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안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심대현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대안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교육
  • 대안교육제도
  • 대안학교
  • 사립학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2 0

0.0%

' 대안교육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의 참고문헌

  • 영국 빈민지역 아이들에게 희망을 심어 준 `아카데미학교`
    최상덕 외국의 교육 동향 [2006]
  • 독일 평생교육의 역사와 한국에의 시사점
    김춘식 「역사와 교육」Vol.25 [2017]
  • 대안운동의 현황과 방향
    윤수종 「사회이론」, 제32호 [2007]
  • 대안교육, 안 하니까 못한 것 … 우리에겐 도전이 필요하다"
    [2014]
  •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현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고교 자유학년제 정책방향 및 교육과정 운영 모델 연 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
  • 田中 佑弥. “日本{における「フリースクール」概念に関する考察-意訳としての 「フリースクール」とその濫用-”, 「臨床教育学論集」 第8号, 武庫川 臨床教育学会, 2016.
  • 生野圭子. “明治期の統合的教授論-樋口勘次郎の統合主義 活動主義教授法より-”, 「宮城学院女子大学発達科学研究」, 第14卷, 2014.
  • 沖田寛子. “「欧米と日本{におけるフリースクールの比較研究―フリースクールの 歴史と系譜をめぐって」”, 「社会分析」第25卷, 1997.
  • 每日新聞. “あなたはどっち? フリースクール、義務教育に”, 2016. 1.25.
  • 橋本美保. ”八大教育主張講演会の教育史的意義“, 「東京学芸大学紀要」, 第66卷 第1号, 2015.
  • 橋本, あかね. “フリースクール研究におけるナラティヴ・アプローチの可能\性: 多様性と流動性を考慮した新たな研究に向けて”, 「人間社会学研究集録」 第13卷, 2018.
  • 柳下換. 『インターネットハイスクール「風」: 不登校も問題にしない新しい教 育のかたち』, ダイヤモンド社, 1998.
  • 柳下換. “オルタナティブ教育としての実践例として-「鎌倉・風の学園」高校-”, from http://www.kaze.gr.jp/weaving/essay/alternative-chap3.htm (accessed 2017.5.10.)
  • 柳下換. “「教育」のオルタナティブとしての「学び」の可能性についての一考察”, from http://www.kaze.gr.jp/weaving/essay/alternative-chap1.htm (accessed 2018. 5.15)
  • 朝日新聞. “フリースクール、義務教育化見送り 議員立法の骨子発表”, 2016. 2.13
  • 斎藤 富由起,吉森 丹衣子. “日本におけるフリースクールの歴史と活動に関す る質的研究”, 「千里金蘭大学紀要」 第14卷, 2017.
  • 文部科學省学, 「校だけが育つ場ではない」, from http://www.mext.go.jp/ a_menu/Ikusei/npo/npo-vol2/1316491.htm(accessed 2018. 3.1)
  • 文部科學省.「「いじめの問題への取組状況に関する緊急調査」結果について」, 2011,
  • 文部科學省.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東京シューレ- 学校だけが育つ場ではない-」, 2012.
  • 文部科學省. 「教育振興基本計画」, 2013.
  • 文部科學省. 「平成28年度教育改革の総合的推進に関する調査研究~国際的な 視点から見た日本{の教育に関する調査研究~調査報告書」, 2017.
  • 文部科學省. 「平成12年度 教育白書」, 2000.
  • 文部科學省. 「いじめ対策緊急支援総合事業」, 2008.
  • 文部科學省, 「學校基本調査」(平成11年), 1999.
  • 文部科学省. 「義務教育の段階における普通教育に相当する教育の機会の確保等に 関する基本指針」, 2017. 3.31.
  • 徳留祐悟. “フリースクールの実態と課題”, 佛教大学学術委員会大学院紀 要編集委員会編, 佛教大学大学院紀要29号, 2008.
  • 影山昇. “戦前 戦後の'新教育'遺産の継承と発展”, 「成城文藝」第163号, 1998.
