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문학 비교연구 : 가족시와 서간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mily Literature between Jeong Yak-yong and Zeng Guofan:Focused on the Family Poem and Letter Writing

양춘연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문학 비교연구 : 가족시와 서간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mily Literature between Jeong Yak-yong and Zeng Guofan:Focused on the Family Poem and Letter Writi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족시
  • 문학세계
  • 비교연구
  • 생애
  • 서간문
  • 정약용
  • 증국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18 0

0.0%

' 정약용과 증국번의 가족문학 비교연구 : 가족시와 서간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Family Literature between Jeong Yak-yong and Zeng Guofan:Focused on the Family Poem and Letter Writing' 의 참고문헌

  • 허권수 (역),『증국번가서』
    증국번 도서출판 술이 [2005]
  • 박석무, 정해렴(역), 『다산시정선하(下)』
    현대실학사 [2001]
  • 박석무 (역),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창작과비평사 [1991]
  • 등 공저, 『조선단대사 21(리조사7)』
    장국종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1]
  • 龍誌堅 張靜, 「曾國藩詩文鑒賞論」, 南華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6.
  • 黃霖, 『近代文學批評史』,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3.
  • 黃偉, 『曾國藩詩文研究』.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16.
  • 魯 力, 「中美傳統修身思想比較研究-以《曾國藩家書》和《富蘭克林自傳》 為例」, 河北青年管理幹部學院學報, 2016年 第5期.
  • 馬道宗, 『曾國藩治家方略』. 北京: 中華工商聯合出版社, 1999. p. 218.
  • 顧善慕, 『清代乾隆年間的捐納制度』, 黑龍江社會科學 5, 2006.
  • 錢穆, 『中國近三百年學術史』, 商務印書館, 1997.
  • 錢基博, 『現代中國文學史』,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4.
  • 錢仲聯編校.『陳衍試論合集.陳衍著』.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1999.
  • 金 楠, 「論曾國藩家庭倫理思想及其現代價值」. 中央民族大學 碩士學位 論文, 2012.
  • 郭延禮, 『中國近代文學發展史』, 山東教育出版社, 1993.
  • 邢應駒, 「曾國藩修身思想探析」, 牧丹江師範學院學報, 2010年 第5期.
  • 趙爾巽等. 『清史稿 曾國藩傳』. 北京: 中華書局, 2003.
  • 褚斌傑, 『中國古代文體概論』.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0.
  • 蕭一山, 『清代通史』卷中, 中華書局, 1984.
  • 蕭一山, 『清代通史 第2卷』,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6.
  • 蔣定剛, 「論曾國藩的經世致用思想」, 雲南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09.
  • 胡清芳, 「詩緣情—曾國藩詩歌初探」, 湖南科技大學 碩士學位論文, 2009.
  • 翔 雲, 「曾國藩的詩歌創作」, 武漢科技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8年 第10 卷 第5期.
  • 王繼平, 『曾國藩研究(第5輯)』, 湖南: 湘潭大學出版社, 2009.
  • 王紫桐, 「丁若鏞漢詩中的中國文化因素」, 曲阜師範大學碩士學位論文, 2017.
  • 王安東 劉蓮, 「試論清代‘文字獄’的起因,特點及影響」, 東方論壇4, 2003.
  • 王國維, 『王國維遺書 觀堂集林』, 上海古籍書店, 1983.
  • 王克真, 「試論曾國藩的家庭教育觀和教育方法」, 長沙大學學報, 2004年 第 3期.
  • 王佩良, 「曾國藩家敎思想探源」, 文史博覽, 2007.
  • 潭雙泉,『中國近代政治思想史』, 湖南: 湖南師範大學出版社, 1995.
  • 汪雯雯, 「從選本形態論曾國藩《十八家詩鈔》的詩學觀念」, 湖南人文科技學 院學報. 2016年 第33卷 第2期.
  • 汪 磊, 「曾國藩文學思想研究」, 安徽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07.
  • 汪 洋, 「曾國藩孝悌倫理及其現實價值」, 內蒙古農業大學學報, 2009年 第4 期.
  • 楊艷雲, 「曾國藩修身思想及其當代價值研究」, 西北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6.
  • 楊曼英, 「曾國藩家庭教育思想及其淵源探析」, 船山學刊 2009年 第3期.
  • 梁啟超, 『清代學術概論』, 東方出版社, 1996.
  • 李英子, 「中國古代現實主義詩歌理論對丁若鏞的影響」, 延邊大學碩士學位論 文, 2011.
  • 李久學 徐雷, 「家學對曾國藩理學思想形成的影響」, 湖南大學學報(社會科學 版), 2015年 第6期.
  • 李 根, 「論曾國藩的友悌觀」, 湖南人文科技學院學報, 2016年 第33卷 第6期.
