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강희 2019년
'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적 접근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ontext in Grammar
  • Directives
  • Functional Grammar
  • Grammar Pattern
  • Politeness
  • Speech Act
  • discourse grammar
  • facethreateningact
  • imperative
  • korean language education
  • 공손성
  • 기능 문법
  • 담화 문법
  • 맥락 문법
  • 명령문
  • 문법 형태
  • 지시화행
  • 체면 위협 행위
  • 한국어교육
  • 화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116 0

0.0%

'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적 접근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대 한국어 ‘-든지’와 ‘-든가’ 에 대한 연구: 구어 자료를 중심으로」
    고비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 완화 표현 연구」
    고재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7]
  • 「한국어 명령문의 문법과 화행 연구」
    이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보조용언 ‘보다’ 가정 구문에 대한 맥락 문법 연구」
    김강희 연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화용론적 관점에서 본 의문문 교육 연구-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문문 을 중심으로-, 『국어교육』19(2)
    이준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9-304쪽 [2008]
  • 현대 국어의 공손성 연구
    김명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한국어 화행 교육의 필요성과 교수 방안 연구 : 요청 화행을 중심으 로
    임마누엘 고려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요청화행 교육 방안 연구
    박지영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 한국어 요청화행 표현 연구
    정민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 향에 대하여
    김정화 안경화 최은규 『한국어교육』11(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7-83쪽 [2000]
  • 우리말본
    최현배 서울: 정음문화사 [1937]
  •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요청화행에 관한 연구
    이성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외국인 대학생의 요청 담화에서의 적극적 공손 전략 실현 양상 연구
    엄진숙 『한국어교육』2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7-147쪽 [2016]
  • 상황맥락에 따른 공손성 실현 양상 연구 : 비즈니스 요청 이메일 담화 를 중심으로
    이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6]
  • 발화 요소와 발화 유형
    김수진 오재혁 차재은 『한국어 의미학』36, 한국어의미학회, 91-118쪽 [2011]
  • 김영진 옮김, 『말과 행위』
    서광사 [1992]
  • 국어 발화의 의미에 대하여
    최호철 『한국어의미학』36, 한국어의미학회, 481-529쪽 [2011]
  • 구어의 단위 연구
    전영옥 『한말연구』19, 한말연구학회, 271-299쪽 [2006]
  • 『화용과 문법』
    장석진 탑출판사 [1993]
  • 『형태 중심 한국어 통사론』
    유현경 서울: 역락 [2017]
  •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윤석민 집문당 [1999]
  •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노대규 국학자료원 [1996]
  •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고영근 태학사 [2004]
  • 『한국어의 문법 단위』
  • 『한국어교육 문법(자료편)』
  • 『한국어 화행 교육론: ‘금지 화행’을 중심으로』
    이은희 서울: 한국문화사 [2014]
  • 『한국어 문법론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종선 서울: 박이정 [2003]
  • 『한국어 문법2』
    국립국어원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이미혜 서울: 박이정 [2005]
  • 『한국어 문법 교육론』
    박영순 박이정 [1998]
  •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구현정 서상규 한국문화사 [2005]
  • 『한국어 구어 연구(1) -구어 전사 말뭉치와 그 활용-』
    구현정 서상규 한국문화사 [2002]
  •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2』
    서상규 서울: 한국문화사 [2015]
  • 『학교 문법론』
    이관규 월인 [1999]
  •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93]
  • 『외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담화 화용 연구 1』
    이해영 한국문화사 [2018]
  • 『언어 수행론 연구』
    하길종 국학자료원 [2001]
  • 『사회언어학 사전』
  • 『발화분석의 화행의미론적 연구』
    김태자 서울: 탑출판사 [1987]
  • 『명령문의 국어사적 연구』
    박영준 국학자료원 [1994]
  • 『대화의 기법: 이론과 실제』
    구현정 경진문화사 [1997]
  • 『대화분석론』
    박용익 한국문화사 [1998]
  • 『담화와 문법』
    정희자 한국문화사 [1999]
  • 『담화연구의 기초(Jan Renkema, Discourse Studies)』
    이원표 한국문화사 [1997]
  • 『담화분석: 방법론 및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사례』
    이원표 한국문화사 [2001]
  • 『국어학서설』
    노대규 신원문화사 [1991]
  • 『국어문체론』
    박갑수 대한교과서 [1994]
  • 『국어문법』
    서정수 뿌리깊은나무 [1994]
  • 『국어 종결어미 연구』
    한길 춘천: 강원대학교 출판부 [1991]
  • 『국어 문장 종결부의 문체』
    장경현 역락 [2010]
  • 『국어 명령문에 대한 연구』
    고성환 서울: 역락 [2003]
  • 「환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반복 구문」
    진관초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대 회 발표집』, 한국문법교육학회, 181-193쪽 [2017]
  • 「화행의미론」
    장경희 『한국어의미학』2, 한국어의미학회, 41-56쪽 [1998]
  • 「화행론적 관점에서 본 문체분석 모형」
    백용학 『새한영어영문학』20, 5-42쪽 [1986]
  • 「화법의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
    이진경 『화법연구』6, 197-219쪽 [2003]
  • 「형태와 의미의 불일치」
    박정운 『담화와 인지』11(2), 담화인지언어학회, 65-81쪽 [2004]
  • 「현대국어의 명령표현 연구」
    조성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 논문 [1989]
  • 「현대국어 문체법에 대한 연구」
    고영근 『어학연구』12(1),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76]