  • 山本宏樹. “教育機会確保法案の概要と争点-「多様な学び」保障の原点を求めて”, 法制化で問われる「多様な学び保障」”, 月刊誌「敎育」(2016年4月号), 教育科学研究会, 2016.
  • 学びの共同体と授業実践-理論 現状 課題-
    奥田雅史 杉浦健 第26卷제1号”, 「近畿大学教育論 叢」 [2014]
  • 子どもの權利條約ネットワ―ク編. 「ニュ―スレタ―」117号(2014. 9.15).
  • 奥地圭子.. “フリースクールから見えてくる教育の何を変えるのか: 東京シュー レの30年を振り返りながら: 多様な学びが保障される社会に”, 「公明」 第113号, 2015.
  • 奥地圭子. “特集子どもが選べる教育を: 東京シューレの奥地圭子理事 長に聞く教育難民を救え(3)”, 内外教育6144号, 時事通信社 [編], 2012. 2.24.
  • 奥地圭子. “東京シューレの特長”, from http://www.shure.or.jp/(accessed 2017. 9.5).
  • 奥地圭子. “ピープル親が子どもの気持ちを受け止めてあげれば不登校の 子も立派に育ちますNPO法人東京シューレ理事長奥地圭子さん”, 月刊地域保健47(1), 2016.
  • 大谷尙. “あるフリースクールの學校文化の檢討―ザドバリーバレ- フク-ルでの觀 察と面接にもとづく分析―”, 「敎育科學」第47卷第2号, 名古屋大學大 學院敎育發達科學硏究科紀要, 2000,
  • 大崎裕子. ”野口援太郎における教育思想形成過程“. 「南九州大学人間発達研究」, 第2号, 2012.
  • 堀真一郎. “きのくに子どもの村学園について”, from http://www.kinokuni .ac.jp (accessed 2018. 5.12)
  • 垣野義典, “フリースクール型中学校の計画・設計プロセスの検証と計画 要件--東京シューレ葛飾中学校を事例として”, 日本建築学会技術報 告集16(34) 2010. 10.
  • 坂田仰. “「フリースクールの現状と課題―不登校問題の一断面」”, 「日本女子大 学紀要家政学部」第49卷, 2002.
  • 喜多明人, “学校外の多様な学びの支援と日本の教育: 子どもの学ぶ権利行使と新 たな普通教育の創造”, 「子どもの権利研究」第27卷, 子どもの権利条約総 合研究所, 2016.
  • 佐川佳之. “「フリースクール運動のフレーム分析―1980~1990年代に着目し て」”, 「教育と社会〉研究」第19卷, 2009.
  • フリースクール東京シューレ, from http://www.shure.or.jp/(accessed 2018. 3.1)
  • 『위대한 평민을 기르는 덴마크 자유교육』
    송순재 서울 : 민들레 [2010]
  •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발도르프 학교』
    정윤경 내일을 여는 책 [2000]
  • 『대안학교와 대안교육정책』
    김태연 한국학술정보 [2008]
  •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김영순 이병환 학지사 [2008]
  • 『교사, 대안의 길을 묻다: 대안교육을 위한 아홉 가지 성찰』
  • 「「OECD 교육지표 2017」」
    교육부 [2017]
  • 「해외교육정보 동향자료」
    교육부 [2018]
  • 「해외교육정보 동향」
    교육부 [2016]
  • 「한국 가톨릭 학교교육 헌장」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교육위원회. [2006]
  • 「대안학교의 직업교육 운영실태 분석 연구」
    김미숙 백성준 옥준필 한국직 업능력개발원 [2009]
  • 「대안교육백서」
    교육부 [2007]
  • 「다문화교육 사업교 현황」
    경기도교육청 [2018]
  • 「2018 자율학교 지정․운영․평가 계획」
    , 경기도교육청 [2017]
  • 「2018 경기도 교육연구회 운영 계획(안)」
    경기도교육청 [2018]
  • 「2016년 자율형 공립고 운영 현황」
    , 경기도교육청 [2016]
  • “혁신학교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경아 이병준 정미경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 구」, 제26권 제1호 [2016]
  • “한국에서 대안교육의 전개과정 및 성격과 주요 문제점”
    송순재 「홀리스틱교 육연구」제9권 제2호, 한국홀리스틱학회 [2005]
  • “학업중단 예방 및 대안교육 관련 법제 개선방안”
    김성기 「교육법학연구」, 제29권 3호, 대한교육법학회 [2017]
  • “학교재정연구 동향 및 쟁점 분석 : 정책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 로”
    이희숙 교육행정학연구, Vol.35 No.3 [2017]
  • “학교 밖 청소년의 도시형 대안학교 적응과정 연구”
    최연수 명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5]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한국청 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 “통합교육 기반 다문화특성화학교 모델 개발 연구 : 경기도 공립형 다 문화대안학교 모델을 중심으로”
