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의 활용 수준 및 원인조건 조합에 관한 퍼지셋 분석 :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한지연 2019년
논문상세정보
'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의 활용 수준 및 원인조건 조합에 관한 퍼지셋 분석 :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청소년수련관
  • 청소년수련시설
  • 청소년수련시설종합평가
  • 퍼지셋분석
  • 평가활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3 0

0.0%

'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의 활용 수준 및 원인조건 조합에 관한 퍼지셋 분석 : 청소년수련관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효과적인 청소년수련관 운영방식 결정에 관한 연구
    김경준 한국청소년연 구, 40, 281-304 [2004]
  • 활용자 소속에 따른 평가활용의 영향요인 차이 분석 : 국 가연구개발사업 특정평가의 경우를 중심으로
    강근복 이봉락 한국행정연구, 19(2), 65-101 [2010]
  • 환류요인이 환류활동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분석
    임동진 한국행정 연구, 18(2), 225-251 [2009]
  • 협력적 네트워크(collaborative networks)가 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승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국정부에 있어서 정책평가결과 활용의 향요인과 활용 유형의 특성
    노유진 안문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4(3), 227-268 [2004]
  • 학대 피해 경험이 있는 가정외보호 아동의 학 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퍼지셋 질적 비 교연구 (Fs/QCA) 방법론의 적용
    안은미 이상정 정익중 청소년복지연구, 19(4), 57-84 [2017]
  • 평가활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책 임기관 사례분석
    유승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평가활용, 평가역량 그리고 정책학습
    오철호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2), 1-12 [2010]
  • 평가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책임운영기관 내 평가수용성, 리더십, 조직학습의 역할 검증을 중심으로
    민경률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평가영향의 관점에서 평가결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지방 자치단체 합동평가를 중심으로
    이혜영 최성락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1), 131-149 [2005]
  • 평가결과활용의 영향요인 분석
    이미화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평가결과 활용의 영향요인 탐색
    김형진 한인섭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2), 129-157 [2011]
  • 평가결과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충남지역의 사회복지 시설을 중심으로-
    최보미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평가 활용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 지원 사업을 중심으 로-
    이석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퍼지셋 질적 비교연구 방법론의 이론과 적용
    이승윤 고려대학교출판부 [2018]
  • 통합발주방식(Integrated Project Delivery) 건설사업의 성공조건 연구
    유승은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커피전문점 소비자의 이용동기, 자기해석에 따른 선택속성과 만 족도간 비교분석
    한영위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체제전환국 복지국가에 관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민기채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4]
  • 청소년활동시설의 논리주도 평가모형 개발연구; 청소년수 련원 중심으로
    김영석 임지연 한국청소년연구, 24(2), 177-204 [2013]
  • 청소년활동시설 평가모형 개발연구Ⅰ; 청 소년수련원 중심으로
    김영석 송병국 이교봉 임지연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 청소년활동시설 평가모형 개발연구Ⅰ: 청 소년수련원을 중심으로
    김영석 송병국 이교봉 임지현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 청소년활동시설 평가모형 개발 연구 Ⅲ :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권순달 김정주 김형주 황진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 청소년활동시설 평가모 형 개발연구Ⅱ: 청소년수련관 중심으로
    김영애 김인규 김혁진 김형주 임지연 한도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청소년시설 종합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연구
    구세윤 동아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9]
  • 청소년수련시설의 공공성 제고를 통한 운영 활성 화 지원방안 연구
    김정주 김혁진 김형주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 청소년수련시설 포털
    http://www.youthnet.or.kr/YouthNetMain2.do
  •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에 대한 청소년지도자의 인식 연구, 청 소년수련관․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김인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청소년수련시설 인증방안 연구: 청소년수련 관 청소년문화의집을 중심으로
    김민 김영호 맹영임 조혜영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청소년수련시설 운영 개선방안 연구
    김호순 박영균 세종: 한국청소년정 책연구원 [2012]