  • 「현대국어 명령문 연구-사회언어학적 접근」
    박영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87]
  •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 일상적 준구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박지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 「헤지 문법 항목으로서의 ‘-고요’, ‘-거든요’, ‘-는데요’ 연구-청문회 담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김강희 중원언어학회, 『언어학연구』44, 35-51쪽 [2017]
  • 「핵심어 분석을 통한 구어 공적/사적 담화 특징 연구」
    전지은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 지』21(1), 105-126쪽 [2014]
  • 「한국어의 행위요구월 연구」
    김선호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 「한국어의 인용문 연구」
    이상복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1, 연세대학교 언어교육원 한국어학당, 131-154쪽 [1974]
  •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서상규 『한국어교육』2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1-107쪽 [2013]
  • 「한국어의 고정적인 화용표현 연구」
    문금현 『국어국문학』152, 국어국문학회, 181-217쪽 [2009]
  • 「한국어의 간접 화행과 존대 표현」
    정희원 『화용론논집』1, 151-160쪽 [1991]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남신혜 『새국어교육』107, 한국국어교육학회, 399-432쪽 [2016]
  • 「한국어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등급 체계에 대한 제안」
    안주호 『동악어문학』72, 동악어문학회, 97-123쪽 [2017]
  •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 법론 연구」
    민현식 『국어교육연구』22,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61-334쪽 [2008]
  • 「한국어교육을 위한 명령형어미 연구」
    이은희 『청람어문교육』40, 청람어문 교육학회, 71-95쪽 [2012]
  • 「한국어교육을 위한 ‘허락 요청’-‘허락 요청’ 표현의 공손성을 중심으로-」
    신정애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봄 정기학술대회 발표집』, 165-176쪽 [2008]
  • 「한국어교육에서의 표현문형에 대한 연구: 의존명사 {수} 구성 표현문 형을 중심으로」
    유소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한국어교육에서 ‘맥락’ 논의에 대한 일고찰」
    오승영 지현숙 『새국어교육』1 15, 한국국어교육학회, 135-159쪽 [2018]
  • 「한국어 화행에서의 공손성 실현 양상」
    김서형 『한국어학』61, 한국어학회, 123-143쪽 [2013]
  • 「한국어 화용교육 방안」
    문금현 『숙명어문논집』6, 숙명어문학회, 353-386쪽 [2005]
  • 「한국어 행위 지시 표현 교육 연구」
    이은희 『문법 교육』16, 한국문법교육 학회, 241-272쪽 [2012]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거주기간에 따른 불평 화행의 인지 연구」
    홍승아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능력과 화용능력의 발 달 관계 연구」
    이정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화행 연구: 요구, 제안, 부탁을 중 심으로」
    김미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한국어 학습자 구어 전사 자료에서의 쟁점과 구어 전사의 실제」
    강현화 한송화 『한국사전학』27, 한국사전학회, 75-108쪽 [2016]
  • 「한국어 표현문형 담화기능과의 상관성 분석-지시적 화행을 중심으로-」
    강현화 『이중언어학』34, 이중언어학회, 1-26쪽 [2007]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최정순 『이중언어학』47, 이중언어학회, 383-402 쪽 [2011]
  • 「한국어 탈종속화(Insubordination)의 한 종류」
    문숙영 『한국어학』69, 한국어학회, 1-39쪽 [2015]
  • 「한국어 종결어미 ‘-ㅂ시다’의 의미」
    나은미 『이중언어학』20, 이중언어학회, 93-110쪽 [2002]
  • 「한국어 이유 표현 ‘-길래’의 담화 문법 연구」
    진정란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 인지』12(3), 137-154쪽 [2005]
  • 「한국어 의문문의 지시화행 사용 양상 조사」
    진강려 『한국경제문화연구』2, 한중경제문화학회, 267-299쪽 [2014]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박문자 『한국어교육』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5-72쪽 [2006]
  • 「한국어 요청 화행의 적절성에 대한 태국인의 인식과 숙달도」
    이해영 『이 중언어학』21, 이중언어학회, 219-240쪽 [2010]
  • 「한국어 요청 화행 교수-학습에 관한 비판적 분석 -초급 교재를 대상으로-」
    김혜련 전은주 『새국어교육』97,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종결어미 ‘-(으)ㄹ래, -(으)ㄹ게’를 대상으로 -」
    윤은경 『언어와 문화』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1-63쪽 [2006]
  •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박지순 『새국어교육』98, 한국 국어교육학회, 289-324쪽 [2014]
  •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 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구 -‘하다’를 중심으로-」
    한송화 『한국어교육』11(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481-529쪽 [2000]
  • 「한국어 문장의미론」
    박영순 박이정 [2001]
  • 「한국어 명령문의 조건과 범위」
    이지수 『국어학』75, 국어학회, 233-270쪽 [2015]
  • 「한국어 명령 수행문의 유형과 특징」
    김병건 『인문과학연구』41, 강원대학 교 인문과학연구소, 109-131쪽 [2014]
  • 「한국어 말차례 체계와 화제」
    박성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5]
  • 「한국어 담화 교육을 위한 논의-한국어 경어법 관련 표현을 중심으로-」
    김정남 『한국어교육』1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5-154쪽 [2008]
  • 「한국어 금지 표현의 교수 방법」
    김영란 『한국어교육』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1-193쪽 [1999]
  • 「한국어 구어 문법과 평가: 이론편」
    지현숙 서울:도서출판 하우 [2005]
  • 「한국어 교재의 문법 기술 방식」
    이은희 『이중언어학』25, 이중언어학회, 3 03-334쪽 [2003]
  • 「한국어 교재의 공손성 분석: 요청 화행 발화를 중심으로」
    김수정 이화여자 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 「한국어 교재에서의 맥락 정보 제시 방안 연구–요청 표현 ‘- (으)ㄹ래(요)?’를 중심으로-」