  • 朱艷雲, 「陶淵明的家庭情結」, 陜西師範大學碩士論文, 2013.
  • 曾琦云, 「中國近代現實主義詩人的裏程碑—曾國藩詩歌創作研究」, 古典文學 新探, 2008年 第20期.
  • 曾國藩撰 허권수譯, 『증국번가서』
    술이 [2014]
  • 曾國藩撰 唐浩明註, 『唐浩明點評曾國藩日記』, 湖南嶽麓書社, 2002.
  • 曾國藩撰 唐浩明註, 『唐浩明評點曾國藩詩文』, 湖南嶽麓書社, 2002.
  • 曾國藩撰 唐浩明註, 『唐浩明評點曾國藩家書』, 湖南嶽麓書社, 2002.
  • 方浩范, 「茶山丁若镛经学哲学思想」, 周易研究, 2014年 第5期.
  • 文自成, 「曾國藩詩初探」, 遼寧師範大學學報, 1996.
  • 戴素芳, 「論曾國藩家訓倫理思想及其現代意義」, 『倫理學硏究』, 2003年 第 5期.
  • 徐大齡, 『清代捐納制度』, 燕京大學哈佛燕京學社, 1950.
  • 徐 雷, 「曾國藩理學思想研究」, 湖南大學 博士學位論文, 2010.
  • 彭 法, 「論曾國藩的教孝觀」, 教育文化論壇, 2015年 第4期.
  • 彭 昊, 「論曾國藩詩歌中的道家人生觀」, 中國文學研究, 2008年 第4期.
  • 彭 婧, 「曾國藩的詩論和詩」, 『求索』, 1985年 第2期.
  • 張立文, 「護道與誠意—曾國藩思想剖析」, 社會科學戰線, 2012.
  • 張亞寧, 「曾國藩家庭敎育的原則與方法」, 濟南敎育學院學報, 2003年 第3 期.
  • 張 琳, 「從曾國藩詩歌中的山水描寫看其淑世情懷」, 湖南工業大學學報(社會 科學版), 2014年 第4期.
  • 尹載煥, 「朝鮮後期 漢詩 硏究를 위한 몇 가지 提言」, 『漢文學論集』
    근 역한문학회 [2015]
  • 孫玉霞, 『朝鮮詩人丁茶山的詩歌創作研究』, 旅遊教育出版社, 2010.
  • 孫玉霞, 「丁茶山詩論中的文學思想」, 沈陽師範大學學報, 2010.
  • 孫 翔, 「曾國藩家庭倫理思想的現代價値硏究」, 西北師範大學政法學院碩士 論文, 2005.
  • 唐浩明, 『曾國藩.曾國藩全集 詩文』[M].長沙: 嶽麓書社, 1994.
  • 唐浩明, 『曾國藩.曾國藩全集 家書』[M].長沙: 嶽麓書社, 1994.
  • 周俊武, 「論曾國藩的睦鄰觀」,『倫理學硏究』 2006年 第6期.
  • 周俊武, 「孝悌為上: 曾國藩家庭倫理思想的根本取向」, 『倫理學硏究』 2007 年 第6期.
  • 周俊武, 「勤儉:曾國藩的家庭倫理思想的重要內容」, 『倫理學硏究』, 2008年 第6期.
  • 劉兆軍, 「曾國藩文學思想探析」, 遼寧大學 碩士學位論文, 2010.
  • 劉 麗, 「丁若鏞《詩經》接受研究——以詩經觀和漢詩創作為中心」, 山東大 學碩士論文, 2014.
  • 佘國武, 「試論曾國藩詩歌」, 湖南人文科學, 2011年 第4期.
  • 任訪秋, 『中國近代文學史』, 河南: 河南大學出版社, 1988.
  • 代亮 徐雷, 「曾國藩詩文思想研究」, 南開大學 博士論文, 2010.
