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전문대학생 진로역량 구인개발

전민재 2019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전문대학생 진로역량 구인개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전문대학생
  • 직업능력개발
  • 직업인성
  • 진로역량
  • 한국 전문대학생 진로역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0 0

0.0%

' 한국 전문대학생 진로역량 구인개발' 의 참고문헌

  • 현장실습에 대한 인식과 취업준비와의 관계: 4년제 대학교 관 광관련 학과 학생을 중심으로
    박영기 윤지환 관광 레저연구, 18, 1(34), 237-250 [2006]
  • 한일 관광관련학과 대학생의 희망직업 전공 간 일치여부 및 취업준비행동 비교
    유형숙 윤명희 일본근대학연구, 27, 203-216 [2010]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년도 진로교육센터 운영사업(Ⅲ): 학생 진로 개발역량지표 개발 보급
    교육부 수탁사업(2016-04-3-1) [2016]
  • 한국전문대학생의 교육목표 변화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유영미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2011]
  • 한국 청소년 진로직업 실태조사
    최인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Ⅳ-청소년 진로 직업 지 표
    김봉환 최인재 허은영 황매향 한국청소년정책 [2009]
  •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 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곽영순 노은희 최승현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 학생의 창의 인성 개발을 위한 교사의 수업 평가 활동 및 조 직문화 특성
    양명희 지은림 서울교육종단 연구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2011]
  • 학교진로상담
    김병석 김봉환 정철영 서울: 학지사 [2000]
  • 학교진로상담
    김봉환 서울: 학지사 [2006]
  • 학교 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 안
  • 타당도와 신뢰도(개정판)
    성태제 서울: 학지사 [2005]
  • 캐나다의 국가 진로개발 역량과 적용 프로그램 사례 분석-Blueprint 를 중심으로-
    정윤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Working Paper, 8 [2008]
  • 초등실과교육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모형 개발
    김진구 정철영 한국실과교육학 회지, 제14권, 제4호, 83-105 [2001]
  • 초 중등 진로교육 활성화
    진미석 The HRD Review, 16(1), 50-63 [2013]
  •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류재윤 이유경 미래 청소년학회지, 9(4), 99-116 [2012]
  •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김현옥 건국대학 교 대학원 [1989]
  •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척도 개발
    박성미 허승희 아동교육, 21(3), 35-47 [2012]
  • 청년층 구직역량 실태조사
    고재성 김성남 변정현 이건남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009]
  •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고재성 김성남 변정현 이건남 직 업교육연구, 29, 2, 17-42 [2010]
  •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이기학 한종철 진로교육연구, 8, 219-255 [1997]
  • 진로지도와 노동시장 이행
    김안국 임언 KRIVET 연구총서, 5 [2006]
  •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김충기 서울; 배영사 [1986]
  •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 과정 분석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정철영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 직업기초능력 영역설정 및 표준개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박동열 주인중 진미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성취기준 개발
    김재겸 김진모 이종범 정철영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2008]
  •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307-316
    최은희 연구원 [2015]
  • 중학생들의 진로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동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3]
  • 중학생 진로역량 검사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임효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오은주 한국콘 텐츠학회논문지, 12(2), 517-531 [2012]
  •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 기초 연구 1 : 철학적 심리학적 접근에 기초한 인성교육의 구성요소 탐색
    김아영 김인전 신동주 임현식 조아미 조연순 교육과학연구, 28(2), 131-152 [1998]
  • 전문대학에서의 진로지도 체제 개편 및 운영 방안
    김진구 정철영 최동선 직 업교육연구, 21, 1, 71-97 [2002]
  • 전문대학에서 현장실습과 실습학기제 운영실태 분석 및 정책적 개선방안
    김기홍 오병진 조희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2014]
  • 전문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손경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전문대학생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경로 및 인과관계 분석
    박성미 신경숙 정명화 상담학연구, 5, 95-111 [2004]
  •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의 관계에 대한 대학생활 적응의 매 개 및 조절 효과
    조현주 진로교육연구, 25, 61-75 [2012]
  •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경력개발역량과 경력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보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과 학생지도 방향
    이영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 전문대학 취업지원 가이드 개발을 위한 구직역량 실태조사 보고서
  • 전문대학 졸업생의 이직행동에 관한 연구
    이길순 직업교육연구, 17(2), 121-136 [1998]
  • 전문대학 교육혁신을 위한 실천 방안 연 구
    박정근 백형찬 윤여송 이호웅 최석규 서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05]
  • 전문대 졸업생의 진로결정 및 취업유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 학위논문
    이승근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3]
  •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개발역량과 관련 변인
    고재성 진로교육연구, 23(1), 1-19 [2010]
  • 일의 교육학
    장원섭 서울: 학지사 [2006]
  • 인재개발 사이버 교육 프로그램의 과정중심 평가준거 개발. 박사학위 논문
    이규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 성과 차원
    김민성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교육학연구, 45(3), 233-260 [2007]
  • 이윤선 도승이 인성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지은림 윤리교육연구, 35, 151-174 [2014]
  • 이성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방안
    김진모 나승일 서우석 장석민 한국산업인력공단 [2003]
  • 이상은 박정열 캐나다 퀘벡 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역량기반 교 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소경희 비교교육연구, 17(4), 105-128 [2007]