    서지혜 장채린 『언어와 문화』8(3),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47-171쪽 [2012]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 기능 인용결합형 문법 항목의 선정」
    남신혜 『한국문법교육학회 발표 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 87-95쪽 [2015]
  • 「한국어 공손표현의 화용론적 연구」
    허상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 문 [2010]
  • 「한국어 공손표현의 의미」
    전혜영 『한국어의미학』15, 한국어의미학회, 71- 91쪽 [2004]
  • 「한국어 공손표현의 교육 방안」
    전혜영 『이중언어학』29, 이중언어학회, 34 7-368쪽 [2005]
  • 「한국어 공손 화용교육의 내용 구성에 대한 제언」
    문금현 『어문연구』46(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7-331쪽 [2018]
  • 「한국어 거절화행 표현교육 연구」
    신범숙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한국어 간접 지시 화행 교육의 실태와 교재 구성 방안-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희 『문법 교육』20, 275-295쪽 [2014]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형화된 표현 사용의 쓰기 교육 효과 연구」
    원미진 『언어사실과 관점』35,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157-181쪽 [2015]
  • 「학교문법 정립에 있어서 표준문법의 역할」
    유현경 『우리말연구』43, 우리 말학회, 65-90쪽 [2015]
  •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박용찬 『우리말글』75, 우리말글학회, 109-159쪽 [2017]
  • 「학교 문법 다시 쓰기-언어 단위 문제를 중심으로」
    주세형 『한어교육학연 구』20, 461-498쪽 [2004]
  • 「표준문법 정립을 위한 담화론의 논점 탐색」
    이병규 『문법 교육』19, 한국 문법교육학회, 101-125쪽 [2013]
  •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한국어 텍스트 유형 및 문체 분석」
    강범모 김홍규 허명희 『언어학』22, 한국언어학회, 3-57쪽 [1998]
  • 「텍스트언어학 : 응용편; 한국어 입말 담화의 결속성 연구 –생략 현상 을 중심으로」
    김형정 『텍스트언어학』1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41-265쪽 [2002]
  • 「텍스트 언어학과 외국어 교육」
    신형욱 『텍스트언어학』17, 텍스트언어학회, 1-26쪽 [2004]
  • 「체면 위협 행위로서의 종결어미 ‘-니’ 연구 –말뭉치 분석 및 담화 적절성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김강희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21』8(1), 427- 452쪽 [2017]
  • 「중국인의 한국어 업무 이메일 요청화행 연구: 한국인과의 요청 전략 비료를 중심으로」
    홍진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윈 논문 [201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정 의문문 교육 연구-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하여-」
    진강려 『국어교육연구』28, 서울대학교 국어연구소, 31-60쪽 [2011]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지시-거절화행 대조 연구」
    황정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주어의 생략에 대하여」
    박양규 『국어학』9, 1-25쪽 [1980]
  • 「종결형 어미의 통합적 관계」
    이승욱 『난정 남광우 박사 화갑기념 논총』, 일조각 [1980]
  • 「종결어미 ‘-거든’의 화용 전략과 억양의 기능 – 10대, 20대, 30대의 연령 변이를 중심으로」
    조민하 『한국어학』65, 한국어학회, 237-262쪽 [2014]
  • 「조건 표지에서 문장종결 표지로의 문법화」
    구현정 이성하 『담화와인지』8(1), 담화인지언어학회, 1-19쪽 [2001]
  • 「접속문의 의미 통사 구조와 운율 실현 양상-연결어미 ‘-고’ 접 속문을 중심으로」
    김민국 하영우 『국어학』88, 137-172쪽 [2018]
  • 「접속문과 공손원칙」
    전혜영 『이화어문논집』10, 이화어문학회, 81-101쪽 [1989]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 관한 연구」
    조경아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일본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연구-전략과 표현을 중심으 로-」
    이강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7]
  • 「인용조사 ‘고’의 담화분석: 간접인용의 주관화와 문법화를 중심으로」
    이원표 『사회언어학』7(1), 한국사회언어학회, 179-220쪽 [1999]
  • 「인문 언어학의 방향 탐색을 위한 비판적 언어 연구 –비판적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김현강 『언어사실과 관점』34, 27-53쪽 [2014]
  • 「의지 표현들의 의지 정도성 비교 -‘-겠어요’, ‘-(으)ㄹ거예요’, ‘-(으) ㄹ래요’, ‘-(으)ㄹ게요’를 중심으로-」
    박숙영 『언어와 문화』2(2),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1-40쪽 [2006]
  • 「의사소통에서 나타나는 울타리 표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노석영 이찬규 『화법연구』21, 245-286쪽 [2012]
  • 「의문법 어미의 종류에 따른 의문문 유형의 의미기능」
    박종갑 『영남어문학』13, 한민족어문학회, 397-419쪽 [1986]
  • 「응용언어학사전」
    박경자 경진문화사 [2001]
  • 「음식조리법 텍스트의 장르 기반(genre-based)적 구성담화 분석- 문법요소와 담화기능 및 담화목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박나리 『텍스트언어학』3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23-358쪽 [2012]
  • 「유사 담화 기능의 문형 제시 연구-한국어 교재의 용례를 중심으로 -」
    이윤진 『한국어교육』2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1-173쪽 [2009]
  • 「우리말 담화의 결속관계 연구」
    노석기 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9]
  • 「요청의 상호행위 현상 연구」
    이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요청상황에 따른 요청전략의 분포와 공손성 정도」
    박선옥 『언어과학연구』25, 언어과학회, 113-136쪽 [2003]
  • 「요청 화행에 나타난 공손 전략의 실현 양상」
    전정미 『한말연구』21, 한말 연구학회, 247-267쪽 [2007]
  • 「외국인의 요청 표현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 연구-한국인이 선호하지 않는 표현을 중심으로」
    홍승아 『한어문교육』36,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13-135쪽 [2016]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형식 문법 에서 기능 문법으로」
    한송화 『한국어교육』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57-379쪽 [2006]
  • 「영어권 고급 화자를 위한 한국어 화행교육 모형 연구」
    장미경 『한국어 교육』1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5-329쪽 [2008]