    조인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창의적 프로젝트와 후원형 크라우드 펀딩”
    천혜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2015]
  •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김기용 나승일 문세연 민상기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2호 [2009]
  • “전국 미인가 대안교육시설 특별점검 결과”
    교육부 보도자료 [2014]
  • “자본시장법 개정법률안 분석을 통한 크라우드 펀딩”
    권시내 김재연 Ewha Law Review, Vol.5 No.1 [2015]
  • “일본의 공교육 개혁과 학습자 중심 교육의 전개”
    이명실 「한국일본교육학연 구」, 제20권 제2호, 한국일본교육학회 [2016]
  • “인간 발달 단계를 중시한 미래 교육 : 발도르프교육”
    신현석 「교육연구정 보」통권 제67호, 강원도교육연구원 [2015]
  • “외국의 대안학교”
    김바울 「교육교회」, 2004 [2004]
  • “영국 학제 개혁 동향”
    권동택 최봉섭 「비교교육연구」제22권 1호 [2012]
  • “영국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특징과 역할의 변화”
    서원주 교육정책네트워크정보 센터 [2014]
  • “역할 창조를 위한 극 텍스트의 새로운 이해와 활용 방안 -오이리트미 (Eurythmy) 동작 예술과심리적 제스처(Psychological Gesture)를 중 심으로-”
    임유영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3 [2016]
  • “아카데미 도입, 그 대담한 시도와 논쟁”
    최봉섭 「교육개발」년 3월호) [2005]
  •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비교”
    이병환 「한국교육포럼」제7권 제1호, 한 국교육논단 [2008]
  • “비인가 대안학교 청소년의 자립준비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황준희 중 앙대 석사학위논문 [2015]
  • “불교의 대안교육”
    황옥자 「종교교육학연구」제40권 [2012]
  • “발도르프학교 수업의 특징”
    정윤경 발도르프교육연구, 통권 제3권 제1호 년 6월), 한국발도르프 영유아교육학회, 2011 [2011]
  • “발도르프교육론의 전인교육적 고찰 - 교육사상사적 맥락을 중심으로 -”
    정영근 발도르프교육연구 제2권 제1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0]
  • “발도르프교육과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겪는 교사들의 경험”
    서은총 전혜인 발도르프교육연구 제8권 제1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6]
  • “발도르프 특수교육의 이해와 한국에의 시사점”
    채희태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 육학회 학술대회, 년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제5회 하계 학술 대회 및 세미나, 2010 [2010]
  •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 및 교사의 이해 연구”
    김경희 발도르프 교육연구 제4권 제1호,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2]
  • “미국의 메트 스쿨”
    김성기 「외국교육동향」, 교육정책네트웍 정보센터 [2003]
  •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와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이병환 「교육행정학연 구」제26권 제1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 “독일의 자유 발도르프(Waldorf) 학교의 통합교육”
    김기홍 발달장애연구, Vol.17 No.4 [2013]
  • “독일의 발도르프 학교”
    오늘의 청소년 편집실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2011, 오늘의 청소년, 제27권 2호 통권 241호 [2011]
  • “대안학교 학생의 교육만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고현수 전북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0]
  • “대안학교 설립ㆍ운영 규정(안)에 대한 비판적 논의”