  • 이상은 고장완 김경숙 김기현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계 구축(Ⅲ)
    최상덕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23 [2015]
  • 역량중심 교과 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탐색
    임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 교육적 성격 탐 색
    소경희 교육 과정연구. 27(1), 1-20 [2009]
  • 역량 중심의 대학생 진로개발전략 모색
    이지연 상담학연구, 3(2), 419-438 [2002]
  • 여대생의 직업세계 인식 실태조사. 여성정책연구원
    신선미 연구보고서 [2008]
  • 어머니의 진로인식과 진로행동이 청소년 자녀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이은영 대학원 [2011]
  • 수원여자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관련 교양교과목 개발활용 방안
    박동열 이광용 정윤경 최동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 생애단계별 진로개발 표준: 전문대학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윤형한 최동선 서 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 생각의 힘을 키우는 교육으로 탈바꿈해야
    박형주 국회보 통권, 603 [2017]
  •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도와 취업 역량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김정아 유승혜 조영아 비서학논총, 19, 1, 165-188 [2010]
  • 비서의 현재 역량과 미래 역량에 대한 델파이 연구
    윤미숙 비서학논총, 12(2), 109-141 [2003]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김문숙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10 [2009]
  • 도승이 직업 역량 관련 인성검사 개발을 위한 구인 탐색
    이종승 지은림 교육 학연구, 50(4), 221-243 [2012]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원장의 리더십, 교사의 교직헌신, 부모의 만족도 관계. 박사학위논문
    박수진 총신 대학교 대학원 [2016]
  • 델파이 및 AHP를 이용한 온라인게임 기업의 정성적 평가요소에 관 한 연구
    권용만 한국컴퓨어게임학회 논문지, 23, 13-22 [2010]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직업인성역량에 관한 연구
    김정민 홍아정 교육문화연 구, 제23-5호. 87-114 [2017]
  •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 사업 활성화 방안
    윤형한 이영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2007]
  •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가 진로 태도성숙 에 미치는 영향
    김봉환 남수현 대학생활연구, 18(1), 111-128 [2012]
  • 대학생의 진로역량개발에 대한 대학 특성요인의 영향 분석: 층위 간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공희정 김혜림 이병식 교육학연구, 51, 4 [2013]
  • 대학생의 진로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김경화 제19 권, 제6호, 339-379 [2012]
  •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태도성숙과 진로미결정요인에 대 한 연구
    이기학 청소년상담연구, 11(1), 13-21 [2003]
  • 대학생의 진로선택유형에 따른 진로정체감, 진로미결정 및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남아란 하정 사회과학논총, 28(1), 27-43 [2012]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 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박사학위논문
    김봉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태 도성숙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신맹자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 역량개발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연구. 석 사학위논문
    박혜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진단 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김성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 대학생용 진로개발준비도검사 개발
    윤형한 임언 진로교육연구, 18(1), 116-132 [2005]
  • 대학생 진로역량과 학생 및 대학 특성의 다층분석
    정지은 서 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대학생 진로개발 역량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박가열 진로교육연구, 22(2), 181-198 [2009]
  •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은이 敎育方法硏究. 27, 3, 401-428 [2015]
  •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문항개발연구: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진단종합검사 개발(대인관계검사 개 발과 종합적 사고력 측정방안)
  •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교과목 운영의 효과
    강혜영 손만익 황매향 아시아교육 연구, 8(1), 71-91 [2007]
  • 대학생 구직역량 체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문윤경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 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2008]
  • 대졸 취업자의 임금에 대한 인지적 비인지적 능력의 효과에 관한 연구: 융합 인재론의 경험적 검증
    김문조 이왕원 정지연 한국HRD연구, 10(1), 47-76 [2015]
  •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과과정 조사결과 및 이의 활용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03]
  •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메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2013]
  • 국가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장기 연구 설계
    소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 교육 운영 모델 구축
  •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이기학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1997]
  • 고등학생의 진로, 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연구. 석사학위논문
    이민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 고교생의 진로교육의 현황 및 진로역량과 관계 연구
    남수정 청소년학연구, 18(11), 283-304 [2011]
  • ⌜학교진로상담⌟
    김병석 김봉환 정철영 서울: 학지사 [2006]
  • “직업능력인증제 도입을 위한 정책연구”
  • “비인지적 능력과 일자리의 관계에 관한 맥락적 이해,”
    이자형 교육사회학연구, 24(2), 209-241 [2014]
  • Weinert, F. E.(2001).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S. & Salganik, L. H.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grefe & Huber Publishers.
  • Vermeulen, L., & Schmidt, H. G. (2008).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process, academic outcomes and career success of university graduates.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3(4), 431-451.
