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내선결혼의 불/가능성 : 내선결혼 담론을 통한 일제의 식민지 통치방식에 관한 연구

고교릉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내선결혼의 불/가능성 : 내선결혼 담론을 통한 일제의 식민지 통치방식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내선일체'론
  • 내선결혼
  • 담론
  • 동화정책
  • 민족
  • 민족간결혼
  • 일본 식민주의
  • 일제강점기
  • 젠더
  • 피식민 주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13 0

0.0%

' 내선결혼의 불/가능성 : 내선결혼 담론을 통한 일제의 식민지 통치방식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어머니는 바보야
    윤기 윤문지 서울: 홍성사 [1985]
  • 동화와 배제: 일제의 동화정책과 내선결혼
    이정선 고양: 역사비평사 [2017]
  • 남성성과 젠더
  • 지배적 남성성의 균열과 변화하는 남성의 삶: 남성들 내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리나 마경희 문희영 조서연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
  • “탈식민주의 페미니스트 읽기: 기지촌 성매매여성과 성별화된 민족주 의, 재현의 정치학
    이나영 ” 한국여성학 24(3), pp. 77-109 [2008]
  • “전시체제기 일제의 총동원정책과 ‘내선혼혈’ 문제”
    이정선 역사문제연구 29, pp.217-255 [2013]
  • ‘중일전쟁기(1937~1940) “조선군사령부보도부(朝鮮軍司令部報道部)”의 설치와 조직구성’
    조건 한일민족문제연구19, pp.39-88 [2010]
  • ‘조선 식민지 지배와 이름의 “차이화”: “내지인과 혼동하기 쉬운 이름”의 금지를 중심으로’
    미즈노 나오키 사회와역사59, PP.147-174 [2001]
  • ‘일제의 “内鮮結婚”정책’
    이정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민적법 시행기(1909-23년) 일제의 “일선결혼”관련 법규 정비와 일선 인 구별’
    이정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과정”으로서의 구술사, 긴장과 도전의 여정’
    이나영 한국여성학 28(3), pp.181-217 [2012]
  • ‘3ㆍ1운동 직후 잡지 동원의 발간과 일선동원론(日鮮同源論)’
    장신 역 사와 현실73, pp.269-301 [2009]
  • , , ‘1910-23년 내선결혼 법제의 성립 과정과 그 의미’
    이정선 법사학연구 44, pp.211-25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