  •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대하여」
    유현경 『한글』261, 한글학회, 123 -148쪽 [2003]
  • 「언표내적 힘의 관점에서 본 담화분석」
    백용학 『새한영어영문학』37, 새한영어영문학회, 247-273쪽 [1997]
  • 「언어교육에 관한 한국 텍스트 언어학의 연구 내용 및 성과」
    조국현 『텍스 트언어학』22, 텍스트언어학회, 143-169쪽 [2007]
  • 「언어 규범과 언어 변이의 문제-‘표준 화법’을 중심으로-」
    조태린 『사회언 어학』18(2), 한국사회언어학회, 189-214쪽 [2010]
  • 「어미의 처리에 대하여」
    이선희 이종희 이희자 『한국어사전 편찬실 연찬회』,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35-46쪽 [1995]
  • 「어말어미 ‘-거든’에 대한 연구」
    신지연 『텍스트언어학』8, 한국텍스트언어 학회, 251-270쪽 [2000]
  • 「시킴월의 유형에 대하여」
    채영희 『우리말연구』2, 우리말학회. 153-188쪽 [1993]
  • 「숙달도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문형 사용 양상과 오류 연구: 표 현문형의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이보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수행문 생략에 관한 연구」
    백용학 『새한영어영문학』33, 263-286쪽 [1995]
  • 「서법으로서의 명령법」
    채영희 『문창어문논집』20, 문창어문학회, 165-185 쪽 [1983]
  • 「상대높임법 화계에 대한 연구」
    이은희 『국어 문법의 탐구』2, 서울: 박문 사, 203-234쪽 [2009]
  •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기초한 한국어의 화용 교육」
    이해영 『이중언어학』21, 이중언어학회. 46-70쪽 [2002]
  • 「브라운과 레빈손(Brown/Levinson) 모델의 한계와 그 극복 가능성」
    조용길 『독어교육』40, 독어교육학회, 115-136쪽 [2007]
  • 「부정명령의 분석」
    이정민 『어학연구』13(2),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5-114 쪽 [1977]
  • 「부정명령문 연구」
    김미숙 『새국어교육』54, 한국국어교육학회, 323-342쪽 [1997]
  • 「복합 종결어미 ‘-기는(요)’의 의미와 담화 기능」
    유소영 한승규 『언어학연 구』21(1), 한국언어연구학회, 125-147쪽 [2016]
  • 「발화의 음 산출에 관여하는 화용론적 요인」
    김태경 장경희 『한국어의미학』18, 한국어의미학회, 175-196쪽 [2005]
  • 「발표담화와 발표요지 비교 연구」
    전영옥 『텍스트언어학』19, 한국텍스트언 어학회, 209-246쪽 [2005]
  • 「바람직한 화법 교육의 방향」
    구현정 『한말연구』14, 한말연구학회, 1-23쪽 [2004]
  • 「문장의 종류」
    고성환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395-434쪽 [1998]
  • 「문장과 이야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중세어를 중심으로」
    고영근 『관악어 문연구』15,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7쪽 [1990]
  • 「문장 문법에서 담화 문법으로의 확대 필요성」
    이경남 『영어교육』51(2), 한국영어교육학회, 149-168쪽 [1996]
  • 「문법화 연구에서의 구어의 의의」
    이성하 『언어과학연구』47, 언어과학회, 209-235쪽 [2008]
  • 「문법교육의 목표와 내용 - 현행 학교문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민현식 『국어교육』79, 한국어교육학회, 47-72쪽 [1992]
  • 「문법과 의미를 연계하기」
    강현화 담화인지언어학회, 『담화와인지』24(4), 213-219쪽 [2017]
  • 「문법 항목 ‘-(으)ㅂ시다’의 교재 기술과 사용 양상 연구」
    마쯔자키 마히루 『한국어교육』2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3-81쪽 [2011]
  •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의 상관관계」
    이관규 『한국어학』33, 한국어학회, 3 7-60쪽 [2006]
  • 「명령문의 발화조건-연결어미의 배합을 중심으로-」
    이창용 『미원 우인섭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 집문당 [1986]
  • 「명령문의 개념과 범주」
    박영준 『어문논집』30, 민족어문학회, 331-349쪽 [1991]
  • 「명령문에 대한 논리적 고찰」
    이상준 『영어영문학』68, 한국영어영문학회, 173-199쪽 [1978]
  •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이재기 『청람어문교육』34, 청람어문교육 학회, 99-128쪽 [2006]
  • 「말실수의 유형 연구:대중매체 텍스트를 중심으로」
    구현정 『사회언어학』10(2), 한국사회언어학회, 1-24쪽 [2002]
  • 「말뭉치 바탕 구어 연구」
    구현정 『언어과학연구』21, 언어과학회, 1-24쪽 [2005]
  • 「마침꼴의 의미 연구」
    이기동 『한글』195, 한글학회, 77-104쪽 [1987]
  • 「드라마 대화에 반영된 갈등 표현 양상」
    구현정 『화법연구』22, 한국화법학회, 9-32쪽 [2013]
  • 「대화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말하기 교육」
    구현정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25(1), 303-330쪽 [2001]
  • 「대화분석론과 말하기 교육」
    구현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3, 연세대 학교 언어연구교육원, 19-42쪽 [2008]
  • 「대화 공손 전략으로서의 반복 표현」
    노은희 『선청어문』27, 서울대학교 국 어교육과, 861-884쪽 [1999]
  • 「대학생의 설득적 발표 담화 구성에 나타난 청중 고려 양상」
    최영인 홍은실 『화법연구』25, 215-249쪽 [2014]
  • 「담화차원의 문법교육 내용 연구」
    김호정 『텍스트언어학』21, 텍스트언어학회, 145-177쪽 [2006]
  • 「담화의 개념과 단위」
    이병규 『어문론총』61, 한국문학언어학회, 121-143쪽 [2014]
  • 「담화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내용 구성」
    이지영 『한국어교육』 17(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5-208쪽 [2006]
  • 「담화와 문법: 대화분석적 시각을 중심으로」
    김규현 『담화와 인지』7(1), 담 화인지언어학회, 155-184쪽 [2000]
  • 「담화분석과 영어교육」
    김진석 한국문화사 [2013]
  • 「담화 중심의 한국어 문법교육이란?」
    김남길 『한국문법교육학회 학술 발표 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 161-180쪽 [2012]
  • 「담화 주석 말뭉치 개발을 위한 화행 분류」
    구현정 전영옥 전정미 『(솔재 최기호 박사 정년 기념논총 간행위원회 편) 국어의 역사와 문화』, 서울: 박 이정 [2007]
  • 「담화 유형과 화행 기능과의 상관성 연구」
    김유미 유혜령 『언어와 문화』4 (1),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70-202쪽 [2008]
  • 「담화 분석의 방법론적 접근1: 문장 단위를 중심으로」
    류관수 『외국문화연 구』9(1), 67-81쪽 [1986]
  • 「담화 분석을 통해 본 ‘-구나’ 용법 연구(1)-담화 분석 범주 설정과 담 화 맥락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김유정 『한국어학』41, 한국어학회, 229-256쪽 [2009]
  • 「담화 문법과 한국어 문법 교육」