  • 청소년수련관의 평가지표 표준화에 관한 연구
    이민희 청소년시설환경, 5(3), 75-87 [2007]
  • 청소년수련관에 대한 평가지표 중요도 연구
    김형주 청소년시설환경, 9(4), 9-55 [2011]
  • 청소년수련관․청소년문화의집 인증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전문가워크숍 자료집
    김인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청소년수련관 평가지표 가중치 분석방법의 비교
    김형주 청소년학연구, 18(12), 181-202 [2011]
  •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17]
  • 청소년문화의집 평가에 대한 고찰
    김호순 청소년학연구, 18(8), 187-215 [2011]
  • 직무자율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 대학원
    최두영 석사학위논문 [2018]
  • 지역자활센터 조직역량과 자활사업 성과의 관계에 관한 고찰 : 조직네트워크와 상황적합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남승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2]
  • 지방자치단체 자체평가활용의 영향요인 분석: 대전광역시 와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강근복 이봉락 지방행정연구, 23(3), 45-79 [2010]
  • 조직성과평가결과에 관한 공무원의 수용성 제고방안- 성 과평가 체제의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강황선 권용수 한국행정논집, 16(4), 789-811 [2004]
  • 제6차 청소년기본계획(2018~2022)
    관계부처합동 [2018]
  • 정책평가결과 활용의 향요인과 활용유형의 특성에 한 연구
    노유진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정책평가 결과활용의 제고방안
    김종호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3), 205-222 [2016]
  •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조직풍토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대 한 연구
    정혜정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정부업무평가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활용의 영향요인 비교 연 구
    이봉락 서울행정학회포럼, 48-50 [2010]
  •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의 논리와 과제: 평가성공의 제도적 요인 분 석
    김현구 정책분석평 가학회보, 16(4), 1-28 [2006]
  • 정부기관 평가활용의 현황과 과제: 책임운영기관평가 사례를 중 심으로
    유승현 한국정책 학회보, 17(3), 95-129 [2008]
  •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급별 옹호활동 영향요인
    박슬기 성공회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서울시민의 복지태도 연구
    김사현 홍경준 사 회복지정책, 37(2), 95-121 [2010]
  • 이임건 Fuzzy c-means 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서진석 허경용 한국컴 퓨터정보학회논문지, 16(1), 39-46 [2011]
  • 우리나라 정부부처에 있어서 정책평가결과의 저활용요인에 관한 연구
    노유진 행정논총, 43(4), 245-275 [2005]
  • 여성 고용률 제고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OECD 국가의 출산・양육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김근세 김예린 허아랑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5(1), 309-344 [2015]
  • 시범청소년수련시설 평가지표체계 연구
    구태익 김호순 이광호 전명기 청소년시설환경, 3(3), 13-22 [2005]
  • 시민평가 결과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환류요인에 관한 연구 : 서 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류경기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성과측정지표의 특성이 성과평가결과의 수용성 및 활용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허찬무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성과관리제도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조직구조, 조 직문화,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강영철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8(3), 123-152 [2008]
  • 사회자본에 기반한 복지국가 유형화와 성과지표에 관한 연구. 강 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강순화 박사학위논문 [2016]
  • 사회복지프로그램 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종희 한국 사회복지행정학, 15(2), 217-252 [2013]
  • 사회복지조직의 풍토가 사회사업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원정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991]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장신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사회복지시설평가 결과에 한 피평가시설의 도구 활용
    윤재영 이종환 한 국사회복지행정학, 12(1), 89-115 [2010]
  • 사회복지관 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결과의 활용정도
    안대영 대구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사회과학에서 퍼지셋 활용의 모색: 퍼지 이상형 분석과 결합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최영준 정부학연구, 15(3), 1-30 [2009]
  • 대구광역시 내 청소년수련관의 체육시설 개선에 관한 연 구
    배준형 이종국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학술대회, 109-124 [2005]
  • 논리 지향 프로그램 평가 실행 수준과 평가 결과 활용의 관계에 대한 JCSEE 프로그램 평가 표준적용의 조절효과
