http://www.hira.or.kr/re/term/getExplainList.do?pgmid=HIRAA03040 7000000&searchWrd=비급여&sno=115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급여실무편람(e-book)
    Retrirved from http://www.hira.or.kr/co/ebook/list.do?pgmid=HIRAA030402000000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
    Retrirved from http://opendata.hira.or.kr/home.do [2018]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천식 연구
    김태범 2016 KAAACI Annual Spring Congress: New paradigma in Allergic Disease(pp. 225-230) [2016]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
    Retrirved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 [2018]
  • 건강보험과 자동차보험 환자의 의료이용차이 : 혈종제거를 위한 개두술 환자 재원일수와 의료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진호 서울 [2017]
  • 『Easy Flow 회귀분석』
    이일현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6]
  •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이미진 사회복지정책, 26(1), 201-223 [2009]
  •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대상자의 노인의료비 증가 원인에 대한 비교연구”
    김종건 노인복지연구, 47, 355-374 [2010]
  • Shim, H. J., Jang, J. Y., Lee, J. G., Kim, S. H., Kim, M, J., Park, Y. S., Park, I. C., & Kim, S. H. (2012). Application of Critical pathway in Trauma patients.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25(4), 159-165.
  • Selassie, A. W., McCarthy, M. L., & Pickelsimer, E. E. (2003). The Influence of Insurance, Race, and Gender on Emergency Department Disposition.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0(11), 1260-1270. https://doi.org/10.1197/S1069-6563(03)00497-4
  • Park, Y. E., Chung, M., Lee, G. J., Lee, M. A., Park, J. J., Choi, K. K., Huyn, S. Y., Jeon Y. B., Ma, D. S., Yoon Y. C., Lee, J. N., & Yoo, B. C. (2016).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uma patients: A Single-center Analysis Using the Korea Trauma Database.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9(4), 155-160.
  • Palmer, C. (2007). Major Trauma and the Injury Severity Score - Where Should We Set the Bar? Annual proceedings /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utomotive Medicine, 51, 13–29.
  • Oh, C. S., Lee, J. G., & Kim, S. H. (2016). Time to Surgery and Injury Severity Score.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9(4), 151-154.
  • National Trauma Data Bank Annual Report 2016. Retrieved from h t t p s : / / w w w . f a c s . o r g / ~ / m e d i a / f i l e s / q u a l i t y programs/trauma/ntdb/ntdb annual report 2016.ashx
  • Mostafa, G., Hyunh, T., Sing, R. F., Miles, W. S., Norton, H. J., & Thomason, M. H. (2002). Gender-related outcomes in trauma. The Journal of Trauma, 53(3), 430-435.
  • McKevitt E. C., Calvert E., Ng A., Simons R. K., Kirkpatrick A. W., Appleton L., & Brown D. R. (2003). Geriatric trauma: resource use and patient outcomes. Canadian Journal Surgery, 46(3), 211-5.
  • McCusker, J., Karp, l., Cardin, S., Durand, P., & Morin, J. (2003). Determinants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by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0, 1362-1370. https://doi:10.1197/S1069-6563(03)00539-6
  • Mabry, C. D., Kalkwarf, K. J., Betzold, R. D., Spencer, H. J., Robertson, R. D., Sutherland, M. J., & Maxson, R. T. (2015). Determining the Hospital Trauma Financial Impact in a Statewide Trauma System.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220(4), 446–458. http://doi.org/10.1016/j.jamcollsurg.2014.12.039
  • Lee, F. A., Hervey, A. M., Berg, G. M., Acuna, D. L., Harrison, P. B. (2016). Association of Injury Factors, Not Body Mass Index, With Hospital Resource Usage in Trauma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5(4), 327-334.
  • Kuwabara, K., Matsuda, S., Imanakam Y., Fushimi, K., Hashimoto, H., Ishikawa, K. B., Horiguchi, H., Hayashida, K., Fujimori, K., Ikeda, S., & Yasunaga, H. (2010). Injury Severity Score, Resource Use, and Outcome for Trauma patients Within a Japanese Administrative Database.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68(2), 463-470.
  • Jourdan, C., Bayen, E., Darnoux, E., Ghout, I., Azerad, S., Ruet, A., Vallat-Azouvi, C., Pradat-Diehl, P., Aegerter, P., Weiss, J., & Azouvi, P. (2015). Pattern of post-acute health care utilization after a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Results from the paris-TBI cohort. Brain Injury, 29(6), 701-708.
  • Japan Trauma Data Bank Report 2016 (2011-2015). Retrieved from http://www.jast-hp.org/trauma/pdf/annual_report_en.pdf
  • Garnett, A., & Browne, G.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Injury in Children and Long-Term Use of Health and Social Services b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Trauma Nursing, 23(4), 215-26. doi: 10.1097/JTN.0000000000000219.
  • Becher, R. D., Meredith, J. W., & Kilgo, P. D. (2013). Injury severity scoring and outcomes research. In Mattox K. L., Moore E.E., & Feliciano D. V.(Eds.), Trauma(pp. 77-90). New York: McGraw-Hill.
  • Baker, S. p., O'Neill, B., Haddon, W., & Long, W. B. (1974).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Journal of Trauma -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14(3), 187-196.
  • Babitsch, B., Gohl, D., & von Lengerke, T. (2012). Re-revisit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Use: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from 1998-2011. Psycho-social medicine, 9, Doc11.
  • Andersen, R. M., Rice, T. H., & Kominski, G. F. (2007). Changing The U.S. Health Care System ; Key Issues in Health Services poliicy and Management. 3rd ed. Jossey-Bass, San Francisco. 3-31.
  • Andersen, R. M. (2008). National health surveys and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use. Medical Care, 46(7), 647-653.
  • Andersen, R. M. (1995).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1), 1-10.
  • Andersen, R. M. (1968).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 Chicago, IL: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Research Series No. 25.
  • Andersen, R. M. & Newman, J. F. (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51(1), 95-124. https://doi:10.2307/3349613
  • Andersen 행동모형을 이용한 노년기 외래의료서비스 이용에 대 한 스트레스 취약요인의 매개효과분석
    송태민 보건사회연구, 33(1) 547-576 [2013]
  • Andersen 행동모델에 근거한 노인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 연구-중 단기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원식 서울 [2015]
  • Andersen 모형을 이용한 노인 우울 예측요인
    강상경 부가청 노인복지 연구, 49, 7-30 [2010]
  • Allen, C. J., Hannay, W. M., Murray, C. R., Straker, R. J., Hanna, M. M., Meizoso, J. P., Ray, J. J., Livingstone, A. S., Schulman, C. I., Namias, N., & Proctor, K. G. (2015). Causes of death differ between elderly and adult falls. Journal of Trauma Acute Care Surgery, 79(4). 617-621. https://doi.org/10.1097/TA.0000000000000811
  • Aday, L. A., & Andersen, R. M. (1974).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Access to Medical Care. Health Services Research, 9(3), 208–220.
  • : 소득계층별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 분석
    이용재 한국사회정 책, 17(1), 267-288 [2010]
  • 2015년 손상 입원환자의 역학적 특성
  • , 국내 응급의료체계의 예방가능한 외상 사망률과 처 치과정의 문제점
  • (1007). 한국 성인의 의료이용양상과 결정요인
    박현애 황지인 의료경영학연구, 1(1), 5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