    박석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20차 국제 학술대회 국제학술발표 논문집』, 471-484쪽 [2010]
  • 「담화 단위와 의미」
    박철우 『한국어학』77, 한국어학회, 1-36쪽 [2017]
  • 「담화 단위로서의 (적격)문에 대하여」
    이용주 『국어교육』71, 한국어교육학 회, 1-12쪽 [1990]
  • 「다학제적 연구 상황에서의 성공적 의사소통 조건」
    신선경 『화법연구』15, 한국화법학회, 251-275쪽 [2009]
  • 「기술문법과 학교문법: 총론」
    이선웅 『국어학』69, 국어학회, 167-205쪽 [2014]
  • 「국어의 형태, 통사적 공손표지에 대한 연구」
    유혜령 『청람어문교육』41, 청람어문교육학회, 377-409쪽 [2010]
  • 「국어의 융합 현상」
    안명철 『국어국문학』103, 국어국문학회, 121-137쪽 [1990]
  • 「국어의 명령형에 대하여」
    서태룡 『국어학』14, 437-461쪽 [1985]
  • 「국어의 명령표현 연구」
    박금자 『관악어문연구』1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과, 65-91쪽 [1987]
  • 「국어의 구어와 문어의 특성」
    노대규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10, 81-84쪽 [1989]
  • 「국어의 간접화행에 관한 연구」
    이준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9]
  • 「국어발화의 담화상 기능과 간접인용문」
    이창덕 『텍스트언어학』1, 225-267 쪽 [1994]
  • 「국어문법론강의」
    이익섭 채완 학연사 [1999]
  • 「국어과 문법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특징 비교」
    이병규 『이중언어학』28, 이중언어학회, 389-417쪽 [2008]
  •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과 문법 교육의 과제」
    민현식 『문법교육』4, 한국문법교육학회, 1-27쪽 [2006]
  • 「국어 지시 화행의 유형과 방법 및 지시 강도」
    장경희 『텍스트언어학』19,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85-208쪽 [2005]
  • 「국어 의미론」
    임지룡 서울: 탑출판사 [1992]
  • 「국어 의문문 의미-화용적 의미 기능」
    정주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9]
  • 「국어 요청문의 의미에 대하여」
    박영순 『주시경학보』9, 주시경연구소, 33-49쪽 [1992]
  • 「국어 완곡 표현의 유형과 언어 심리 연구」
    김미형 『한말연구』7, 한말연구 학회, 27-63쪽 [2000]
  • 「국어 어말어미의 텍스트 장르별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민경모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 「국어 양태소의 의미 기능 연구」
    조일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 「국어 양태 범주의 확립과 어미의 의미 기술 – 인식 양태를 중심으로」
    박재연 『국어학』34, 국어학회, 199-225쪽 [1999]
  • 「국어 비종결어미의 종결어미화에 대하여」
    김태엽 『언어학』22, 한국언어학회, 171-189쪽 [1998]
  • 「국어 부정법의 변천 연구」
    홍종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0]
  •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체계 분석」
    김재욱 『한민족어문학』51, 한민족 어문학회, 43-70쪽 [2007]
  • 「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텍스트’ 처리의 문제」
    김은성 『국어교육학연구』33, 333-365쪽 [2008]
  • 「국어 명령문의 화행분석」
    최경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 「국어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송인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 「국어 담화와 문장에 대한 특성 비교」
    노석기 『한글』184, 한글학회, 173-195쪽 [1984]
  • 「구어체 텍스트에서의 한국어 연결어미의 기능」
    이은경 『국어학』34, 국어 학회, 167-198쪽 [1999]
  • 「구어체 어말어미 ‘-거든’과 ‘-더라’의 담화기능」
    김명희 『담화와인지』20(1), 담화인지언어학회, 27-51쪽 [2013]
  • 「구어자료의 정보화 ; 구어 주석 코퍼스 구축을 위한 발화 단위 연구」
    김정선 김태경 최용석 『한국언어문화』28, 한국언어문화학회, 5-25쪽 [2005]
  • 「구어와 담화: 연구와 활용」
    구현정 『우리말연구』28, 우리말학회, 25-56쪽 [2011]
  • 「구어와 구어 문법의 성격」
    권재일 『언어과학회 2004년 하계 전국 학술대 회 발표집』, 언어과학회, 3-31쪽 [2004]
  • 「구어 장르 구분을 기반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연구」
    윤현애 『한국문법교육학회 논문집』, 한국문법교육학회, 115-161쪽 [2011]
  •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언」
    김형정 서상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언어사실과 관점』16, 5-29쪽 [2005]
  • 「구어 담화에서의 한국어 학습자 요청 화행 실현 양상 연구 –전화 메 시지 남기기 과제를 중심으로」
    김지혜 『이중언어학』52, 이중언어학회, 45-69쪽 [2013]
  • 「교육용 문법 용어」
    이관규 『한국어교육론』2, 서울: 한국문화사 [2005]
  • 「교실 수업에서 교사 발화의 지시화행 유형 및 특징 연구」
    배도용 범해영 『한중인문학연구』53, 한중인문학회, 51-73쪽 [2016]
  • 「공적인 분노 표현 행위에 대한 한국어, 영어, 일본어 대조화용적 연 구」
    이성범 『언어와 정보사회』29,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67-294쪽 [2016]
  • 「공익광고 텍스트에 나타난 지시화행의 실현 양상 연구」
    전정미 『한말연 구』33, 한말연구학회, 245-268 [2013]
  • 「공손법의 실현 양상」
    구현정 『담화와 인지』11(3), 담화인지언어학회, 1-23쪽 [2004]
  • 「고교 문법에서의 담화 텍스트 교육의 내용과 방법」
    박영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1-31쪽 [1998]
  • 「간접화행의 의미와 해석」
    김태자 『국어국문학』95, 국어국문학회 [1986]
  • 「간접화행 판단의 제문제」
    이필영 정종수 『한국언어문화』87,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7-67쪽 [2005]
  • 「간접인용에 의한 수행문 분석」
    채영희 『문창어문논집』28, 문창어문학회, 99-115쪽 [1991]
  • 「‘학교문법’의 정체성에 대하여」
    김용석 『문법 교육』4, 한국문법교육학회, 65-93 쪽 [2006]
  • 「‘지시(Weisung)의 표현 양식에 관하여」
    김종영 『독어교육』17, 독일어교육 학회, 257-277쪽 [1999]
  • 「‘정말’, ‘진짜’의 담화 기능과 운율 특성」
    송인성 『한국어학』77, 한국어학회, 91-116쪽 [2017]
  • 「‘거든’의 부사절 형성과 문장 종결에 대한 연구」
    이해영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 논문 [1989]
  • 「‘-을래요’의 의사소통 기능과 그 확장 유형 연구」
    강현화 홍혜란 『외국어교육』 20,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95-318쪽 [2013]
  • 「TV 토론 텍스트에 나타난 의문 표현의 설득 전략 연구」
    전정미 『겨레어 문학』57, 겨레어문학회, 323-348쪽 [2016]
