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 청량산·지리산·가야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7th Century Sansuyugi, seen in the Yeongnam Province : Focusing on Cheon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김종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 청량산·지리산·가야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7th Century Sansuyugi, seen in the Yeongnam Province : Focusing on Cheon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17세기
  • 가야산
  • 산수유기
  • 영남지역
  • 지리산
  • 청량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2 0

0.0%

' 17세기 영남지역 산수유기 연구 : 청량산·지리산·가야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17th Century Sansuyugi, seen in the Yeongnam Province : Focusing on Cheonryang Mountain, Jiri Mountain, and Gaya Mountain' 의 참고문헌

  • 박현순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 사논문 [2006]
  • 「진양지의 출판」, 동방학지 155
    오이환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pp.77-109 [2011]
  • 「진양지의 내용적 특징과 그 의미」, 남명학연구원총서 8
    강문식 남명학 연구원, pp.315-343 [2015]
  • 「진양지 효행 자료의 성격」, 남명학 22
    박용국 남명학연구원, pp.335-366 [2017]
  • 「지행록에 나타난 식산 이만부의 작가의식」, 한국한문학연구 21
    김남형 한국한문학회, , pp.273-296 [1998]
  • 「陶谷集 解題 - 陶谷 李宜顯의 생애와 저술에 관하여 –」
    신영주 고전번 역원 [2014]
  • 「山中日記를 통한 17세기 佛敎文化 考察」, 文化史學 45
    신대현 한국문 화사학회, pp.97-122 [2016]
  • 「호남지방 일기자료 연구의 현황과 과제」, 호남문화연구 58
    김미선 전남 대학교 호남학연구원, pp.41-72 [2015]
  • 「함양 지역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정신세계」, 경남문화 연구 31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7-47 [2010]
  • 「한훤당 김굉필의 도학과 퇴계학」, 영남학 25
    추제협 경북대학교 영남문 화연구원, pp.211-242 [2014]
  • 「한국 이상향의 성격과 공간적 특징 -청학동을 사례로- 」, 대한지 리학회지 44권 6호
    최원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745-760 [2009]
  • 「퇴계학파와 청량산」, 정신문화연구 85
    이종묵 한국학중앙연구원, pp.3-31 [2001]
  • 「퇴계와 남명을 통해서 본 ‘선비’의 두 유형」(남명학 17
    정순우 남명학 연구원, pp.107-175 [2012]
  • 「퇴계와 고족의 독서문화와 그 의미」 한문교육연구 48
    김종구 한국한문 교육학회, pp.289-328 [2017]
  • 「퇴계 이황의 ‘감성철학’ ― ‘청량산’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퇴계학 보 141
    윤천근 퇴계학연구원, pp.39-73 [2017]
  • 「초기 士林派의 山寺와 仙境 인식과 그 의미」, 한민족어문학 70
    김종구 한민족어문학회, pp.267-298 [2015]
  • 「청량산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문화의 두 국면」,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1
    서수용 민속원 [2007]
  • 「조선중기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과 그 성향」, 경남문화연구 22
    최석기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107-137 [2000]
  • 「조선조 문인의 지리산 청학동 유람과 공간 인식」
    강정화 藏書閣 36, pp.124-145 [2016]
  • 「조선전기 유두류록의 지리산 형상화연구」
    홍성욱 한국학논집 17, pp.23-53 [1999]
  • 「조선시대 한라산 遊記 연구」
    윤미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 「조선시대 일기류 자료의 성격과 분류」, 역사와 현실 24
    염정섭 한국역사 연구회, pp.220-263 [1997]
  • 「조선시대 읍지의 체재와 특징」, 인문과학논집 4