    김대영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 노자은 공공청소년수련시설의 이용자 중심 평가항목의 분석방법 개발
    김현주 이혜경 미래청소년학회, 5(1), 183-200 [2008]
  • 노동시장 변동에 따른 실업 관련 제도의 변화와 성과 연구
    남재욱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기업의 조직풍토가 프로그램 평가 결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박소연 인 력개발원, 7(2), 27-46 [2005]
  • 기관평가 결과 활용의 개선방안에 한 연구: ICT 활용과 평가결과 활용의 관계를 심으로
    이윤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2(2), 53-83 [2002]
  • 군집분포의 형태와 표본의 크기가 성장혼합모형 분석 결과에 미 치는 영향 분석
    신택수 교육평가연구, 24, 107-128 [2011]
  • 공기업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공사를 중 심으로
    백성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공공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결과 활용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조직특성적 요인을 중심으로
    강영철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3), 245-273 [2008]
  • 공공정책평가론(개정증보판)
    김명수 서울: 박영사 [2003]
  • 고객가치를 지향하는 학교컨설팅 평가준거 개발
    이승진 동양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1]
  • 계약관리요인에 따른 사회서비스 사업의 성과에 관한 연구
    최희진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강원지역 청소년 수련시설의 현황파악 및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흥섭 청소년시설환경, 14(1), 183-201 [2016]
  • 「청소년수련시설 역할 재정립 및 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김인규 김정주 김형주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정부 구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2011]
  • “문제제기: 좋은 평가와 평가결과의 활용”
    오철호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 193-204 [2016]
  • “2010년 청소년문화의집 평가결과에 대한 분 석 연구”
    김호순 한도희 황진구 청소년학연구, 18(8), 309-332 [2011]
  • Weiss, C. H., Murphy, G. E. & Birkeland. S. (2005). An Alternate Route to Policy Influence: How Evaluations Affect D.A.R.. American Journal o f Evaluation, 26(1), 12-30.
  • Weiss, C. H. (1998). Have We Learned Anything New about the Use of Eva luation?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19, 21-33.
  • Weiss, C. H. (1981). MeasuringtheUseofEvaluation. .inJamesA.C (ed.), Utilizi ng Evaluation: Concepts and Measurement Techniques.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Publications.
  • Weiss, C. H. (1981). Measuring the Use of Evaluation. In James A. Ciarlo (ed.), Utilizing Evaluation: Concepts and Measurement Techniques, 1 7-33. CA.: Sage Publications.
  • Weiss, C. H. (1972). Evaluation Research: Methods of assessing program eff ectivenes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 Smithson, M. (2012). Fuzzy set analysis for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 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 Smith, M. F. (1988). Evaluation Utilization Revisited. In J. A. McLaughlin, L. J. Weber, R. W. Covert, & R. B. Ingle.(eds.), Evaluation Utilizati on(New Directions for Evaluation 39), 7-19. San Francisco, CA.: Jo ssey-Bass.
  • Shadish, W. R., Cook, T. D. & Leviton, L. C. (1991). Foundations of Progra m Evaluation: Theory of Practice. CA.: Sage Publications.
  • Rich, R. F. (1977). Uses of Social Science Information by Federal Bureaucra ts: Knowledge for Action versus Knowledge for Understanding. In C arol H. Weiss(ed.), Using Social Research in Public Policy Making, 199-211. MA.: Lexington Books.
  • Ragin. C. (2010). Fuzzy-set scienc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agin. C. (2008). User's Guide to Fuzzy-Set / Qualitative Comparative Anal ysis
  • Ragin. C. (2008). Redisigning social inquiry: Fuzzy sets and beyond . Chicag 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agin. C. (2007).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using fuzzy-set(fsQCA). In:B. Rihoux and C. Ragin(eds) Configurational cmarative analysis. C alifornia:Sage Publications.
  • Ragin. C. (2000). Fuzzy-set social science.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 ress.
