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의 서사 특성 연구 : 서술하는 나와 서술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김대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의 서사 특성 연구 : 서술하는 나와 서술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 서사
  • 서사학
  • 서술 에이전트
  • 서술의 위임
  • 소셜 에이전시
  • 에이전시
  • 인터랙티브 드라마
  • 초점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0 0

0.0%

' 디지털 인터랙티브 영상의 서사 특성 연구 : 서술하는 나와 서술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이승희 편, 『국어 대사전』
    민중서림 [1994]
  • 디지털 내러티브
    전경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사용자 참여 구조 연구』
    서성은 석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2009]
  •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발상기법 개발-미케발(Mieke Bal)서사 이론을 중심으로-』
    이지아 석사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공업디자인전 공 [2013]
  • 『손에 잡히는 IT 시사용어』
  •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박진 소명출 판 [2014]
  • 『상담학 사전』
    김춘경 학지사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255&cid=62841&cat egoryId=62841 (2018/11/03) [2016]
  • 『문학비평 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278&cid=41799&cate goryId=41800 (2018/03/02) [2006]
  • 『디지털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의 충돌과 타 협』
    전경란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 논문 [2002]
  • 「채트먼의 서사이론-서사시학의 새로운 영역」
    박진 『현대소설연 구』 (19) [2003]
  •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스토리생성 모델 연구」
    서성은 『한국컴퓨터게 임학회논문지』 Vol3. NO.21 [2010]
  • 「온라인 게임 월드(world)의 공간 층위 연구」
    이진 『디지털스토리텔 링연구』, 년 3권 1호 [2008]
  • 「소설과 영화의 서술자와 초점화 문제」
    박진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34집 [2009]
  • 「서술의 유형학에서 발화 행위의 프락시스(praxis)로-구조주의 이후 서술 이론의 동향과 전망」
    박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 40 집(12권 3호) [2008]
  • 「사용자의 극적 경험을 위한 인터랙티브 드라마 연 구」
    손형전 안보라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Vol3 [2008]
  • 「미케 발의 서사이론 연구-서사학과 텍스트이론의 결합」
    박진 『현 대문학이론 연구』 21권 0호 [2004]
  • 「리몬-케넌의 서사이론-서사시학과 텍스트이론의 접목」
    박진 현대문학이론학회,『현대문 학이론연구』 18권 0호 [2002]
  • 「가상현실/증강현실 기술발전 방향과 시사점」
    양병석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SPRI Issue Report 2016-014』, [2017]
  • “The Last Word on Ludology v Narratology ”
    Murray, Janet. Janet H. Murray: Humanistic Design for an Emerging Medium (https://inventingthemedium.com/) (2018/04/06 최종확인) [2005]
  • “Introduction to Game Time / Time to play –An examination of game temporality”,
    Juul, Jesper online, http://www.jesperjuul.net/text/timetoplay
  • “I Have no Words and I Must Design”
    Cosktikyan, Greg Interactive Fantasy #2, http://classes.dma.ucla.edu/Winter16/157/wp-content /ihavenowords.pdf (2018/02/10 최종확인) [1994]
  • http://cyan.com/games/myst/ (Myst 제작사 홈페이지)
  • Visual Digital Culture: Surface Play and Spectacle in New Media Genres (Sussex Studies in Culture and Communication), Routledge, , 김주환 역 (2003),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Darley, Andrew 현실문화연구, [2000]
  • The art of computer game design, Electronic Version
    Crawford, Chris h t t p s : / / w w w . d i g i t p r e s s . c o m / l i b r a r y / b o o k s / book_art_of_computer_game_design.pdf [1997]
  • The Language of New Media, Cambridge, The MIT Press, 서정신 역(2004), 『뉴 미디어의 언어』,
    Manovich, Lev 생각나무 [2001]
  • Story and Discourse :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 Press, , 김경수 역(1995), 『영 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Chatman, Seymore , 민음사, [1980]
  • Ryan, Marie-Laure, Ruppert, Jamest & Bernet, John W. eds, Narrative Across Media. U of Nebraska Press, , 조애리 외 역 (2014),『스토리텔링의 이론, 영화와 디지털을 만나다』,
    한울아카데 미, [2004]