    양보경 강남대학교 인문 과학연구소, pp.203-225 [1997]
  • 「조선시대 읍지의 성격과 지리적 인식에 대한 연구」
    양보경 서울대학교 박 사논문 [1987]
  • 「조선시대 유람문화 연구」
    이상균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논문 [2013]
  •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退溪學論集 15
    정우락 영남퇴계학연구원, pp.177-217 [2014]
  • 「조선시대 士人들의 지리산유람을 통해 본 士意識 -15-16세기 지 리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한문학보 20
    최석기 우리한문학회, pp.9-42 [2009]
  • 「조선시대 士人들의 智異山 天王峯에 대한 인식」, 남도문화연구 21
    최석기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pp.79-109 [2011]
  • 「조선시대 四郡 산수유기 연구」
    이태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 사논문 [2015]
  • 「조선 중기 강안지역의 문학활동과 그 성격」, 낙중학, 조선시대 낙 동강 중류 지역의 유학
    정우락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2]
  • 「조선 전기 유산록 연구」
    호승희 한국한문학연구 18, pp.97-126 [1995]
  • 「조선 시대 일기 자료의 실상과 가치」, 大東漢文學 30
    최은주 대동한문학 회, pp.5-40 [2009]
  • 「정시한의 산중일기와 구도자의 삶」, 퇴계학보 139
    김낙진 퇴계학연구원, pp.79-116 [2016]
  • 「정시한의 산중일기를 통해 본 당대인의 유산문화 연구」, 경북대학 교 대학원
    김종구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7]
  • 「정구의 함주지 연구」, 우강권태원교수정년기념논총
    김경수 世宗文化社, pp.581-605 [1994]
  • 「장복추 문학의 사상적 기저와 그 작품의 경향」, 어문론총 45호
    정우락 한국문학언어학회, pp.37-77 [2006]
  • 「임진왜란기 해외체험 포로실기 연구」
    김미선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 사논문 [2013]
  • 「인조반정 전후의 산림과 산림정치」, 남명학 16
    우인수 남명학연구원, pp.35-61 [2011]
  • 「유형원의 동국여지지 편찬을 위한 고투와 실학적 지리학」, 조선 사연구 26
    박인호 조선사연구회, pp.23-48 [2017]
  • 「유산기에 나타난 유산과 독서의 상관성과 그 의미」, 어문론총 51
    김종구 한국문학언어학회, pp.125-157 [2009]
  • 「유산기로 본 조선시대 사대부의 청량산 여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1권 1호
    정치영 한국지역지리학회, pp.54-70 [2005]
  • 「유몽인의 두류기행록연구」
    홍성욱 계명한문학연구 15, pp.37-59 [2001]
  • 「유람록으로 본 지리산의 인물과 그 형상」, 東洋漢文學硏究 37
    강정화 동 양한문학회, pp.5-31 [2013]
  • 「우담 정시한의 산중일기 연구 -경남 함양 유람에 관한 기록을 중 심으로- 」, 한문고전연구 29
    손유경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pp.151-180 [2014]
  • 「우담 정시한의 山中日記의 연구」
    오주학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2005]
  • 「우담 정시한의 생애과 山中日記 내용 분석」, 中央僧伽大學校 6
    김상영 중앙승가대학 [1998]
  • 「우담 정시한 산중일기 일고찰」, 한문학논집 26
    오주학 근역한문학회, pp.5-32 [2008]
  • 「오한 손기양의 문학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 어문학 제102집
    정우락 한국어문학회, pp.253-286 [2008]
  • 「오운의 시세계에 나타난 흥과 낭만주의적 성격」, 퇴계학과 한국문 화 제40호
    정우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pp.143-182 [2007]
  • 「안덕문의 산수유람에 나타난 존현의식과 풍류」, 남명학 21
    김종구 남명 학연구원, pp.253-291 [2016]
  • 「식산 이만부의 지행록 연구 -그의 실심사상을 중심으로- 」
    권태을 한민족어문학회, 한민 족어문학 14 , pp.111-131 [1987]
  • 「식산 이만부의 기행시에 대하여」, 한문교육연구 12
    김남형 한국한문교육 학회, pp.313-332 [1998]
  • 「부사 성여신의 지리산 유람과 선취경향」, 남명학연구원총서 8
    최석기 남 명학연구원, pp.197-231 [2015]
  • 「부사 성여신의 유람을 통해 본 은일관 및 경세관과 그 의미」, 우리 말글 76
    김종구 우리말글학회, pp.211-240 [2018]
