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Choice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Care Hospitals in Approved Applicant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김용미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Choice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Care Hospitals in Approved Applicant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노인요양시설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보건의료 서비스
  • 요양병원
  • 장기요양보험인정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11 0

0.0%

'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선택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Choice Factors of Elderly Care Facilities and Care Hospitals in Approved Applicants for Long-term Care Insurance' 의 참고문헌

  • 후기노인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의사 예측요인
    성차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박현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유형의 결정요인 에 관한 연구
    최영훈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통계로 보는 사회보장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 커어복지의 이해와 실천기술
  • 치정미 “노인의료관리 효율화를 위한 요양병원 기능 정립방안”
    송현종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2012]
  • 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서비스의 비용․효과성에 관한 평 가
    박창제 노인복지연구, 28, 317-340 [2005]
  • 치매노인 가족의 보호형태와 비용분석에 따른 부양 가족 지원방안
    박창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청ž장년층의 노후대책 의식과 노인복지시설 선호양상
    배향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지역 간 건강보험이용의 형평성과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지각된 의료서비스품질이 환자만족 및 후 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호 이영회 마케팅관리연구, 9(1), 1-28 [2004]
  • 중⋅장년층의 유료노인복지시설 입주의식 및 선호 도에 관한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박영옥 석사학위논문 [2001]
  • 중ž고령자와 장애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 향요인 종단연구
    문용필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주부양자의 노인요양병원 선택의도에 관한연구
    문관욱 대 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시설적응에 관한 연구
    강동주 서 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연구
    문정화 이화여자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장기요양서비스시장과 서비스 질에 관한 연구: 재가 서비스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 위논문. 조사에 관한연구”
    육홍숙 의료정책포험, 12(3):90-94 [2016]
  • 장기요양서비스 수요의 결정요인(Determinants of Demand for Long-Term Care)
    Chung, W.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1(1): 139-167 [2009]
  •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시설입소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이재정 경성대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시설 입소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기요양등급인정 노인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이윤경 경성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독거노인 과 가족동거 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최민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장기요양대상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연구
    김혜진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장기요양 보호대상 노인의 시설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요 인에 관한 연구
    이미애 노인복지연구, 27: 29-47 [2005]
  • 이병란,이경민“ 요양병원의 효율적 관리방안”
    송현종 채정미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2011]
  • 의사결정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요양시설서비스 이 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정기 한국사회복지학, 60(3): 129-150 [2008]
  • 의료서비스품질과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관 한 구조모형
    손인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의료서비스 품질이 환자만족, 몰입 및 충성도에 미치 는 영향
    김태진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유로노인복지시설 선호도에 관한연구
    권오현 성균관대 사회 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생활환경 적응에 관한연구
    이규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요양보호시설에 대한 부양자의 이용의사 결정에 미 치는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류영순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8]
  •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이 장기요양 재가노인서비스 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덕순 국제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연구: 보호자와의 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이형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청주시 병원을 중심으로
    김용미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요양병원 특성에 따른 진료비 차이분석
    김동현 서울대학 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요양병원 재이용 의사결정의 요인분석과 차별화 방 안 연구
    최예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요양병원 선택요인과 관계의 질이 전환의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종범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앤더슨 행동모델에 근거한 노인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종단연구: 중ž단기 분석
    이원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 적 연계방안