  •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MIT Press, , 이재현 역(2006), 『재매개:뉴미디어의 계보 학』
    Bolter, David Grusin, Richard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 On interactive storytelling, New Riders,, 최 향숙 역 (2015),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Crawford, Chris 한빛미디어, [2012]
  • Narratology:The Form and Functioning of Narrative,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Prince, Gerald 예림 기획 [1999]
  • Narratology: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arrative, 한용환 강덕화 역, 『서사란 무엇인가?』
    Bal, Mieke 문예출판사 [1999]
  • Narrative:The New Critical Idiom, London: Routledge, , 윤혜준 역(2013), 『내러티브』
    Cobley, Paul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1]
  • Narrative Fiction: Contemporary Poetics(New Accents), N.Y. Methuen, , 최상규 역(1985), 『소설의 시학』
    Rimmon-Kenan, Shlomith 문 학과 지성사, [1983]
  • Le R cit cin matographique , Nathan edition, 송지연 역 (2001), 『영화 서술학』
  • Hamlet on the holodeck :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Free Press, , 한용환 역(2001), 『인터랙티브 스토리 텔링』
    Murray, Janet 안그라픽스, [1997]
  • Film art: An Introduction, 4th ed. Mcgraw-Hill, , 주진숙 이용관 역(1993), 『영화예술』
    Bordwell, Davvid Thompson, Kristin 이론과 실천, [1993]
  • Discours de recit, 권택영 역, 『서사 담론』
    Genette, Gerard 교보 문고 [1991]
  • Digital storytelling : a creator’s guide to interactive entertainment, Taylor & Francis, , 변민주 외 2명 역 (2006), 『디지털미디어 스토리텔링』
    Miller, Carolyn Handler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 De Arte Poetica Liber, Oxford Univ. Press, , 천병 희 역(2002), 『시학』,
    Aristoteles 문예출판사, [1922]
  • Cybertext: Perspectives on Ergodic Literatu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류현주 역(2007), 『사이버텍스 트』
    Aarseth, Espen J. 글누림, [1997]
  • Critical Terms for Media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정연심외 2인 역 (2015), 『미디어 비평용어21』,
  • Computers As Theatre, Addison-Wesley, 유민호외 역 (2008), 『컴퓨터는 극장이다」
    Laurel, B 커뮤니케이션북스, [1993]
  • Coming to Terms: The Rhetoric of Narrative in Fiction and Film, 한용환 강덕화 역, 『영화와 소설의 수사학-새로운 서사적 개념들』
    Chatman, Seymore 동국대학교출판부 [2000]
  • Being Digital, Alfred A. Knopf, New York, 백욱인 역 (1999), 『디지털이다』
    Negroponte, Nicholas 커뮤니케이션 북스, [1995]
  • <할로우씨 사건의 진실The Facts in the Case of Mister Hollow>
    (영화, 로드 리고 구디노 & 빈센트 마르콘Rodrigo Gudi o & Vincent Marcone) [2008]
  • <퓨처월드Future world>
    (영화, 리차드 헤프론Richard T. Heffron) [1976]
  • <파사드Facade>
    (게임, made by Michael Mateas & Andrew Stern) [2005]
  • <트론Trone>
    (영화,스티븐 리스버거Steven Lisberger) [1982]
  • <토이 스토리Toy Story>
    (애니메이션,존 라세터John Lasseter) [1995]
  •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Terminator 2: Judgement Day>
    (영화, 제임스 카메론James Cameron_ [1991]
  • <울티마온라인Ultima Online>
    (게임, Origin Systems) [1998]
  • <오버워치OverWatch>
    (게임, Blizzard Ent) [2016]
  • <스타크래프트StarCraft>
    (게임, Blizzard Ent) [1998]
  • <스타워즈Star Wars>
    (게임, Atari) [1983]
  • <뷰티 인사이드Buauty Inside>
    (TV Series, 드레이크 도레무스 Drake Doremus) [2012]
  • <미스트Myst>
    (게임,Cyan inc) [1993]
  •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1Life is Strange1>
    (게임, Black Wing Foundation) [2015]
  • <라스트 익스프레스Last Express>
    (게임, Smoking Car Production) [1997]
  • , "Cognitive Narratology". In: H hn, Peter(eds.): the living handbook of narratology
    Herman, David Hamburg: Hamburg University Press.URL = hup.sub.uni-hamburg.de/lhn/index.php ?title=Cognitive Narratology &oldid=2058,(2018/03/02 최종확인)
  • "Narrator". In: H hn, Peter (eds.): the living handbook of narratology
    Margolin, Uri Hamburg: Hamburg University. http://www.lhn.uni-hamburg.de/article/nar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