  • 「명말청초, 조선중후기의 유람문화와 우담 정시한의 산중일기」,  중국문학연구 63
    권석환 한국중문학회, pp.1-21 [2016]
  • 「두류산 유산기 연구」
    이재익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석사논문 [1988]
  • 「도산서원에 대한 문화론적 독해」, 영남학 27
    정우락 경북대학교 영남문 화연구원, pp.241-288 [2015]
  • 「다산 정약용의 유람 및 기행에 나타난 풍류와 그 의미」, 한민족어 문학 76
    김종구 한민족어문학회, pp.295-331 [2017]
  • 「남명의 「遊頭流錄」에 나타난 기록성과 문학성」, 南冥學硏究 4
    정우락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pp.195-219 [1994]
  • 「남명 조식의 삶과 시」, 한국한시작가연구 5
    이종묵 한국한시학회, pp.137-169 [2000]
  • 「경남문화의 지리적 이해」, 경남문화연구 30
    김덕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 연구소, pp.7-40 [2009]
  • 「가야산 유산기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유산문화의 유형」, 어문론총 59
    김종구 한국문학언어학회, pp.259-289 [2013]
  • 「가야산 기행가사의 작품 양상과 표현방식」, 온지논총 41
    최은숙 온지학 회, pp.143-174 [2014]
  • 「頭流山 遊覽錄에 나타난 嶺南士林의 精神世界 : 朝鮮前期 慶尙右道 士林을 中心으로」
    이정희 경상대학교 한문교육석사논문 [1995]
  • 「陶山書院의 政治, 社會的 役割과 位相」, 歷史敎育論集 54
    차장섭 역사교 육학회, pp.151-187 [2015]
  • 「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0
    박영민 고려대학 교 민족문화연구원, pp.73-98 [2004]
  • 「退溪의 淸凉山詩에 나타난 遊山체험의 詩化 양상과 의미」, 東洋古 典硏究 56
    최은숙 동양고전학회, pp.9-33 [2014]
  • 「漢詩에 나타난 伽倻山의 形狀」
    이구의 한국사상문 화학회, 한국사상과 문화 70, pp.95-120 [2013]
  • 「淸凉山 遊山과 도덕적 주체의 웅혼미 추구」, 漢子漢文硏究 2
    박영민 고 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pp.99-131 [2006]
  • 「淸凉山 遊山錄과 智異山 遊山錄 比較 硏究」
    정지아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박사논문 [2018]
  • 「淸凉山 遊山記에 나타난 영남지식인의 자연인식」, 영남학 4
    강구율 경북 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pp.83-115 [2003]
  •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 周世鵬과 李 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34권 3호
    우응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pp.425-446 [2006]
  • 「朝鮮時代 日記資料와 ‘秋淵先生日記’」, 大東漢文學 30
    황위주 대동한문학 회, pp.257-283 [2009]
  • 「智異山 遊覽錄으로 본 崔致遠」, 한문학보 25
    강정화 우리한문학회, pp.173-209 [2011]
  • 「智異山 遊山記에 나타난 조선조 지식인의 山水認識」, 남명학연구 26
    강정화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pp.255-300 [2008]
  • 「日記類 資料의 國譯 現況과 課題」, 고전번역연구 1
    황위주 한국고전번역 학회, pp.29-60 [2010]
  • 「感樹齋 朴汝樑의 지리산 유람과 그 인식 - 「頭流山日錄」의 분석 을 중심으로 - , 경남문화연구 31
    전병철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pp.182-211 [2010]
  • 「息山 李萬敷의 山水紀行文學 硏究 : 地行錄과 陋巷錄을 중심으 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김주부 한문학과 박사논문 [2010]
  • 「德川書院 : 敬義學을 지향한 조선의 학술문화공간」, 남명학 20
    김학수 남명학연구원, pp.7-67 [2015]
  • 「山水遊記의 전통과 주세붕의 遊淸凉山錄」, 우리문학연구 14
    우응순 우리 문학회, pp.87-105 [2001]
  • 「寒岡 鄭逑의 「遊伽倻山錄」과 그 審美境界」, 우리어문연구 29
    박영민 우리어문학회, pp.265-299 [2007]
  • 「安德文의 三山書院 位相鼎立과 그 의미」, 南冥學硏究 40
    최석기 경상대 학교 남명학연구소, pp.165-194 [2013]
  • 「圭菴 宋麟壽의 生涯와 經世思想」, 유학연구 13
    윤종빈 충남대학교 유학 연구소, pp.129-171 [2006]
  • 「南冥의 山水遊覽에 대하여」, 南冥學硏究 5