    이은미 최인덕 한국노년학회, 30(3): 855-869 [2010]
  • 소득계층별 민간의료보험의 가입요인과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형익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석재은,이호용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 구분에 대한 비판적 탐구: 입소자의 특성비교를 중심으로”
    이기주 한국노인 복지학회, 2015(2);333-340 [2015]
  • 사회 보장론
    김진수 김태성 서울: 청목출판사 [2003]
  • 방문건강관리사업 만성질환 노인의 건강행위 구조모 형
    박영미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뇌졸중환자의 재활병원과 요양병원의 선택요인에 관 한 연구.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김혁일 석사학위논문 [2012]
  • 뇌졸중 환자의 병원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김제영 부산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뇌졸중 환자들의 노인전문 병원 및 노인요양시설 선 택요인과 이용 만족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안광호 석사학위 논문 [2011]
  • 노인환자의 부양시설 유형 선택결정요인 분석: 노인 요양병원과 장기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호동연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노인정책 참고자료
    보건복지부 [2017]
  • 노인전문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웅재 충남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노인전문병원 이용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결정에 미 치는 관련요인
    김창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노인전문병원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오준호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노인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위숙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유형선택의 결정요인
    김금태 경북대 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 서비스 이용자의 시 설 서비스이용 결정요인
    강임옥 권진희 한은정 한국노년학회, 31(2):259-276 [2011]
  •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결정 및 이용효과 연구: 노인 의 욕구를 중심으로
    신혜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이후 대도시의 노인전문병원 과 노인요양시설 이용자들의 만족도 비교
    이옥경 연세대학교 보건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들의 서비스 이용 결정요 인
    김복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이가옥 이미진 한국노년학, 21(2): 113-124 [2001]
  • 노인의 시설적응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요 양시설 입소결정 주관자를 중심으로
    김경애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 노인요양원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자의 공동가정 기능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나선미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관점을 중심으로
    송혜영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노인요양시설 이용의사의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요 양시설 운영의 외부적 요인을 중심으로
    김영희 경기대학교 서비스 경 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노인요양시설 이용 욕구 및 선호에 관한 연구; 강릉 지역 중심으로
    이미애 관동대학교 경영행정ž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질 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금주 전북대학교 행 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노인요양병원 이용 만족도의 영향요인: 소비가치요인을 중심으로
    권진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노인요양병원 서비스 품질에 대한 주부양자의 인식 이 요양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김인태 고려대학교 인 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노인성 장기요양환자의 요양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류정건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노인부양자의 노인장기요양시설 입소결정과 선택에 관한연구
    임재경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노인부양자의 노인요양병원 이용에 대한 의사결정 요인
    이혜진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노인부양의식에 관한연구-2030대를 중심으로
    최연희 경희 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노인병원과 종합병원의 선택요인 및 환자만족도 비 교
    윤서중 연세대학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노인들의 유료노인주거복지 시설 이용의사 결정 예측에 관한연구-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 노인과 가족수발자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의사 영향요인 연구
    최원영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남은숙,채영란,이혜경 “Andersen행동모형에 근거한 한국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의사 결정요인 분석”
    김은영 한국노 년학, 28(3): 585-602 [2008]
  • 급성기 뇌졸중 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 돌봄자의 부 양부담과 노인요양병원 이용의사에 관한연구
    손지혜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홈페이지
    http://nhis.or.kr
  •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2012년 4월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 [2012]
  • 국가통계포털
    .www.kostat.go.kr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
    law.go.kr/
  •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송다영 한국사회복지학, 53: 105-128 [2003]
  • 가족부양자의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결정요인
    박창제 한국지역사회 복지학, 33: 69-92 [2010]
  • 가구유형별 노인의 사회서비스 이용경험과 영향요인 연구
    배화숙 사회과학연구, 27(3): 1-24 [2011]
  • “한국 중ž노년의 미래시간 조마이 주관적 안 녕 감에 미치는 영향”
    노수림 한경훈 사회과학연구, 27(1) [2016]
  •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가족관계에 따른 문제 인식, 부양부담, 시설입소의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천안시 가 정 방문간호 대상자를 중심으로”
    김철수 유성호 노인복지연구, 26: 191-24 [2004]