  • 「21세기 담화 의미 연구의 방향」
    신현숙 『한국어의미학』1, 59-84쪽 [1997]
  • “한국어교육을 위한 불평표현 문형 연구 - 불평화행과 인용표 현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현화 황미연 『한말연구』24, 한말연구학회, 5-31쪽 [2009]
  •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담화 정보 활 용”
    이지영 『한국어교육』17(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7-331쪽 [2006]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비격식체 종결어미 연구 - 핵심 기능을 중 심으로”
    장채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담화 기능 연구 - 코퍼스를 통한 귀납적 분 석을 중심으로”
    강현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언어와 문화』13(2), 27-52쪽 [2017]
  •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전혜영 『국어학』26, 국어학회, 125-1 46쪽 [1995]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화용 능력 고찰: 영어권 교포학습자와 비교포 학습자의 담화분석을 중심으로.”
    이동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19(3), 295-320쪽 [2008]
  • “청문회 담화의 종결어미 ‘-고요’ 사용 양상 연구.”
    김강희 『한국언어문화학』 14(2), 1-26쪽 [2017]
  • “종결어미 ‘-거든(요)’의 의미와 기능 연구”
    한송화 『문법 교육』26, 한국문 법교육학회, 287-323쪽 [2016]
  • “조건문의 담화적 기능”
    구현정 한말연구학회, 『한말연구』9, 27-52쪽 [2001]
  • “연결어미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조민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언어행위와 듣는 이의 신호에 관한 화용론적 분석 시도 -담화 속에 ‘네’”
    김하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14,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55-70쪽 [1989]
  • “설득 텍스트에 나타난 공손 전략 연구.”
    전정미 『한말연구』37, 한말연구학 회, 279-303쪽 [2015]
  • “담화의 기능 및 유형”
    서 혁 『국어교육』5(1), 121-140쪽 [1995]
  • “기능과 문법 요소의 연결을 통한 한국어 교육-명령 기능을 중심으로”
    한송화 『한국어교육』14(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9-313쪽 [2003]
  • “국어문법론1”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5]
  • “국어 담화분석 연구의 현황과 전망”
    임규홍 『우리말연구』20, 우리말학회, 111-145쪽 [2007]
  • “구어와 담화 연구”
    전영옥 『한국어학』45, 한국어학회, 45-93쪽 [2009]
  • “‘교육문법’에 있어서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에 대하여”
    지현숙 『한국어학』45, 한국어학회, 113-139쪽 [2009]
  • “Vorschlag fur ein Sprachverhaltens modell und die Gewinnung von Textsorten”
    Steger 『독어독문학』, 0(2), 115-131 [1974]
  • “'담화문법 교육'에 대하여”
    임규홍 『문법 교육』5, 한국문법교육학회, 161 -184쪽 [2006]
  • van Dijk, T. A. (1990). “The future of the field: Discourse analysis in the 1990s”. Text, 10, 133-156.
  • Yule, G.(1996). Pragma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Wootton, A. J. (1997). Interaction and the development of mind. Cambridge, Engla nd/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Williams, G. (2005). “Grammatics in schools”. In R. Hasan C. M. I. M. Matthiessen & J. Webster (eds.) Continuing discourse on language. London: Equinox, 281-310.
  • Wierzbicka, A, (1995). Cross-cultural pragmatics : the semantics of human interaction. Berlin : Mouton de Gruyter
  • Whitehead, A, N. (1975).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New York: Mac millan.
  • Vygotsky, L. S. (1962).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A: MIT Press,
  • Tsui, Amy B. M. (1994). English Convers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Tsui, Amy B. M. (1991), “Sequencing rules and coherence in discourse”, J ournal of Pragmatics, 15(2), 111-129.
  • Trosborg. A. (1995). Interlanguage Pragmatics: Request, Complaints and Apologies. Berlin: Mouton de Gruyter.
  • Thornbury, S. (1999). How to Teach Grammar . Longman.
  • Tannen, D. (1984). Conversational style: Analyzing talking among friends. Norwood, N. J.: Ables.
  • Takahashi, H. (2012). “A Cognitive Linguistics Analysis of English Imperative: With Special Reference to Japanese Imperatives”. Human Cognitive Processing, 35.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Takahashi, H. (2008). “Imperatives in concessive clauses: compatibility betwwen constructions”, Constructions 2, 1-39.
  • Swales. (1990).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tubbs, M. (1983). Discourse analysis: The sociolinguistic analysis of natural languag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perber, D. & Wilson, D. (1986). Relevance. London: Basil Blackwell.
  • Skehan, P. (1998). A cognitive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Shegloff, E. A. & Sacks, H. (1973). “Openings and Closings”, Semiotics 8(4), 289-327.
  • Searle. Jorn R. (1969). Speech Ac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earle, John R. (1980). “The background of meaning” In Searle, J., Klifer, f., and Bierwisch, M. (eds.) Speech act theory and pragmatics. Dordrecht: Reidel, 221-232.