  •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외세의 작용』
    하현강 일조각 [1984]
  • 『한국리얼리즘漢詩의 이해』
    정양구사회 새문사 [1998]
  • 『한국근대사』
    강만길 창작과비평사 [1984]
  • 『한국 한시의 향기』
  •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
    이혜순 태학사 [1999]
  • 『조선후기의 과거』
    박현순 소명출판 [2014]
  • 『조선후기 사상사의 미래를 위하여』
    이경구 푸른역사 [2014]
  • 『조선 후기 시가의 현실인식』
    박노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8]
  • 『제4판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3, 지식산업사 [2014]
  • 『정약용의 시와 사유방식』
    박무영 태학사 [2003]
  • 『시조 삶의 언어, 치유의 노래』
  • 『민족문화연구』25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1992]
  • 『문학으로 읽는 문화상징사전』
    이승훈 푸른사상 [2009]
  • 『다산시선』
    송재소 창작과비평사 [1981]
  • 『다산시 연구』
    송재소 창작과비평사 [1986]
  • 『다산선생 지식 경영법』
    정 민 김영사 [2006]
  • 『다산 정약용문학연구』
    김상홍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5]
  • 『고시조연구』
    최재남 태학사 [1997]
  • 『茶山倫理思想研究』
    장승희 경인문화사 [2005]
  • 『舆猶堂全書』
    정약용 경인문화사 [1989]
  • 『朝鮮後期農業史研究』
    김용섭 일조가 [1982]
  •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
    정석종 일조가 [1983]
  • 『朝鮮後期委巷詩社硏究』
    천병식 국학자료원 [1991]
  • 『朝鮮後期 漢文學의 社會的 意味』
    김 영 집문당 [1993]
  • 『朝鮮平民文學史』
    구자균 민학사 [1974]
  • 『丁茶山과 그 時代』
    정석종 민음사 [1990]
  • 「한국사론」
    신일철 『韓國近現代史論文選集』, 서울: 韓國人文科學院 [2000]
  • 「한국 한시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안대회 『민족문학사연구』2-1, 민족 문학사연구소 [1992]
  • 「한국 근대 가족시 연구」
    한정호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 詩歌論에서의 詩經詩이론의 영향」
    윤인현 『韓國漢文學研究』44 [2002]
  • 「조선후기 한문 장편소설과 중국 아녀영웅소설 비교 연구」
    조치성 가천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조선후기 정치와 실학」
    김용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조선후기 신분제 개혁론의 새로운 지평: 身分主義에서 職分主義 로의 패러다임의 전환」
    김인규 『동양고전연구』30, 동양고전학회 [2008]
  • 「조선후기 서사문학에 (敍事文學) 나타나는 신분관의 변모 양상」
  • 「조선후기 가족제도의 변화」
    송영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조선조 유배문학연구」
    양순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2]
  • 「조선시대 성리학적 사회질서 욕망의 억압에 관한 연구」
    권기돈 동아대 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5]
  • 「정약용의 시문학의 연구: 사유방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무영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정약용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두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의 분석 을 중심으로」
    이순형 『교육학 연구』 [1997]
  • 「정약용의 가족시 연구」
    박호종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정약용의 가정교육에 관한 연구: 두 아들에게 보낸 서간문을 중 심으로」
    김민우 경인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정약용의 가정교육관에 관한 연구」
    지영숙 중앙대학교 박사논문 [1987]
  • 「정다산과 청대학자 고염무의 문학과 비교」
    이영남 『개신어문연구』25, 개신어문학회 [2007]
  • 「이조 시대의 세도정치와 홍경래의 난」
    홍성욱 『새가정』11(9), 새가정 사 [1964]
  • 「실학파와 한시 -현실주의적 성과와 민족 문학적 성취-」
    진재교 『문 학과 사회집단』, 한국고전문학회 [1995]
  • 「시조유형론 -서정적 주체의 내면화 방식-」
    최경환 『語文學論叢』 27 권, 국민대학교 어학연구소 [2008]
  • 「시의 정신치료적 기능에 대한 철학적 정초」
    김주완 『철학연구』100집, 大韓哲學會 [2006]
  • 「세대갈등과 문화생활 -시민성 구현과 관련하여」
    유병래 『철학⋅사상 ⋅문화』19 [2015]
  • 「서사한시와 현실주의」
    박혜숙 『민족문학사연구』 2-1, 민족문학사연구 소 [1992]
  • 「살아있는 현실 , 시로 쓴 역사 -다산의 사회시에 대하여-」
    연은순 『한 국문예비평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권 [1997]
  • 「만락헌 장석인의 한시에 나타난 선비정신」
    문복희 중앙어문학회 [2017]
  • 「두보와 정약용의 사회시 비교연구」
    우위롱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7]
  • 「다산학연구의 최근동향」
    박무영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08]
  • 「다산의 사언시에 대하여」
    송재소 『다산학』제 6 호 [2005]
  • 「다산과 청대문인 왕사정의 자연시 비교연구」
    이영남 『청람어문교육』 [2009]