  • Preskill, H. & Caracelli, V.(1997). rrent and developing conceptions of use: Evaluation use TIG survey results. Evaluation Practice, 18(3), 209- 225.
  • Pelz, D. C. (1978). Some Expended Perspectives on use of Social Science i n Public Policy. In J. M. Yinger & S. J. Cutler(eds.), Major Social I ssues: A Multidisciplinary View, 346-357. New York: McMillan.
  • Patton, M. Q., Grimes, P. S., Guthrie, K. M., Brennan, N. J, French, B. D., & Blyth, D. A. (1977). In Search of Impact: An Analysis of the Uti lization of the Federal Health Evaluation Research. In Carol H. Weis s(ed.), Using Social Research in Public Policy Making, 141-164. Le xington: Lexington Books.
  • Patton, M. Q. (2008),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4th ed.).Beverly Hills, CA: Sage.
  • Patton, M. Q. (1997).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The New Century Te xt (3rd ed.). London: SAGE publication.
  • Patton, M. Q. (1978).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2nd ed). Ber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Ltd.
  • Leviton, L. C. & Hughes, Edward F. X. (1981).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Evaluation". Evaluation Review. 5(4): 525-548.
  • Kvist, J. (1999). Welfare reform in the Nordic countries in the 1990s: using fuzzy set theory asess conformity to ideal types, journal of Europea n Social Policy, 9(3), 231-52.
  • Knorr, K. D. (1977). Policymakers’ Use of Social Science Knowledge: Symb olic or Instrumental? In Carol H. Weiss(ed.), Using Social Research in Public Policy Making, 165-182. MA.: Lexington Books.
  • Huberman, M. (1987). Steps toward an Integrated Model of Research Utilizat ion. Knowledge: Creation, Diffusion, Utilization. 8(4), 586-611.
  • Hackman, J. R., & Oldham, G. R. (1975).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0(2), 159-170.
  • Forss, K., Rebien, C. C., & Carlsson, J. (2002). Process use of evaluations: Types of use that precede lessons learned and feedback. Evaluation, 8(1), 29-45.
  • Cousins, J. B., & Leithwood, K A. (1986). Current empirical research on ev aluation utiliz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6, 331-364.
  • Cousins, J. B. (2003). Utilization Effects of Participatory Evaluation. In Tho mas Kellaghan, Daniel L. Stufflebeam, & Lory A. Wingate(eds.), Int 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Evaluation, 245-265. Dordrecht: Kluwer Academic Press.
  • Cousins, J. B. (1996). Consequences of Researcher Involvement in Participat ory Evalua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2(1), 3-27.
  • Boyer, J. F. & Langbein, L. I. (1991).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Health Evaluation Research in Congress. Evaluation Review. 15(5), 507-53 2.
  • Beyer, J. M. & Trice, H. M. (1982). The Utilization Process: A Conceptual Framework and Synthesis of Empirical Findings. Administrative Scie nce Quarterly. 27(4), 591-622.
  • Alkin, M. C.& Coyle, K. (1988). Thoughts on Evaluation Utilization: Misutili zation and Non-utilization. Studiesin EducationalEvaluation. 14, 331- 340.
  • Alkin, M. C. (1985). A Guide for Evaluation Decision Makers.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s.
  • Alkin, M. C. & Taut S. M. (2003). Unbunding evaluation use. Studies in Ed ucational Evaluation, 29(1), 1-12.
  • 2018년도 청소년수련시설 관리 운영 지침
    여성가족부 [2018]
  • 2017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평 가편람
    서울: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 2016년 청소년수련시설 설치․운영 현황 통계편람
    서울: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016]
  • 2015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평 가편람
    서울: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 2012년 청소년수련관 종합평가 결과보고 서. 서울: 여성가족부
    김문주 김인규 김정주 김혁진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012]
  • 2009년 청소년수련관 종합평가 결과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009]
  • 2006 청소년시설 종합평가 결과 보고서
    김경준 성윤숙 이민희 최창욱 황진구 서울: 국가청소년위원회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