  • Searle, John R. (1976). “A classification of illocutionary acts”. Language in Society, 5, 1-24.
  • Scolllon, Ronald and Scollon, Suzanne Wong (1995),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discourse approach. Oxford: Blackwell.
  • Schiffrin, D. (1994). Approaches to discourse . Oxford: Basil Blackwell.
  • Sadock, J. M. (1974), “Indirect Speech Acts”, Syntax and Semantics 3, New York: Academic Press.
  • Sacks, H. (1992), “Adjacency Pairs: Scope of Operation”, In Grail Jefferson ed.. Lectures on Conversation, 2, Oxford: Blackwell, 521-532.
  • Pragmatics: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ers Inc. (이 성범 옮김(2007), 『화용론 개관』
    Mey, Jacob. L. 파주: 한신문화사.) [2001]
  • Pragmatics
    Huang, 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이해윤 옮김 (2009), 『화용론』,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7]
  • Panther, K. L. and L. Thornburg. (1998). “A cognitive approach to inferencing in conversation”. J ournal of Pragmatics, 30, 755-769.
  • P rez Hernandez, L. and F. J. Ruiz de Mendoza. (2002). “Grounding, semantic motivation, and conceptual interaction in indirect directive speech acts”. J ournal of Pragmatics, 34, 259-284.
  • P rez Hernandez, L. (2013). “Illocutionary constructions: (multiple source)-in-target metonymies, illocutionary ICMs, and specification links”. Language & Communication, 33(2), 129-149.
  • Ong, W. (1982). Orality and Literacy. London: Methuen.
  • Omaggio, A. C. (1993), Teaching in Context. Boston: Heinle & Heinle.
  • Olson, D. R. (1977). “From utterance to text”. Harvard Educational Review, 47, 257-281.
  • Olshtain, E. & Blum-Kulka, S. (1985). “Crosscultural pragmatixs and the testing of communicative competence”. Language Testing, 2(1), 16-30.
  • Ochs, E. and E. A. Schegloff and S. A. Thompson. (1996). Interaction and grammar . Studies in interactional sociolinguistics, 13.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yer, M. (1987). “The shared structure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and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writing, reading and literature”. In J. R. Squire (eds.) The dynamics of language learning, Heinle & Heinle, 122-146.
  • McCarthy, M. (1991). Discourse analysis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atsumoto, Y. (1988). “Reexamination of the university of face: Politeness phenomena in Japanese”. Journal of Pragmatics, 12, 403-426.
  • Mao, L. R. (1994). “Beyond politeness theory: ‘Face’ revisited and renewed”. J ournal of Pragmatics, 21, 451-486.
  • Mandelbaum, J. (2014). “How to do things with requests: Request sequences at the family dinner table”. In P, Drew & E. Couper-Kuhlen (eds.). Requesting in social interaction. Amsterdam, The Netherlands: John Benjamins, 215-241.
  • Malinowski, Bronislaw, (1923). “The Problem of Meaning in Primitive Languages. Supplement I” in C.K. Ogden and I.A. Richards (of the 10th ed. (1972)), 296–336. https://doi.org/10.1016/j.pragma.2007.12.006
  • Lucas, S. (2012). The Art Of Public Speaking(11th ed.), New York: McGraw-Hill.
  • Long, M. H. (1989). “Task, group, and task-group interactions”. University of Hawaii Working Papers in ESL, 8(2), 1-26.
  • Levinson, S. (1983).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ech, G. N. (1983). Principles of pragmatics. London: Longman.
  • Larsen-Freeman, D. (2003). Teaching language: from grammar to grammaring, Boston: Thomson Heinle.
  • Larsen-Freeman, D. & Long, M. H. (1999). An Introduction to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Applied linguistics and language study. London ; New York : Longman.
  • Langaker, R. W.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Theoretical prerequisites, 1.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Langacker, R. W. (2008). Cognitive Grammar: A basic introdu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Lakoff, R. (1973). “The logic of politeness, or minding your P's and Q's”. Proceedings of ninth regional meeting of Chicago Linguistic Society, 292-305.
  • Krashen, S. & Terrell, T. (1983). The natural approach. Hayward, CA: Alemany Press.
  • Kramsch, C. (1981). Discourse analysis and second language teaching. Washington, DC: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 Kohnen, Thomas. (2007). “Text type and the methodology of diachronic speech act analysis”, In: Susan Fitzmaurice and Irma Taavitsainen (eds). Methods in Historical Pragmatics, Berlin: Mouton de Gruyter, 139-166.
  • Kepa Korta. (2008). “Malinowski and pragmatics: Claim making in the history of linguistics”, J ournal of Pragmatics, 40, 1645–1660.
  • Kent, A. & Kendrick, K. H. (2016), “Imperative Directives: Orientations to Accountability”, Research i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49(3), 272-288.
  • Kasper, G. & Blum-Kulka, S. (1993). Interlanguage pragma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Kaplan, R. B. (1966). “Cultural thought patterns in intercultural education”. Language Learning, 16, 1-20.
  • Jucker, A. H. (2011). “Speech act research between armchair, field and laboratory. The case of compliments”. J ournal of Pragmatics, 41, 1611-1635.
  • Jaffe, C. (2007). Public Speaking : Concepts and Skills for a Diverse Society(5th ed.). Thomson Wadsworth.
  • Ide, S. (1989). “Formal forms and discernment: Two neglected aspects of linguistic politeness”. Multilingua, 8, 223-248.
  • Hyumes, D. (1967). “Models of the interaction of language and social setting”. J ournal of Social Issues, 23(2), 8-38.
  • House, J. & G. Kasper. (1979). Politeness markers in English and German. Conversational Routine: Explorations in standardized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prepatterned speech. (eds.) by F. Coulmans. The Hague, Paris, New York: Mouton Publishers.
  • HollingWorth, H. L. (1935). The Psychology of the Audience . New York: American Book Company.
  • Hinkel, E. & Fotos, S. (2002), New Perspectives on Grammar Teaching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ESL and Applied Linguistics Professional Series. Mahwah, N.J.: Routledge., 103-118.
  • Hatch, E. (1992). Discourse and language educ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lliday, M.A.K. (1985/2014).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 London: Amold.