  • “치매가족의 치매대상자 재가돌봄의사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이동영 조범훈 한국콘텐츠학회, 16(2):320-331 [2016]
  • “치매 질환자 등급판정 도구개발 연구”
  • “전.후기 고령자의 노인장기요양보호 서비스 에 대한 욕구차이”
    이병록 이혜경 노인복지연구, 42 7-26 [2008]
  • “재가노인요양서비스 종류별 이용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임정기 한국사회정책, 16(1): 193-234 [2009]
  • “장애인장기요양제도와 노인장기요양제도간의 관계 설정에 관한 고찰”
    김찬우 한국사회정책학회 제 16권제2호. 181-222 [2010]
  •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순만 김홍수 이혜재 전보영 한국노년학회, 31(1).171-18 [2011]
  • “장기요양인정 독거노인의 재가서비스 이용관련 요인”
    김성희 남정모 박종연 보건과 사회과학, 29; 237-258 [2011]
  • “장기요양과 의 료 서비스 통합케어 모형개발”
  • “장기요양 필요노인 부양자의 시설입소결정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접근”
    서문진희 정여주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5(1):87-117 [2011]
  • “장기요양 노인환자의 노인전문요양시설 입소 를 결정한 돌봄 제공자의 경험”
    손행미 홍선우 대한간호학회지, 37(5): 724-735 [2007]
  • “장기요양 급여와 건강보험 급여와의 연계방 안 연구”
    김진수 신혜리 노인복지 연구, 67: 83-105 [2015]
  • “이용자 욕구(need)와 거주지역에 기반 한 요양병원 과 요양시설의 기능재정립 방안연구
    최인덕 한국지역사회복지학, 50: 139-176 [2014]
  • “요양병원의 운영현황 및 상태 조사에 관한연구”
    김현정 변주영 송지양 안형식 의료정책포험, 12(3):90-94 [2015]
  • “요양병원과 요양 시설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연계 방안을 중심으로”
  • “요양병원 진료비 증가요인: 건강보험 입원 진료비 중심으로”
    김동환 김명화 황진영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연구보고서, 2010-108 [2010]
  • “요보호 노인 부양가족의 재가복지 및 재가보건 서 비스 유형별 이용 의향에 관한연구”
    김혜경 『한국사회복지학』, 56(4):123-147 [2004]
  • “연소노인과 고령노인 간 의료서비스 이용 예 측 요인의 연령차: 고령화 사회의 의료서비스에 주는 함의”
    강상경 전해숙 보건사회연구, 32(1). 28-57 [2012]
  • “실태조사를 통한 노인의 료(요양) 서비스제도 개선 방안”
    권순만 김호 김홍수 원장원 이지윤 서울대 보건대학원 [2013]
  • “서울시 노인빈곤실태의 다차원적 진단과 대응반안”
    김경혜 서울연구원 [2014]
  • “부양가족의 의료기반 노인보호와 비 의료기반 노인 보호의 비용효과 분석”
    박창제 한국가족복지학, 20(2): 221-245 [2015]
  •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우철 이유재 한국마케팅학회, 61-86 [1998]
  •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 노인 가족 수발자의 재가복 지 서비스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인정 한국사회복지학, 56(3) :183-205 [2004]
  •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 참여태도 및 만족도가 노인 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노인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지홍 조승종 진선미 최승아 한 국 노인복지학회 제46권, 239-261 [2009]
  • “농촌지역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증진행 위 관련요인”
    이명숙 임현자 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35(4).370-382 [2010]
  • “농촌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의 신체적 건강 과 의료시설 이용”
    이정화 한경혜 한국가족관계학회 11권2호, 175-197 [2006]
  • “농촌 노인의 지각된 건강과 신체,정 신, 사회적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연구-연령 집단 간 차이를 중 심으로”
    이정화 차승은 한경혜 한국노년학회,22권1호, 173-190 [2002]
  • “노인장기요양에서 보건과 복지의 합리적 역할분담: 분담과 연계의 조화”
    최혜지 월간 복지동향, 157: 30-34 [2011]
  •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이윤경 한국 노년 29(3):917-933 [2009]
  •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서비스 이용 자의 비급여 본인 부담크기 및 영향요인”
    권진희 이정석 한은정 보건행정학회지. 22(1):145-162 [2012]
  •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을 중심으로”
    박경숙 『한 국사회복지학』제55권, 한국사회 복지학회, 283-307 [2003]
  • “노인요양시설의 임소과정에서 제공해야하는 정보는 무엇인가?”
    강은나 이민홍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2):23-44 [2013]
  • “노인요양시설 입소자의 의료적 욕구관리 방안”
    박민정 서은영 이정면 한은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2]
  •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연 구”
    심미승 한국 행정학보, 45(4): 203-230 [2011]
  • “노인 돌봄 기본서비스의 효과성분석”
    강은나 이민홍 이재정 한국노년학, 33: 787-803 [2013]
  • “노인 간병 가족의 요양시설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 치는 노인들에 관한 연구”
    이인정 사회복지연구, 17(봄),175-195 [2001]
  • “노년기 전기와 후기의 차이에 관한연구. 한국노년 학”
    이인정 19(3),35-50 [1999]
  • “노년기 의료서비스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 만성질환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상경 전해숙 한국노년학 회, 31(4). 1247-126 [2011]
  • “노 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역할정립방안 연구”
  • “Andersen과 Newman모델에 근거한 농어촌 지역 노인의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의향에 관한 연구”
    박현숙 이기영 임현정 최송식 한국사회복지학회, 257-278 [2010]
  • “ 중.고령자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사 영향 요인: 베이비부머와 노인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문용필 이준영 한국 사회 보장학회, (32/3) 59-92 [2016]
  • Wallace, S. P. and Levy-Stoem, L. and Kington, R. S. and Andersen, R. M.(1998). The Persistence of Race and Ethnicity in the Use of Long-Term Care. J ournal of Gerontology:Social Sciences, 53B(2): 104-112
  • Wagstaff D, Jeffer S, David.(1992). On patient need, equity, supplier-induced demand, and the need to assess the outcome of common medical practices, Medical Care, Vol.23, No.5
  • Uchman(1975). Social Patterns of illness and medical car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6
  • Strasser S, Davis R. M, "Measuring Patinet atisfaction for SImproved Patient Service, "Health Administration Press, 1991.