    최호성 「중등교육연 구」제55권 제1호,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7]
  • “대안학교 관련 쟁점 분석-관련 법령에 대한 대안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중 심으로-”
    이병환 「교육행정학연구」제25권 제4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 “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이혜영 황준성 교육법학연구, Vol.22 No.1 [2010]
  • “대안교육의 의의와 현황 그리고 전망”
    현병호 「진보평론」(현장에서 미래 를), 제10호겨울) [2001]
  • “대안교육의 상징 Summerhill 탐구”
    조영남 초등교육연구논총, 제22권 1호, 대구교육대학교 [2006]
  • “대안교육에 있어서 ‘대안’의 범주화”
    김병길 「교육철학」제19집, 한국교 육철학회 [2001]
  • “대담-진보교육감 시대, 혁신학교의 의미와 과제”
    성열관 「교육비평」, 제28 권 [2011]
  • “다문화대안학교 특성화 교과과정 분석 연구: 인천한누리 학교와 새날학교를 중심으로”
    방현희 오영훈 정경희 「다문화와 평화」, 제9권 제3호, 성결대 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 “노작교육의 실천을 통하여 조명한 교양교육으로서의 가치”
    박완성 교양교육연 구 제6권 제4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권순정 유성상 유주영 진진아 「평생학습 사회」, 제12권 제3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원격교육연구소 [2016]
  • “국내 혁신학교 연구 동향 분석”
    유경훈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4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12]
  • “교육현장의 실제와 가톨릭학교 교육의 과제”
    윤병훈 「사목정보」제5권 10 호, 미래사목연구소 [2012]
  • “교육의 본질과 가톨릭 교육의 방향, 가톨릭 학교의 비전: 어떻게 가톨 릭 학교는 침체된 한국 교육의 희망이 되는가!“
    문용린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교육위원회 세미나」 [2007]
  • “교육바우처제도의 운용과정 연구 : 사회적 기업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역할 확대”
    장지현 사회적 경제와 정책연구, Vol.2 No.1 [2012]
  • “교육과정 자율화를 위한 구조 변화 및 지원 방식의 과제”
    김소영 이윤소 지 방교육경영, Vol.18 No.2 [2015]
  • “교육개혁 운동으로서의 대안교육 운동”
    고병헌 「처음처럼」(4), 내일을 여는 책 [1997]
  • “가톨릭 학교의 교육 현실」, 가톨릭 학교의 비전: 어떻게 가톨릭 학교 는 침체된 한국 교육의 희망이 되는가!”
    한명수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교육위원 회 세미나」 [2007]
  • “가톨릭 학교교육 이념에 대한 연구: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김경이 「종교교육 학연구」제18권, 한국종교교육학회 [2004]
  • “「미인가 대안교육시설」185개 운영 현황 조사 결 과”
    교육부 보도자료 [2013]
  • “[‘포용교육’ 현장을 가다] 겉은 정규학교 속은 대안학교“
    경향신문 [2007]
  • “<독일> 13년 학제로 다시 1년 늘려”
    한국교육신문 [2015]
  • http://www.wadiz.kr (accessed 2018. 10.15)
  • http://www.tumblbug.com (accessed 2018. 10.15)
  • http://www.opportune.co.kr (accessed 2018. 10.15)
  • http://www.opentrade.co.kr (accessed 2018. 10.15)
  • http://www.ohmycompany.com (accessed 2018. 10.15)
  • http://www.moneyauction.co.kr (accessed 2018. 10.15)
  • http://www.kinokuni.ac.jp (accessed 2018. 5.12)
  • [대안교육 기획 | ③ 독일 발도르프 학교와 자유대안학교] "
    내일신문
  • Ziebarth, Todd. “State Legislative Session Highlights for Public Charter Schools”, Communications, State Policy, National Alliance for Public Charter Schools, 2017.