  • Guthrie, A. M. (1995). English Conversation by Amy B. M. Tsui. Issues in Applied Linguistics, 6(2), 158-162.
  • Gumperz, J. (1982). Discourse strateg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P. Cole and J. Morgan, (eds..), New York: Academic Press, 41-58.
  • Goodwin, C. (1981). Conversational organization: Interaction between speakers and hearers. New York: Academic Press.
  • Goodwin, C. (1980). “Restarts, pauses, and the achievement of a state of mutual gaze at turn-beginning”, Sociological inquiry, 50, 272-302.
  • Goldberg, A.(2006), Constructions at Work: The Nature of Generalization in Languag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Gibbons, P. (2006). Bridging Discourse in the ESL Classroom: Students, Teachers and Researchers. A&C Black.
  • German Kathleen, M. (2010). Principles of Public speaking(17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 Furguson, C. (1994). “Dialect, register, and genre: Working assumptions about conventionalization”, In Douglas Biber and Edward, Finegan. eds. Sociolinguistics Perspectives on Register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Fried, M. and J.-O. stman, eds. (2004). Construction grammar in a cross-language perspective. Amsterdam: John Benjamins.
  • Fraser, B. (1990). “Perspectives on politeness”. J ournal of Pragmatics, 14. 219-236.
  • Fraser, B. (1975). “Hedged performatives” in P. Cole and S. L. Morgan. Syntax and Semantics, 3. New York: Academic Press.
  • Fox, B. and P. J. Hopper, eds. (1994). Voice: form and function. Amsterdam/ Philladelphia: John Benjamins.
  • Fotos, S. (2007). Form-Focused Instruction and Teacher Educ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Fortuin, E. and R. Boogaart. (2009), “Imperative as conditional: From constructional compositional semantics”. Cognitive Linguistics 20(4), 641-673.
  • Ford, C. & Thompson, S. (1996). “Interactional units in conversation: Syntactic, intonational, and pragmatic resources for the management of forms”. In E. Ochs, E. A. Shegloff & S. A, Thompson (Eds.) Interaction and gramma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184.
  • Firth, A & J. Wagner. (1997). On discourse, communication, and (some) fundamental concepts in SLA research. The Modern Language J ournal, 81(3), 285-300. DOI: 10.2307/329302
  • Fairclough, N. (1989), Language and Power . London: Longman.
  • Faerch, C. and G. Kasper, et al. (1984). “CCSARP – A Project Description”, University of Copenhagen.
  • Ervin-Tripp, S. (1976). “Is Sybil there? The structure of some American English directives”. Language in Society, 5(1), 25-66.
  • Ellis, R. (2002). The Place of Grammar Instruction in the Second/Foreign Language Curriculum. In Hinkel.
  • Eggins, S. (2005).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New York Continuum.
  • Duranti, A. (1985). “Sociological dimensions of discourse”. In T. Van Dijk (Ed.), Handbook of Discourse Analysis, vol. 1. New York: Academic Press.
  • Drew, P. & J. Heritage. (eds.) (1992). Talk at Wor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oughty, C. & Williams, J. (eds.). (1998).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ystal, D. (1969). Prosodic systems and intonation in Englis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ookes, G. (1990). “The Utterance, and Other Basic Units for Second Language Discourse Analysis:. Applied Linguistics, 11(2).
  • Cook, G. (1989). Discourse. Oxford: Oxford Univeristy Press.
  • Conceptual sources of grammar
    Heine, B. New Yor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이성하 구현정 옮김 (2004), 『문법의 인지적 기초』, 박이 정.) [1997]
  • Cohen, A. D. (1998). Strategies in learning and using a second language. London: Longman.
  • Clark, H. H. and D. H. Schunk. (1980). “Politeness responses to politeness requests”. Cognition, 8, 111-143.
  • Clark, B. (1993). “Relevance and ‘pseudo-imperatives’”. Linguistics and Philosophy, 16, 79-121.
  • Clark, B. (1993). “Let and let’s: procedural encoding and explicature.”. Linua 90, 173-200.
  • Chafe, W. (1994). Discourse, Consciousness, and Tim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Celce-Murcia. & Olshain (2001). Discourse and Context in Language Teaching: A Guide for Language Teacher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1), 1-48.
  • Brown, G. & G. Yule. (1983). Discourse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olinger, D. (1967). “The Imperative in English”. To Honour Roman Jacobson, 1. The Hague, Paris: Mouton.
  • Bolen, W. H. (1984). Advertis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 Boden, D. & D. Zimmerman. (Eds.) (1999). Talk and Social Structure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oas, F. (1940), Race, language and culture, New York: Macmillan.
  • Blum-Kulka, House and Kasper. (1989). Cross-Cultural and Situation Variant in Requesting Behavior , Cross-Cultural Pragmatics: Request and Apology, Albex.
  • Berry, R. (2005). “Making the most if metalanguage”. Language Awareness, 14, 13-18.
  • Bach, K. & R. M. Harnish. (1979).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speech acts. Cambridge, MA: The MIT Press.
  • Austin, J. L. (1975). How to Do Things with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 Austin, J. L. (1962).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 Athanasiadou, A.(1991), “The discourse functions of questions”. Pragmatics 1.
  • Alexandra, Y. Aikhenvald. (2016). “Imperatives and Commands in Manambu”.. Oceanic Linguistics, 55(2). Hawaii Press.
  • Alexandra, K. & K. H. Kendrick. (2016). “Imperative Directives: Orientations to Accountability”.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49(3), 272-288.
  • Alba-Juez, Laura. (2009). Perspectives on Discourse Analysis : Theory and Practice. Newcastle upon Tyne :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ebook.
  • <국어정보학 입문>
    서상규 한영균 서울: 태학사 [1999]
  • <(담화 기능에 따른)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겠-’을 포함한 요청화행의 공손 의미 습득 양 상,
    정 진 한국어의미학회, 『한국어 의미학』40, 415-439쪽 [2013]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 - 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을 활용하여
    강현화 『한국문법교육학회 발표집』, 한국문법교육학회, 201-212쪽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