    최석기 慶尙大學校 南冥學硏 究所, pp.319-347 [1995]
  • 「元曉의 修行體系 硏究 : 大乘起信論疏를 中心으로」
    김도공 원광대학교 불 교학과 박사 논문 [2002]
  • 「19-20세기 江右學者의 지리산 인식과 천왕봉」, 한문학보 22
    강정화 우 리한문학회, pp.509-543 [2010]
  • 「18세기 후반 영남문단의 일 경향 : 芝厓 정위의 가문의식」, 남명학  15
    정우락 남명학연구원, pp.453-501 [2010]
  • 「17세기 嶺南學派 연구」
    김학수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박사논문 [2008]
  •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山水遊記 硏究 : 農巖 金昌協과 三淵 金 昌翕을 중심으로」
    안득용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05]
  • 「17세기 전반기 관료문인의 산수유기 연구」
    노경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과 석사논문 [2001]
  • 「17세기 晉州지역의 孝子, 烈女-晉陽志를 중심으로-」
    박 주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 연구 1, pp.109-124 [1998]
  •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이경순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 사논문 [2014]
  • 「17-18 세기의 서원, 사우에 대한 시론 - 특히 사림의 건립활동을 중심으로 - 」, 한국사론 2
    정만조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pp.211-280 [1975]
  •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연구 –임훈, 이황, 조식 의 경우를 중심으로- 」, 퇴계학과 유교문화 34
    정우락 경북대학교 퇴계연 구소, pp.133-195 [2004]
  • 「1688년 정시한의 팔공산 유람」, 역사와 경계 69
    이경순 부산경남사학회, pp.41-72 [2008]
  • 「16-17세기 禮安縣 士族社會 硏究」
    박현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박사논문 [2006]
  • 「16-17세기 한강 정구의 지리지 편찬」, 민족문화 29
    김문식 한국고전번 역원, pp.173-218 [2006]
  • 「16-17세기 읍지의 편찬배경과 그 성격」, 대한지리학회지 18
    양보경 대 한지리학회, pp.51-71 [1983]
  • 「16, 17세기에 편찬된 慶尙道의 私撰 邑誌」, 전북사학 17
    최윤진 전북사 학회, pp.19-52 [1994]
  • 「16 17세기 안동처사문학의 한 연구-순수처사를 중심으로-」, 大 東漢文學 14
    김태안 대동한문학회, pp.273-344 [2001]
  • 李顥潤, 進川集
  • 李 瀣, 溫溪逸稿
  • 劉 向, 列仙傳
  • 梁慶遇, 霽湖集
  • 金之白, 澹虛齋集
  • 禮記
  • 논어의 종합적 고찰
    김영호 정우락 심산 [20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 조선후기 서원의 위상 -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차장섭 새물결 [2015]
  • 조선후기 산림세력연구
    우인수 일조각 [1999]
  • 조선중기의 遊山記 문학
    이혜순 집문당 [1997]
  •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이수건 일조각 [1995]
  • 영남사림파의 형성
    이수건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 실사구시의 한국학, 「고려 말 문인지식층의 東人의식과 문명의식 : 收隱 문학의 논리와 성격에 관한 서설」
    임형택 창작과비평사 [2000]
  •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
    culturecontent.com/main.do
  • 문학과 철학의 사이
    김병규 이문출판사 [1984]
  •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
    정우락 역락 [2009]
  • 남명과 퇴계사이
    정우락 경인문화사 [2008]
  • 고대일록에 나타난 서술의식과 위기의 일상, 퇴계학과 유교문화 44
    정우락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pp.157-188 [2009]
  • 가야산 유산기
    경북대 한국문학사상연구실
  • 魏略
  • 通鑑要解
  • 通鑑節要
  • 近思錄
  • 論語
  • 詩經
  • 老子
  • 燃藜室記述
  • 漢書
  • 書經
  • 晉書
  • 日省錄
  • 新增東國輿地勝覽
  • 新唐書
  • 小學集註
  • 孟子
  • 大學
  • 國譯 國朝人物考
  • 國語
  • 周易
  • 史記英選
  • 古文眞寶 後集
  • 古今詩刪
  • 兎川實紀
  • 伽倻山海印寺古蹟
  • 伊洛淵源錄
  • 中庸.