  • Van Vianen, A. E. M., Klehe, U. C., Koen, J., & Dries, N.(2012). Career adapt-abilities scale–Netherlands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lationships to ability, personality, and regulatory focu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 716–724.
  • Super, D. E., & Nevill, D. D.(1984). Work role salience as a determinant of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5, 255-270.
  • Super, D. E.(1957).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 Skorikov, V. B.(2007). Continuity in adolescent career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0, 8-24.
  • Schwab, K.(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lony/Geneva, Switzerland: World Economic Forum.
  • Pearson, Quinn, & Nicholson, Janice.(2000).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38(4) 243-251.
  • Park, Y. H.(2011). The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as the basis for enhancing performance.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4(1), 187-212.
  • NLWC(2000). Blueprint for life/work designs.
  • Miller, J, V.(1992). “The 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s : A Status Report”, in Lester, J. N.(ed), From Pilot to Practice Strengthening Career Development Programs, NOICC Training Support Center.
  • McGowan, J. F. & Porter, T. L.(1967). An introduction to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Baltimore: University Part Press.
  •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 Lickona, T.(2004). Character Matters: How to Help Our Children Develop Good Judgment, Integrity, and Other Essential Virtues. New York: Touchstone Rockefeller Center, 1230 Avenue of the Americas.
  • Lester, J.(1999). “Guidelines for Career Development : Programs and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urning Points.
  • Lawshe, C. H.(1975). A quanto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hychology, 28, 563-575.
  • Kuijpeers, M. A. C. T., & Scheerens, J.(2006). Career competencies for the modern career.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2 (4), 303-319.
  •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
    오호영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 Howard & Amy(1990). Competency-based Career Development Strategies and the National Career Development Guideline. p.3.
  • Holland, J. L.(1985).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Holland, J. H.(1992).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2n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 Heckman, J. J., Stixrud, J., & Urzua, S. (2006).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noncognitive abilities on labor market outcomes and social behavior. Journal of Labor Economics, 24(3), 411–482.
  • Heckman, J. J., & Rubinstein, Y.(2001).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skills: Lessons from the GED testing program.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91(2), 145-149.
  • Hartung, P. J.,& Bluestein, D. L.(2002). Reason ,intuition, and socialjustice :Elaborating on person' career decision-making model.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 41-47.
  • Haines. C. Scott, K, & Lincoln, R.(2003). Australian Blueprint for Career Development [Draft Prototype]. Miles Morgan Australia. p.33.
  • Hache, L., Redekopp, D. E. & Jarvis, P. S.(2000). Blueprint for Life/Work Designs.
  • Gribbons, W. D. & Lohnes, P. R.(1964). Relationships among measures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13-20.
  • Ginzberg, E., Ginzberg., S.W., Axelrad, S., & Herma, J. R.(1951). Occupational choice: A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Gianakos, I. G.(1999). “Patterns of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244–258Ginzberg, E.(1952). Toward a theory of occupational choice. Personnel & Guidance Journal, 30, 491 494.
  • Gati, I., & Krausz, M.(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4), 510-526.
  • Gardner, H., Csikszentmihalyi, M., & Damon, W.(2001). Good work: When excellence and ethics meet. New York, NY: Basic Books.
  • Franke, R., & DeAngelo, L.(2013). Targeting first-year persistence - a multilevel approach to determine how individual characteristics, finanicial resources, and campus characteristics affect low-income and lower-middle-income students. A paper presented at 38th ASHE annual conference. St, Louis, Missouri. U.S.A. Folsom, B., & Reardon, R.(2003). College career courses: Design and accountability.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4), 421-450.
  • Fouad, N. A.(1993). Cross-cultural vacational assessment.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2(1), 4-13.
  • Eby, L. T., Butts, M., & Lokwood, A.(2003). Predictors of success in the era of the boundaryless caree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4 , 698-708.
  • Delbecq, A. L., Van de Ven, A. H., & Gustafson, D. H.(197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 and Delphi Processes. Glenview,IL:Scott,Foresman.
  • Delamare Le Deist, F. & Winterton, J.(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8 (1), 27-46.
  • DeFillippi, R. J., & Arthur, M. B. (1994). The boundaryless career: A competency‐based perspectiv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4), 307-324.
  • Crites, J. O.(1981). Career counseling: Models, methods, and materials. New Yor k: McGraw-Hill.
  • Crites, J. O.(1978). Career maturity Inventory : Administration and use manual. CA, CTB/McGraw-Hill.
  • Choi, B. K., & Rhee, B. S. (2014). The influences of student engagement, institutional mi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climate on the generic competency developmen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Higher Education, 67(1), 1-18.
  • Akkermans, J., Brenninkmeijer, V., Huibers, M., & Blonk, R. W.(2013). Competencies for the comtemporary career: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the Career Competencies Questionnaire.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40 , 245-267.
  • 4년제 대학단계 일 학습병행제(IPP) 내년부터 본격 확대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2015]