  • 「다산과 문학 - 인간 다산과 다산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진재교 『한 국한문학연구』50 [2012]
  • 「다산(茶山)의 인성교육 연구 -「가계(家誡)」를 중심으로-」
    진성수 『퇴계 학논집』, 영남퇴계학연구원, 통권 20호 [2017]
  • 「다산 편지의 문학교육적 가치연구」
    이민지 『연민학지』제 20 호 [2013]
  • 「다산 정약용의 편지글에 나타난 효 사상 연구」
    김경신 성산효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다산 정약용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이진숙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8]
  • 「다산 정약용의 인성교육론」
    이정행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다산 정약용의 서학 신봉론」
    김옥희 『茶山丁若鏞의 西學思想硏究』, 순교의 맥 [1991]
  • 「다산 정약용의 문학연구」
    김상홍 『漢文学論集』4 [1986]
  • 「다산 실학사상의 철학적 치유가능성 모색」
    이명희 경성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4]
  • 「다산 시에 나타난 가족애 연구: 내면의식 표출양상을 중심으로」
    손혜정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다산 교육관의 현대 교육적 의의」
    박준영 교육사상 연구, 제16집 [2005]
  • 「과거제도, 그 빛과 그늘」
    이남희 『오늘의 동양사상』18, 예문동양사상 연구원 [2008]
  • 「茶山의 詩觀과 社會詩에 관한 硏究」
    전경남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 석 사학위논문 [1986]
  • 「茶山의 著述과 그에 관한 硏究文獻 分析考」
    曺恩貞 전남대학교 문헌정 보학 석사학위논문 [1999]
  • 「茶山의 社會詩 연구 - 敍事的 寫實性을 중심으로-」
    윤경수 『한국사 상과 문화』62,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 「茶山의 子息敎育 世界 -유배지(流配地)에서 보낸 서간(書簡)과 가 계(家誡)를 중심으로-」
    김상홍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8]
  • 「茶山의 修養論에 관한 研究」
    하갑룡 『大同哲學』18 [2002]
  • 「茶山詩攷 -人倫詩와 社會詩를 중심으로-」
    김상홍 『論文集』, 단국대 학교 [1981]
  • 「茶山西學에 관한 논의」
    최석우 『다산정약용의서학사상』, 다섯수레 [1993]
  • 「茶山文學論」
    김지용 『국어국문학』33, 국어국문학회 [1966]
  • 「茶山學團 시문학의 실학적 성격에 대하여」
    김용태 한국실학연구 14, 한국실학학회 [2007]
  • 「茶山丁若鏞의 抒情詩硏究」
    최병정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茶山丁若鏞의 子女敎育觀-두 아들에게 보낸 家誡를 중심으로-」
    김상목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茶山 詩에 함축된 內面意識의 변모양상」
    김봉남 『한국한문학연구』38 [2007]
  • 「茶山 流配時節의 詩와 두시」
    李丙疇 金泰俊 二友出 版社, 『두시硏究論叢』 [1982]
  • 「茶山 丁若鏞의 流配書簡 研究」
    卓賢淑 湖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7]
  • 「茶山 丁若鏞의 敎育改革思想 硏究」
    임재윤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9]
  •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硏究」
    김재섭 『한국교육사학』21 [1999]
  •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硏究」
    이용형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99]
  • 「茶山 丁若鏞의 古詩에 나타난 主題思想 硏究」
    송미헌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湖南의 학문전통과 漢文學:丁若鏞의 康津流配時의 교육활동과 그 성과」
    임형택 『한국한문학연구』 21, 한국한문학회 [1998]
  • 「淸末 傳統家訓의 硏究 -以曾國藩家訓為中心-」
    노인숙 동아인문학 12집, 동아인문학회 [2007]
  • 「朝鲜后期政治史研究」
    김용흠 혜안 [2006]
  • 「朝鮮後期 身分制 動搖의 一考察: 納粟策, 空名帖 發給을 中心으 로」
    문수홍 『논문집』1, 동국대경주대학 [1982]
  • 「朝鮮後期 詩經論과 詩意識」
    金興圭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1]
  • 「朝鮮後期 土地所有權의 發達과 地主制」
    최윤오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 「朝鮮初期兩班研究」
    이성무 일조각 [1980]
  • 「朝鮮 後期의 文風과 委巷文學」
    정옥자 한국사론 4 [1978]
  • 「曾國藩의 經世思想과 그 禮學價値」
    노인숙 동양철학연구 제76집, 동양 철학연구회 [2013]
  • 「曾國藩의 古文理論 硏究」
    金姬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曾國藩과 그의 思想」
    任桂淳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9]
  • 「實學者의 官吏登用法改革論硏究: 科擧制改革論을 中心으로」
    조원래 『백산학보』23, 백산학회 [1977]
  • 「丁若鏞의 政治經濟思想 硏究」
    홍이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59]
  • 「丁若鏞의 上帝思想」
    김영일 경인문화사 [2003]
  • 「丁若鏞과 正祖 純租年間的政局」
    정석종 『高柄翊先生 回甲紀念史學論 業』 [1984]
  • 「丁若鏞與顧炎武的社會詩比較研究」
    이영남 东疆学刊 [2009]
  • 「 茶山의 蘇東坡論」
    김상홍 『南冥學硏究』 [2004]
  • <한국사10: 중세사회의 해체(2)>
    강만길 한길사 [1994]
  • (역), 『아버지의 편지』
    한문희 함께읽는책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