  • Shi, L. & Singh, D. A., Essential of the U.S Health Care System. Jones&Bartlett Learning. 2015
  • R.B. Smith.(1997) ‘Patient opinon help place hospital service perspective’. Hospital, pp. 65-68.
  • Pearlin, L. I., Mullan, J. T., Semple, S. J., & Skaff, M. M. (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988;64(1):12-40
  • OECD. Long-term Care for Older People. OECD publishing. 2005.
  • OECD www.oecd.org
  • Norgard, T. M., & Rodgers, W. L. (1997). Patterns of in-home care among elderly black and white Americans. The J 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2(Special Issue): 93-101.
  • Newman, S. J., Struyk, R., Wright, P., & Rice, M.(1990). Overwhelming odds: Caregiving and the risk of institutionalization. Journal of gerontology,45(5): S173-S183
  • Mui, A, C., & Burnerre, D. 1994. Long-term care service use by frail elders: Is ethnicity a factor?. The Gerontologist, 34(2) : 190-198.
  • Miller, E. A., & Weissert, W. G. (2000). Predicting elderly people's risk for nursing home placement, hospitalization, functional impairment and mortality: A synthesis.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57(3), 259-297.
  • Mecanic(1978). Medical sociology, Free Press 2nded., New York. NCHS, series10, Value of dental visits, U. 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No.23
  • McAfee, D. F. (1998). Predictors of Perceived Emotional Distress ; Objective, Subjective, and Demand Burden ; and Health Status of Informal Nursing Home Caregivers (Family). PHD. University of Kansas.
  • Long-Term Care Insurance and Health Care Financing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Shin, J. 보건사회연구, 34(4):068-092 [2013]
  • Kotler. p. and Clarke R. N. ‘Marketing for Health Care organizacion’. N. J, Prentice-Hall inc, 1987
  • Kim, E. Y. & Kim, C. Y. (2004). Who wants to enter a long -term care facility in a rapidly aging non-western society? attitudes of older koreans toward long-term care facilities. International Health Affairs, 52(12), 2114-2119.
  • Katz S., Down, T. D, and Cash, H. R. 1970.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the index of ADL“, Gerontologist.(10):20-30.
  • Kang, I .-O., Park, C. Y., & Lee, Y.(2012). Role of healthcare in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medica science,27: S41-S46.
  • Kane, R. A., & Kane, R. L.(1987). Long-term Care: Principles, Programs, and Policies. New York: Springer Pub. Co.
  • Hanley, R. J., Alecxih, L. M., Wiener, J. M., & Kennell, D. L. Predicting elderly nursing home admissions; results from the 1982-1984 national long-term survey. Research on Aging. 1990;12(2):199-228
  • Evashwick, C., Rowe, G., Diehr, P., & Branch, L. Factors Explaining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 by Elderly. Health Service Research. 1984;19(3):357-382
  • Coughlin, T. A., McBride, T. D., Perozek, M., & Liu, K. (1992). Home care for the disabled elderly: predictors and expected costs. Health Services Research, 27(4): 453.
  • Calsyn, R. J., & Winter, J. P. (2000). Predict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use by he elderly: the strength of the behavioral model and the value of interaction terms. J 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9(3): 284-303.
  • Bradley, E. H., McGraw, S. A., Curry, L., Buckser, A., King, K. L., Kasl, S.V and Andersen, R, M.(2002). Expanding the Andersen model : The role of psycho social factors in long-term care use”, Health Services Research, 37(5):1221- 1242.
  • Borrayo, E. A., Salmon, J. R., Polivka, L., & Dunlop, B. D. (2002). Utilization across the continuum of long term care services. The Gerontologist, 42(5), 603-612.
  • Bass, D. M., & Noelker, L. S.(1987). The influence of family caregivers on elder's use of in-home services: An expand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84-196.
  • Andersen, R. M. (1995).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1), 1-10.
  • Andersen, R. M(1968). A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 Andersen R. M.& Newman, J. F.(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51: 95-124
  • Andersen R. M. Kravits J, Anderson O. W. (1975). 「Equity in health services, empirical analysis in social policy」, Cambridge, Mass.: Ballinger
  • Andersen R. M(2007, 2008). National health surveys and the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use, Medical Care, Jul; 46(7):647-653.
  • 2016년 손에 잡히는 의료 심사ž평가 길잡이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
  • 2015년도 제21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부의안건 : 요양병원 건강보험수가 개선방안
    , 보건복지부 [2015]
  • . 장기요양필요노인 주부양자들의 서비스이용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방문요양서비스 이용노인 주부양자들을 중심으로
    서문진희 정여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9: 29-5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