  • Turner, R. “The Voluntary School Integration Cases and the Contextual Equal Protection Clause”, Howard Law Journal, Vol.51 No.2, 2008.
  • Tommy Chang, Charter Schools as Leverage for Special Education Reform, Ed.D. dissertation, Loyola Marymount Univ. 2014.
  • THE PAGE, “教育機会確保法施行1年不登校の現場どう変わったか”, 2018.
  • Sean Coughlan, “One in 10 secondary schools is now an academy”( 2011. 1.6) from http://www.bbc.co.uk/news/education-3- 2978355(accessed 2018. 5.4).
  • Saunders J.A/Saunders E.J, “Alternativ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Past [Traditional] and Current [Alternative] School Environments”, The high School journal, Vol.85 No.2, 2002.
  • Richard Vaughan. “Ofsted purges 40% of inspectors”, tes(2015. 1.19) from https://www.tes.co.uk/news/school-news/breaking-news/ ofsted-purges-40-inspectors (accessed 2018. 5.6)
  • Richard Jr Jam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expanding urban charter school organizations, Ed.D. dissertation, Temple Univ. 2014.
  • Peter Wilby, “Summerhill school: these days surprisingly strict”, Guardian, Teaching The profile(2013.5.27.) from https://www.theguardian.com/international(accessed 2017. 12.15).
  • Patrick J. Gallo, Jr. “Reforming The “Business” Of Charter Schools In Pennsylvania“, Brigham Young University Education and Law Journal, 2014.
  • Nick Morrison, “Teacher training applications fall 12%”, tes(2015. 5.28) from https://www.tes.co.uk/news/school-news/breaking- news/teacher-training-applications-fall-12(accessed 2018. 5.6)
  •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The Nation's Report Card” (5 May 2017) from <http://nces.ed.gov/nationsreportcard/>(accessed 2017. 12.15)
  •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The Nation's Report Card.; from <http://nces.ed.gov/nationsreportcard/>(accessed 2017. 12.15)
  • Michael Barber, “Rab Butler's 1944 act brings free secondary education for all”(2014. 1.17) from http://www.bbc.co.uk (accessed 2018. 5.14)
  • Mehta Nirav, Competition in public school districts: Charter school entry, student sorting, and school input, Ph.D.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 2011.
  • Maria Michela, Teacher labor markets, school vouchers and student cognitive achievement: Evidence from Chile Tincani, Ph.D.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 2012.
  • Lowe Nathan R, The competitive effect of vouchers on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ublic schools in Hamilton County, Ohio, Ph.D. dissertation, Purdue Univ. 2013.
  • Lehr, C.A, Tan C.S, Ysseldyke J, “Alternative Schools: A Synthesis of State-Level Policy and Research”,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Vol.30 No.1, PRO-ED, 2009.
  • Kevin P. Brady et al., “Unchartered Territory: The Current Legal Landscape Of Public Cyber Charter Schools”, B.Y.U. Educ. & L.J. 2010.
  • Keller, Johanna/Krampen, Ingo, Das Recht der Schulen in freier Tragerschaft, Nomos Verlag, 2014.
  • Heaggnas, R.C. Unpacking charter schools: A knapsack filled with a few broken promises. Education, 126(3),2006,
  • Hassan, Said. “Guiding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pplied Internship Projects in College Environments: A Met School Story”, Education Canada, vol.52 no.5 2012.
  • Harmon, P., Bingham, C., Hood, A. “An exploratory examination of North Carolina charter school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white-minority achievement gap red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2002 AERA Annual Meeting, 2002.
  • HEFCE. “New HEFCE analysis shows significant link between factors such as ethnicity, gender and school type on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News archive, 2014. 3.27.
  • HEFCE. “Differences in degree outcomes: Key findings”, Issues paper, 2014. 3,
  • Gerd F. Hepp, Bildungspolitik in Deutschland, 1. Aufl.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GmbH, 2011.