  • 世宗地理志
  • 三國志
  • 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이경구 푸른역사 [2009]
  • 화하미학
    이택후 동문선 [1990]
  • 퇴계연구소 편, 퇴계학맥의 지역적 전개
    보고사 [2004]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6
    보고사 [2013]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5
    보고사 [2013]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4
    보고사 [2010]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3
    보고사 [2009]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2
    보고사 [2009]
  • 최석기 외 옮김, 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1
    돌베개 [2001]
  • 청량산박물관 엮음,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3
    봉화군 [2012]
  • 청량산박물관 엮음,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2
    민속원 [2009]
  • 청량산박물관 엮음, 옛 선비들의 청량산 유람록 1
    민속원 [2007]
  • 청량산박물관 엮어 옮김, 국역 오가산지, 전병철, 「청량산 산지의 내용구성 과 특징」
    청량산박물관 [2012]
  • 박용국 외 편저, 전통시대 공부론 자료선집
    이회 [2007]
  • 남명학의 생성공간
    정우락 역락 [2104]
  • 魚漢明, 江都日記
  • 陳聖兪, 廬山記
  • 陳 澔, 陳氏禮記集説
  • 金馹孫, 濯纓集
  • 金誠一, 鶴峰集,
  • 金相進, 濯溪集
  • 金榮祖, 忘窩集
  • 金昌協, 農巖集
  • 金富弼, 後彫堂集
  • 金富倫, 雪月堂集
  • 金宗直, 佔畢齋集
  • 金始燁, 默齋集
  • 金光繼, 梅園日記
  • 金中淸, 苟全集
  • 金 集, 愼獨齋全書
  • 金 圻, 北厓集
  • 鄭汝昌, 一蠹集
  • 鄭宗魯, 立齋集
  • 鄭 逑, 寒岡集
  • 鄭 栻, 明庵集
  • 郭鍾錫, 俛宇集
  • 趙緯韓, 玄谷集
  • 趙任道, 澗松集
  • 趙 根, 損庵集
  • 趙 岐, 孟子註疏
  • 趙 㻩, 鳳岡集
  • 許 穆, 記言
  • 許 燉, 滄洲集
  • 訥隱集, 訥隱集
  • 裵龍吉, 琴易堂集
  • 裵應褧, 安村集
  • 裵幼章, 楡巖集
  • 茅 坤, 唐大家柳柳州文抄
  • 程 頤, 二程全書
  • 皇甫謐, 高士傳
  • 申必淸, 竹軒集
  • 申厚載, 葵亭集
  • 申 欽, 象村集
  • 琴蘭秀, 惺齋集
  • 淸凉山의 ‘高山景行’ 이미지 形成 動因과 그 原理 - 옛 선비들의 청 량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 75
    정목주 한민족어문학회, pp.73-102 [2017]
  • 洪大容, 湛軒書
  • 河受一, 松亭集
  • 正 祖, 弘齋全書
  • 歐陽修, 歐陽文忠公集
  • 權相一, 淸臺集
  • 權好文, 松巖集
  • 權 璟, 臺隱集
  • 梁大樸, 靑溪集
  • 柳煕之, 蘭臯遺稿
  • 柳宗元, 柳河東集
  • 柳夢寅, 於于集
  • 柳 袗, 修巖集
  • 林希逸, 莊子口義
  • 杜 甫, 杜詩詳註
  • 李重茂, 柟溪集
  • 李重煥, 擇里志
  • 李賢輔, 聾巖集
  • 李萬敷, 地行錄
  • 李睟光, 芝峯類說
  • 李玄逸, 葛庵集
  • 李潤雨, 石潭集
  • 李東沆, 遲庵集
  • 李時善, 松月齋集
  • 李德懋, 靑莊館全書
  • 李宜顯, 陶谷集
  •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 李命培, 茅溪集
  • 李光庭, 訥隱集
  • 李仁老, 破閑集
  • 李 穡, 牧隱集
  • 李 穡, 牧隱藁
  • 李 珥, 栗谷全書
  • 李 珥, 擊蒙要訣
  • 李 瀷, 星湖全集
  • 李 瀷, 星湖僿說
  • 李 滉, 陶山全書
  • 李 滉, 退溪集
  • 李 植, 澤堂集
  • 朴長遠, 久堂集
  • 朴趾源, 燕巖集
  • 朴汝樑, 感樹齋集
  • 朴在馨, 海東續小學
  • 朴 敏, 凌虛集
  • 朱 子, 梅溪集
  • 朱 子, 朱子讀書法
  • 朱 子, 朱子語類
  • 朱 子, 朱子大全
  • 朱 子, 晦菴集
  • 朱 子, 大學或問
  • 曺 植, 南冥集
  • 曺 偉, 梅溪集
  • 成渾, 牛溪集.
  • 成汝信, 浮査集
  • 成汝信, 晉陽誌
  • 徐思遠, 樂齋集
  • 徐居正, 四佳集
  • 張顯光, 旅軒集
  • 張福樞, 四未軒集
  • 張 維, 谿谷集
  • 崔興遠, 百弗菴集
  • 崔致遠, 孤雲集
  • 尹善道, 孤山遺稿
  • 宋時烈, 宋子大全
  • 宋光淵, 泛虛亭集
  • 安鼎福, 順菴集
  • 安致權, 乃翁遺稿
  • 安廷球, 梓鄕誌
  • 孫起陽, 聱漢集
  • 姜獻奎, 農廬集
  • 周紫芝, 竹坡詩話
  • 周世鵬, 武陵雜稿
  • 吳汝橃, 敬菴集
  • 吳斗寅, 陽谷集
  • 司馬遷, 史記
  • 南孝溫, 秋江集
  • 丁若鏞, 茶山詩文集
  • 丁時翰, 山中日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