  • GOV.UK. “Practice note: 2017 - Public and independent schools", Section 820: public and other independent schools, Rating Manual section 6 part 3: valuation of all property classes, Valuation Office Agency(5 May 2017) from https://www.gov.uk/ browse/education(accessed 2018. 5.3)
  • GOV.UK, “Roles and structures of educational provision” (5 May 2017) from http://reflectiveteaching.co.uk/compendium/influences/ roles-and-structures# (accessed 2018. 5.4)
  • GOV.UK, “Opening an academy or free school”(11 May 2018) from https://www.gov.uk/topic/schools-colleges-childrens-services/o pening-academy-free-school (accessed 2018. 5.15)
  • GOV.UK, All DfE services and information from http://www.- dcsf.gov.uk/educationandskills/ (accessed 2018. 6.1)
  • GOV.UK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framework for key stages 1 to 4”(2 Dec 2014) : https://www.gov.uk/government/ publications/national-curriculum-in-england-framework-for- key-stages-1-to-4 (accessed 2018. 5.6)
  • Ferguson, Kristen. “Organizing fo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mbedding Professional Learning during the School Day”,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No.142, Jul 2013.
  • Dylan P. Grady. “Charter School Revocation: A Method for Efficiency, Accountability, and Success”, 41 J.L. & Educ. 2012.
  • DfE(Department for Education). Independent school action plans, 2016.
  • DfE(Department for Education). Free schools applications: criteria for assessment Alternative provision, 2016.
  • Derr, Victoria. “Teens, Power Tools, and Green Schools: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through a University Environmental Design Program and Middle School Partnership”,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Vol.16 No.3, 2017.
  • David Bell, “Change and continuity: reflections on the Butler act”, Ofsted, The Guardian(21 Apr 2004) from https://www.theguardian. com/international (accessed 2018. 5.14).
  • Cremer/Wegricht. Die berufliche Qualifikation der Lehrkr fte an Schulen und Internaten in freier Tr gerschaft in BeckOGK, BGB 311 Rn. 936-937(2017).
  • Center for Education Reform. "The State of Charter Schools: what we know-and what we do not know-about performance and accountability."(2011) from <www.edreform. com>(accessed 2017. 12.15).
  • Bowman, D. Michigan charter schools scoring lower. Education Week, Vol.20 No.11, 2000.
  • Bernstein, M. “Why I'm wary of charter schools. In James Wm”. Noll(Ed). Taking sides: Clashing views on controversial educational issues(12th ed.) Conneticut: McGraw-Hill.(2004)
  • BMBF, “Bildung im Schulalter” from <http://www.bmbf.de/ (accessed 2018. 4.10).
  • BBC. “Fragmented school places system 'harms children'(2016. 1.15) from http://www.bbc.co.uk/news/education-35313804 (accessed 2018. 5.4)
  • BBC. “All failing schools to be academies under new bill'(2015. 1.3) from http://www.bbc.co.uk/news/education-32978355 (accessed 2018. 5.4)
  • A.S Neill's Summerhill School, “About Summerhill” from http://summerhillschool.co.uk, (accessed 2018. 2.10).
  • A.S Neill's Summerhill School, “A co-educational boarding school in Suffolk, England - The original alternative 'free' school”, from http://summerhillschool.co.uk, (accessed 2017. 12.15).
  • 2016년 대안학교 및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현황
    교육부 [2016]
  • 2016년 교육기본통계
    교육부 [2016]
  • 17 https://thepage.jp (accessed 2018. 9.20)
  • . “대안교육 실시학교 교육과정 연구”
    공지원 박소연 박윤경 박은아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 제3卷 [2014]
  • (손우정 譯). 『교육개혁을 디자인한다: 교육의 공공성과 민주주의를 위하여』
    사토 마나부 학이시습 [2009]
  • (서울시대안교육센터 옮김), 『학교를 넘어선 학교 : 세상과 소통하는 학교, 메트스쿨 이야기』
    엘리엇 레빈 민들레 [2013]
  • (보리편집부 編). 『작은 학교가 아름답다」
    사티쉬 쿠마르 보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